KR102022862B1 -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62B1
KR102022862B1 KR1020180113319A KR20180113319A KR102022862B1 KR 102022862 B1 KR102022862 B1 KR 102022862B1 KR 1020180113319 A KR1020180113319 A KR 1020180113319A KR 20180113319 A KR20180113319 A KR 20180113319A KR 102022862 B1 KR102022862 B1 KR 10202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tum
pressing member
testicular
plate
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인
백종걸
정동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7Means for immobilizing the patient

Abstract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는, 방사선치료시 고환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로서, 카우치의 상면에 안착되어 환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유닛; 및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되고, 환자의 음낭이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고정유닛은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을 통해 음낭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치료시 음낭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의 위치변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TESTICULAR FIXATION APPARATUS FOR RADIATION TREATMENT}
본 발명은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 치료시 음낭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의 위치변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발성 고환 림프종(Primary Testicular Lymphoma)은 50세 이상 남성의 악성 종양으로 전체 종양의 5~9% 정도로 높은 발생률을 나타낸다. 현재 원발성 고환 림프종의 치료는 고환 절제술, 전신 면역 화학 요법, 척수강내 화학요법, 그리고 방사선 치료로 이루어지고 있다.
방사선 치료의 방법은 1문 전자선 조사, 1문 광자선 조사, 쇄기보상필터(wedge filter)를 이용한 2문 광자선 조사, 대향 2문 접선 조사로 나누어 진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치료시 환자의 자세 재현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종양 조직에 정확한 선량을 전달할 수 없다. 그러나 고환(testis)을 싸고 있는 음낭(scrotum)은 불수의근(smooth muscle)으로 매 치료시 같은 위치를 유지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불필요한 정상조직의 선량 증가로 인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9284호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 고정장치는 방사선 치료시 팔, 다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5331호 방사선 치료용 고정기구는, 방사선 치료시 복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환의 방사선 치료시 고환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현재 고환의 방사선 치료는, 환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블록형태의 기구를 위치시키고 음낭을 기구의 상면에 단순히 올린 상태에서 하고 있어, 음낭이 환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수축 및 이완하여 불필요한 정상조직의 선량 증가를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9284호 (등록일: 2015.11.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5331호 (등록일: 2014.06.27)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치료시 음낭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의 위치변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환자의 음낭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음낭과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고, 접촉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며, 고환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사선치료시 고환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로서, 카우치의 상면에 안착되어 환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되고, 상기 환자의 음낭이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을 통해 상기 음낭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되고, 상기 음낭의 하부와 밀착되는 하부압박부재; 상기 하부압박부재 위에 적층되고, 상기 인입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공간형성부재 위에 적층되고, 상기 음낭의 상부와 밀착되는 상부압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상부압박부재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압박부재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압박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삽입홀은 각각 상기 인입공간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압박부재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결합력을 형성하고 제1 유동방지홈을 형성하는 하부판과, 상기 제1 유동방지홈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낭의 하부와 밀착되는 제1 곡면을 형성하는 하부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압박부재는,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결합력을 형성하고 제2 유동방지홈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제2 유동방지홈에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낭의 상부와 밀착되는 제2 곡면을 형성하는 상부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각각 탄력적으로 변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곡면부재의 상면과 상기 제2 유동방지홈 사이에는 조절판이 개재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제2 유동방지홈과 연결된 복수의 조절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조절구멍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절막대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조절판을 누르면, 상기 제2 곡면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된 고정유닛이 환자의 음낭이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시 음낭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의 위치변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이 베이스판의 다단 적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환자의 음낭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곡면부재가 제1 곡면을 통해 음낭의 하부와 밀착되고, 상부곡면부재가 제2 곡면을 통해 음낭의 상부와 밀착됨으로써, 음낭과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1 곡면 및 제2 곡면이 각각 탄력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접촉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복수의 조절구멍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절막대를 각각 삽입하여 조절판을 누르면, 제2 곡면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고환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의 도 1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는, 방사선 치료시 음낭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의 위치변동을 차단하고, 환자의 음낭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는, 음낭과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고, 접촉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며, 고환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의 도 1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10)는, 방사선 치료시 음낭(S)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T)의 위치변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며, 베이스유닛(100) 및 고정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닛(100)은 고정유닛(2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카우치(C)의 상면에 안착되어 환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한다. 베이스유닛(100)은 복수의 베이스판(110)이 다단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베이스판(110)은 아크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적층된 베이스판(110)의 개수는 베이스유닛(100)의 높이를 결정한다. 도 3에는 베이스유닛(100)이 베이스판(110) 9개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판(110)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P)가 형성되고, 베이스판(1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삽입홈은 돌출부(P)의 아래에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베이스판(110)은 하측 베이스판(110)의 돌출부(P)가 상측 베이스판(110)의 삽입홈에 삽입(억지끼움)되어 결합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베이스유닛(100)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P)가 노출된다.
