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64B1 - Caliper band - Google Patents

Caliper b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64B1
KR102020664B1 KR1020170174087A KR20170174087A KR102020664B1 KR 102020664 B1 KR102020664 B1 KR 102020664B1 KR 1020170174087 A KR1020170174087 A KR 1020170174087A KR 20170174087 A KR20170174087 A KR 20170174087A KR 102020664 B1 KR102020664 B1 KR 10202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per
corner
band
corner por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3628A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스톨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톨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톨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664B1/en
Priority to PCT/KR2018/010268 priority patent/WO2019124677A1/en
Publication of KR2019007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에 관한 발명으로, 제1 캘리퍼의 외측면과 맞닿는 제1 사이드부, 제2 캘리퍼의 외측면과 맞닿는 제2 사이드부, 제1 사이드부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2 사이드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코너부, 제2 사이드부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사이드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코너부 및 제1 코너부 및 제2 코너부를 잇는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캘리퍼 밴드는 폐곡선을 형성하여, 캘리퍼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캘리퍼부의 폭 방향, 길이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캘리퍼부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iper band includes: a first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liper, a second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liper, a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wherein the second side A first corner portion bent toward th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ortion, including a second corner portion bent toward the first side portion and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and the caliper band includes a closed curve Forming,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liper.
Due to this feature,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liper portion can be restricted, thereby preventing the caliper portion from spreading and twisting.

Description

캘리퍼 밴드{CALIPER BAND}Caliper band {CALIPER BAND}

본 발명은 캘리퍼 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캘리퍼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 가능한 캘리퍼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캘리퍼 밴드를 통해, 캘리퍼부의 폭 방향, 길이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캘리퍼부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iper 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iper band that can be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liper portion. Through such a caliper band,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caliper portion can be restricted, thereby preventing the caliper portion from spreading and twisting.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장치인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의 중요 장치로서, 유압식 브레이크인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 브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In general, a brake device that is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is an important device for a vehicle used to decelerate or stop a running vehicle. Disc brakes and drum brakes, which are hydraulic brakes, are used.

최근에는 차량의 제동 성능향상을 위해 드럼 브레이크보다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켜 차량의 제동을 이루는 장치이다.Recently, a disc brake is mainly used rather than a drum brake to improve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The disc brake is a device for braking the vehicle by bringing the brake pad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c.

통상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는,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와, 디스크에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제동하는 캘리퍼 유닛을 포함한다.Typically, the disc brake includes a disc tha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heel, and a caliper unit that presses the brake pad to the disc to brake the disc using frictional force.

여기서, 캘리퍼 유닛은 개구부를 갖는 캘리퍼, 개구부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디스크에 밀착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 캘리퍼의 내부 양측에 구성되어 피스톤을 통하여 브레이크 패드에 유압력을 전달하는 휠 실린더,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스프링, 패드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Here, the caliper unit is a caliper having an opening, a brake pad which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o generate a friction forc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 the wheel cylinder which is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caliper to transfer the hydraulic force to the brake pad through the piston, brake pad It includes a pad spring for supporting, a fixing pin for fixing the pad spring.

그러나, 종래의 캘리퍼 유닛의 경우에는, 사용 과정에서 진동에 의해 캘리퍼가 비틀려 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브레이크 패드나 브레이크 패드 스프링 등에 떨림현상을 유발하여 차량의 진동 및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liper uni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aliper is twisted or opened by vibration in many cases occurs in many cases. Such a phenomenon causes a vibration phenomenon such as a brake pad or a brake pad spring to cause vibration and noise of the vehicle.

따라서, 캘리퍼의 비틀림 또는 팽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that can prevent twisting or expansion of the caliper.

