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653B1 -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653B1
KR102022653B1 KR1020190051397A KR20190051397A KR102022653B1 KR 102022653 B1 KR102022653 B1 KR 102022653B1 KR 1020190051397 A KR1020190051397 A KR 1020190051397A KR 20190051397 A KR20190051397 A KR 20190051397A KR 102022653 B1 KR102022653 B1 KR 10202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orting drum
drum
sorting
mix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경
서철
Original Assignee
문재경
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경, 서철 filed Critical 문재경
Priority to KR102019005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6Supplying the solid ingredients, e.g. by means of endless conveyors or jigging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모래 및 다양한 크기의 자갈로 이루어진 골재들이 하역되는 골재 하역소; 골재 하역소에 하역된 골재들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회전됨으로써,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배출시키는 골재 분류기; 골재 분류기 하부에 배치되며, 골재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골재들이 종류별로 저장되는 골재 저장반; 골재 저장반의 좌측에 배치되며, 골재 분류기를 거쳐 배출된 골재를 분쇄하는 분쇄기; 분쇄기의 좌측에 배치되며, 시멘트가 저장되는 시멘트 저장반; 골재 저장반 및 시멘트 저장반의 하부에 배치되고, 골재 저장반 및 시멘트 저장반에 저장된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계량하는 계량반; 계량반으로부터 계량되어 배출되는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시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혼합믹서; 및 혼합믹서로부터 제조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배출하여 믹서 트럭에 전달시키는 배출호퍼;를 포함하되, 골재 분류기는,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래 입자의 크기보다 크고 자갈 입자보다 작은 다수의 제 1 분류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골재 중, 모래를 배출시키는 제 1 분류 드럼과,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분류 드럼 일단에 장착되고, 자갈 입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제 2 분류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골재 중, 자갈을 배출시키는 제 2 분류 드럼 및 일측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분류 드럼 일단에 장착되고, 제 2 분류 홀보다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제 3 분류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골재 중, 제 2 분류 드럼에서 분류되지 않은 골재들을 분쇄기로 배출시키는 제 3 분류 드럼을 포함하고, 골재 저장반은, 제 1 분류 드럼 하측에 배치되며, 제 1 분류 드럼에 의해 배출된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제 1 분류 드럼에 의해 배출된 모래가 저장되는 제 1 골재 저장반 및 제 2 골재 분류기 하측에 배치되며, 제 2 골재 분류기에 의해 배출된 자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제 2 골재 분류기에 의해 배출된 자갈이 저장되는 제 2 골재 저장반을 포함하며, 분쇄기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제 3 골재 분류기로부터 배출된 골재를 수용하는 바디(151) 및 바디(151) 내부에 다수의 휠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3 골재 분류기로부터 배출된 골재를 분쇄하는 한 쌍의 분쇄롤러를 포함하고, 바디(151)는 하부에,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된 골재를 제 2 골재 저장반으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호스가 구비되어 제 2 골재 저장반과 연결되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apparatus with escape preventing guide and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디믹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리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 생산 설비에서는 물과 혼화제가 각각 레미콘 믹서로 직접 투입되어 시멘트, 모래, 골재, 플라이 애시 등을 교반하여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63339호(등록일; 2008.10.07.) 가 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디믹스트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내부에 하나의 혼합믹서가 설치된 배처플랜트본체와, 상기 배처플랜트본체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다수개 형서된 토목구조물 내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자갈 및 모래 등의 골재를 계량하는 계량기와,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골재를 배처플랜트 본체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배처플랜트본체에 시멘트를 공급해주는 시멘트 사일로를 포함하는 구성된 배처플랜트의 증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처플랜트본체 내부에 두 개의 혼합믹서를 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혼합믹서를 일측으로 이설한 후 일측면에 인접되게 새로운 혼합믹서를 추가설치하고; 상기 토목구조물 내부에 각각 1호기, 2호기 두 개의 계량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계량기를 일측으로 이설한 후 일측면에 새로운 계량기를 추가설치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골재가 적재이송되는 시작과 끝 지점에 설치되어 골재의 이송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이송된 골재가 배처플랜트본체 내에 설치된 두 개의 혼합 믹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인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혼합믹서 상부에 설치된 방향전환수단; 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배처플랜트의 구조변경을 통한 증설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는 레디믹스트의 재료인 골재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동되어 혼합믹서로 유입될 시, 방향전환수단에 의해 골재의 유입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골재를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한번에 한 종류의 골재만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었으며, 서로 다른 골재를 한번에 이송시키려면 이송 컨베이어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송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3339호 (등록일; 2008.10.07.)
