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04B1 -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04B1
KR102022004B1 KR1020180084671A KR20180084671A KR102022004B1 KR 102022004 B1 KR102022004 B1 KR 102022004B1 KR 1020180084671 A KR1020180084671 A KR 1020180084671A KR 20180084671 A KR20180084671 A KR 20180084671A KR 102022004 B1 KR102022004 B1 KR 10202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watertight
stator housing
brushless motor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진
이승철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는, 고정자 하우징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설치된 제어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 하우징에 고정된 자계부; 및 상기 자계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브러리시스 모터 장치로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상면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수밀공이 구비되며, 상기 수밀공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밀공을 둑 형태로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봉부재 조립부; 및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에 억지끼워진 형태로 조립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부재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터미널 조립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Brushless motor apparatus provided with improved water sealing structure for control portion}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자를 구성하는 자계부와 제어부 간 수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모터는 가정용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모터는 크게 직류 모터(DC motor)와 교류 모터(AC motor)로 구분한다. 직류 모터는 브러시(brush)에 의해 정류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형태와, 브러시를 사용하지 않는 브러시리스 형태의 모터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브러시리스 모터가 자동차의 팬 모터에도 적용되고 있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브러시가 있는 구조의 모터에 비하여 출력이 큰 장점이 있어서 대용량 팬이 적용되는 최근의 차량의 냉각용 모터로 사용되는 경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브러시리스 모터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66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브러시리스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한다.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자는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브러시리스 모터의 고정자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와 권선 코일을 포함하는 자계부와 상기 권선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된다. 제어부에는 미세한 직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수분 등이 유입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된다. 따라서 브러시리스 모터는 자계부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터미널을 통해 수분이 제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부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은 자계부와 독립적으로 제조되는 고정자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자 하우징은 커버에 의해 외부에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그런데 자계부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이 고정자 하우징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다. 종래의 브러시리스 모터는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작업공(working hole)이 구비된다. 상기 작업공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정 플레이트가 조립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 관통공이 복수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터미널 관통공은 2~3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작업공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 간 틈새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액상의 실리콘 수지가 도포된다. 그리고 실리콘 수지가 응고된 후에 자계부와 제어부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기적으로는 자계부의 권선 코일 단부에 연결된 터미널이 터미널 관통공을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자계부는 볼트와 너트 조립 구조로 상기 고정자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 구조는 제어부의 수밀을 위해 액상의 실리콘 수지가 고정 플레이트에 도포되는데 액상의 실리콘 수지는 인체에 유해하므로 작업 환경이 열악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상의 실리콘 수지가 응고된 후에 후속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조립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상의 실리콘 수지는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 노출될 경우 고정 플레이트와의 접착력이 약해져 수밀 기능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자 하우징의 작업공의 구조 및 그 작업공에 조립되는 밀봉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액상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밀구조를 개발하여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수밀구조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조립시간이 단축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는, 고정자 하우징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설치된 제어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 하우징에 고정된 자계부; 및
상기 자계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브러리시스 모터 장치로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상면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수밀공이 구비되며,
상기 수밀공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밀공을 둑 형태로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봉부재 조립부; 및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에 억지끼워진 형태로 조립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부재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터미널 조립공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1밀봉립;
상기 밀봉부재의 조립부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2밀봉립;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의 바닥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3밀봉립; 및
상기 수밀공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4밀봉립;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터미널 조립공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재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밀봉부재에 인서트 사출 구조로 결합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하드 커버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커버는 상기 자계부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이 기계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자계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밀봉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터미널 조립공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압 지지부를 구비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재는 오조립 방지를 위해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공의 내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는, 고정자 하우징에 형성된 수밀공 및 상기 수밀공을 둘러싸도록 둑(bank) 형태로 배치된 밀봉부재 조립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재의 제1밀봉립, 제2밀봉립, 제3밀봉립 및 제4밀봉립이 억지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밀봉부재와 고정자 하우징 간 다차원적 수밀 기능이 구현되며, 상기 밀봉부재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터미널 조립공이 탄성 변형되면서 터미널이 조립되므로 자계부와 제어부간 수밀 기능이 완벽히 구현되며, 액상의 실리콘 수지를 도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환경이 깨끗해지며, 작업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밀봉부재와 밀봉부재 조립부 간 수밀 기능이 외부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서도 훼손되지 않고 잘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고정자 하우징의 밀봉부재 조립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밀봉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 4에 도시된 밀봉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 Ⅵ 선 단면도로서 밀봉부재가 고정자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Ⅶ - Ⅶ 선 단면도로서 자계부와 제어부가 기계적으로 고정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고정자 