본 발명은 캘리퍼 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캘리퍼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 가능한 캘리퍼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캘리퍼 밴드를 통해, 캘리퍼부의 폭 방향, 길이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캘리퍼부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iper 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iper band that can be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liper portion. Through such a caliper band,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caliper portion can be restricted, thereby preventing the caliper portion from spreading and twisti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는 제1 캘리퍼의 외측면과 맞닿는 제1 사이드부, 제2 캘리퍼의 외측면과 맞닿는 제2 사이드부, 제1 사이드부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2 사이드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코너부, 제2 사이드부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사이드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코너부 및 제1 코너부 및 제2 코너부를 잇는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캘리퍼 밴드는 폐곡선을 형성하여, 캘리퍼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liper, the second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liper, the first side portion, A first corner portion bent toward the second sid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ortion, including a second corner portion bent toward the first side portion and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and a caliper The band forms a closed curv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can be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브릿지부의 상면은 제1 코너부 또는 제2 코너부의 상면보다 상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of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in the upper direc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브릿지부의 양측부는 라운드 처리되고, 캘리퍼부의 단부에는 브릿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 portions of the bridge portion of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idge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lip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제1 코너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는, 제2 코너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제1 코너부의 타단부는 제1 코너부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커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제2 코너부의 타단부는 제2 코너부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커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of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캘리퍼 밴드의 재질은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aliper b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본 발명으로 인해 캘리퍼부의 폭 방향, 길이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캘리퍼부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calip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restricted, thereby preventing the caliper portion from spreading and twisting.

또한, 본 발명의 브릿지부의 상면이 제1 코너부 또는 제2 코너부의 상면보다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통해, 캘리퍼부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liper portion from opening and twisting.

또한, 본 발명의 브릿지부의 양측부 및 캘리퍼부의 수용홈이 라운드 처리되어, 캘리퍼 조립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bridge portion and the calip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unded to increase the life of the caliper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제1 코너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제2 코너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아, 차체에 조립되는 과정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vehicle body.

또한, 제1 코너부 또는 제2 코너부의 타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커팅되는 구조로 인해, 캘리퍼 조립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of the calipe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가 캘리퍼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P'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캘리퍼에, 캘리퍼 밴드가 맞닿는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aliper p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n enlarged view of a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P' of FIG. 3.
6 shows an area where the caliper band abuts on the second cal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etc.,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표축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x축 방향을 폭 방향으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한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디스크 브레이크와 먼 쪽을 외측, 가까운 쪽을 내측이라고 한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디스크 브레이크와 먼 쪽을 일단부, 가까운 쪽을 타단부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axis direction is determ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is defin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s determ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coordinate axis. In addition, a side far from a disk brak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sc brake is called an outer side, and the near side is called an inside. In addition, one end and a near end of the disk brak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disk brake are referred to as the other e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가 캘리퍼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살핀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liper band is coupled to the calip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2, the configuration of the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will be examined.

먼저, 캘리퍼 밴드(200)가 결합되는 캘리퍼부(100)에 대한 설명을 한다. 캘리퍼부(100)는 제1 캘리퍼(110) 및 제2 캘리퍼(120)를 포함한다.First, the caliper unit 100 to which the caliper band 200 is coupled will be described. The caliper part 100 includes a first caliper 110 and a second caliper 120.

제1 캘리퍼(110)와 제2 캘리퍼(120)는 맞닿아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캘리퍼(110)와 제2 캘리퍼(120) 사이에는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가 위치된다.The first caliper 110 and the second caliper 120 may be abutted and coupled, and a brake disc (not show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aliper 110 and the second caliper 120.

제1 캘리퍼(110)의 내측에는 실린더 홀(113)이 형성되며, 실린더 홀(113)에 휠 실린더(미도시)가 삽입된다. 실린더 홀(113)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지만, 제2 캘리퍼(120)의 내측 또한 실린더 홀이 형성되며, 휠 실린더가 삽입된다.A cylinder hole 113 is formed inside the first caliper 110, and a wheel cylinder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hole 113. A plurality of cylinder holes 113 may be formed. Although not show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aliper 120 also has a cylinder hole, and the wheel cylinder is inserted.

제1 캘리퍼(110)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하강되는 곡선 형상의 외측면(111)이 형성된다. 제1 캘리퍼 외측면(111)에는 제1 사이드부(211)의 내측면이 맞닿게 된다.The outer side of the first caliper 110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curved shape is formed in which both ends are lowered relative to the center.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portion 21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liper outer surface 111.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캘리퍼(120)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하강되는 곡선 형상의 외측면(121)이 형성된다. 제2 캘리퍼 외측면(121)에는 제2 사이드부(212)의 내측면이 맞닿게 된다.Similarly,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aliper 120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121 of a curved shape that both ends are lowered relative to the center.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ide portion 21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aliper outer surface 121.

제1 캘리퍼(110) 및 제2 캘리퍼(120)의 단부에는 단턱 형상을 지닌 제1 캘리퍼 단부(112) 및 제2 캘리퍼 단부(122)가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caliper end 112 and the second caliper end 122 having stepped shape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caliper 110 and the second caliper 120, respectively.