본 발명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시, 다양한 크기의 골재를 종류 및 크기 별로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래 및 다양한 크기의 자갈로 이루어진 골재들이 하역되는 골재 하역소; 상기 골재 하역소에 하역된 상기 골재들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배출시키는 골재 분류기; 상기 골재 분류기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골재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상기 골재들이 종류별로 저장되는 골재 저장반; 상기 골재 저장반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골재 분류기를 거쳐 배출된 상기 골재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의 좌측에 배치되며, 시멘트가 저장되는 시멘트 저장반; 상기 골재 저장반 및 상기 시멘트 저장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골재 저장반 및 상기 시멘트 저장반에 저장된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계량하는 계량반; 상기 계량반으로부터 계량되어 배출되는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시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혼합믹서; 및 상기 혼합믹서로부터 제조된 상기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배출하여 믹서 트럭에 전달시키는 배출호퍼;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 분류기는,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 입자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자갈 입자보다 작은 다수의 제 1 분류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 중, 상기 모래를 배출시키는 제 1 분류 드럼과,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분류 드럼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자갈 입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제 2 분류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 중, 상기 자갈을 배출시키는 제 2 분류 드럼 및 일측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분류 드럼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분류 홀보다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제 3 분류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 중, 상기 제 2 분류 드럼에서 분류되지 않은 상기 골재들을 상기 분쇄기로 배출시키는 제 3 분류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골재 저장반은, 상기 제 1 분류 드럼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분류 드럼에 의해 배출된 상기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1 분류 드럼에 의해 배출된 상기 모래가 저장되는 제 1 골재 저장반 및 상기 제 2 골재 분류기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골재 분류기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2 골재 분류기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이 저장되는 제 2 골재 저장반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3 골재 분류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바디(151) 및 상기 바디(151) 내부에 다수의 휠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3 골재 분류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재를 분쇄하는 한 쌍의 분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51)는 하부에, 상기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된 상기 골재를 상기 제 2 골재 저장반으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호스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골재 저장반과 연결되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분쇄기 드럼은, 각각 내측면에 나사산의 형상을 이루는 나선형 가이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류 드럼 및 제 3 분류 드럼의 일단에는 각각 면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분류 드럼 하부측에는 반원 형상 분류기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분류 드럼 측면부에는 분류기 구동부(135)가 연결되어 상기 제 3 분류 드럼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은, 다양한 크기의 골재를 한번에 이송함과 동시에 크기 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속도 향상 및 인건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중, 골재 분류기 및 골재 저정반의 확대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중, 골재 분류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중,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 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0)는 골재 하역소(110), 골재 계량반(170), 이송 컨베이어(120), 골재 분류기(130), 골재 저장반(140), 분쇄기(150), 시멘트 저장반(160), 계량반(170), 혼합믹서(180) 및 배출호퍼(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골재 하역소(110)에는 모래 및 다양한 크기의 자갈로 이루어진 골재들이 하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작업으로 다수의 작업자들이 상기 골재를 적당한 장소에 적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골재가 적재된 곳 지하에 골재 하역소(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적재된 상기 골재는 호퍼(미도시)에 의해 골재 하역소(11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골재 하역소(110)로 배출된 상기 골재를 후술할 골재 분류기(1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컨베이어(120)는 상기 골재가 적재되는 골재 하역소(110) 내부로부터 골재 분류기(130) 내측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120)의 양단에는 상기 골재 이송시 상기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미도시)이 이송 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여, 골재 분류기(13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중, 골재 분류기 및 골재 저정반의 확대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중, 골재 분류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골재 분류기(130)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배쳐플랜트의 최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쳐플랜트는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골재 저장반(140), 시멘트 저장반(160), 계량반(170), 혼합믹서(180) 및 배출호퍼(190)와 같은 구성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골재 분류기(130)는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제 3 분류 드럼(133), 분류기 지지대(134) 및 분류기 구동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분류 드럼(131)은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류 드럼(131)은 외주면에 다수의 제 1 분류 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분류 홀(131a)의 지름은 상기 모래 입자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자갈 입자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들 중, 상기 모래만을 분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분류 드럼(131)은 상기 모래를 제 1 분류 홀(131a)을 통해 후술할 제 1 골재 저장반(141)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 2 분류 드럼(132)은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분류 드럼(131)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분류 드럼(132)은 외주면에 다수의 제 2 분류 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분류 홀(132a)의 지름은 상기 자갈 입자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 2 분류 홀(132a)의 지름은 26mm~3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최적의 자갈 입자 크기가 25mm 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골재들 중, 자갈 크기가 25mm 이하인 상기 자갈들은 제 2 분류 홀(132a)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분류 드럼(132)은 제 2 분류 홀(132a)을 통해 입자 크기가 25mm 이하인 상기 자갈 입자를 후술할 제 2 골재 저장반(142)에 배출시킬 수 있다.
