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12B1 - 방폭형 히팅맨틀 - Google Patents

방폭형 히팅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12B1
KR102021312B1 KR1020170017728A KR20170017728A KR102021312B1 KR 102021312 B1 KR102021312 B1 KR 102021312B1 KR 1020170017728 A KR1020170017728 A KR 1020170017728A KR 20170017728 A KR20170017728 A KR 20170017728A KR 102021312 B1 KR102021312 B1 KR 10202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seating
heating
proof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223A (ko
Inventor
한갑수
Original Assignee
씨엔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엔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엔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04Heat insulating devices, e.g. jackets for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05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magnetic fo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히팅맨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히팅맨틀은: 실험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안착부를 가열시키는 히팅부와, 히팅부가 설치된 안착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단열몸체부와, 단열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실험용기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유도부재를 회전시키는 자력을 형성하는 회전발생부 및 히팅부와 회전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와 차폐된 박스 형상의 방폭박스부를 포함하며, 회전발생부의 내측에 불활성기체가 퍼징(purg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폭형 히팅맨틀{EXPLOSION PROOF HEATING MANTLE}
본 발명은 히팅맨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 기능을 구비하는 히팅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 화공, 섬유, 석유, 식품, 환경분야 등의 분야에서 연구 및 생산을 위하여 추출, 농축, 증류, 환류 등의 다양한 화학반응 실험이 수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화학반응 실험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가열 장치로는 히팅맨틀(Heating mantle)을 예시할 수 있다.
히팅맨틀은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액체의 증류 또는 재결정이나 정제 과정에서 고체를 녹이기 위한 가열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히팅맨틀은 상면에 반구 형상의 홈을 보온 단열블록과 상기 반구 형상의 홈에 구비되고 플라스크가 놓여지는 열선방식의 발열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플라스크 내에 채워진 반응물 또는 생성물이 폭발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는, 가열 중에 폭발하거나, 반응 중 생성된 기체가 히팅맨틀의 히팅부 또는 온도조절 제어기 등의 전기장치와 쇼트가 발생하여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709호(2005. 06. 24. 등록, 고안의 명칭 : 실험실용 유리용기 가열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폭 기능을 구비하는 히팅맨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형 히팅맨틀은: 실험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안착부를 가열시키는 히팅부와, 히팅부가 설치된 안착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단열몸체부와, 단열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실험용기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유도부재를 회전시키는 자력을 형성하는 회전발생부 및 히팅부와 회전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와 차폐된 박스 형상의 방폭박스부를 포함하며, 회전발생부의 내측에 불활성기체가 퍼징(purg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부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히팅부에서 발생된 열을 실험용기로 전달하는 도체 재질의 안착지지부 및 안착지지부와 실험용기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안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발생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와, 모터부재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재와, 날개부재에 설치되어 자성을 구비하며 회전유도부재를 회전시키는 유도자력을 형성하는 자성부재와, 모터부재의 하부가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및 모터부재와 날개부재와 자성부재를 감싸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방폭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방폭커버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설정된 압력의 불활성기체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방폭커버로 형성된 밀폐된 공간 내측에 퍼징(purg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활성기체로 질소(N2) 또는 아르곤(Ar)을 사용하며, 퍼징(purging)되는 불활성기체의 압력은 절대압력으로 1.001 내지 2.0 at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부는 소선, 무기절연재, 및 금속외피(metal sheath)를 포함하는 무기절연재 케이블(Mineral Insulated Cable)이며, 소선은 동(Cu) 재질이고, 무기절연재는 산화마그네슘(MgO)이며, 금속외피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형 히팅맨틀은,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는 모터부재가 방폭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방폭커버의 내측에는 불활성기체가 퍼징되며, 히팅부로서 방폭형의 무기절연재 케이블을 도입하여 폭발 위험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히팅맨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히팅맨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에 실험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에서 실험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지지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발생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히팅맨틀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히팅맨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에 실험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에서 실험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지지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지지부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발생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부로서 M.I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히팅맨틀(1)은, 실험용기(10)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안착부(20)와, 안착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안착부(20)를 가열시키는 히팅부(60)와, 히팅부(60)가 설치된 안착부(2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단열몸체부(30)와, 단열몸체부(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실험용기(10)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유도부재(15)를 회전시키는 자력을 형성하는 회전발생부(40) 및 히팅부(60)와 회전발생부(40)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와 차폐된 박스 형상의 방폭박스부(50)를 포함하며, 회전발생부(40)의 내측에 불활성기체(inert gas)가 퍼징(purg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퍼징(purging)은 공간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여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 환경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실에서는 액체의 저장, 가열, 교반 등을 위해 유리로 제작된 실험용기(10)를 사용한다. 실험용기(10)는 밑면이 동그랗게 형성된 플라스크(flask)를 주로 사용한다.
