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859B1 -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 Google Patents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859B1
KR102020859B1 KR1020190028927A KR20190028927A KR102020859B1 KR 102020859 B1 KR102020859 B1 KR 102020859B1 KR 1020190028927 A KR1020190028927 A KR 1020190028927A KR 20190028927 A KR20190028927 A KR 20190028927A KR 102020859 B1 KR102020859 B1 KR 10202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unit
dehumidification
control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환
Original Assignee
(주)대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2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특히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와, 상기 유동 제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유동 제어부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 비해 크기를 감소하고 구성 또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을 정확히 제어하여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이다.

Description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DEHUMID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FORCED VENTING TYPE}
본 발명은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특히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와, 상기 유동 제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유동 제어부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 비해 크기를 감소하고 구성 또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을 정확히 제어하여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흡착 방식의 제습 장치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흡착재가 내장된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측으로 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공기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는 유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제습 장치(1)는 제습부(G)가 포함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 일 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는 유로 제어부(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에는 상기 케이스(3)에는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부(6)를 통과하기 위한 흡기부(1)와 상기 제습부(G)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부(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의 일 측에는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어 제습된 후 토출되는 제습측 흡입부(1a) 및 제습측 토출부(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의 타 측에는 상기 제습부(G)의 습기 제거를 위해 상기 제승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재생측 흡입부(2a) 및 재생측 토출부(2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3)는 제습 대상 공간(예를 들어 전자 제품이 배치된 실내 공간) 내부와 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제습하고, 상기 제습부(G)의 습기 제거를 위해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재생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도면상 좌측 부분이 실내 공간측에 배치되고 도면상 우측 부분이 실내 공간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습측 흡입부(1a)와 제습측 토출부(1b)는 모두 상기 케이스(3)의 실내 공간 내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재생측 흡입부(2a)와 재생측 토출부(2b)는 실내 공간의 외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습을 위한 실내 공기는 상기 제습측 흡입부(1a)를 통해 케이스(3) 내부로 흡입되어 제습부(G)를 통과하며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는 제습측 토출부(1b)를 통해 실내 공간 내부로 배출된다. 즉, 실내 공기는 상기 제습측 흡입부(1a)와 제습측 토출부(1b)를 통해 순환하며 제습된다.
한편, 제습이 계속되는 동안 제습부(G)에는 습기가 축적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H)를 구동하면서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재생측 흡입부(2a)를 통해 외부 공기가 도입된 후 제습부(G)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수분을 포함하여 재생측 토출부(2b)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에 의해 제습부(G)의 습기를 제거한다.
한편,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F)에 의해 구현되며, 재생 측 공기 유동 또는 제습측 공기 유동은 도 3에 도시된 유동 제어부(6)에 의해 결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제어부(6)는 차단판 형상을 가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제습을 위해서 상기 유동 제어부(6)는 재생측 흡입부(2a) 및 재생측 토출부(2b)를 막고 제습측 흡입부(1a)와 제습측 토출부(1b)를 오픈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G)의 습기 제거를 위해서는 상기 유동 제어부(6)를 작동하여 재생측 흡입부(2a) 및 재생측 토출부(2b)를 오픈하고 제습측 흡입부(1a)와 제습측 토출부(1b)를 막는다.
이러한 유동 제어부(6)를 통해 실내 공기의 제습을 수행하거나 혹은 제습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재생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 외부에 별도의 유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관계로 크기가 증가하고 상기 유동 제어부의 작동을 위해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여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유동 제어부에 의한 공기 유동 방향 전환이 불완전하여 제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습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등록 특허 제4380186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5-313828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7012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와, 상기 유동 제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유동 제어부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 비해 크기를 감소하고 구성 또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을 정확히 제어하여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400)와 상기 제습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1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40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3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제어부(100)는 중공의 제어부 케이스(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내부는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가 순환하는 외부 순환 영역(110-2)로 분리되고,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는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고,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는 상기 외부 순환 영역(110-2)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이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상면에는 내외부 분리판(16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의 공간을 제습 대상 공간의 내외부 방향으로 분리하며,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 상면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 및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에는 유동 분리판(150)이 배치되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 상면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 공간 및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을 분리한다.
