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700B1 -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 Google Patents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700B1
KR102019700B1 KR1020170089859A KR20170089859A KR102019700B1 KR 102019700 B1 KR102019700 B1 KR 102019700B1 KR 1020170089859 A KR1020170089859 A KR 1020170089859A KR 20170089859 A KR20170089859 A KR 20170089859A KR 102019700 B1 KR102019700 B1 KR 10201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closing
hi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021A (ko
Inventor
윤정필
Original Assignee
윤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필 filed Critical 윤정필
Priority to KR102017008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6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consisting of two easily-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로 복잡한 구성의 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를 통해 개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바디의 일단부와 개폐 도어의 일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도어와 바디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결합 수단; 및 상기 바디에 대한 개폐도어의 폐쇄상태를 고정시키고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STRUCTURE HAVING OPEN-CLOSE STRUCTURE WITHOUT HINGE}
본 발명은 도어나 개폐형 함체와 같이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복잡한 구성의 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를 통해 개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구조는 도어뿐만 아니라, 사물함 또는 분전반 같은 구조체에서 문(도어)이나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의 개폐구조는 일반적으로 일측에 회전축봉이나 경첩을 부착하여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경첩을 이용하여 개폐구조를 갖는 경우, 도어의 수평균형을 맞추기 위해 경첩의 고정편과 회동편을 문틀과 여닫이문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시공이 어렵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 적용되는 경우, 뒤틀리거나 변형되어 문틀이나 함체에 잘 닫히거나 열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별도의 경첩을 구비해야 하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비용이 증가할 뿐만아니라, 쉽게 녹이 슬고, 외측으로 노출되어 미관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5-025261호(1995.09.15.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248호(2006.08.04.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214호(2001.05.15. 공고)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4465호(2014.05.28.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별도로 복잡한 구성의 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를 통해 개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바디의 일단부와 개폐 도어의 일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도어와 바디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결합 수단; 및 상기 바디에 대한 개폐도어의 폐쇄상태를 고정시키고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양면이 개방되는 양면 개방형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바디의 양면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기 바디와 개폐 도어가 조립되는 일단부의 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단 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절곡판; 상기 상향 절곡판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역 U자형으로 절개하여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향 돌기편; 상기 개폐 도어의 일단 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판; 및 상기 수평 연장판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그 일단 변으로부터 평면적으로 연장되며, 중앙부에 상기 상향 돌기편이 삽입되는 결합 장공이 형성되는 수평 끼움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 끼움결합편은 그 수평 끼움결합편의 평면상의 위치가 상기 수평 연장판의 평면상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기 바디와 개폐 도어가 조립된 후, 상기 개폐 도어가 바디에 대하여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개폐 도어가 바디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닫힐 때 상기 상향 돌기편이 수평 끼움결합편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상향 절곡판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스토퍼용 연장판, 및 상기 스토퍼용 연장판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상향 절곡판, 상향 돌기편, 수평 연장판, 수평 끼움결합편, 스토퍼용 연장판 및 스토퍼는 상기 바디 및 개폐 도어의 형성 시 일체로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가 바디를 폐쇄할 시 개폐 도어와 바디 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리콘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에 의하면, 별도로 복잡한 구성의 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를 통해 개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부가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되지 않아 구조체 자체의 외관 그대로 형성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구조체 자체로서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가 양측에 개폐도어를 갖는 경우에서, 바디와 개폐도어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측의 개폐도어는 폐쇄된 상태이고, 타측의 개폐도어는 분리되어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가 양측에 개폐되어를 갖는 경우에서, 일측의 개폐도어는 구비되고 타측의 개폐도어는 분리되어 생략한 상태에서 외측에서 바라본 것(a)과 내측에서 바라본 것(b)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바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개폐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바디와 개폐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고정해제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도어와 개폐부재와 그의 회전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도어와 개폐부재의 회전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b)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가 양측에 개폐도어를 갖는 경우에서, 바디와 