실험용기(10)를 안전하게 수납시킨 후 실험용기(10)를 가열하면서 교반 등의 다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안착부(20)가 사용된다.
안착부(20)는 실험용기(10)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부를 상측에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0)는 안착지지부(22)와 안전지지부(28)를 포함한다.
안착지지부(22)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히팅부(60)에서 발생된 열을 실험용기(10)로 전달하는 도체 재질이다. 안착지지부(22)는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Al)을 사용할 수 있다.
안착지지부(22)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반구형 알루미늄 용기가 사용되며, 안착지지부(22)의 하측에는 나선형으로 홈이 형성되는 나선형홈부(24)가 구비된다. 나선형홈부(24)는 안착지지부(22)의 하측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안착지지부(22)의 하측면을 감싸는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며, 이러한 나선형홈부(24)에 방폭형 케이블을 사용하는 히팅부(60)가 설치되므로 안착지지부(22)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즉 안착지지부(22)의 하측 금속표면에 방폭 인증된 무기절연재 케이블(Mineral Insulated Cable, 이하 M.I 케이블)을 원형으로 길게 감아서 충분한 전열을 출력할 수 있다.
안착지지부(22)의 내측에 실험용기(10)가 움직이지 않게 장착하는 안전지지부(28)는 안착지지부(22)와 실험용기(10)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된다. 안전지지부(28)는 천이나 굵은 실로 형성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지지부(28)의 상측에 놓인 실험용기(10)는 미끄러짐 없이 안전지지부(28)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단열몸체부(30)는 히팅부(60)가 설치된 안착부(2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된다. 단열몸체부(30)의 상측에는 안착부(20)가 설치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따라서 전기의 공급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60)는 단열몸체부(30)와 안착부(20)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외부와 접촉이 차단되는 방폭 기능을 제공한다.
또는 회전발생부(40)의 모터부재(44)가 내측에 설치된 방폭커버(41) 내측으로 고열의 전달을 막고 히팅부(60)의 열이 안착부(20)로 전달되도록, 히팅부(60)의 외측에 단열재를 채우며, 방폭커버(41)와 단열재 사이에 얇은 두께의 금속판을 설치하여 단열몸체부(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발생부(40)는 단열몸체부(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실험용기(10)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유도부재(15)를 회전시키는 자력을 형성하는 방폭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발생부(40)는, 방폭커버(41)와 베이스부재(42)와 지지브라켓(43)과 모터부재(44)와 날개부재(45)와 자성부재(46)와 연결관로(49)를 포함한다.
방폭커버(41)는 모터부재(44)와 날개부재(45)와 자성부재(46)를 감싸며 베이스부재(42)에 고정된다.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재(42)와 하측이 개구된 방폭커버(41)는 서로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설정된 압력의 불활성기체가 베이스부재(42)와 방폭커버(41)로 형성된 밀폐된 공간 내측에 공급되어 방폭기능을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급된 불활성기체는 방폭기능 뿐만 아니라, 회전발생부의 모터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여 모터부재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발생부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밀폐 처리된 방폭커버(41)의 내측에 퍼징되는 불활성기체는 절대압력으로 1.001 내지 2.0 atm이 유지되도록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불활성기체로는 질소(N2) 또는 아르곤(Ar) 가스를 예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폭커버(41)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커버(41)의 재질은 304SS 또는 316SS와 같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한다.
방폭커버(41)의 양측으로 연결관로(49)가 설치된다. 일측의 연결관로(49)는 불활성기체를 공급하는 관로에 연결되며 타측의 연결관로(49)는 불활성기체를 배출시키는 관로에 연결된다. 이때 불활성기체를 공급하는 관로 또는 불활성기체를 배출시키는 관로에 압력조절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방폭커버(41) 내측에 최소의 양압을 형성하며 불활성기체를 퍼징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불활성기체의 자동 차단을 위해, 압력조절기 전 라인에 자동 온오프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방폭커버(41)는 모터부재(44)를 감싸며 하측이 개구된 형상의 커버이며, 방폭커버(41)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42)는 모터부재(44)의 하부가 지지되는 평판 형상이다.
베이스부재(42)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43)에 모터부재(44)의 몸체가 고정될 수 있다.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브라켓(43)의 하부 양단은 베이스부재(42)에 고정되며, 지지브라켓(4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모터부재(44)의 출력축에는 날개부재(45)가 연결된다.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44)는 알피엠(RPM)을 조절하는 장치에 연결되므로, 모터부재(44)의 알피엠을 조절할 수 있다.