상기에서, 상기 개폐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 분리판(150)의 양측으로서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은 판체 형상의 분리판 본체(125)와 내외부 분리판(160)과 유동 분리판(150)으로 구획된 4개의 영역 일부에 각각 형성되는4개의 개방부(O)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저면에 내외부 분리판(16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 샤프트(210)와 상기 회동 샤프트(210)에서 제습 대상 공간의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제1차단판(220) 및 제2차단판(230)과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210)를 회동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이 상기 개방부(O)를 덮거나 혹은 개방부(O)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차단판(220)과 제2차단판(230)은 회동 샤프트(210)의 회전 방향으로 180도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 중 하나는 상기 개방부(O)를 폐쇄하고 나머지 하나는 개방부(O)를 오픈한다.
상기에서, 상기 개방부(O)는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와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내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는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외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높이 방향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 사이 공간에 이송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하부 수평 분리판(130) 영역 중 제습부(400) 반대 방향 영역의 하부 수평 분리판(130)에 개방부(13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제습부(400) 방향 측면에 유입구(110B)와 토출구(11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0B)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110A)는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이송부(300)에 연통된다.
상기에서, 상기 이송부(300)는 공기를 흡입 및 이송하는 팬(310)과 상기 팬(310)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팬(310)에 의해 공기가 이송되는 가이드(3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의 하측에 상기 팬(310)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320)는 상기 토출구(110A)에 연통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습부(400)는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제습 케이스(410)와 상기 제습 케이스(420)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 유닛(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케이스(410) 중 일 측에는 유입부(410B)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와 연통되고, 상기 제습 케이스(410) 중 다른 일 측에는 유출부(410A)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부(110B)와 연통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습 케이스(410)는 상기 제습 유닛(420)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내부 공간 중 일 측에는 상기 유출부(410A)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유입부(410B)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어부 케이스(110)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에 연통되는 제습측 유입 슬릿(110C)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 연통되는 제습측 토출 슬릿(110D)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에 연통되는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또 다른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 연통되는 재생측 토출 슬릿(110F)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측 유입 슬릿(110C)과 제습측 토출 슬릿(110D)은 내외부 분리판(160)을 기준으로 제습 대상 공간 내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재생측 토출 슬릿(110F)은 내외부 분리판(160)을 기준으로 제습 대상 공간 외부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내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는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외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습부(400)와 유동 제어부(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500)은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510)과,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하우징(52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510)에는 제습측 슬릿(512)이 형성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제습측 유입 슬릿(110C) 및 제습측 토출 슬릿(110D)과 연통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520)에는 재생측 슬릿(422)이 형성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재생측 유입 슬릿(110E) 및 재생측 토출 슬릿(110F)과 연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400)와 상기 제습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1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40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3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200)와 상기 제습 대상 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제1습도 측정부(700)와 상기 제습부(400) 내부에 구비되는 제2습도 측정부(800)와 제어부(CON)를 포함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개폐부(200)의 구동부(240)를 구동하여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측 유입부(124)를 폐쇄하도록 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개방되도록 하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이송부(300)의 팬(310)을 구동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제습측 유입 슬릿(110C)과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한 후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와 이송부(300)의 가이드(320)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습부(40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부(400) 내부로 유입되고 제습 유닛(420)을 통해 습기가 제거된 후 토출부(4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구(110B)를 통해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으로 유입된 후 제습측 토출부(122)와 제습 토출 슬릿(110D)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제2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부(400)의 제습 유닛(420)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개폐부(200)의 구동부(240)를 구동하여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개방하도록 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밀폐되도록 하며,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부(400)의 히터(H)를 구동하는 한편, 상기 제습부(400)의 팬(310)을 구동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상기 재생측 유입부23)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한 후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와 이송부(300)의 가이드(320)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습부(40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부(400) 내부로 유입되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제습 유닛(420)을 통해 기화된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토출부(4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구(110B)를 통해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으로 유입된 