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249B1 -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249B1
KR102022249B1 KR1020170153884A KR20170153884A KR102022249B1 KR 102022249 B1 KR102022249 B1 KR 102022249B1 KR 1020170153884 A KR1020170153884 A KR 1020170153884A KR 20170153884 A KR20170153884 A KR 20170153884A KR 102022249 B1 KR102022249 B1 KR 10202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infected
oak
infection
ind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682A (ko
Inventor
서상태
이선근
이상현
이동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5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2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7/00Arrangements for splitt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릉긴나무좀에 의해서 감염된 감염목의 감염부위가 외부노출되어 건조되도록 감염목을 길이방향으로 쪼개어 분할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회전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조립되는 복수개의 블럭체를 갖추고, 상기 블럭체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호단면상의 지지판을 갖추어 상기 감염목이 올려 위치고정되면서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앵커고정부 ; 상기 앵커고정부에 올려진 감염목에 뾰쪽한 선단 일부가 압입되고, 원추단면상의 몸체 외부면에 나선부를 형성한 압입체를 갖추고, 상기 압입체의 상단에 제1손잡이를 갖추어 상기 감염목의 내부로 자중방향으로 파고들어가는 압입체에 의해서 상기 감염목을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시키도록 상기 압입체를 회전하강시키는 회전작동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Device for Processing the Oak Wilt Disease Infected Tree}
본 발명은 참나무 시들음병에 감염된 참나무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원인이 되는 광릉긴나무좀이 서식하는 감염부위를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노출되는 감염부위의 수분을 제거하여 광릉긴나무좀을 고사시킬 수 있도록 고소의 산림지역에서 작업자가 감염목을 길이방향으로 간편하게 쪼개어 분할시킬 수 있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나무류(Quercussp)는 소나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종으로 질 좋은 목재로 고가에 거래되어 사용되고, 국내의 경우 최근 표고버섯이나 영지버섯 등 각종 버섯의 재배용으로 그 가치가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소나무를 능가하고 있다.
또한, 참나무류의 추출성분인 폴리페놀(polyphenol)의 탄닌(tannin)은 양주의 숙성과정에서 색과 맛을 바꾸는 신비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참나무류에서 나오는 숯과 목초액은 바비큐용, 무공해 비료, 농약과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등 그 활용 범위가 넓다.
참나무에 발생되는 참나무시들음병은 주로 참나무류의 줄기에 라펠리아속 곰팡이(일명 라펠리아균)가 감염되어 참나무류의 줄기 속에 증식되면 줄기속 내부의 수분을 이동시키는 관을 막아 참나무 전체로의 수분 이동을 차단시킴으로서 수분 고갈에 의해 참나무를 고사시켜 죽게 하는 참나무류의 문제 병해이다.
이는 라펠리아균(Raffaelea sp.)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성충이 5월 초순부터 나타나 나무줄기의 하단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서 터널을 형성하고 암컷이 나무 내 터널 속에 산란하면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유충)는 나무 속에 배양된 라펠리아균을 먹고 자라며, 먹이가 되는 라펠리아균은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의 등판에 있는 균낭에 존재하며 참나무에 침입할 때 참나무시들음병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참나무시들음병에 감염된 참나무는 7월 말경부터 빠르게 시들어 말라 죽게 되는데, 흔히 감염 여부는 감염목 줄기에 매개충이 침입한 구멍(대략 직경 1㎜ 정도) 또는 구멍 주변과 뿌리 부근 땅 위에 목분 배출물의 유무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참나무시들음병은 2004년 8월에 경기도 성남시를 비롯하여 경기지역에서 처음 보고된 이래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허문헌 1) KR10-0993633 B1
(특허문헌 2) KR10-2017-0009461 A