날개부재(45)는 모터부재(44)의 출력축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날개부재(45)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며, 이러한 날개부재(45)의 양측에 자성부재(46)가 설치된다.
자성부재(46)는 날개부재(45)에 설치되어 자성을 구비하므로 회전유도부재(15)를 회전시키는 유도자력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재(46)는 다른 자성을 갖는 영구자석이 날개부재(45)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날개부재(45)와 함께 자성부재(46)가 회전되므로, 실험용기(10) 내에 있는 마그네틱 바(magnetic bar)인 회전유도부재(15)도 회전을 하게 되고, 실험용기(10) 내의 액체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방폭박스부(50)는 히팅부(60)와 회전발생부(40)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와 차폐된 박스 형상의 제어부이다. 방폭박스부(50)에도 방폭커버(41)와 별도로 불활성기체를 충진하여 전자기기에 의한 폭발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박스부(50)에는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압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또한 방폭박스부(50)에는 정전기 제거를 위한 제전로프(ESD rope)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지 설치도 이루어질 수 있다.
히팅부(60)는 안착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안착부(20)를 가열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방폭형 히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부(60)는 방폭형 케이블로서 무기절연재 케이블(Mineral Insulated Cable, 이하 M.I 케이블)을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부(60)로서 M.I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M.I 케이블은 도전성 및 열전도성 기능을 갖는 소선(도체)(61)을 무기절연재(62)로 감싸고, 다시 금속외피(metal sheath)(63)로 피복하여 제조된 케이블이다.
무기절연재(62)는 소선(61)과 금속외피(63)의 절연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M.I 케이블의 굽힘이 있을 경우에도 위치를 고정시켜 절연 및 내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며,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도 무기절연재의 내열특성에 의하여 절연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소선(61)은 일반 케이블처럼 여러 가닥의 선을 집합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단일선으로 심을 구성한다. 소선(61)의 개수는 1선, 2선(Simplex), 3선, 4선(Duplex), 6선(Triplex)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소선은 동(Cu) 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무기절연재는 산화마그네슘(MgO)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외피(63)는 SS304, SS321, SS316, SS310 등의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M.I 케이블은 소선간 또는 소선과 금속외피를 무기절연재로 절연시키고 있으므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금속외피인 스테인레스 스틸의 녹는점이 대략 1400℃ 이상이므로 폭발이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폭발성 가스가 노출되어도 전기 설비들과 접촉이 되지 않도록 온도 및 압력 제어용 기기 등은 인증된 방폭 장치를 사용하며, 히팅부(60)에 열선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가스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가스유입 방지용 실런트(Sealant)를 처리한다.
히팅부(6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은 방폭형으로 인증된 장치를 최대한 사용하여 방폭기능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와 압력과 RPM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별도 인증 받은 방폭박스부(50)의 내측에 설치하여 폭발성 가스와 차단시키며, 모터부재(44)는 방폭커버(41) 내에 삽입 설치하여 외부의 폭발성 가스와의 접촉을 차단시킨다. 이를 위하여 방폭커버(41) 내측에는 양압의 불활성기체 공급을 유지시키는 압력 조절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일정한 압력 이하 또는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알람을 울리게 하여 수동 조치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 파워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위험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맨틀(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용기(10) 내측에 자성을 갖는 막대자석인 회전유도부재(15)가 구비된다. 모터부재(44)의 동작에 의해 날개부재(45)와 함께 자성부재(46)가 회전되면, 자력 변화에 따라 회전유도부재(15)가 회전되며 실험용기(10) 내측의 용액을 교반시킨다.