후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 토출 슬릿(110F)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외부로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토출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을 간단히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습 효율 또한 향싱시킬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제습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일반적인 제습 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유동 제어부와 제습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유동 제어부의 제어부 케이스를 나타내며, 제습측 유입부와 제습측 토출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유동 제어부의 제어부 케이스를 나타내며, 재생측 유입부와 재생측 토출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제습측 유입부와 제습측 토출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5에서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재생측 유입부와 재생측 토출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5에서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제습측 유입부와 제습측 토출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5에서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재생측 유입부와 재생측 토출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어부 케이스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습부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유동 제어부와 제습부의 분리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습부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습부의 블록 다이아 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10)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400)와 상기 제습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1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40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300,도5참조)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동 제어부(100)는 중공의 제어부 케이스(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내부는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가 순환하는 외부 순환 영역(110-2)로 분리되고,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는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고,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는 상기 외부 순환 영역(110-2)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며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즉,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리되어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외부 순환 영역(110-2)으로 구획된다.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에는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고 제습부(400)측으로 유동하여 제습된 후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으로 복귀하고 제습 공간 내부로 토출되어 제습 대상 공간의 공기를 제습한다. 또한,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는 상기 외부 순환 영역(110-2)으로 유입된 후 제습부(400)측으로 유동하여 제습부(400)의 증발된 습기와 함께 외부 순환 영역(110-2)으로 복귀한 후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로 토출된다.
즉,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은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하면서 제습 대상 공간을 제습하고, 상기 외부 순환 영역(110-2)은 상기 제습부(400)의 건조를 위해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 또는 외부 순환 영역(110-2)을 통해 내부 공기 또는 외부 공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이는 개폐부(200)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는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고,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는 상기 외부 순환 영역(110-2)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이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상면에는 내외부 분리판(16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의 공간을 제습 대상 공간의 내외부 방향(도면상 전후 방향)으로 분리한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 상면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 및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에는 유동 분리판(150)이 배치된다. 이러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 상면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 공간 및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을 분리한다.
즉, 상기 내외부 분리판(160)에 의해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외부 순환 영역(110-2)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은 판체 형상의 분리판 본체(125)와 내외부 분리판(160)과 유동 분리판(150)으로 구획된 4개의 영역 일부에 각각 형성되는4개의 개방부(O)를 포함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외부 분리판(160)과 유동 분리판(150)은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은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4개의 영역에는 개방부(O)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O)는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와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내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는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는 내부 순환 영역(110-1)에 형성되고, 제습부(400)측 방향에는 제습측 토출부(122)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 제습측 유입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외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된다. 즉,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측 유입부(124)는 외부 순환 영역(110-2)에 형성되어 제습부(400) q방향 측면에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에는 재생측 유입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4개의 개방부(O)는 개폐부(200)에 의해 개폐되어 유동 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 분리판(150)의 양측으로서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개폐부(200)는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저면에 내외부 분리판(16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 샤프트(210)와 상기 회동 샤프트(210)에서 제습 대상 공간의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제1차단판(220) 및 제2차단판(230)과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210)를 회동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동 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이 상기 개방부(O)를 덮거나 혹은 개방부(O)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제1차단판(220)과 제2차단판(230)은 회동 샤프트(210)의 회전 방향으로 180도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 중 하나는 상기 개방부(O)를 폐쇄하고 나머지 하나는 개방부(O)를 오픈한다.
즉, 상기 구동부(240)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2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파단판(230) 역시 연동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 중 하나가 개방부(O)를 폐쇄하면 나머지는 개방부(O)를 오픈한다.