이때, 제1 캘리퍼 단부(112) 및 제2 캘리퍼 단부(122)에는 후술할 브릿지부(230)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캘리퍼 단부(112)에는 제1 수용홈(1121)이 형성되고, 제2 캘리퍼 단부(122)에는 제2 수용홈(1221)이 형성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aliper end 112 and the second caliper end 122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bridge por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a first receiving groove 1121 is formed at the first caliper end 112,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1221 is formed at the second caliper end 122.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캘리퍼 밴드(200)는 사이드부(210), 코너부(220) 및 브릿지부(230)를 포함한다. 캘리퍼 밴드(200)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The caliper band 200 includes a side portion 210, a corner portion 220 and a bridge portion 230. In order to explain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aliper band 200 and the effects thereof, reference is mad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이드부(210)는 제1 사이드부(211) 및 제2 사이드부(212)를 포함한다. 제1 사이드부(211) 및 제2 사이드부(21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사이드부(211)와 제2 사이드부(212)는 폭 방향으로 평행하다.The side part 210 includes a first side part 211 and a second side part 21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ide portion 21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side portion 21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12 are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제1 사이드부(211)의 내측면은 제1 캘리퍼 외측면(111)과 맞닿는다. 또한, 제1 캘리퍼 외측면(1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부로 갈수록 하강하하여 곡선을 그리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ortion 21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liper outer surface 1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curved structure by lowering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caliper outer surface 111.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사이드부(212)의 내측면은 제2 캘리퍼 외측면(121)과 맞닿는다. 또한, 제2 캘리퍼 외측면(1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부로 갈수록 하강하여 곡선을 그리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ortion 21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aliper outer surface 12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curved structure by lowering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cond caliper outer surface 121.

코너부(220)는 제1 코너부(221) 및 제2 코너부(222)를 포함한다.The corner portion 220 includes a first corner portion 221 and a second corner portion 222.

제1 코너부(221)는 제1 사이드부(211)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2 사이드부(212)를 향하여 절곡되는 형상이다.The first corner portion 221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211. In addition, the shape is bent toward the second side portion 212.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코너부(222)는 제2 사이드부(212)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사이드부(211)를 향하여 절곡되는 형상이다.Similarly,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ortion 212. In addition, the shape is bent toward the first side portion 211.

이때, 제1 코너부(22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거리(d1)는, 제2 코너부(22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거리(d2)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d1 from one end of the first corner part 221 to the other en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d2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rner part 222 to the other end.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의 평면도이다.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4 to explain this. 4 is a plan view of a calip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캘리퍼(110)에는 볼트 홀(114)이 형성된다. 캘리퍼부(100)가 차체에 연결될 때, 볼트 홀(114)을 통해 차체와 캘리퍼부(10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볼트 홀(114)은 일반적인 캘리퍼에 형상되는 구성요소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2, a bolt hole 114 is formed in the first caliper 110. When the calipe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body and the caliper unit 100 are connected through the bolt hole 114. The bolt hole 114 is a component formed in a general caliper,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제1 코너부(22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거리(d1)가 제2 코너부(22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거리(d2)와 동일하다면, 볼트 홀(114)과 제1 코너부(221)의 일 지점이 마주보게 되므로, 캘리퍼 밴드(200)가 결합된 캘리퍼부(100)를 차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간섭 부분이 발생된다. 이는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여 작업 효율을 낮추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distance d1 from one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to the other end is equal to the distance d2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to the other end, the bolt hole 114 Since one point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faces each other, an interference portion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aliper portion 100 to which the caliper band 200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is causes inconvenience to the worker and lowers work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코너부(22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거리(d1)는, 제2 코너부(22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거리(d2)보다 짧게 하여 간섭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1 from one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to the other en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d2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to the other end, and thus the interference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inimized.

제1 코너부(221)에는 제1 코너부 홀(H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코너부(222)에는 제2 코너부 홀(H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corner hole H1 is formed in the first corner part 221, and a second corner hole H2 is formed in the second corner part 222.

제1 코너부 홀(H1) 및 제2 코너부 홀(H2)은 캘리퍼부(100)에 미도시된 홀과 맞닿는다. 이때, 미도시된 볼트를 동시에 관통시키게 되면, 캘리퍼부(100)와 캘리퍼 밴드(200)를 고정시켜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The first corner hole H1 and the second corner hole H2 abut the hole not shown in the caliper part 100. At this time, when the bolt is not shown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y fixing the caliper 100 and the caliper band 200.