개폐도어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측의 개폐도어는 폐쇄된 상태이고, 타측의 개폐도어는 분리되어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가 양측에 개폐되어를 갖는 경우에서, 일측의 개폐도어는 구비되고 타측의 개폐도어는 분리되어 생략한 상태에서 외측에서 바라본 것(a)과 내측에서 바라본 것(b)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바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개폐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바디와 개폐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고정해제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도어와 개폐부재와 그의 회전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도어와 개폐부재의 회전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b)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갖는 함체형 바디(100); 상기 함체형 바디(100)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200); 상기 바디(100)의 일단부와 개폐 도어(200)의 일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도어(200)를 상기 바디(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결합 수단; 및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이 구성되는 일단부의 대향 단부인 타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바디(100)에 대한 개폐도어(200)의 폐쇄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고정해제 수단(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체형 바디(100)와 개폐 도어(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도어(200)가 함체형 바디(100)를 폐쇄 할 시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 부재 또는 씰링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 또는 씰링 부재(500)는 실리콘 가스켓(silicon gaske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밀봉 부재 또는 씰링 부재인 실리콘 가스켓(500)은 개폐 도어(200)의 테두리부에 구비된다. 물론, 설계적 사항을 고려하여 상기 실리콘 가스켓(500)은 바디(100) 측의 테두리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함체형 바디(100)는 일측 면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바디로 이루어지거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 면이 개방된 사각형태의 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함체형 바디(100)는 문틀과 같은 구성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 도어(200)는 상기 함체형 바디(100)의 개방면을 커버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갖고 구성된다. 상기 개폐 도어(200)는 함체형 바디(100)가 일면 개방된 경우 일면에만 구성되고, 양면이 개방된 경우에는 양면 모두에 각각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양면 모두에 각각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회전 결합 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기 바디(100)의 일단 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절곡판(310)과, 상기 상향 절곡판(310)의 하나 이상의 개소(個所) 또는 복수 개소에서 역 U자형으로 절개하여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향 돌기편(320), 상기 개폐 도어(200)의 일단 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판(330), 및 상기 수평 연장판(330)의 하나 이상의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서 그 일단 변으로부터 평면적으로 연장되며, 중앙부에 상기 상향 돌기편(320)이 삽입되는 결합 장공(341)이 형성되는 수평 끼움결합편(3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100)에 형성되는 상향 돌기편(320)과 상기 개폐 도어(200)에 형성되는 수평 끼움결합편(340)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끼움결합편(340)은 도 5의 하면에서 바라본 것(최 좌측의 확대도)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그 수평 끼움결합편(340)의 평면상으로의 위치가 수평 연장판(330)의 평면상으로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평 끼움결합편(340)은 수평 연장판(330)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단부(342)가 일정 높이 상향으로 절곡된 후 수평적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상향 절곡판(310)과 상향 돌기편(320)은 바디(100)의 제작 시 또는 제작된 바디(100) 자체를 컷팅 및 절곡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 연장판(330) 및 수평 끼움결합편(340)은 개폐 도어(200)의 제작 시 또는 제작된 개폐 도어(200) 자체를 컷팅 및 절곡 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회전 결합 수단은, 바디(100)와 개폐 도어(200)가 조립된 후, 개폐 도어(200)가 바디(10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며, 다시 말해서 바디(100)에 대하여 개폐 도어(200)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또한 개폐 도어(200)가 바디(10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닫혀 폐쇄될 때 상향 돌기편(320)이 수평 끼움결합편(340)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그 회전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측에 구성되는 스토퍼 수단(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수단(350)은 도 4,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향 절곡판(3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스토퍼용 연장판(351) 및 상기 스토퍼용 연장판(351)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스토퍼(35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용 연장판(351) 및 스토퍼(352)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제작 시 또는 제작된 바디(100)를 컷팅 및 절곡 가공을 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 결합 수단은 종래의 경첩이나 힌지 구조와 같이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되지 않고, 개폐구조의 구조체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바디 및 개폐 도어)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두 메인 구성요소의 제작과 조립만으로도 개폐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어 제작성과 조립성 및 경제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고정해제 수단(400)은 개폐 도어(200)가 바디(100)의 개방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개폐 도어(200)와 바디(100) 간의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고정해제 수단(400)으로서 개폐 도어(200) 측에는 걸림 고리(410)가 형성되고 바디(100) 측에는 상기 걸림 고리에 걸리고 걸림 해제되는 걸림 링(420)과 록킹/록킹해제 레버(430)를 갖는 공지의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고정해제 수단(400)은 도면에 나타낸 