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090B1 -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090B1
KR102019090B1 KR1020170154504A KR20170154504A KR102019090B1 KR 102019090 B1 KR102019090 B1 KR 102019090B1 KR 1020170154504 A KR1020170154504 A KR 1020170154504A KR 20170154504 A KR20170154504 A KR 20170154504A KR 102019090 B1 KR102019090 B1 KR 10201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rm
armrest
support
w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514A (ko
Inventor
김기종
유지웅
Original Assignee
(주) 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트라 filed Critical (주) 파트라
Priority to KR102017015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0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업무형태 및 신체조건에 따라 적합하도록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팔걸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암지지체; 암지지체의 상단에 놓여지는 팔걸이대; 팔걸이대내에 형성된 앞뒤조절홀내로 삽입설치되는 뎁스블록;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단에 결합되도록 좌우조절홀내로 삽입설치되는 위드스블록; 위드스블록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암지지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로테이트블록; 위드스블록과 로테이트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뎁스블록을 중심으로 팔걸이대가 앞뒤이동되고, 로테이트블록을 중심으로 위드스블록, 뎁스블록 및, 팔걸이대가 회전이동되며, 위드스블록을 중심으로 뎁스블록과 팔걸이대가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A chair armrest with improved convenience and armchai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의자의 팔걸이가 앞뒤 이동조절, 좌우 폭조절, 회전 각도조절 및 상하 이동조절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무실 안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 등,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사람들이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의자에 앉은 사람(사용자)에게 최대한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기능성 의자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리와, 상기 좌석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요추)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좌석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와,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등받이를 플라스틱이나 천 등의 유연 또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만들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일정각도만큼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설치하고, 좌석에 앉은 사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팔걸이의 높이 및 위치를 변경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의자에 설치되어 있는 팔걸이는 암패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거나, 암패드의 일측끝단을 중심으로 암패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종래 의자의 팔걸이는 변경범위 및 이동방향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즉,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자의 팔걸이는 팔걸이의 위치를 조절할 때마다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팔걸이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팔걸이의 위치변경이 매우 번거롭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패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팔걸이 위치변경의 범위를 넓게 한 것도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팔걸이는 위치 변경을 위한 내부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45803(2012.05.07)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06095(2012.01.09)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43935(2007.07.24)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0285(2004.08.18)
본 발명의 목적은 업무형태 및 신체조건에 따라 적합하도록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팔걸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암지지체; 암지지체의 상단에 놓여지는 팔걸이대; 팔걸이대내에 형성된 앞뒤조절홀내로 삽입설치되는 뎁스블록;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단에 결합되도록 좌우조절홀내로 삽입설치되는 위드스블록; 위드스블록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암지지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로테이트블록; 위드스블록과 로테이트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뎁스블록을 중심으로 팔걸이대가 앞뒤이동되고, 로테이트블록을 중심으로 위드스블록, 뎁스블록 및, 팔걸이대가 회전이동되며, 위드스블록을 중심으로 뎁스블록과 팔걸이대가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뎁스블록, 위드스블록, 로테이트블록에 의해 팔걸이대가 전후방향 이동, 좌우방향 이동, 좌우방향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이로 인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부품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팔걸이대의 사이간격이 다단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팔걸이대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업무형태에 따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팔걸이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의자에 편안한 상태로 앉아서 장시간 동안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팔걸이대의 앞뒤조절홀내로 뎁스블록이 삽입되고, 뎁스블록의 좌우조절홀내로 위드스블록이 삽입되며, 위드스블록이 롤러에 의해 로테이트블록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어, 팔걸이대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전후좌우 및 회전이동된다.