이때, 제1 코너부 홀(H1) 및 제2 코너부 홀(H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를 통한 고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irst corner hole H1 and the second corner hole H2. This is to form a fixed structure through the bolt.

제1 코너부(221)의 타단부에는 제1 코너부(221)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커팅되어 제1 절삭부(2211)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코너부(222)의 타단부에는 제2 코너부(222)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커팅되어 제2 절삭부(2221)가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is cut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the first cutting portion 2211 is formed. In addition, a second cutting part 222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rner part 222 by cutting at an angle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ner part 222.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의 'P'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5 to describe this in detail.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P' of FIG. 3.

제1 절삭부(2211)는 제1 코너부(221)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만약, 제1 절삭부(2211)가 존재하지 않고, 제1 코너부(221)의 상면이 평면을 이룬다면, 제1 코너부(221)의 타단부는 직각을 이루게 된다.The first cutting portion 2211 is form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If the first cutting part 2211 is not present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art 221 is fl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art 221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해당 부분은 제1 캘리퍼(110)와 맞닿아, 제1 캘리퍼(110)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직각인 경우에 반복적으로 캘리퍼부(100) 및 캘리퍼 밴드(200)를 조립 또는 분리하게 되면, 맞닿는 부분이 마모가 일어나게 된다. 그 결과, 캘리퍼 밴드(200)가 캘리퍼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화되어, 캘리퍼 조립체 전체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liper 110 to support the first caliper 110. However, when the caliper portion 100 and the caliper band 200 are repeatedly assembled or separated in a right angle, abutment may occur. As a result, the support force of the caliper band 200 to support the caliper part 100 is weaken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caliper assembly is weaken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절삭부(2211)가 제1 코너부(221)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하여 맞닿는 부분을 평면으로 처리하게 하여 마모도를 감소키기고, 궁극적으로 캘리퍼 조립체 전체의 내구성을 상승시키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ting portion 2211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so that the abutting portion is treated in a plane to reduce wear and ultimately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caliper assembly. We want to raise

이때, 소정의 각도(θ)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45도 미만인 경우 또는 45도 초과인 경우에는, 제1 절삭부(2211)가 제1 코너부(22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로 쏠리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캘리퍼(110)가 맞닿았을 때, 맞닿는 부분의 불균형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1 절삭부(2211)가 제1 코너부(22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θ)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ngle θ is preferably 45 degrees. When less than 45 degrees or more than 45 degrees, a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the first cutting portion 2211 is directed to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aliper 110 abuts, there is a problem that an imbalance of the abutting part is caus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cutting part 2211 from being leaned toward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art 221, the predetermined angle θ is preferably 45 degrees.

위에서는 제1 코너부(221)에 형성되는 제1 절삭부(2211)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코너부(222)에 형성되는 제2 절삭부(2221) 또한, 제1 절삭부(2221)와 마찬가지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utting portion 2211 formed at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the second cutting portion 2221 formed at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also has the first cutting portion 2221. Same as).

제2 절삭부(2221)는 제2 코너부(222)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또한, 소정의 각도(θ)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한다.The second cutting portion 2221 is form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ngle θ is preferably 45 degrees. As a result,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omitted in order to prevent redundant description.

이와 같이, 제1 절삭부(2211) 및 제2 절삭부(2221)가 제1 코너부(221) 및 제2 코너부(222)에 각각 형성되어, 캘리퍼부(100) 및 캘리퍼 밴드(200)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캘리퍼 조립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utting part 2211 and the second cutting part 2221 are formed at the first corner part 221 and the second corner part 222, respectively, and the caliper part 100 and the caliper band 200 are provided. Reduce wear and extend the life of the caliper assembly.

브릿지부(230)는 제1 코너부(221) 및 제2 코너부(222)를 잇는다. 따라서, 하나의 캘리퍼 밴드(200)에서는 한 쌍의 브릿지부(230)가 형성된다.The bridge portion 230 connects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Accordingly, a pair of bridge portions 230 are formed in one caliper band 200.

