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89B1 -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 Google Patents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89B1
KR102019289B1 KR1020170158849A KR20170158849A KR102019289B1 KR 102019289 B1 KR102019289 B1 KR 102019289B1 KR 1020170158849 A KR1020170158849 A KR 1020170158849A KR 20170158849 A KR20170158849 A KR 20170158849A KR 102019289 B1 KR102019289 B1 KR 10201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blade
cutting
coupling groov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539A (ko
Inventor
권현욱
서준원
송재우
Original Assignee
권현욱
서준원
송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욱, 서준원, 송재우 filed Critical 권현욱
Priority to KR102017015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필 깎기가 탑재된 문구용 칼은 칼날과,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홈을 형성시켜 칼날의 일부분을 결합홈에 노출시키는 칼집부와, 상기 칼날의 타단에 결합하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칼날을 가이드공의 선단으로 노출시키는 조절부와,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빗각으로 형성시킨 유입구에 연필을 내입시키면 칼날에 연필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회전에 의해 연필을 깎는 절삭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Pencil sharpener and stationery knife}
본 발명은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구용 칼의 용도 이외에 연필을 깎는 용도로도 사용을 겸용할 수 있도록 문구용 칼의 사용에 대한 호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류절단용 칼은 문구용으로 사용되는 칼로서 절단하고자 하는 지류의 두께에 따라 칼날의 길이를 가변시켜 지류를 절단하는데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지류 절단 이외에도 여러 가지 용도로 흔히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지류절단용 칼을 도 1을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지류절단용 칼은, 도 1에서와 같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파지부(4000)와, 상기 파지부(4000)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결합공(2000)이 형성된 지류 절단날(1000)과, 상기 지류 절단날(1000)의 결합공(2000)에 결합되어 지류 절단날(10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300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파지부(4000) 중앙의 절개부 상에는 조절구(3000)의 조작시 지류 절단날(100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요철(500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4000) 후방에는 조립시 조절구(3000)의 이탈 방지 기능을 행하는 한편 상기 파지부(4000)로부터 탈거시 지류 절단날(10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탈 방지구(6000)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류절단용 칼은 그 구조적인 특징상, 사용시 다음과 같은 한계 및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지류절단용 칼은, 지류를 직선으로 절단할 시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으나, 연필 등을 깍을 때 숙련도가 없으면 손을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숙련도에 따라 연필의 깍은 모양이 정상적으로 깎이지 않은 경우 연필이 이쁘지 않은 모양으로 깎이거나, 연필심을 지지하는 나무 지지대를 지나치게 많이 깎게 되는 경우 연필심이 쉽게 부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05598호,(2009.06.10) [특허문헌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363275호,(2004.09.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구용 칼의 용도 이외에 연필을 깎는 용도로도 사용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문구용 칼 기능 이외에 연필 깍기 기능을 더 포함하여 문구용 칼의 사용에 대한 호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필을 깎는 용도의 절삭부를 칼집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배출홈을 통해 반출된 연필 심과 나무칩 이외에 남아 있는 절삭물들을 손쉽게 제거할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은 칼날과,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홈을 형성시켜 칼날의 일부분을 결합홈에 노출시키는 칼집부와, 상기 칼날의 타단에 결합하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칼날을 가이드공의 선단으로 노출시키는 조절부와,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빗각으로 형성시킨 유입구에 연필을 내입시키면 칼날에 연필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회전에 의해 연필을 깎는 절삭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칼집부는 단면이 공간의 양측에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어느 하나의 격벽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는 배출홈이 형성되어 연필을 깎을 때 발생하는 흑연과 절삭칩을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삭부는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어느 하나의 격벽을 결합하기 위해 상면에 결합홈을 형성한 제1벽면과, 상기 제1벽면 외부면에 빗각으로 돌출시켜 내부에 형성시킨 유입공으로 연필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연필의 선단을 제1벽면 내부면으로 노출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제1벽면 하부에 이음되어 이격되게 상부로 직립시켜 배출홈을 제외한 형성된 결합홈 단부와 밀착되는 제2벽면으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은 칼날과,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홈을 형성시켜 칼날의 일부분을 결합홈에 노출시키는 칼집부와, 상기 칼날의 타단에 결합하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칼날을 가이드공의 선단으로 노출시키는 조절부와,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빗각으로 형성시킨 유입구에 연필을 내입시키면 칼날에 연필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회전에 의해 연필을 깎는 절삭부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문구용 칼의 용도 이외에 연필을 깎는 용도로도 사용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문구용 칼 기능 이외에 연필 깍기 기능을 더 포함하여 문구용품 사용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문구용 칼을 통해 연필을 깎을 때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연필을 항상 동일한 모양으로 미려하게 깎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은 연필을 깎는 용도의 절삭부를 칼집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배출홈을 통해 반출된 연필 심과 나무칩 이외에 남아 있는 절삭물들을 손쉽게 제거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구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10은 칼날 100, 칼집부 200 및 절삭부 400로 구성한다.