잠금장치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고정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는 개폐 도어(200)가 바디(100)에 대하여 완전 개방형의 개폐 구조보다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방되는 개폐 구조를 갖는 구조체, 예를 들면 외부 배전반(배전함)이나 통신함체 또는 전자제품 등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 함체 등에 채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밀봉 부재나 씰링 부재(500)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적용되더라도 폐쇄된 상태에서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에 의하면, 별도로 복잡한 구성의 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를 통해 개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결합부가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되지 않아 구조체 자체의 외관을 그대로 형성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구조체 자체로서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바디
200: 개폐 도어
310: 상향 절곡판
320: 상향 돌기편
330: 수평 연장판
340: 수평 끼움결합편
341: 결합 장공
342: 기단부
350: 스토퍼 수단
351: 스토퍼용 연장판
352: 스토퍼
400: 고정/고정해제 수단
500: 밀폐 부재(또는 씰링 부재)

Claims (7)

  1.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바디의 일단부와 개폐 도어의 일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도어와 바디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결합 수단; 및
    상기 바디에 대한 개폐도어의 폐쇄상태를 고정시키고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향 절곡판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스토퍼용 연장판, 및 상기 스토퍼용 연장판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단 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절곡판;
    상기 상향 절곡판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역 U자형으로 절개하여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향 돌기편;
    상기 개폐 도어의 일단 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판; 및
    상기 수평 연장판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그 일단 변으로부터 평면적으로 연장되며, 중앙부에 상기 상향 돌기편이 삽입되는 결합 장공이 형성되는 수평 끼움결합편;을 포함하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양면이 개방되는 양면 개방형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바디의 양면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은 상기 바디와 개폐 도어가 조립되는 일단부의 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끼움결합편은 그 수평 끼움결합편의 평면상의 위치가 상기 수평 연장판의 평면상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상향 절곡판, 상향 돌기편, 수평 연장판, 수평 끼움결합편, 스토퍼용 연장판 및 스토퍼는 상기 바디 및 개폐 도어의 형성 시 일체로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가 바디를 폐쇄할 시 개폐 도어와 바디 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리콘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KR1020170089859A 2017-07-14 2017-07-14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KR10201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59A KR102019700B1 (ko) 2017-07-14 2017-07-14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59A KR102019700B1 (ko) 2017-07-14 2017-07-14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21A KR20190008021A (ko) 2019-01-23
KR102019700B1 true KR102019700B1 (ko) 2019-09-10

Family

ID=6532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59A KR102019700B1 (ko) 2017-07-14 2017-07-14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7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186Y1 (ko) * 2001-05-17 2001-10-15 노남열 가방의 잠금장치
JP6045772B2 (ja) * 2008-08-27 2016-12-14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接着剤組成物、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接着剤パターン、接着剤層付半導体ウェハ、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863U (ko) * 1975-12-04 1977-06-08
JPS6045772U (ja) * 1983-09-01 1985-03-30 株式会社 大和建設 排水管自動防虫器
JP3188090B2 (ja) 1994-02-17 2001-07-16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油ポンプ
KR200223214Y1 (ko) 2000-12-23 2001-05-15 김삼홍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KR200423248Y1 (ko) 2006-03-24 2006-08-04 김준배 사물함
KR20140064465A (ko) 2012-11-20 2014-05-28 남연우 무경첩 욕실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186Y1 (ko) * 2001-05-17 2001-10-15 노남열 가방의 잠금장치
JP6045772B2 (ja) * 2008-08-27 2016-12-14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接着剤組成物、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接着剤パターン、接着剤層付半導体ウェハ、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21A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2703B2 (ja) 電気設備のための封止体
KR101929808B1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US942275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2019700B1 (ko) 무힌지 개폐구조를 갖는 구조체
EP2940236B1 (en) Damper, striker assembly and vehicle
JP2016140144A (ja) 住宅用分電盤
US20170226773A1 (en) Weather resistant pin lock
CN208633688U (zh) 一种锁孔盖安装结构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AU732702B2 (en) Handle for a door or a lid of electrical cabinets
JP4699912B2 (ja) トイレブース用ドア
JP5972023B2 (ja) ロック装置
JP2008078545A (ja) キャビネット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JP4299097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5959054B2 (ja) 天井点検口
KR102130500B1 (ko) 도어용 힌지어셈블리
KR101971774B1 (ko) 개방각도를 확보토록 한 안전도어
KR10087967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가능한 작동 글래스 설치 구조
KR20130003229U (ko) 후크를 이용한 도어 열림 고정형 분전함 커버
KR200246104Y1 (ko) 출입문의 힌지커버장치
KR20170053934A (ko) 공중화장실 여닫이문 틈새 폐쇄장치
CN203788581U (zh) 一种电控柜的外壳结构
CN114846209A (zh) 电气设施的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