제 3 분류 드럼(133)은 일측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분류 드럼(132)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3 분류 드럼(133)은 외주면에 다수의 제 3 분류 홀(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분류 홀(133a)의 지름은 제 2 분류 홀(132a)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분류 홀(133a)의 지름은 31mm~3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골재들 중, 입자의 크기가 제 2 분류 홀(132a)의 지름보다 큰 자갈 입자를 분류하여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분류 드럼(133)은 제 2 분류 드럼(132)에서 분류하지 못한 상기 자갈들을 분류하여 후술할 분쇄기(150)로 배출시킨다.
한편,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은 내측면에 나사산의 형상을 이루는 나선형 가이드(13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들이 골재 분류기(130)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골재들은 나선형 가이드(130a)를 따라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제 3 분류 드럼(133) 순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의 일단에는 각각 면적부(132b, 1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면적부(132b, 133b)의 지름은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제 2 분류 드럼(132)이 제 1 분류 드럼(131)에 결합될 시, 면적부(132b)가 제 1 분류 드럼(131)의 일단에 장착되고, 제 3 분류 드럼(133)이 제 2 분류 드럼(132)에 결합될 시, 면적부(133b)가 제 2 분류 드럼(132)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및 각 면적부(133b, 133b)에는 체결공(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에 고정볼트(B)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은 서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분류기 지지대(134)는 제 1 분류 드럼(13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 1 분류 드럼(13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류기 지지대(134)는 제 1 분류 드럼(131)을 지지하는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류기 지지대(134)는 제 1 분류 드럼(131)의 회전을 돕기 위해 제 1 분류 드럼(131)이 안착되는 부분에 볼 베어링(134a)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분류기 구동부(135)는 제 3 분류 드럼(133) 측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기 구동부(135)는 후술할 시멘트 저장반(160) 상단에 설치되어 제 3 분류 드럼(133)의 측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류기 구동부(135)는 제 3 분류 드럼(133)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3 분류 드럼(133)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골재 저장반(140)은 골재 분류기(13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골재 분류기(130)에 의해 분류 및 배출된 상기 골재들이 종류별로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골재 저장반(140)은 제 1 골재 저장반(141) 및 제 2 골재 저장반(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골재 저장반(141)은 제 1 분류 드럼(131) 하측에 배치되어 제 1 분류 드럼(131)에 의해 배출된 상기 모래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골재 저장반(141)은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골재 저장반(142)은 제 2 분류 드럼(132) 하측에 배치되어 제 2 분류 드럼(132)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골재 저장반(142)은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쇄기(150)는 제 2 골재 저장반(142) 좌측에 배치되어 골재 분류기(130)를 거쳐 배출된 상기 골재들을 분쇄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분쇄기(1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쇄기(150)는 바디(151) 및 분쇄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151)는 제 3 골재 분류기(130)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3 골재 분류기(130)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재들, 즉, 크기가 25mm 이상인 자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바디(151)의 하부에는 가이드호스(15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호스(151a)는 제 2 골재 저장반(142)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디(151)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호스(151a)가 제 2 골재 저장반(142)과 연결됨으로써, 분쇄기(150)에 의해 분쇄된 상기 자갈들은 가이드호스(151a)를 따라 제 2 골재 저장반(142)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분쇄롤러(152)는 다수의 휠로 구성되며 바디(15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휠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휠은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골재 분류기(130)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들을 분쇄할 시, 휠(152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나머지 휠(152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는, 분쇄롤러(152)에 의해 분쇄된 상기 자갈들이 가이드호스(151a)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분쇄롤러(152)는 상기와 같이 상기 휠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갈들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이드호스(151a)로 진입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시멘트 저장반(160)은 분쇄기(15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저장반(160)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멘트가 저장되는 곳으로, 시멘트 저장반(160)의 상부에는 시멘트 공급장치 배치되어, 상기 시멘트 공급장치로부터 시멘트를 공급받을 수 있다.