상기 칼날 100은 선단이 뾰쪽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공 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 100의 일측면에 복수의 절단홈 510을 등간격으로 형성시켜 무뎌진 칼날 100에 전단력을 제공하면 파단홈 103을 통해 단계적으로 칼날 100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칼집부 200은 상기 칼날 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 210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공 220이 형성되며 하부에 공간 210과 연통되는 결합홈 230을 형성시켜 칼날 100의 일부분을 결합홈 230에 노출시킨다.
즉, 상기 칼집부 200은 내부에 양측면이 개구된 공간 210을 형성하여 상기 칼날 100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칼날 100의 뾰족한 부분이 공간 210 선단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210에는 조절부 30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칼날 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칼날 100의 끝단에 형성시킨 고정공 102에 조절부 300에 형성시킨 고정턱 320을 결합하여 공간 210에서 일체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 300은 상기 칼날 100의 타단에 결합하여 공간 2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칼날 100을 가이드공 220의 선단으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조절부 300은 측면에 푸쉬버튼 310을 돌출되게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공 220을 통해 외부로 푸쉬버튼 310이 노출되어 조절부 300을 손쉽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간 210의 일측에 개구된 부분에는 마감부 500을 결합하여 공간 210의 일측을 밀폐시킨다.
상기 마감부 500에는 절단홈 510을 형성시켜 무뎌진 칼날 100의 뾰족한 선단을 절단시키고자 할 때에는 칼집부 200에서 마감부 500을 분리하여 절단홈 510에 칼날 100 선단을 내입시킨 후 전단력을 발생시키면 파단홈 103에 의해 칼날 100의 선단을 절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부 500에는 자석 520을 설치하여 절단된 칼날 100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절단된 칼날 100 수거에 안전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절삭부 400은 상기 결합홈 2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빗각으로 형성시킨 유입구 410에 연필 11을 내입시키면 칼날 100에 연필 11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회전에 의해 연필 11을 깎는다.
즉, 상기 절삭부 400은 선택적으로 칼집부 200에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칼집부 200은 단면이 공간 210의 양측에 한 쌍의 격벽 240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 400이 끼움 결합되도록 된다.
즉, 격벽 240은 공간 210의 양측에 제1격벽 241과 제2격벽 242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격벽 240 중 어느 하나의 격벽 24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 230의 상부에는 배출홈 240이 형성되어 연필 11을 깎을 때 발생하는 흑연과 절삭칩을 배출한다.
이는, 제2격벽 242에 형성된 결합홈 230 상부에 배출홈 240을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절삭부 400은 유입구 410을 통해 연필 11을 돌려서 깎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절삭부 400은 제1벽면 420, 유입구 410 및 제2벽면 430로 구성한다.
상기 제1벽면 420은 상기 한 쌍의 격벽 240 중 어느 하나의 격벽 240을 결합하기 위해 상면에 결합홈 2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홈 230은 제1격벽 241의 단부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 410은 상기 제1벽면 420 외부면에 빗각으로 돌출시켜 내부에 형성시킨 유입공 411로 연필 11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연필 11의 선단을 제1벽면 420 내부면으로 노출시킨다.