특허문헌 1에는 참나무류 줄기(樹幹)에 도막층과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점착층을 형성시켜서 도막층에 의해 방제 전 참나무류 줄기 내에서 성장한 광릉긴나무좀 성충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으로 인한 주변 참나무류의 추가 감염을 억제하고 새로운 광릉긴나무좀 성충의 나무 줄기 내 침입을 방지하며, 점착층에 의해 광릉긴나무좀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못하고 포획 및/또는 방제되도록 하여 참나무류의 참나무시들음병을 예방 및 방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주로 재선충에 감염되어 벌채한 소나무를 훈증처리함과 동시에 재활용을 위하여 가공 공장 등으로 운반하기 위한 감염목 훈증 처리 및 운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참나무시들음병에 심하게 감염되어 회복할 수 없는 감염피해목(이하 감염목이라함.)을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감염목을 전기톱과 같은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1차 벌목하고, 취급이 간편한 절단목으로 2차 절단한 다음, 소각처리하거나 절단목을 야적한 상태에서 농약을 투여하여 광릉긴나무좀을 살충하거나 절단목을 야적한 상태에서 비닐로 덮어 훈증 처리하는 방법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감염목을 절단하여 소각처리하는 경우 소각장까지 운반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각비용과 더불어 운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농약을 살포하는 방법은 주변 산림자원이나 동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고 친환경이지 않으며, 훈증 처리 방법은 많은 시간, 노동력 및 비용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원인이 되는 광릉긴나무좀이 서식하는 감염부위를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노출되는 감염부위의 수분을 제거하여 광릉긴나무좀을 고사시킬 수 있도록 고소의 산림지역에서 작업자가 감염목을 길이방향으로 간편하게 쪼개어 분할시킬 수 있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광릉긴나무좀에 의해서 감염된 감염목의 감염부위가 외부노출되어 건조되도록 감염목을 길이방향으로 쪼개어 분할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회전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조립되는 복수개의 블럭체를 갖추고, 상기 블럭체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호단면상의 지지판을 갖추어 상기 감염목이 올려 위치고정되면서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앵커고정부 ; 상기 앵커고정부에 올려진 감염목에 뾰쪽한 선단 일부가 압입되고, 원추단면상의 몸체 외부면에 나선부를 형성한 압입체를 갖추고, 상기 압입체의 상단에 제1손잡이를 갖추어 상기 감염목의 내부로 자중방향으로 파고들어가는 압입체에 의해서 상기 감염목을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시키도록 상기 압입체를 회전하강시키는 회전작동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축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럭체의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적으로 조립되도록 회전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이 구비되지 않은 더미 블럭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럭체는 상부면에 상기 감염목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선단이 뾰쪽한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하부면에 바닥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뾰쪽한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입체 전체가 감염목에 완전히 회전삽입된 상태에서 감염목을 분할하도록 벌리는 외력을 제공하는 벌림작동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벌림작동부는 상기 압입체의 제1,2연결부와 제1,2회전핀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단에 제1,2회전공을 관통형성한 제1,2벌림부재 및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바 및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압입체와 마주하는 제1,2벌림부재의 각 하단은 반원단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벌림부재의 각 반원단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연장바는 상기 제1,2벌림부재에 형성된 제1,2연결공에 대응삽입되거나 상기 제1,2연결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서로 마주하는 제1,2벌림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결합턱을 돌출형성하고 나머지 벌림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함몰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 들어 올려진 압입체를 자체 무게에 기인하는 자중에 의해서 감염목의 외부면에 압입체의 선단을 1차 압입한 다음, 1차 압입된 후 회전하강되는 압입체에 의해서 감염목을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함으로써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원인이 되는 광릉긴나무좀이 서식하는 감염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태양광에 의해서 외부노출되는 감염목의 분할면을 건조시켜 감염부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광릉긴나무좀을 고사시킬 수 있다.
2) 압입체의 대부분이 감염목에 압입된 상태에서 압입체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2벌림부재를 회전하강되는 압입체와 더불어 감염목 내부로 진입시키고, 제1,2벌림부재의 벌림작동에 의해서 압입체의 길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감염목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할 수 있다.