예를 들어 도 6, 도 9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어 개방부(O) 중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를 폐쇄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탈되어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오픈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습부를 통과한 후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만일 도 7, 도 8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탈되어 개방부(O) 중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를 오픈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어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폐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습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1차단판(220)과 제2차단판(230)은 상기 회동 샤프트(210)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2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240)는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케이스(110) 외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공기 또는 외부 공기를 이동하기 위해 이송부(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부(300)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높이 방향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 사이 공간에 구비된다. 이때,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하부 수평 분리판(130) 영역 중 제습부(400) 반대 방향 영역의 하부 수평 분리판(130)에 개방부(1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상기 제생측 흡입부(121) 또는 재생측 흡입부(1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개방부(131)를 통해 이송부(300) 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115)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된다.
이러한 이송부(300)는 공기를 흡입 및 이송하는 팬(310)과 상기 팬(310)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팬(310)에 의해 공기가 이송되는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310)은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유입된 공기가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115)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320)는 중공 형상으로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며, 상기 가이드(320)는 상기 토출구(110A)에 연통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냉각하기 위해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6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열부(600)는 널리 알려진 방열 팬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제습부(400) 방향 측면에 유입구(110B)와 토출구(110A)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110B)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110-3, 이하 배출 영역이라 함)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10A)는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이송부(300)에 연통된다.
즉,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은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리된 공간 중 제습부(400) 반대 방향 영역(110-5, 이하 유입 영역이라 함)은 제습측 유입부(121) 또는 재생측 유입부(12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개방부(131)를 통해 이송부(300)로 유동하고 토출구(110A)를 통해 제습부(400) 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제습부(4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입부(110B)를 통해 상기 배출 영역(110-3)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 영역(110-5)과 배출 영역(110-3)은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호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습 과정의 경우 상기 유입 영역(110-5)에 있는 공기는 습기가 포함되어 있고, 배출 영역(110-3)에 있는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 영역(110-5)에 있는 공기와 배출 영역(110-3)에 있는 공기가 혼합되면 제습된 공기에 습기가 다시 제공되어 실내로 공급되므로 제습 효율이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유입 영역(110-5)과 배출 영역(110-3)을 분리한 것이다.
상기 배출 영역(110-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측 토출부(122) 또는 재생측 토출부(123)를 통해 배출된다.
도 5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는 제습측 유입 슬릿(110C)이 형성되어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또 다른 일 측에 제습측 토출 슬릿(110D)이 형성되어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 연통된다.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타 측에는 재생측 유입 슬릿(110E)이 형성되어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또 다른 타 측에 재생측 토출 슬릿(110F)이 형성되어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 연통된다.
상기 제습측 유입 슬릿(110C)과 제습측 토출 슬릿(110D)은 내외부 분리판(160)을 기준으로 제습 대상 공간 내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재생측 토출 슬릿(110F)은 내외부 분리판(160)을 기준으로 제습 대상 공간 외부 방향에 형성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습측 유입 슬릿(110C)을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를 통해 상기 유입 영역(110-5)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배출 영역(110-3)에 유입된 공기는 제습측 배출부(122)와 제습측 토출 슬릿(110D)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는 상기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재생측 유입부(124)를 통해 유입 영역(110-5)으로 유입된다. 또한, 배출 영역(110-3)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측 토출 슬릿(110F)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 케이스(11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ㅇ디 상기 배출 영역(110-3)이나 유입 영역(110-5) 그리고 상기 이송부(300)가 구비되는 이송 영역(110-4)을 개방한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PA1,PA2)를 이용하여 덮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부(400)는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제습 케이스(410)와 상기 제습 케이스(420)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 유닛(4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습 케이스(410) 중 일 측에는 유입부(410B)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와 연통되고, 상기 제습 케이스(410) 중 다른 일 측에는 유출부(410A)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부(110B)와 연통된다.