베이스판(110)은 한쪽으로 돌출된 다각형 형태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의 돌출된 부분(이하 '돌출부(P)위')은 고환 고정장치(10)의 사용시 고환(T) 쪽을 향한다. 베이스판(110)이 돌출된 방향은 후술할 인입공간(A)이 개방된 방향(이하 '개방방향')과 일치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200)은 환자의 음낭(S)이 인입되는 인입공간(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아크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베이스유닛(100) 위에 순서대로 적층된다. 고정유닛(200)은 인입공간(A)을 형성하는 내면을 통해 음낭(S)과 밀착된다.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인입공간(A)의 내면을 형성한다.
하부압박부재(210)는 음낭(S)의 하부와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한 쌍의 하부판(211)으로 구성된다. 즉, 하부판(211)은 제1 하부판(211A) 및 제2 하부판(21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하부판(211A)은 베이스유닛(100)과 결합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판(110)의 돌출부(P)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H)이 형성된다. 베이스판(110)의 돌출부(P)와 제1 하부판(211A)의 삽입홀(H)은 개방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베이스판(110)의 돌출부(P)와 제1 하부판(211A)의 삽입홀(H)이 개방방향으로 2열을 형성하며 8개씩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판(211A)을 베이스판(110) 위에 적층시킬 때, 일부의 돌출부(P)만 삽입홀(H)에 삽입하면, 고정유닛(200)은 개방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베이스유닛(100)의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하부판(211B)은 인입공간(A)의 아랫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제1 하부판(211A)의 위에 적층된다. 제2 하부판(211B)은 음낭(S)의 높이에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될 수 있다. 제2 하부판(211B)에는 인입공간(A)의 중심을 표시하는 표시선(CL)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판(211A), 제2 하부판(211B), 제1 적층판(221), 제2 적측판 및 상부판(231)은 베이스유닛(100)의 위에 순서대로 적층된다.
제1 하부판(211A), 제2 하부판(211B), 제1 적층판(221), 제2 적측판 및 상부판(231)에는 각각 돌출부(P)와 삽입홀(H)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판(211A), 제2 하부판(211B), 제1 적층판(221), 제2 적측판 및 상부판(231)은 돌출부(P)가 삽입홀(H)에 삽입(억지끼움)되어 적층된 순서대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형성부재(220)는 인입공간(A)의 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제1 적층판(221) 및 제2 적층판(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적층판(221)과 제2 적층판(222)에는 각각 인입공간(A)의 측면을 형성하는 홈부(h)가 형성된다. 제2 적층판(222)은 음낭(S)의 부피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음낭(S)이 작은 환자는 제1 적층판(221)만 사용하여도 음낭(S)의 상하부와 밀착되는 인입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낭(S)이 큰 환자는 제2 적층판(222) 위에 제3 적층판을 더 적층할 수 있다. 제3 적층판은 제2 적층판(222)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압박부재(230)는 음낭(S)의 상부와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단일의 상부판(231)으로 구성된다. 상부판(231)은 공간형성부재(220) 위에 적층되어 인입공간(A)의 윗면을 형성한다.
인입공간(A)은 하부압박부재(210)의 상면, 공간형성부재(220)의 측면 및 상부압박부재(230)의 하면에 의해 형성된다. 음낭(S)은 인입공간(A) 내에서 하부압박부재(210)의 상면과 상부압박부재(230)의 하면에 밀착되어 유동이 억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에는 볼트(B)가 삽입되는 관통홀(Hp)이 형성되고, 하부압박부재(210)에는 볼트(B)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N)이 형성된다. 물론,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에는 관통홀(Hp) 대신 볼트(B)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N)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볼트(B)에 의해 추가적인 결합력을 형성한다. 볼트(B)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볼트(B)는 방사선 아티펙트에 큰 영향이 없는 밀도가 높지 않은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료진은, 환자가 방사선치료장치(미도시)의 카우치(C) 위에 개구리 자세(똑바로 누워 무릎을 양쪽으로 벌린 자세)를 취하게 한 후 환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베이스유닛(100)을 위치시킨다. 베이스유닛(100)은 돌출부(P)위가 환자의 고환(T)을 향하게 배치된다. 의료진은 환자의 음낭(S)의 높이에 대응하여 다단 적층된 베이스판(110)의 개수를 조절한다.