3) 고정축에 복수개의 블럭체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블럭체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고정축에 모아지도록 접이하여 보관하거나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목 처리 작업을 위한 고소이동시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의 앵커고정부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의 앵커고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의 회전작동부와 벌림작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의 회전작동부와 벌림작동부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의 벌림작동부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에서 벌림도구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릉긴나무좀에 의해서 감염된 감염목의 감염부위가 외부노출되어 태양광에 의해서 자연건조되어 살충하도록 상기 감염목을 길이방향으로 쪼개어 분할처리할 수 있도록 앵커고정부(110)와 회전작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고정부(110)는 처리대상물인 감염목이 개별적으로 올려져 위치고정되면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앵커고정부는 고정축(111), 블럭체(112) 및 지지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11)은 몸체 중앙에 회전공(112a)을 관통형성한 블럭체(112)가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축(111)의 양단에는 상기 회전공을 통하여 연속하여 삽입되어 조립되는 블럭체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11a)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1a)는 상기 고정축(111)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럭체(112)는 상기 고정축(111)에 회전공(112a)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이며, 이러한 블럭체(112)의 일측면에 상기 지지판(113)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축(111)에는 상기 지지판(113)이 구비된 복수개의 블럭체(112)의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적으로 조립되도록 회전공(114a)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13)이 구비되지 않은 더미 블럭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블럭체(114)가 상기 지지판(113)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블럭체들사이에 추가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처리대상물인 감염목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고정축(111)에 연속하여 조립되는 블럭체의 전체적인 조립길이를 간편하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13)은 대략 원통형의 감염목을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체(114)의 일측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원호단면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13)은 상기 블럭체(112)의 일측 외부면에 일단이 일체로 구비되는 단일한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블럭체(112)의 양측 외부면에 각각 일단이 일체로 구비되고, 한쌍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체(112)의 상부면에는 처리대상물인 상기 감염목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선단이 뾰쪽한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핀(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13)의 하부면에는 바닥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뾰쪽한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13)은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블럭체에 의해서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중앙부에 모아짐으로써 앵커고정부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시 취급이 간편하여 감염목이 발생하게 되는 산행이동시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작동부(120)는 상기 앵커고정부(110)에 올려진 감염목의 외부면에 뾰쪽한 선단 일부가 압입되고, 원추단면상의 몸체 외부면에 나선부(122a)를 형성한 압입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입체(122)의 선단에는 절두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입체의 절두면에 형성된 조립공에 대응결합되도록 조립바(121a)를 갖는 원추팁(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추팁(121)의 조립바(121a)는 상기 압입체의 조립공에 나사결합방식이나 끼움방식으로 조립되어 결합됨으로써 감염목에 상기 압입체의 자중에 의해서 강제 압입되는 원추팁의 마모시 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입체(122)의 상단에는 작업자의 파지 및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제1손잡이(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123)는 상기 압입체의 상단 외부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고정부에 감염목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1손잡이를 파지한 압입체를 감염목의 직상부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린후 놓게 되면, 상기 압입체의 무게에 의해서 자중방향인 직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압입체의 선단이 원추팁(121)이 상기 감염목의 외부면에 1차로 압입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압입체의 선단 일부인 원추팁(121)이 감염목의 외부면에 1차로 압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1손잡이를 상기 압입체에 형성된 나선부의 잠김방향과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압입체(122)가 회전하강되면서 자중방향으로 감염목의 내부로 서서히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앵커고정부에 올려진 감염목의 외부면에 감염목의 길이방향으로 크랙선을 형성하면서 감염목을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감염목의 2등분 분할에 의해서 내부면이 외부노출되면, 노출면이 태양광에 의해서 건조되면서 수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참나무 시들음병을 유발시키는 광릉긴나무좀을 약제로 훈증하여 살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고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추팁을 포함하는 압입체(122)가 낙하되어 상기 감염목의 외부면에 압입되는 압입깊이는 상기 압입체의 무게와 비례함에 따라 상기 압입체는 충분한 중량을 갖도록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할하고자 하는 감염목의 직경이 상기 압입체의 전체길이보다 2배이상 큰 경우, 상기 압입체가 감염목에 완전히 회전삽입된 상태에서 감염목을 분할하도록 벌리는 외력을 제공하는 벌림작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벌림작동부(130)는 상기 압입체(122)의 상단 수평면에 