계량반(170)은 골재 저장반(140) 및 시멘트 저장반(1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량반(170)은 골재 저장반(140) 및 시멘트 저장반(16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계량하여 후술할 혼합믹서(180)로 배출시킬 수 있다.
혼합믹서(180)는 계량반(170) 하부에 배치되며, 각 계량반(170)으로부터 계량되어 배출되는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시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배출호퍼(190)는 혼합믹서(180) 하측에 연결되어 혼합믹서(180)로부터 제조된 상기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배출하여 믹서 트럭(미표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0)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골재 하역소(110)에 배치된 상기 골재들이 이송 컨베이어(120)를 따라 골재 분류기(130)로 이송된다. 골재 분류기(130)에 이송된 상기 골재들 중, 입자의 크기가 가장 작은 모래가 제 1 분류 드럼(131)에 의해 제 1 골재 저장반(141)으로 배출된다. 이후, 제 1 골재 저장반(141)으로 배출된 상기 모래는 계량반(170)으로 이송되고, 계량반(170)에서 기설정된 비율에 알맞게 혼합믹서(180)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골재 저장반(141)에 의해 분류되지 않은 자갈들이 제 2 골재 저장반(142)으로 이동되고, 제 2 입자의 크기가 25mm 이하인 자갈들이 제 2 분류 드럼(132)에 의해 분류되어 제 2 골재 저장반(142)으로 배출된다. 이때, 크기가 25mm 이상의 자갈들은 제 3 분류 드럼(133)으로 전달되어 분쇄기(150)로 이송된다.
분쇄기(150)로 이송된 상기 자갈들은 분쇄기(150)에 의해 크기가 25mm 이하로 분쇄된다. 분쇄된 상기 자갈들은 가이드호스(151a)를 따라 제 2 골재 저장반(142) 내부로 이송된다. 이후, 제 2 분류 드럼(132)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들 및 가이드호스(151a)를 따라 제 2 골재 저장반(142) 내부로 이송된 상기 자갈들은 계량반(170)으로 이송되고, 계량반(170)에서 기설정된 비율에 알맞게 혼합믹서(180)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시멘트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시멘트는 시멘트 저장반(160)을 거쳐 계량반(170)으로 이송되고, 계량반(170)에서 기설정된 비율에 알맞게 혼합믹서(18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계량반(170)에 적용된'기설정된 비율'은 통상적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제조 비율을 의미하며 날씨나 재질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 가능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혼합믹서(180)로 배출된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는 혼합믹서(180) 내부에 구비된 스크류 블레이드(미표기)에 의해 혼합됨으로써 레디믹스트 콘크리트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배출호퍼(190)를 통해, 미리 대기하고 있는 상기 믹서 트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은 골재를 크기별로 분류시킬 수 있는 골재 분류기를 구비시킴으로써, 골재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를 추가적으로 설치없이 다양한 크기의 골재들을 한번에 이송 및 분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 시 적절한 크기의 자갈보다, 크기가 큰 자갈들을 분쇄하여 다시 저장반에 이송시키도록 함으로써 이송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110:골재 하역소
120: 이송 컨베이어 130: 골재 분류기
130a: 나선형 가이드 131: 제 1 분류 드럼
131a: 제 1 분류 홀 132: 제 2 분류 드럼
132a: 제 2 분류 홀 133: 제 3 분류 드럼
133a: 제 3 분류 홀 134: 분류기 지지대
134a: 볼 베어링 135: 분류기 구동부
140: 골재 저장반 141: 제 1 골재 저장반
142: 제 2 골재 저장반 150: 분쇄기
151: 바디(151) 151a:가이드호스
152: 분쇄롤러 160: 시멘트 저장반
170: 계량반 180: 혼합믹서
190: 배출호퍼

Claims (3)

  1. 모래 및 다양한 크기의 자갈로 이루어진 골재들이 하역되는 골재 하역소(110);
    상기 골재 하역소(110)에 하역된 상기 골재들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20);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배출시키는 골재 분류기(130);
    상기 골재 분류기(13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골재 분류기(130)에 의해 분류된 상기 골재들이 종류별로 저장되는 골재 저장반(140);
    상기 골재 저장반(140)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골재 분류기(130)를 거쳐 배출된 상기 골재를 분쇄하는 분쇄기(150);
    상기 분쇄기(150)의 좌측에 배치되며, 시멘트가 저장되는 시멘트 저장반(160);