의료진은 베이스유닛(100) 위에 하부압박부재(210)를 적층하고 음낭(S)을 제2 하부판(211B) 상면에 올려 고환(T)을 표시선(CL)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의료진은 하부압박부재(210) 위에 공간형성부재(220)와 상부압박부재(230)를 차례대로 적층시킨다.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돌출부(P)와 삽입홀(H)의 삽입(억지끼움)결합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마지막으로, 의료진은 고환(T)의 위치를 재확인한 후 볼트(B)로 하부압박부재(210), 공간형성부재(220) 및 상부압박부재(230)를 결합한다. 음낭(S)은 볼트(B)의 결합력에 의해 제2 하부판(211B)과 상부판(23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고환(T)의 목표 영역(target volume)에 방사선이 조사된다. 방사선 치료시 음낭(S)이 다소 수축하거나 이완하더라도 음낭(S)의 표피가 하부판(211)과 상부판(23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고환(T)의 위치변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시 방사선이 입사될 고환(T)의 목표 영역에 정확한 선량분포를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20)는, 음낭(S)이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제1 곡면(F1) 및 제2 곡면(F2)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하부압박부재(210)는 하부곡면부재(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곡면부재(212)는 그 상면에 음낭(S)의 하부와 밀착되는 제1 곡면(F1)을 형성한다. 제2 하부판(211B)에는 하부곡면부재(212)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1 유동방지홈(Ha1)이 형성된다.
상부압박부재(230)는 상부곡면부재(2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곡면부재(232)는 그 저면에 음낭(S)의 상부와 밀착되는 제2 곡면(F2)을 형성한다. 상부판(231)에는 상부곡면부재(23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 유동방지홈(Ha2)이 형성된다.
하부압박부재(21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하부압박부재(21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실리콘 블록, 내부에 물이 채워진 비닐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압박부재(210) 및 상부압박부재(230)는 음낭(S)의 형태 및 밀도에 대응하여 각각 탄력적으로 변형한다. 이때, 제1 곡면(F1) 및 제2 곡면(F2)은 각각 탄력적으로 변형하여 음낭(S)의 하부 및 상부와 넓은 밀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곡면(F1)과 제2 곡면(F2)은 인입공간(A)의 중심부에서 세로방향 최장거리를 형성하고, 인입공간(A)의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세로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곡면(F1)과 제2 곡면(F2) 사이에 위치한 음낭(S) 및 고환(T)은, 음낭(S)이 다소 수축하거나 이완하더라도 인입공간(A)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곡면부재(232)의 상면과 제2 유동방지홈(Ha2) 사이에는 조절판(233)이 개재되고, 상부판(231)에는 제2 유동방지홈(Ha2)과 연결된 복수의 조절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판(233)은 상부곡면부재(232)를 전체적으로 기울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아크릴 재질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조절구멍(Hc)은 조절막대(R)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조절판(23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조절막대(R)와 조절구멍(Hc)은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이 복수의 조절구멍(Hc)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절막대(R)를 각각 삽입(나사결합)하여 조절판(233)의 가장자리를 누르면, 조절판(233)이 기울면서 제2 곡면(F2)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제2 곡면(F2)의 위치가 변화하면, 제1 곡면(F1)과 제2 곡면(F2)의 세로방향 거리가 전체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음낭(S) 및 고환(T)은 제1 곡면(F1)과 제2 곡면(F2)의 변화된 세로방향 최장거리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의료진은 조절구멍(Hc)에 선택적으로 조절막대(R)를 삽입하여 음낭(S) 및 고환(T)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된 고정유닛이 환자의 음낭이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시 음낭이 수축 및 이완하더라도 고환의 위치변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이 베이스판의 다단 적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환자의 음낭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곡면부재가 제1 곡면을 통해 음낭의 하부와 밀착되고, 상부곡면부재가 제2 곡면을 통해 음낭의 상부와 밀착됨으로써, 음낭과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1 곡면 및 제2 곡면이 각각 탄력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접촉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복수의 조절구멍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절막대를 각각 삽입하여 조절판을 누르면, 제2 곡면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고환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0 : 고환 고정장치
100 : 베이스유닛
110 : 베이스판 P : 돌출부
200 : 고정유닛
210 : 하부압박부재 230 : 상부압박부재
211 : 하부판 231 : 상부판
211A : 제1 하부판 Ha2 : 제2 유동방지홈
211B : 제2 하부판 Hc : 조절구멍
CL : 표시선 232 : 상부곡면부재
H : 삽입홀 F2 : 제2 곡면
N : 나사홀 233 : 조절판
Ha1 : 제1 유동방지홈 R : 조절막대
212 : 하부곡면부재 C : 카우치
F1 : 제1 곡면 S : 음낭
A : 인입공간 T : 고환
220 : 공간형성부재
221 : 제1 적층판
222 : 제2 적층판
h : 홈부
Hp : 관통홀
B : 볼트

Claims (6)

  1. 방사선치료시 고환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로서,
    카우치의 상면에 안착되어 환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되고, 상기 환자의 음낭이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을 통해 상기 음낭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위에 적층되고, 상기 음낭의 하부와 밀착되는 하부압박부재;