구비된 제1,2연결부(124a,124b)와 제1,2회전핀(131b,132b)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단에 제1,2회전공(131a,132a)을 관통형성한 제1,2벌림부재(131,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벌림부재(131,13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전체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제1,2연장바(135,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벌림부재(131,132)의 각 상단 외부면에는 상기 압입체와 더불어 상기 제1,2벌림부재의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제2손잡이(137,13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회전핀과 조립되는 제1,2회전공(131a,132a)을 형성하여 상기 압입체와 마주하는 제1,2벌림부재(131,132)의 각 하단은 대락 반원단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벌림부재의 각 반원단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제1,2기어(133a,133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2회전핀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양측으로 벌어지는 제1,2벌림부재의 벌림작동을 상기 제1,2기어간의 기어물림에 의해서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제1,2벌림부재의 벌림량을 안정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상기 제1,2벌림부재의 벌림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2연장바(135,136)는 상기 제1,2벌림부재(131,132)의 상단에 일정깊이 형성된 제1,2연결공(135a,136a)에 대응삽입되어 수용되거나 상기 제1,2연결공(135a,135a)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하단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제1,2연결공에 각각 보관되거나 결합되어 감염목의 분할작업시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전체길이를 외부로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손잡이(137,138)는 제1손잡이(12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상단 외부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일단이 나사방식이나 끼움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제1,2벌림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결합턱(134a)을 돌출형성하고 나머지 벌림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턱(134a)과 대응결합되도록 결합홈(134b)을 함몰형성함으로써 상기 감염목에 압입체 전체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손잡이(137,138)에 의한 회전조작시 서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제1,2벌림부재의 틀어짐을 방지하는 반면에 제1,2벌림부재의 벌림작동을 위한 선회작동을 허락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하고자 하는 감염목의 직경이 상기 압입체의 전체길이보다 2배 이상 커서 상기 압입체의 몸체 대부분이 감염목에 압입된 상태에서도 감염목이 이등분으로 쪼개지지 않으면, 상기 압입체의 상단인 원통형 외부면에 조립된 제1손잡이(123)를 분해하여 분리한 다음, 상기 압입체(122)와 조립된 제1,2벌림부재(131,132)의 각 상단외부면에 제2손잡이(137,138)를 각각 조립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 상기 제2손잡이를 상기 압입체에 형성된 나선부(122a)의 잠김방향과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압입체(122)는 제1,2벌림부재와 더불어 회전하강되면서 자중방향으로 감염목의 내부로 서서히 파고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입체(122)의 상단과 제1,2회전핀을 매개로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제1,2벌림부재(131,132)의 일부가 상기 압입체와 더불어 감염목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제1,2연결공에 수용되어 있던 제1,2연장바를 외측으로 인출하거나 제1,2연결공에 결합되는 제1,2연장바(135,136)를 이용하여 제1,2벌림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인 도면상 좌우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외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감염목 내부로 압입체와 더불어 진입된 제1,2벌림부재(131,132)가 상기 제1,2회전핀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앵커고정부에 올려진 감염목의 외부면에 감염목의 길이방향으로 크랙선을 형성하면서 감염목을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벌림부재(131,132)의 하단에 형성된 제1,2기어(133a,133b)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1,2벌림부재는 양측으로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되며, 제1,2벌림부재 중 어느 하나의 벌림부재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여도 상기 제1,2벌림부재는 동시에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감염목의 2등분 분할에 의해서 내부면이 외부노출되면, 노출면이 태양광에 의해서 건조되면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참나무 시들음병을 유발시키는 광릉긴나무좀을 약제로 훈증하여 살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고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입체를 이용하여 감염목을 2등분으로 분할하는 작업시 상기 압입체에 의해서 벌어지는 감염목의 틈새를 더욱 벌릴 수 있도록 벌림도구(1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벌림도구(140)는 힌지핀(143)을 매개로 하여 선단이 벌림 및 오므림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X자형으로 교차되는 제1,2작동바(141,1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작동바(141,142)의 각 선단 외부면에는 감염목과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톱니부(141a,142a)를 각각 돌출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2작동바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중심으로부터 손잡이가 구비되는 후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회동중심으로부터 톱니부가 형성되는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서 상기 감염목의 틈새를 벌리는 외력을 크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압입체에 의해서 벌어진 감염목의 틈새로 오므려진 상기 제1,2작동바의 선단을 진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2작동바를 좌우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감염목의 틈새에서 외력을 전달하여 감염목을 2등분으로 분할하는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앵커고정부
111 : 고정축
112 : 블럭체
113 : 지지판
115 : 제1고정핀
116 : 제2고정핀
120 : 회전작동부
121 : 원추팁
122 : 압입체
123 : 제1손잡이
130 : 벌림작동부
131,132 : 제1,2벌림부재
133a,133b : 제1,2기어
134a : 결합턱