브릿지부(23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200)는 도 3을 기준으로, 중공부(S)가 형성되고, 시계 방향으로 제1 사이드부(211), 제1 코너부(221), 브릿지부(230), 제2 코너부(222), 제2 사이드부(212), 제2 코너부(222), 브릿지부(230), 제1 코너부(221)가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어 폐곡선 형상을 이룬다.The bridge portion 230 preferably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caliper b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portion S formed on the basis of FIG. 3, and the first side portion 211,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and the bridge portion 230 in the clockwise direction. ), The second corner part 222, the second side part 212, the second corner part 222, the bridge part 230, and the first corner part 221 are sequentially extended to form a closed curve shape.

도 3과 같이, 브릿지부(230)의 상면은 제1 코너부(221) 또는 제2 코너부(222)의 상면보다 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캘리퍼부(100)와 캘리퍼 밴드(200)가 맞닿을 때, 캘리퍼부(100)의 단부에서의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3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221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For this reason, when the caliper part 100 and the caliper band 200 contact, it serves to distribute the force in the edge part of the caliper part 100.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1 캘리퍼 단부(112)에는 일측부가 개방된 제1 수용홈(1121)이 형성되고, 제2 캘리퍼 단부(122)에는 일측부가 개방된 제2 수용홈(12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캘리퍼(110)와 제2 캘리퍼(120)가 맞닿아 조립되었을 때, 제1 캘리퍼 단부(112) 및 제2 캘리퍼 단부(122)의 제1 수용홈(1121) 및 제2 수용홈(1221)이 맞닿아 일단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receiving groove 1121 having one side open at the first caliper end 112 is formed,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1221 having one side open at the second caliper end 122. do. Therefore, when the first caliper 110 and the second caliper 120 are assemb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caliper end 112 and the second caliper end 122 are thus assembled. 1221 abuts to form a receiving groove having one end open.

수용홈의 형상은, 브릿지부(2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캘리퍼 밴드(200)가 캘리퍼부(100)에 결합되었을 때, 캘리퍼부(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용홈이 브릿지부(230)를 수용하여 암수결합 형태가 형성된다.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idge portion 230. Therefore, when the caliper band 200 is coupled to the caliper portion 100 as shown in FIG. 1,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caliper portion 100 receives the bridge portion 230 to form a male and female coupling shape.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캘리퍼부(100)의 단부와 캘리퍼 밴드(200)의 단부가 직접 맞닿은 경우보다, 캘리퍼부(100)의 단부에서의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Due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isperse the force at the end of the caliper portion 100 than when the end of the caliper portion 100 and the end of the caliper band 200 directly contact.

캘리퍼 밴드(200)가 캘리퍼부(100)의 하중을 오롯이 받는 구조가 아닌, 브릿지부(230)에 하중을 집중시키고, 양측부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 캘리퍼부(100)가 벌어지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aliper band 200 is not a structure that receives the load of the caliper portion 100, but concentrates the load on the bridge portion 230, reducing the force applied to both sides, the caliper portion 100 is open or twisted phenomen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이때, 브릿지부(230)의 양측부는 라운드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캘리퍼부(100)와 캘리퍼 밴드(200)는 조립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캘리퍼 밴드(200)의 양측부와 캘리퍼부(100)의 수용홈의 양측부가 반복적으로 맞닿을 경우 마모 현상이 발생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bridge portion 230 is round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or separating the caliper part 100 and the caliper band 200, a wear phenomenon occurs when both sides of the caliper band 200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aliper part 100 repeatedly contact each other.

이때, 브릿지부(230)의 양측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이 아닌 직각 구조라면, 마모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브릿지부(230)의 양측부가 라운드처리 되면, 마모를 감소시켜 캘리퍼 조립체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At this time, if both sides of the bridge portion 230 is a right angle structure instead of being rounded, there is a problem that wear is increased.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both sides of the bridge portion 230 is rounded, the effect of reducing wear and increasing the life of the caliper assembly occurs.

이때, 라운드 처리된 브릿지부(230)의 양측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캘리퍼부(100)의 수용홈 또한 양측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caliper part 100 is also rounded on both sides in correspondence to the shape of both sides of the rounded bridge portion 230 (see FIG.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캘리퍼에, 캘리퍼 밴드가 맞닿는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캘리퍼부(100)와 캘리퍼 밴드(200)가 맞닿는 부분을 살핀다.6 shows an area where the caliper band abuts on the second cal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the part where the caliper part 100 and the caliper band 200 contact each other will be examined.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캘리퍼(120)와 캘리퍼 밴드(200)가 맞닿는 것만을 설명하고, 맞은편의 제1 캘리퍼(110)와 캘리퍼 밴드(200)가 맞닿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overlapping description, only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caliper 120 and the caliper band 200 will be described, and a description of a portion where the opposite first caliper 110 and the caliper band 200 abut will be omitted. .