하우징의 밀봉부재 조립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밀봉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 4에 도시된 밀봉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 Ⅵ 선 단면도로서 밀봉부재가 고정자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Ⅶ - Ⅶ 선 단면도로서 자계부와 제어부가 기계적으로 고정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스 모터 장치(10, 이하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라 함)는 고정자(20)와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자는 다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종래의 회전자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자(20)는 제어부(40)와 자계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고정자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은 알루미늄 합금을 다이캐스팅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은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조물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은 고정자 커버(50)에 의해 개방된 면이 폐쇄 및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자계부(70)는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계부(70)는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계부(70)는 코어(71)와 그 코어(71)에 권선된 코일(미도시) 및 절연 부재(72)를 포함한다. 상기 자계부(70)는 볼트(90)와 같은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계부(70)를 구성하는 코일의 일단부에는 터미널(80)이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80)은 상기 자계부(70)와 상기 제어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에는 복수의 수밀공(32)이 구비된다. 상기 수밀공(32)은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상면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수밀공(32)을 통해 상기 터미널(80)이 자계부(70)와 제어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밀공(32)은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수밀공(32)은 모터의 구조에 따라 2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밀공(32)의 내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공(32)의 내측면이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경우 후술하는 제4밀봉립(64)이 조립될 때 하측으로 갈수록 탄성 변형이 많이 일어나서 밀봉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수밀공(32) 주변에는 밀봉부재 조립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는 상기 수밀공(32)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는 상기 수밀공(32)을 둑 형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는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둑(bank) 또는 성벽(castle wall)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상면은 평면을 구성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예컨대 실리콘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에 억지 끼워진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밀봉부재(60)의 중앙부에는 터미널 조립공(65)이 배치된다.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은 상기 밀봉부재(6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즉,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은 상기 밀봉부재(6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은 상기 터미널(80)의 단면 모양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진다.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의 상단 입구측 단면의 크기는 상기 터미널(8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의 하단 출구측 단면의 크기는 상기 터미널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미널(80)은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을 통과하면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의 내측벽에 의해 가압되므로 수밀 기능이 향상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제1밀봉립(61)과, 제2밀봉립(62)과, 제3밀봉립(63)과, 제4밀봉립(6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밀봉립(61)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는 링 형태의 돌기 구조물이다. 상기 제1밀봉립(61)은 상기 자계부(7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압 밀봉된다.
상기 제2밀봉립(62)은 상기 밀봉부재(6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밀봉립(62)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립(62)은 간격을 두고 상기 밀봉부재(6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제2밀봉립(62)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상면에 평행인 방향으로 가압 밀봉된다. 상기 제2밀봉립(62)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된다.
상기 제3밀봉립(63)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바닥면에 가압 밀착 된다. 즉, 상기 제3밀봉립(63)의 가압 방향은 상기 제1밀봉립(61)과 동일하다. 상기 제3밀봉립(63)은 상기 제1밀봉립(61) 및 상기 제2밀봉립(62)에 의해 수밀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수밀을 위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4밀봉립(64)은 상기 수밀공(32)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 된다. 상기 제4밀봉립(64)은 상기 제2밀봉립(62)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 된다. 상기 제4밀봉립(64)은 상기 제1밀봉립(61), 상기 제2밀봉립(62), 상기 제3밀봉립(63)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에 최후의 밀봉 기능을 담당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수밀공(32)의 내측면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경우 상기 제4밀봉립(64)은 하측으로 갈수록 밀착력이 커져서 수밀 기능을 형상시킨다.
상기 밀봉부재(6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밀봉부재(60)에 인서트 사출 구조로 결합 되는 하드 커버(6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커버(66)는 상기 밀봉부재(60)와 달리 외력에 의해 쉽게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딱딱한 소재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상기 하드 커버(66)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A), 아크릴로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커버(66)는 상기 제1밀봉립(6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자계부(70)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조립 작업이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드 커버(66)는 가압 지지부(68)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 지지부(68)는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한 쌍이 배치된다. 상기 가압 지지부(68)는 상기 하드 커버(66)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을 향해 연장된 평면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가압 지지부(68)는 상기 자계부(70)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이 기계적으로 결합 될 때 상기 자계부(7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터미널(80)을 통해 상기 밀봉부재(6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오조립 방지를 위해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60)는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을 기준으로 180°대칭 구조를 이루므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조립하더라도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10)의 자계부(70)와 제어부(40)를 조립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본원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정자 하우징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형태의 제어부(40)를 설치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스크루와 같은 수단으로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의 개방된 면에 고정자 커버(50)를 결합함으로써 제어부(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제 상기 밀봉부재(60)를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3개가 동일한 형태로 준비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상기 제2밀봉립(62)이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내측벽을 따라 억지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상기 제2밀봉립(62)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조립된다. 상기 제1밀봉립(61)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상면에 안착 된다. 또한, 상기 제2밀봉립(62)은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바닥면에 안착 된다. 그리고 상기 제4밀봉립(64)은 상기 수밀공(32)에 억지 끼워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3개의 밀봉부재(60)를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에 조립한다.