이는, 유입공 411로 내입된 연필 11의 선단에 칼날 100이 밀착되고, 상기 연필 11을 회전시키면 칼날 100과의 마찰력에 의해 연필 11의 심과 나무를 깎는다.
이때, 상기 제2벽면 430은 상기 제1벽면 420 하부에 이음되어 이격되게 상부로 직립시켜 배출홈 240을 제외한 형성된 결합홈 230 단부와 밀착되어 연필 11에서 절삭된 심과 나무칩이 배출홈 240을 통해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11 : 연필 100 : 칼날
101 : 선단 102 : 고정공
103 : 파단홈 200 : 칼집부
210 : 공간 220 : 가이드공
230 : 결합홈 240 : 배출홈
240 : 격벽 241 : 제1격벽
242 : 제2격벽 300 : 조절부
310 : 푸쉬버튼 320 : 고정턱
400 : 절삭부 410 : 유입구
411 : 유입공 420 : 제1벽면
430 : 제2벽면 500 : 마감부
510 : 절단홈 520 : 자석

Claims (3)

  1. 칼날과,
    상기 칼날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홈을 형성시켜 칼날의 일부분을 결합홈에 노출시키는 칼집부와,
    상기 칼날의 타단에 결합하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칼날을 가이드공의 선단으로 노출시키는 조절부와,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빗각으로 형성시킨 유입구에 연필을 내입시키면 칼날에 연필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회전에 의해 연필을 깎는 절삭부로 구성하되,
    상기 칼집부는 단면이 공간의 양측에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어느 하나의 격벽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는 배출홈이 형성되어 연필을 깎을 때 발생하는 흑연과 절삭칩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어느 하나의 격벽을 결합하기 위해 상면에 결합홈을 형성한 제1벽면과,
    상기 제1벽면 외부면에 빗각으로 돌출시켜 내부에 형성시킨 유입공으로 연필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연필의 선단을 제1벽면 내부면으로 노출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제1벽면 하부에 이음되어 이격되게 상부로 직립시켜 배출홈을 제외한 형성된 결합홈 단부와 밀착되는 제2벽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KR1020170158849A 2017-11-24 2017-11-24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KR10201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849A KR102019289B1 (ko) 2017-11-24 2017-11-24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849A KR102019289B1 (ko) 2017-11-24 2017-11-24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539A KR20190060539A (ko) 2019-06-03
KR102019289B1 true KR102019289B1 (ko) 2019-11-04

Family

ID=6684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849A KR102019289B1 (ko) 2017-11-24 2017-11-24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7373U (ko) * 1979-06-09 1980-12-19
KR200363275Y1 (ko) 2004-06-16 2004-10-01 김용 연필깎기
KR101187902B1 (ko) 2007-07-09 2012-10-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전자파일 출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539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345B2 (en) Combination utility knife
US8069571B2 (en) Spring back safety and film cutter
EP2957371B1 (en) Saw blade with multiple tangs
KR101748972B1 (ko) 절삭 공구 및 스토퍼 표면을 갖는 절삭 인서트
JPH01501538A (ja) 切削インサート
US20100162570A1 (en) Combination Tool
US20080235955A1 (en) Jab saw with accessible internal fastening location
US20110219619A1 (en) Nail clippers
US2691822A (en) Cable stripping tool
KR102019289B1 (ko) 연필 깎기 겸용 문구용 칼
US3406447A (en) Carton cutter
US4510688A (en) Seam ripper
KR101924398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커터칼
JP6356994B2 (ja) カッター
CN210173622U (zh) 刀片可更换的刀具
KR200363275Y1 (ko) 연필깎기
KR101457484B1 (ko) 탄성 칼날돌출식 안전커터
US4510824A (en) Sharpener device with guide means
US672157A (en) Cigar-cutter.
KR102416670B1 (ko) 시트지 제거장치
KR102102598B1 (ko) 커터
KR20080001932U (ko) 연필깎기
KR200416723Y1 (ko) 쟁기 칼
KR200277130Y1 (ko) 연필깎기
US907936A (en) Bolt-c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