제2 캘리퍼(120)의 'A' 부분은 캘리퍼 밴드(200)의 사이드부(21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캘리퍼부(100)의 폭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캘리퍼 밴드(200)가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A portion of the second calip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210 of the caliper band 200. Due to this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the caliper band 200 can prevent the caliper portion 100 from opening and twist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이때, 제2 캘리퍼 외측면(121)과 사이드부(210)의 내측면은 추후에 별도의 접착 부재를 통해 고정력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liper outer surface 121 and the side portion 210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through a separate adhesive member later.

또한, 제2 캘리퍼(120)의 'B' 부분은, 제2 코너부(222)의 타단면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캘리퍼부(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캘리퍼 밴드(200)가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 portion of the second calip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Due to this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the caliper band 200 can prevent the caliper portion 100 from opening and twis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이때, 제2 캘리퍼의 'B' 부분과 제2 코너부(222)의 타단면은 추후에 별도의 접착 부재를 통해 고정력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 portion of the second caliper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may later increase the fixing force through a separate adhesive member.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제2 캘리퍼 단부(122)의 하면은 제2 코너부(222)의 상면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캘리퍼부(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캘리퍼 밴드(200)가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liper end 12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222. Due to this structure, the caliper band 200 is formed to prevent the caliper band 200 from opening and twis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폐곡선 형상으로 된 캘리퍼 밴드(200)가 캘리퍼부(100) 둘레를 감싸는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캘리퍼 밴드(200)는 캘리퍼부(100)의 폭 방향, 길이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캘리퍼부(100)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 structure in which the caliper band 200 having a closed curve shape surrounds the caliper part 100 is formed. In addition, the caliper band 200 has a structure that restrains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liper portion 100, thereby preventing the caliper portion 100 from opening and twisting. .

또한, 캘리퍼부(100)의 단부가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코너부(220)의 상면 및 타단면과 걸림 결합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바, 작업자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캘리퍼 밴드(2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코너부(220)에 캘리퍼부(100)를 올려놓기만 하면, 캘리퍼 밴드(200)가 캘리퍼부(100)의 둘레를 따라 맞닿게 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캘리퍼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caliper portion 100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the structure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220 is formed, the operator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caliper band 200 made of a closed curve The caliper band 20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caliper part 100 by simply placing the caliper part 100 on the corner part 220. That is, the work tim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aliper assembly by the operator is shortened,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밴드(200)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CFRP는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의 약자로,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정적 강도 뿐만 아니라 뛰어난 피로특성을 가지고 있어, 캘리퍼 밴드에 사용되기 적합하다.In addition, the caliper b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material. CFRP stands fo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It is a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 that has excellent properties and has excellent fatigue properties as well as static strength, making it suitable for use in caliper bands.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rt.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캘리퍼부
110…제1 캘리퍼
111…제1 캘리퍼 외측면
112…제1 캘리퍼 단부
113…실린더 홀
114…볼트 홀
120…제2 캘리퍼
121…제2 캘리퍼 외측면
122…제2 캘리퍼 단부
200…캘리퍼 밴드
210…사이드부
211…제1 사이드부
212…제2 사이드부
220…코너부
221…제1 코너부
2211…제1 절삭부
222…제2 코너부
2221…제2 절삭부
230…브릿지부
100... Caliper
110... First caliper
111... First caliper outer side
112... First caliper end
113... Cylinder hole
114... Bolt hole
120... 2nd caliper
121... Second caliper outer side
122... Second caliper end
200... Caliper band
210... Side part
211... First side part
212... 2nd side part
220... Corner
221... 1st corner part
2211... First cutting part
222... 2nd corner part
2221... 2nd cutting part
230... Bridge part

Claims (7)