이제 터미널(80)이 자계부(7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자계부(70)을 상측에서 하방으로 조립한다. 상기 터미널(80)은 상기 밀봉부재(60)에 형성된 터미널 조립공(65)에 자연스럽게 진입한다. 상기 자계부(7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터미널(80)는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터미널 조립공(65)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자계부(70)가 고정자 하우징(30)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때 자계부(70)의 압력이 터미널(80)을 통해 상기 하드 커버(66)에 구비된 가압 지지부(68)를 가압한다. 볼트(90)에 의해 상기 자계부(70)가 상기 고정자 하우징(30)에 기계적으로 결합 됨에 따라 상기 터미널(80)은 상기 가압 지지부(68)를 통해 상기 밀봉부재(6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밀봉립(61)이 최대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하드 커버(66)는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34)의 상단에 "딱" 소리를 내며 접촉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해 3개의 볼트가 조립됨으로써 자계부(70)와 제어부(40)의 전기적 및 기계적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에 회전자의 조립은 종래의 공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는, 고정자 하우징에 형성된 수밀공 및 상기 수밀공을 둘러싸도록 둑(bank) 형태로 배치된 밀봉부재 조립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재의 제1밀봉립, 제2밀봉립, 제3밀봉립 및 제4밀봉립이 억지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밀봉부재와 고정자 하우징 간 다차원적 수밀 기능이 구현되며, 상기 밀봉부재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터미널 조립공이 탄성 변형되면서 터미널이 조립되므로 자계부와 제어부간 수밀 기능이 완벽히 구현되며, 액상의 실리콘 수지를 도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환경이 깨끗해지며, 작업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밀봉부재와 밀봉부재 조립부 간 수밀 기능이 외부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서도 훼손되지 않고 잘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터미널 조립공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됨으로써 터미널과 밀봉부재 간 수밀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하드 커버가 밀봉부재에 인서트 사출구조로 결합된 경우 자계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밀봉부재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자계부와 고정자 하우징의 기계적 결합의 완료시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20 : 고정자
30 : 고정자 하우징
32 : 수밀공
34 : 밀봉부재 조립부
40 : 제어부
50 : 고정자 커버
60 : 밀봉부재
61 : 제1밀봉립
62 : 제2밀봉립
63 : 제3밀봉립
64 : 제4밀봉립
65 : 터미널 조립공
66 : 하드 커버
68 : 가압 지지부
70 : 자계부
80 : 터미널

Claims (6)

  1. 고정자 하우징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설치된 제어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 하우징에 고정된 자계부; 및
    상기 자계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브러리시스 모터 장치로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상면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수밀공이 구비되며,
    상기 수밀공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밀공을 둑 형태로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봉부재 조립부; 및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에 억지끼워진 형태로 조립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부재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터미널 조립공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1밀봉립;
    상기 밀봉부재의 조립부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2밀봉립;
    상기 밀봉부재 조립부의 바닥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3밀봉립; 및
    상기 수밀공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제4밀봉립;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조립공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밀봉부재에 인서트 사출 구조로 결합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하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커버는 상기 자계부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이 기계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자계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밀봉부재에 전달하도록 상기 터미널 조립공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압 지지부를 구비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오조립 방지를 위해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공의 내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KR1020180084671A 2018-07-20 2018-07-20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KR10202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71A KR102022004B1 (ko) 2018-07-20 2018-07-20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71A KR102022004B1 (ko) 2018-07-20 2018-07-20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04B1 true KR102022004B1 (ko) 2019-09-18

Family

ID=6807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71A KR102022004B1 (ko) 2018-07-20 2018-07-20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135A1 (ko) * 2019-10-31 2021-05-06 명화공업주식회사 워터펌프
KR20230140075A (ko) 2022-03-29 2023-10-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모듈화된 터미널 유닛이 구비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66A (ja) * 1995-11-17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ゴムリング
KR20140030599A (ko)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부품용 실링 구조
KR20160139290A (ko) * 2015-05-27 2016-12-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66A (ja) * 1995-11-17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ゴムリング
KR20140030599A (ko)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부품용 실링 구조
KR20160139290A (ko) * 2015-05-27 2016-12-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135A1 (ko) * 2019-10-31 2021-05-06 명화공업주식회사 워터펌프
KR20230140075A (ko) 2022-03-29 2023-10-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모듈화된 터미널 유닛이 구비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4120B2 (en) Inverter built-i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US9893586B2 (en) Driver apparatus provided with a motor and a control unit
KR102022004B1 (ko) 제어부 수밀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US20140050603A1 (en) Heating circulating pump
JP3881126B2 (ja) モータ
US10008909B2 (en) Motor driv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WO2017022094A1 (ja) インバータ一体型モータ
EP3787153B1 (en) Brushed permanent magnet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JP2015106973A (ja) 駆動装置
JP2007185055A (ja) コネクタの封止構造およびこの封止構造を用いた密閉型ブラシレスモータ
KR102173360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KR20080007063A (ko) 모터
CN111765289B (zh) 线圈部件及具有其的电子膨胀阀
US6806607B2 (en) Electric motor
JP4638911B2 (ja) 電気機械及び電気機械を接続フランジに結合するための方法
JP2009189178A (ja) シール構造
KR102022005B1 (ko) 절연 홀더와 전기 터미널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JP7291913B2 (ja) モ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CN110402529B (zh) 电机
KR101969889B1 (ko) 방수수단을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
JP3945025B2 (ja) 電動機
CN111864435B (zh) 包括电机和变换器的驱动装置以及机动车
JP6302691B2 (ja) 回転電機
KR200170391Y1 (ko) 가동 코일형 리니어 모터의 전기자
JP7155785B2 (ja) 端子台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