    상기 하부압박부재 위에 적층되고, 상기 인입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공간형성부재 위에 적층되고, 상기 음낭의 상부와 밀착되는 상부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상부압박부재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압박부재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압박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삽입홀은 각각 상기 인입공간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박부재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결합력을 형성하고 제1 유동방지홈을 형성하는 하부판과, 상기 제1 유동방지홈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낭의 하부와 밀착되는 제1 곡면을 형성하는 하부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압박부재는,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결합력을 형성하고 제2 유동방지홈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제2 유동방지홈에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낭의 상부와 밀착되는 제2 곡면을 형성하는 상부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각각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면부재의 상면과 상기 제2 유동방지홈 사이에는 조절판이 개재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제2 유동방지홈과 연결된 복수의 조절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조절구멍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절막대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조절판을 누르면, 상기 제2 곡면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KR1020180113319A 2018-09-20 2018-09-20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KR10202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19A KR102022862B1 (ko) 2018-09-20 2018-09-20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19A KR102022862B1 (ko) 2018-09-20 2018-09-20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862B1 true KR102022862B1 (ko) 2019-09-19

Family

ID=6806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19A KR102022862B1 (ko) 2018-09-20 2018-09-20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8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870A (ja) * 2001-03-26 2004-11-11 エレン・エ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疾患組織を治療する方法及び装置
CN202477910U (zh) * 2012-04-01 2012-10-10 何婷婷 阴囊水肿托高垫
JP2013502277A (ja) * 2009-08-17 2013-01-24 ヒストソニ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使い捨て音響結合媒体容器
KR101415331B1 (ko) 2012-12-26 2014-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용 고정기구
KR101569284B1 (ko) 2014-07-25 2015-11-16 권대철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870A (ja) * 2001-03-26 2004-11-11 エレン・エ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疾患組織を治療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3502277A (ja) * 2009-08-17 2013-01-24 ヒストソニ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使い捨て音響結合媒体容器
CN202477910U (zh) * 2012-04-01 2012-10-10 何婷婷 阴囊水肿托高垫
KR101415331B1 (ko) 2012-12-26 2014-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용 고정기구
KR101569284B1 (ko) 2014-07-25 2015-11-16 권대철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123B2 (en) Multiple layer multileaf collimator
EP0751532B1 (en) A multiple layer multileaf collimator
EP1641534B1 (en) Multi-leaf collimator
Gao et al. Spatially fractionated (GRID) radiation therapy using proton pencil beam scanning (PBS): Feasibility study and clinical implementation
US7642534B2 (en) Multileaf collimator for electron radiotherapy
US10583311B2 (en) Collimation apparatus for radiotherapy
EP0941540A1 (en) Multiple layer multileaf collimator
Ha et al. Feasibility of delivering grid therapy using a multileaf collimator
KR102022862B1 (ko) 방사선치료용 고환 고정장치
US6388816B2 (en) Multi-leaf collimator
DE102009004604A9 (de) Liegesystem für Bauchlieger mit Stufenlagerung
ES2360827T3 (es) Soporte para sujetar e inmovilizar una parte del cuerpo de un ser vivo durante el tratamiento.
KR101406630B1 (ko) 두경부 외부 방사선치료의 3차원 선량 평가용 다목적 팬텀
Olch et al. Reproducibility and treatment planning advantages of a carbon fiber relocatable head fixation system
Chern et al. Is smaller better? Comparison of 3-mm and 5-mm leaf size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a dosimetric study
US5224956A (en) Static spinal alignment device
CN211068801U (zh) 一种用于乳腺放疗的固定膜片
KR102484281B1 (ko) 적층 결합이 가능한 혀 고정장치
KR20210064599A (ko) 척추 정형용 운동기구
KR20200046747A (ko) 조정 카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우치 시스템
Solberg et al. Feasibility of gated IMRT
CN215461495U (zh) 一种可组织补偿的重离子放射治疗头颈肩定位装置
KR101652575B1 (ko) 선형가속기기반 방사선 수술장비의 방사선 분포측정기 정밀 조종장치
DE102021205077B4 (de) Druckkontrollsystem zum Bereitstellen eines auf einen Patienten während einer prä-interventionellen Bildgebung mit einem Bildgebungssystem auszuübenden Drucks
Das et al. Total body irradiation techniques: Patterns of care with advanc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