브레이크 디스크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제1 캘리퍼 및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1 캘리퍼와 맞닿는 제2 캘리퍼를 포함하는 캘리퍼부에 결합되는 캘리퍼 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캘리퍼의 외측면과 맞닿는 제1 사이드부;
상기 제2 캘리퍼의 외측면과 맞닿는 제2 사이드부;
상기 제1 사이드부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사이드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코너부;
상기 제2 사이드부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사이드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코너부; 및
상기 제1 코너부 및 상기 제2 코너부를 잇는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캘리퍼 밴드는 폐곡선을 형성하여, 상기 캘리퍼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 가능하고,
상기 브릿지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코너부 또는 상기 제2 코너부의 상면보다 상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브릿지부의 양측부는 라운드 처리되고,
상기 캘리퍼부의 단부에는 상기 브릿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밴드.
In the caliper band coupled to the caliper portion including a first caliper positioned on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brake disc and a second caliper positioned on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brake disc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aliper,
A first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liper;
A second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liper;
A first corner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the first corner portion being bent toward the second side portion;
A second corner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ortion, the second corner portion being bent toward the first side portion; And
And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The caliper band forms a closed curve and can be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liper portion,
An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r the second corner portion,
Both sides of the bridge portion is rounded,
Caliper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idge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liper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코너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is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one end to the other of the second corner.
Caliper ba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1 코너부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커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밴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rn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Caliper ba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너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코너부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커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밴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at an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Caliper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 밴드의 재질은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of the caliper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Caliper band.
KR1020170174087A 2017-12-18 2017-12-18 Caliper band KR102020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087A KR102020664B1 (en) 2017-12-18 2017-12-18 Caliper band
PCT/KR2018/010268 WO2019124677A1 (en) 2017-12-18 2018-09-04 Caliper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087A KR102020664B1 (en) 2017-12-18 2017-12-18 Caliper b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28A KR20190073628A (en) 2019-06-27
KR102020664B1 true KR102020664B1 (en) 2019-09-11

Family

ID=6699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087A KR102020664B1 (en) 2017-12-18 2017-12-18 Caliper ban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0664B1 (en)
WO (1) WO2019124677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856A (en) 1994-07-15 1996-07-16 Kelsey-Hayes Company Antivibration clip which biases friction pad and caliper in same direction
JP2005511999A (en) 2001-12-10 2005-04-28 ソシエテ・アノニム・ベランジェ Brake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470A (en) * 1993-06-01 1994-12-13 Nissin Kogyo Kk Opposed piston type caliper of disc brake
DE10352141A1 (en) * 2003-11-04 2005-06-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igh performance disc brake with versatile assembly has selected spacer blocks linking two outer housings with at least one of the housings with mountings to fit into different vehicles
TW201305460A (en) * 2011-06-21 2013-02-01 Cwd Llc Monoblock brake caliper having crossover reinforcement elements
ITMI20120232A1 (en) * 2012-02-16 2013-08-17 Freni Brembo Spa ASSEMBLY OF SERVICE CLAMP AND STATION
US8544614B1 (en) * 2012-08-17 2013-10-01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Disc brake pad mounting and reten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856A (en) 1994-07-15 1996-07-16 Kelsey-Hayes Company Antivibration clip which biases friction pad and caliper in same direction
JP2005511999A (en) 2001-12-10 2005-04-28 ソシエテ・アノニム・ベランジェ Brake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677A1 (en) 2019-06-27
KR20190073628A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985A (en) Floating-caliper spot-type disc brake for high-powered vehicles
JP6185147B2 (en) Fixed caliper type disc brake with stabilized brake pads, and associated assembly and pad replacement method
US10718393B2 (en) Spring of a caliper of a disc brake
US20070170019A1 (en) Symmetric brake clip
US6026938A (en) Guide pin and bearing for a disc brake
US11434964B2 (en) Brake lining for a railway vehicle and disk brake equipped with the same
CN108071716A (en) For the controlled exposure guide pin of vehicle disc brake
KR101922258B1 (en) Disc brake
KR102020664B1 (en) Caliper band
US7845478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N208686550U (en) A kind of compressor foot pad and a kind of compressor
US9903428B2 (en) Connecting means for brake disc assembly
JP7024633B2 (en) Disc brake
KR101956137B1 (en) Caliper assembly
US10871197B2 (en) Brake pad retraction device
JP2021173312A (en) Floating type caliper
KR102372392B1 (en) Knuckle apparatus
US20240141959A1 (en) Return spring, brake pad equipped with return spring, and brake caliper equipped with brake pad
US20170219032A1 (en) Brake lining of disc brake device
KR20220152841A (en) Calliper assembly
KR102595873B1 (en) Multiple layer pad for disc brake
JP2008075750A (en) Opposed type disc brake
WO2020066487A1 (en) Disk brake
CN206072172U (en) A kind of function enhancement mode FN+ floating brake caliper
JP2008075735A (en) Vibration absorb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