    상기 골재 저장반(140) 및 상기 시멘트 저장반(16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골재 저장반(140) 및 상기 시멘트 저장반(160)에 저장된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계량하는 계량반(170);
    상기 계량반(170)으로부터 계량되어 배출되는 상기 모래, 자갈 및 시멘트를 혼합시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혼합믹서(180); 및
    상기 혼합믹서(180)로부터 제조된 상기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배출하여 믹서 트럭에 전달시키는 배출호퍼(190);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 분류기(130)는,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 입자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자갈 입자보다 작은 다수의 제 1 분류 홀(131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 중, 상기 모래를 배출시키는 제 1 분류 드럼(131)과,
    양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자갈 입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제 2 분류 홀(132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재 중, 상기 자갈을 배출시키는 제 2 분류 드럼(132) 및
    일측면이 개구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분류 드럼(132)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분류 홀(132a)보다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제 3 분류 홀(133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 중, 상기 제 2 분류 드럼(132)에서 분류되지 않은 상기 골재들을 상기 분쇄기(150)로 배출시키는 제 3 분류 드럼(133)과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을 지지하는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류기 지지대(134) 및
    상기 시멘트 저장반(16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분류 드럼(133)의 측면부와 연결되고,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의 설정이 가능하여 상기 제 3 분류 드럼(133)을 회전시키는 분류기 구동부(135)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의 일단에는, 지름이 각각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면적부(132b, 133b)가 형성되고,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및 면적부(132b, 133b)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 고정볼트(B)가 체결됨으로써 제 1 분류 드럼(131), 제 2 분류 드럼(132) 및 제 3 분류 드럼(133)이 서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하고,
    상기 골재 저장반(140)은,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에 의해 배출된 상기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1 분류 드럼(131)에 의해 배출된 상기 모래가 저장되는 제 1 골재 저장반(141) 및
    상기 제 2 골재 분류기(13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골재 분류기(130)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2 골재 분류기(130)에 의해 배출된 상기 자갈이 저장되는 제 2 골재 저장반(142)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150)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3 골재 분류기(130)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바디(151) 및
    상기 바디(151) 내부에 다수의 휠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3 골재 분류기(130)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재를 분쇄하는 한 쌍의 분쇄롤러(152)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51)는 하부에, 상기 분쇄롤러(152)에 의해 분쇄된 상기 골재를 상기 제 2 골재 저장반(142)으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호스(151a)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골재 저장반과 연결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는 양단에, 상기 골재 이송시 상기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및 3 분류 드럼(131, 132, 133)은, 각각 내측면에 나사산의 형상을 이루는 나선형 가이드(130a)가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0).