즉,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습 케이스(41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 유닛(420) 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습 유닛(420)을 통과한 공기는 제습 케이스(410)의 유출부(410A)를 통해 배출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부(110B)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습 케이스(410)는 상기 제습 유닛(420)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내부 공간 중 일 측에는 상기 유출부(410A)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유입부(410B)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410B)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습 유닛(420)을 통과한 후 유출부(410A)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부(110B)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습 유닛(420)은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널리 알려진 실리카겔, 제오라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 장치(10)는 상기 제습부(400)와 유동 제어부(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500)은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510)과,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하우징(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하우징(510)에는 제습측 슬릿(512)이 형성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제습측 유입 슬릿(110C) 및 제습측 토출 슬릿(110D)과 연통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520)에는 재생측 슬릿(422)이 형성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재생측 유입 슬릿(110E) 및 재생측 토출 슬릿(110F)과 연통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습 장치(10)를 이용한 제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 장치(10)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400)와 상기 제습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1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40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3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습 대상 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제1습도 측정부(700)와 상기 제습부(400) 내부에 구비되는 제2습도 측정부(800)와 제어부(CON)를 더 포함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우선, 상기 제1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개폐부(200)의 구동부(240)를 구동하여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측 유입부(124)를 폐쇄하도록 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이송부(300)의 팬(310)을 구동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제습측 유입 슬릿(110C)과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의 유입 영역(110-5)으로 유입하게 한다. 상기 유입 영역(110-5)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와 이송부(300)의 가이드(320)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된 공기는 제습부(40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부(400) 내부로 유입되고 제습 유닛(420)을 통해 습기가 제거된 후 토출부(410A)를 통해 토출된다. 이후,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구(110B)를 통해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의 배출 영역(110-3)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 영역(110-5)과 배출 영역(110-3)은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 영역(110-5)에 있는 공기와 배출 영역(110-3)에 있는 공기는 상호 혼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습부(400)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배출 영역(110-3)에 있고, 유입 영역(110-5)에 있는 공기는 습기가 있으므로 상호 혼합되어 제습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측 유입부(124)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배출 영역(110-3)으로 유입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제습측 토출부(122)와 제습 토출 슬릿(110D)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한다.
만일 상기 제1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제2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부(400)의 제습 유닛(420)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습 유닛(420)의 건조를 위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개폐부(200)의 구동부(240)를 구동하여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개방하도록 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습 대상 공기가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부(400)의 히터(H)를 구동하는 한편, 상기 제습부(400)의 팬(310)을 구동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상기 재생측 유입부23)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 영역(110-5)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후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와 이송부(300)의 가이드(320)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습부(40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부(400) 내부로 유입되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제습 유닛(420)을 통해 기화된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토출부(4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구(110B)를 통해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 즉, 토출 영역(110-3)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영역(110-3)에는 제습부(400)를 통과하여 습기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나, 상기 제2차단판(23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어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이에 의해 제습 대상 공기가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습도가 부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영역(110-3)에 유입된 공기는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 토출 슬릿(110F)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외부로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토출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유동 제어부 110 : 제어부 본체
120 : 상부 수평 분리판 130 : 하부 수평 분리판
150 : 유동 분리판 16- : 내외부 분리판
200 : 개폐부 210 : 회동 샤프트