본 발명은 암지지체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될 경우, 4축 방향이동 즉, 전후방향, 좌우방향, 좌우회전, 상하방향으로 팔걸이대가 이동되므로, 의자의 팔걸이대가 4D 이동성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암지지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패드커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뎁스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위드스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테이트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 팔걸이대의 앞뒤간격조절이 도시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 팔걸이대의 팔걸이대의 폭조절을 도시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 팔걸이대의 회동(회전각도조절)작동상태가 도시된 예시도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암지지체(10)와, 암지지체의 상단에 놓여지는 팔걸이대(20)와, 팔걸이대(20)내에 형성된 앞뒤조절홀내로 삽입설치되는 뎁스블록(30)과,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단에 결합되도록 좌우조절홀내로 삽입설치되는 위드스블록(40)과, 위드스블록(40)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암지지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로테이트블록(50)과, 위드스블록(40)과 로테이트블록(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롤러(60)를 포함하여,
뎁스블록(30)을 중심으로 팔걸이대(20)가 앞뒤이동되고, 로테이트블록(50)을 중심으로 위드스블록(40), 뎁스블록(30) 및, 팔걸이대(20)가 회전이동되며, 위드스블록(40)을 중심으로 뎁스블록(30)과 팔걸이대(20)가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지지체(10)는 의자의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의자의 골격)에 연결설치되어 팔걸이대(20)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대(20)가 접촉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된 상단플레이트(11)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플레이트(11)에는 로테이트블록(50)이 고정설치되는 체결구(1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12)는 로테이트 블록(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 및, 뎁스블록(30)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으로, 팔걸이대(20)의 전후, 좌우, 회전이동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 되므로, 그 갯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로테이트블록(50)의 안정적인 고정 및, 팔걸이대(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상단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2개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지지체(10)는 그 구조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예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암포스트(15)와, 암포스트(15)가 삽입결합되는 암커버(16)와, 암커버(16)내로 삽입되어 암커버(16)에 고정설치되고 상면에 체결구(12)가 돌출형성된 암서포트(14)와, 암서포트(14)와 암포스트(15)에 연결설치되어 암서포트(1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팔걸이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7)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포스트(15)는 하측(15a)이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200)에 고정설치되고, 암서포트의 하단이 삽입되는 수용홀(15c)을 구비하도록 상측(15b)이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용홀(15c)과 연통되도록 일측에 복수의 높이조절홀(1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서포트(14)는 체결구(12)가 돌출형성된 상단플레이트(11)와, 상기 상단플레이트(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암포스트의 수용홀(15c)내로 삽입되는 지지대(1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3)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의 암로드(18)가 삽입설치되도록 일측면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암로드 삽입홈(13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암로드 삽입홈(13a)과 관통홀(13b)에 의해 연통되도록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록킹스프링홈(1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로드 삽입홈(13a)내에는 스프링돌기(13d) 및 로드가이드구(13e)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커버(16)는 높이조절홀(15d)이 형성된 암포스트의 상측(15a)이 삽입되는 중공홀(16a)을 구비하고, 암서포트의 상단플레이트(11)에 볼트고정된다.
즉, 상기 암커버(16)는 암서포트의 지지대(13)가 중공홀(16a)내에 위치하도록 암서포트의 상단플레이트(11)에 볼트고정되고, 상기 중공홀(16a)내에 위치하는 암서포트의 지지대(13)는, 중공홀(16a)내로 삽입되는 암포스트의 상측(15a)에 형성된 수용홀(15c)내로 삽입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7)는 암포스트(15)에 대하여 암서포트(14)의 높이를 상하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서포트의 암로드 삽입홈(13a)내로 삽입되는 암로드(17a)와, 암로드(17a)에 일측이 지지되고, 암서포트의 스프링돌기(13d)에 타측이 지지되도록 암로드(17a)와 암서포트의 지지대(13)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스프링(17c)과, 암서포트의 록킹스프링홈(13c) 및 관통홀(13b)내로 삽입설치되는 록킹블록(17d)과, 록킹블록(17d)을 암포스트의 높이조절홀(15d) 방향으로 탄성이동시키도록 암로드(17a)에 형성된 록킹스프링홈(13c)내로 삽입설치되는 록킹스프링(17e)과, 암로드의 가이드홀(17b)을 관통하는 암서포트의 로드가이드구(13e)에 체결되어 암로드(17a)의 위치를 지지하는 가이드 고정구(17f)를 포함한다.
상기 암로드(17a)는 상측에 암커버(16)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17g)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로드스프링(17c)이 삽입설치되는 스프링 설치홀(17h)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암로드(17a)는 스프링 설치홀(17h)내 암서포트의 스프링돌기(13d)가 삽입되도록 암서포트의 암로드 삽입홈(13a)내로 삽입되며, 암서포트의 로드가이드구(13e)에 체결되는 가이드 고정구(17f)에 의해 암로드 삽입홈내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로드(17a)는 로드스프링(17c)에 의해 암로드(17a)가 암로드 삽입홈(13a)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고정구(17f)는 플랜지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블록(17d)은 암포스트의 높이조절홀(15d)내로 일측이 삽입되어 암서포트(14)의 높이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하단 경사면(17i,17k)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높이조절홀(15d)내로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록킹스프링(17e)의 탄성력에 의해 높이조절홀(15d)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블록(17d)은 록킹스프링(17e)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시, 록킹블록의 후단(17m)이 암서포트의 관통홀(13b)를 통해, 암로드 삽입홈(13a) 방향으로 돌출되어, 높이조절홀(15d)로부터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부(17)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스프링(17c)의 탄성력에 의해 암로드(17a)가 암로드 삽입홈(13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관통홀(13b)을 폐쇄하게 되고, 관통홀(13b)의 폐쇄에 의해 록킹블록(17d)의 수평방향 이동이 차단되어 암포스트(15)의 높이조절홀(15d)내에 위치하는 록킹블록(17d)의 위치가 고정되어, 팔걸이대(20)가 연결설치되어 있는 암서포트(14)의 높이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암서포트(14)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의 록킹스프링홈(13c)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홈(13f)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스토퍼홈(13f)이 더 형성될 경우, 스토퍼볼트(15e)의 끝단이 스토퍼홈(13f)내로 삽입되도록 암포스트(15)에 스토퍼볼트(15e)를 체결하여, 암서포트(14)의 상하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대(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지체의 상단플레이트(11)에 놓여지는 암패드커버(21)와, 암패드커버(21)에 결합되어 로테이트블록(50), 위드스블록(40), 뎁스블록(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암패드(26)를 포함한다.