  3.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의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90051397A 2019-05-02 2019-05-02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2022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97A KR102022653B1 (ko) 2019-05-02 2019-05-02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97A KR102022653B1 (ko) 2019-05-02 2019-05-02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441A Division KR102022643B1 (ko) 2019-01-21 2019-01-2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653B1 true KR102022653B1 (ko) 2019-09-20

Family

ID=6806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97A KR102022653B1 (ko) 2019-05-02 2019-05-02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6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49B1 (ko) * 2020-02-21 2020-05-28 양봉석 레미콘 제조설비
CN111716542A (zh) * 2020-06-19 2020-09-29 周南发 一种混凝土生产用粉料添加装置
CN112008881A (zh) * 2020-09-08 2020-12-01 胡晓雯 一种分区预处理砂浆螺旋搅拌装置
CN112123576A (zh) * 2020-09-04 2020-12-25 安徽昆蒙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空心砖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113878711A (zh) * 2021-08-23 2022-01-04 莱芜鲁碧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生产用混料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631Y1 (ko) * 2002-06-18 2002-09-16 인성산업 주식회사 원통형 스크린 망이 구비된 골재선별기
KR20050026123A (ko) * 2003-09-09 2005-03-15 삼서공업 주식회사 상온아스콘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59483B1 (ko) * 2005-06-27 2006-03-10 경동환경(주)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863339B1 (ko) 2007-05-21 2008-10-15 호산엔지니어링(주) 기존 배처플랜트의 구조변경을 통한 증설방법 및 그것에의한 레미콘 제조장치
KR101142349B1 (ko) * 2012-01-30 2012-05-18 호산엔지니어링(주)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631Y1 (ko) * 2002-06-18 2002-09-16 인성산업 주식회사 원통형 스크린 망이 구비된 골재선별기
KR20050026123A (ko) * 2003-09-09 2005-03-15 삼서공업 주식회사 상온아스콘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59483B1 (ko) * 2005-06-27 2006-03-10 경동환경(주)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863339B1 (ko) 2007-05-21 2008-10-15 호산엔지니어링(주) 기존 배처플랜트의 구조변경을 통한 증설방법 및 그것에의한 레미콘 제조장치
KR101142349B1 (ko) * 2012-01-30 2012-05-18 호산엔지니어링(주)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49B1 (ko) * 2020-02-21 2020-05-28 양봉석 레미콘 제조설비
CN111716542A (zh) * 2020-06-19 2020-09-29 周南发 一种混凝土生产用粉料添加装置
CN112123576A (zh) * 2020-09-04 2020-12-25 安徽昆蒙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空心砖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112008881A (zh) * 2020-09-08 2020-12-01 胡晓雯 一种分区预处理砂浆螺旋搅拌装置
CN113878711A (zh) * 2021-08-23 2022-01-04 莱芜鲁碧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生产用混料设备及其使用方法
CN113878711B (zh) * 2021-08-23 2024-01-16 莱芜鲁碧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生产用混料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653B1 (ko)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US10286573B2 (en) Mixing plant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s
US11141882B2 (en) Concrete batching plant having reduced cycle time and reduced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time
KR101224550B1 (ko)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EP3303706B1 (en) Highly portable asphalt plant
US3905586A (en) Mini-plant for batching and mixing materials
KR102022643B1 (ko)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0861394B1 (ko) 순환골재의 입도 선별 및 혼합장치
CN107503268B (zh) 沥青制造设备
US3617031A (en) Concrete batchor plant and double-end loading transit mixer
CN203004079U (zh) 一种配置振动搅拌主机的混凝土搅拌站
KR100776358B1 (ko) 분리수단이 구비된 폐아스콘 또는 폐콘크리트 재생 플랜트
CN103101116A (zh) 一种配置振动搅拌主机的混凝土搅拌站
US5433521A (en) Batcher plant for producing ready-mixed concrete
JP2003305714A (ja) 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CN209812787U (zh) 一种混凝土生产系统
US1304619A (en) Method fob conveying concrete aggregate
JP2001232167A (ja) 粉粒体の攪拌混合装置
RU14767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тонкодисперсных и фракционирова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20040059628A (ko)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시스템
KR200201858Y1 (ko) 단독/누적계량장치가 부설된 배치 플랜트의 구조
JP7045075B2 (ja) 生コンクリート製造施設
CN217810331U (zh) 沥青混凝土搅拌站
RU203332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яжущего низкой водопотребности
JP2546738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