히팅부(60)는 나선형홈부(24)를 따라 설치되므로 안착지지부(22)의 하측을 균일하게 가열한다. 따라서 안착부(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실험용기(10) 내측의 용액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히팅부(60)는 방폭 인증을 받은 전기열선을 사용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감소되며, 이러한 히팅부(60)가 안착지지부(22)와 단열몸체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폭발성 가스와 접촉됨을 차단하므로 방폭기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모터부재(44)가 설치된 방폭커버(41)의 내측으로 질소(N2) 또는 아르곤(Ar)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방폭기능이 향상되며, 각종 제어장치가 내장된 방폭박스부(50)도 외부와 차폐된 상태이므로 방폭기능이 향상된다. 이러한 방폭박스부(50)에도 별도로 불활성기체가 공급되어 방폭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는 모터부재(44)가 방폭커버(41)의 내측에 설치되며, 방폭형 케이블로서 무기절연재 케이블을 사용하는 히팅부(60)를 도입하여 폭발 위험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히팅맨틀(1)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히팅맨틀
10: 실험용기 15: 회전유도부재
20: 안착부 22: 안착지지부
24: 나선형홈부 28: 안전지지부
30: 단열몸체부 40: 회전발생부
41: 방폭커버 42: 베이스부재
43: 지지브라켓 44: 모터부재
45: 날개부재 46: 자성부재
49: 연결관로 50: 방폭박스부
60: 히팅부 61: 소선
62: 무기절연재 63: 금속외피

Claims (6)

  1. 실험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으로 발열되어 상기 안착부를 가열시키는 히팅부;
    상기 히팅부가 설치된 상기 안착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단열몸체부;
    상기 단열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험용기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유도부재를 회전시키는 자력을 형성하는 회전발생부; 및
    상기 히팅부와 상기 회전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와 차폐된 박스 형상의 방폭박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발생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 상기 모터부재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재, 상기 날개부재에 설치되어 자성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유도부재를 회전시키는 유도자력을 형성하는 자성부재, 상기 모터부재의 하부가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와 상기 날개부재와 상기 자성부재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방폭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발생부의 내측에 불활성기체가 퍼징(purg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히팅맨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실험용기로 전달하는 도체 재질의 안착지지부; 및
    상기 안착지지부와 상기 실험용기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성형되는 안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히팅맨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방폭커버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설정된 압력의 불활성기체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방폭커버로 형성된 밀폐된 공간 내측에 퍼징(purg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히팅맨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기체는 질소(N2) 또는 아르곤(Ar)이며,
    상기 퍼징(purging)되는 불활성기체의 압력은 절대압력으로 1.001 내지 2.0 at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히팅맨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소선, 무기절연재, 및 금속외피(metal sheath)를 포함하는 무기절연재 케이블(Mineral Insulated Cable)이며,
    상기 소선은 동(Cu) 재질이고, 상기 무기절연재는 산화마그네슘(MgO)이며, 상기 금속외피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히팅맨틀.
KR1020170017728A 2017-02-08 2017-02-08 방폭형 히팅맨틀 KR10202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28A KR102021312B1 (ko) 2017-02-08 2017-02-08 방폭형 히팅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28A KR102021312B1 (ko) 2017-02-08 2017-02-08 방폭형 히팅맨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223A KR20180092223A (ko) 2018-08-17
KR102021312B1 true KR102021312B1 (ko) 2019-09-16

Family

ID=6340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728A KR102021312B1 (ko) 2017-02-08 2017-02-08 방폭형 히팅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6058B (en) * 2018-09-18 2020-10-07 R B Radley & Co Ltd Reaction station for magnetic stirr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magnetic stir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12B1 (ko) * 2010-02-05 2011-06-15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M.i 케이블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225A (en) * 1978-04-24 1979-09-25 Templeton Coal Company Electric heating apparatus with automatic purging system
KR20080036569A (ko) * 2008-04-01 2008-04-28 주식회사 제이오텍 핫플레이트 자력교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12B1 (ko) * 2010-02-05 2011-06-15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M.i 케이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223A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109B2 (en) Mixing device having induction heating
SU488435A3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насос
KR102021312B1 (ko) 방폭형 히팅맨틀
US20080314616A1 (en) High pressure, high voltage penetrator assembly for subsea use
US5883364A (en) Clean room heating jacket and grounded heating element therefor
US4327281A (en) Aquarium immersion heater with dry operation prevention thermostatic switch
KR101233284B1 (ko) 화재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형 수중히터
US3267254A (en) Combination transformer unit and soldering iron stand
KR20150051424A (ko) 누전 및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형 수중히터
KR20050106437A (ko) 전기 히트 트레이싱 장치 및 방법
US20120055917A1 (en) Improved methods for heating fluids
JPS591944A (ja) 投込電熱器
EP3004760B1 (en) A household appliance with an improved fire safety
EP3510613A1 (en) A cover for a distribution transformer filled with a dielectric liquid
EP3065243A1 (en) Termination unit for a superconducting cable
KR102495962B1 (ko) 튜빙 어셈블리의 열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들
JP5258852B2 (ja) 電磁誘導加熱装置
US3403368A (en) Waterproof heating assembly
EP1178704A2 (en) Container equipped with a thermally self regulated heater, applicable inparticular for heating substances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CN209767023U (zh) 一种用于电缆附件终端的封铅工装
KR101496611B1 (ko) 바이메탈온도스위치를 구비한 전열난방케이블
RU165070U1 (ru) Обогреватель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емкостей
JP2011110218A (ja) 電気湯沸かし器
JP2007028810A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KR20160012481A (ko) 배치식 기판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