134b : 결합홈
135,136 : 제1,2연장바
137,138 : 제2손잡이
140 : 벌림도구

Claims (8)

  1. 광릉긴나무좀에 의해서 감염된 감염목의 감염부위가 외부노출되어 건조되도록 감염목을 길이방향으로 쪼개어 분할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회전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조립되는 복수개의 블럭체를 갖추고, 상기 블럭체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호단면상의 지지판을 갖추어 상기 감염목이 올려 위치고정되면서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앵커고정부 ;
    상기 앵커고정부에 올려진 감염목에 뾰쪽한 선단 일부가 압입되고, 원추단면상의 몸체 외부면에 나선부를 형성한 압입체를 갖추고, 상기 압입체의 상단에 제1손잡이를 갖추어 상기 감염목의 내부로 자중방향으로 파고들어가는 압입체에 의해서 상기 감염목을 2등분으로 쪼개어 분할시키도록 상기 압입체를 회전하강시키는 회전작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럭체의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적으로 조립되어 감염목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고정축에 연속하여 조립되는 블럭체의 전체적인 조립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륵 회전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이 구비되지 않은 더미 블럭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는 상기 블럭체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압입체 전체가 감염목에 완전히 회전삽입된 상태에서 감염목을 분할하도록 벌리는 외력을 제공하는 벌림작동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벌림작동부는 상기 압입체의 제1,2연결부와 제1,2회전핀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단에 제1,2회전공을 관통형성한 제1,2벌림부재 및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바 및 상기 제1,2벌림부재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는 상부면에 상기 감염목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선단이 뾰쪽한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하부면에 바닥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선단이 뾰쪽한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체와 마주하는 제1,2벌림부재의 각 하단은 반원단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벌림부재의 각 반원단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장바는 상기 제1,2벌림부재에 형성된 제1,2연결공에 대응삽입되거나 상기 제1,2연결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제1,2벌림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결합턱을 돌출형성하고 나머지 벌림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함몰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KR1020170153884A 2017-11-17 2017-11-17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KR10202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84A KR102022249B1 (ko) 2017-11-17 2017-11-17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84A KR102022249B1 (ko) 2017-11-17 2017-11-17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82A KR20190056682A (ko) 2019-05-27
KR102022249B1 true KR102022249B1 (ko) 2019-09-18

Family

ID=6667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884A KR102022249B1 (ko) 2017-11-17 2017-11-17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2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6942A1 (en) * 2009-12-01 2011-06-02 Larson Marcus R Manually Operable Log Split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02U (ja) * 1983-07-18 1985-02-08 王子製袋株式会社 ストレツチ包装機
US7669618B1 (en) * 2006-05-05 2010-03-02 Glen Halverson Wood processor attachment for skid steer loader
KR101635353B1 (ko) * 2014-09-29 2016-07-01 장기연 튜브 절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6942A1 (en) * 2009-12-01 2011-06-02 Larson Marcus R Manually Operable Log Spl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82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4020447B4 (de) Selbstfahrende Erntemaschine
US20050166450A1 (en) Injection needle for injecting woody plants
EP0111254A1 (de) Vorrichtung zum Injizieren von Pflanzenbehandlungsmitteln in Bäume
KR102022249B1 (ko) 참나무 시들음병 감염목 처리장치
CN105961023A (zh) 一种在松树伐桩上种植茯苓菌种的生物灭迹方法
Darrieutort et al. Evaluation of a trunk injection technique to control grapevine wood diseases
CN105638332B (zh) 一种青榄病虫害高效防治方法
DE69814915T2 (de) Baumernter und seine baumzuführvorrichtung
DE196597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antibiotischer Substanzen oder anderer wertvoller Stoffwechselprodukte
US20040025420A1 (en) Injection needle for injecting woody plants
WO2020120561A1 (de) Wirk- und /oder farbstoffeinbringung in pflanzengewebe
CN109090075B (zh) 一种防治桃红颈天牛的多功能捕杀工具的使用方法
Sreedevi et al. Economically Important Wood Feeding Insects: Their Diversity, Damage and Diagnostics
Weiss The insect enemies of polyporoid fungi
KR101641924B1 (ko)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Pawsey et al. Field trials with Armillatox against Armillariella mellea
Willoughby et al. Exploring the use of Ecoplugs for woody weed control
Toriti et al. Atlas of the most common xylophagous insects
US3137968A (en) Herbicide-coated nail for killing trees
CN108029381A (zh) 一种蛀干天牛危害救治方法
CH705009B1 (de) Klebefalle für Insekten.
JP2009268453A (ja) ヒガンバナ科球根圧搾液を使用した松食い虫松枯れ防止液
CN104255665B (zh) 肿瘤患者食用钻心虫培育技术
Fateh et al. Internal Spread of Fungi Inoculated into Mango Logs
DE222479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Hol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