220 : 제1차단판 220 : 제2차단판
240 : 연결판 250 : 구동부
300 : 이송부 310 : 팬
320 : 가이드 400 : 제습부
410 : 제습 케이스 420 : 제습 유닛

Claims (15)

  1.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400)와 상기 제습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1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40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3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제어부(100)는 중공의 제어부 케이스(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내부는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가 순환하는 외부 순환 영역(110-2)로 분리되고,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는 상기 내부 순환 영역(110-1)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고,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는 상기 외부 순환 영역(110-2)과 제습부(400)를 순환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이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상면에는 내외부 분리판(16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의 공간을 제습 대상 공간의 내외부 방향으로 분리하며,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 상면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 및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에는 유동 분리판(150)이 배치되어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 상면과 제어부 케이스(110) 사이 공간 및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을 분리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동 분리판(150)의 양측으로서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은 판체 형상의 분리판 본체(125)와 내외부 분리판(160)과 유동 분리판(150)으로 구획된 4개의 영역 일부에 각각 형성되는4개의 개방부(O)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저면에 내외부 분리판(16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 샤프트(210)와 상기 회동 샤프트(210)에서 제습 대상 공간의 내외측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제1차단판(220) 및 제2차단판(230)과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210)를 회동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이 상기 개방부(O)를 덮거나 혹은 개방부(O)로부터 이탈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220)과 제2차단판(230)은 회동 샤프트(210)의 회전 방향으로 180도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제1차단판(220) 또는 제2차단판(230) 중 하나는 상기 개방부(O)를 폐쇄하고 나머지 하나는 개방부(O)를 오픈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O)는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와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내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는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외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 분리판(120)의 높이 방향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 사이 공간에 이송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하부 수평 분리판(130) 영역 중 제습부(400) 반대 방향 영역의 하부 수평 분리판(130)에 개방부(131)가 형성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제습부(400) 방향 측면에 유입구(110B)와 토출구(11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0B)는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110A)는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과 제어부 케이스(110)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이송부(300)에 연통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공기를 흡입 및 이송하는 팬(310)과 상기 팬(310)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팬(310)에 의해 공기가 이송되는 가이드(3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의 하측에 상기 팬(310)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320)는 상기 토출구(110A)에 연통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400)는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일 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제습 케이스(410)와 상기 제습 케이스(420)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 유닛(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케이스(410) 중 일 측에는 유입부(410B)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와 연통되고,
    상기 제습 케이스(410) 중 다른 일 측에는 유출부(410A)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부(110B)와 연통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케이스(410)는 상기 제습 유닛(420)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내부 공간 중 일 측에는 상기 유출부(410A)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유입부(410B)가 형성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 케이스(110)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에 연통되는 제습측 유입 슬릿(110C)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 연통되는 제습측 토출 슬릿(110D)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에 연통되는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상기 제어부 케이스(110)의 또 다른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 연통되는 재생측 토출 슬릿(110F)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측 유입 슬릿(110C)과 제습측 토출 슬릿(110D)은 내외부 분리판(160)을 기준으로 제습 대상 공간 내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재생측 토출 슬릿(110F)은 내외부 분리판(160)을 기준으로 제습 대상 공간 외부 방향에 형성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내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는 상기 제습측 토출부(122)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는 상기 4분할된 영역 중 제습 공간 외부 방향이되 제습부(400)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측 유입부(124)는 상기 재생측 토출부(123)에서 제습부(400)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400)와 유동 제어부(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500)은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510)과, 상기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하우징(52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510)에는 제습측 슬릿(512)이 형성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제습측 유입 슬릿(110C) 및 제습측 토출 슬릿(110D)과 연통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520)에는 재생측 슬릿(422)이 형성되어 제어부 케이스(110)의 재생측 유입 슬릿(110E) 및 재생측 토출 슬릿(110F)과 연통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14.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400)와 상기 제습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유동 제어부(1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제습부(40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이송부(300)와 상기 유동 제어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습 대상 공간 내부 공기 또는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 및 토출하는 개폐부(200)와 상기 제습 대상 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제1습도 측정부(700)와 상기 제습부(400) 내부에 구비되는 제2습도 측정부(800)와 제어부(CON)를 포함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개폐부(200)의 구동부(240)를 구동하여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측 유입부(124)를 폐쇄하도록 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개방되도록 하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이송부(300)의 팬(310)을 구동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제습측 유입 슬릿(110C)과 상기 제습측 유입부(121)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한 후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와 이송부(300)의 가이드(320)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습부(40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부(400) 내부로 유입되고 제습 유닛(420)을 통해 습기가 제거된 후 토출부(4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구(110B)를 통해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으로 유입된 후 제습측 토출부(122)와 제습 토출 슬릿(110D)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 대상 공간 내부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하로 판단되고, 상기 제2습도 측정부(700)와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부(400)의 제습 유닛(420)의 습도가 특정 습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개폐부(200)의 구동부(240)를 구동하여 제1차단판(220)이 상부 수평 분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재생측 유입부(124)와 재생측 토출부(123)를 개방하도록 하고, 제2차단판(230)은 상부 수평 분리판(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습측 유입부(121)와 제습측 토출부(122)가 밀폐되도록 하며,
    제어부(CON)에 의해 제습부(400)의 히터(H)를 구동하는 한편, 상기 제습부(400)의 팬(310)을 구동하여 제습 대상 공간의 외부 공기를 상기 유동 제어부(100)의 제어부 케이스(110) 중 재생측 유입 슬릿(110E)과 상기 재생측 유입부23)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한 후 하부 수평 분리판(130)의 개방부(131)와 이송부(300)의 가이드(320)를 통해 제어부 케이스(110)의 토출부(1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습부(400)의 유입부(410B)를 통해 제습부(400) 내부로 유입되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제습 유닛(420)을 통해 기화된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토출부(410A)를 통해 토출된 후 제어부 케이스(110)의 유입구(110B)를 통해 상부 수평 분리판(120)과 하부 수평 분리판(130) 사이 공간으로서 유동 분리판(150)에 의해 분할된 영역 중 제습부(400) 방향 영역으로 유입된 후 재생측 토출부(123)와 재생 토출 슬릿(110F)을 통해 제습 대상 공간 외부로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토출하는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방법.
KR1020190028927A 2019-03-13 2019-03-13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KR102020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27A KR102020859B1 (ko) 2019-03-13 2019-03-13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27A KR102020859B1 (ko) 2019-03-13 2019-03-13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59B1 true KR102020859B1 (ko) 2019-09-11

Family

ID=6794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27A KR102020859B1 (ko) 2019-03-13 2019-03-13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828A (ja) 1994-05-23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除湿装置
KR100701218B1 (ko) 2006-04-05 2007-03-29 (주)하나플랜트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제습공정 절환장치
JP4380186B2 (ja) 2003-03-13 2009-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吸着除湿装置
KR20100104097A (ko) * 2009-03-16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 습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828A (ja) 1994-05-23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除湿装置
JP4380186B2 (ja) 2003-03-13 2009-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吸着除湿装置
KR100701218B1 (ko) 2006-04-05 2007-03-29 (주)하나플랜트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제습공정 절환장치
KR20100104097A (ko) * 2009-03-16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 습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61797A (ja) 乾燥機
KR20150028171A (ko) 제습기
JP2021042935A (ja) 空気調和機
KR100657808B1 (ko) 환기장치
KR102020859B1 (ko) 강제 송풍 방식의 제습 장치 및 제습 방법
US6616512B2 (en)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and substrate polishing apparatus with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KR102087399B1 (ko) 현열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JP3624912B2 (ja) 調湿装置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TWI674383B (zh) 除濕機
TWI647412B (zh) Dehumidifier
JP2000015041A (ja) 除湿装置
KR20060031354A (ko) 전열교환기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220077221A (ko) 듀얼 양압챔버를 구비하는 생물안전작업대
KR101294209B1 (ko) 실외용 자연공조 건식 제습기
JP2819497B2 (ja) 除湿装置
KR100624708B1 (ko) 환기장치
JP3734592B2 (ja) 換気装置
JP2004267902A (ja) 除湿機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JPH0549843A (ja) 除湿器
KR200217045Y1 (ko)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CN107848377A (zh) 加湿装置
KR101621221B1 (ko) 건식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