상기 암패드커버(21)는 도 1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깊이로 앞뒤조절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앞뒤조절홀(22)내에 설치홀(25)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뒤조절홀(22)은 뎁스블록(30)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벽체(23)와, 뎁스블록의 탄성돌기가 삽입되도록 산(철)부와 골(요)부가 연속적으로 반복형성된 파형벽체(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형벽체(24)는 앞뒤조절홀(22)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산(철)부와 산(철)부가 서로 마주보고, 골(요)부와 골(요)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벽체(23)는 하나의 평면벽체로 이루어지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벽체(23)는 앞뒤조절홀(22)내로 삽입설치된 뎁스블록(30)이 흔들림없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패드(26)는 암패드커버(21)에 일체로 끼움결합되거나, 볼트, 스크류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뎁스블록(30)은 도 1, 도 2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조절홀(31)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조절홀(31)을 가로질러 위드스블록(40)이 안착되는 좌우조절대(32)가 위치하고, 앞뒤조절홀의 파형벽체(24)에 결합되는 탄성돌기(33)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돌기(33)가 형성된 양측내부에 탄성홀(34,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좌우조절홀(31)은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좌우조절대(32)에 의해 전/후방향 2개로 분리되고, 상기 2개로 분리된 좌우조절홀(31)내로 암서포트의 체결구(12)가 삽입되며, 탄성홀(34,35)의 외곽라인 일측에 탄성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돌기(33)는 팔걸이대의 파형벽체의 요(凹)부내로 삽입되어 뎁스블록(30)의 위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파형벽체의 철(凸)부에 접촉될 시에는, 탄성홀(34,35)내로 이동되고 파형벽체의 요(凹)부를 통과할 시에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탄성홀(34,35)에서 튀어나와 요(凹)부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뎁스블록(30)은 일측 탄성홀(34)내에는 탄성돌기(33)를 외측방향 즉, 팔걸이대의 파형벽체(24)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편(37)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일측 탄성돌기의 지지력이 더욱 증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지지편(37)이 더 구비될 경우, 팔걸이대의 앞뒤조절홀(22)내에 뎁스블록(30)이 유격현상없이 삽입설치되고, 팔걸이대(20)의 슬라이딩된 위치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편(37)은 양측에 위치하는 탄성홀(34,35)내에 모두 설치될 경우, 앞뒤조절홀(22)과 뎁스블록(30)의 결합력이 지나치게 증대되어, 팔걸이대(20)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일측 탄성홀(34)내에만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좌우조절대(32)는 상측에 위드스블록의 스냅돌기가 결합되는 복수의 위치조절단(36)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스냅돌기가 결합되는 위치조절단의 위치에 따라 뎁스블록(30)의 좌우방향 위치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좌우조절대(3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좌우조절홀(31)의 폭방향으로 2개의 이동레일(39)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39)의 상측에 스냅돌기(44)가 결합되는 복수의 위치조절단(36)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이동레일(39)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될 경우, 이동레일(39) 사이에 폭방향 가이드(38)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폭방향 가이드(38)내로 위드스블록(40)의 일측이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드스블록(40)은 팔걸이대(20)가 좌우방향으로 다단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 상에 위치하도록 뎁스블록의 좌우조절홀(31)내에 설치된다.
상기 위드스블록(40)은 몸체(41)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로테이트 블록(50)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중앙회전돌기(42)와, 상기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몸체상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조절홈(43)과, 몸체 하측에 구비되어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가 삽입되는 지지홈(47)과, 상기 지지홈내에 위치하여 좌우조절대(32)의 위치조절단(36)에 결합되는 스냅돌기(4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위드스블록(40)은 몸체(41)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회전조절홈(43)을 구비하고, 상면 중앙에 중앙회전돌기(42)가 돌출형성되며, 몸체(41)의 하부에 소정깊이로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드스블록(40)은 탄성력을 구비하는 스냅돌기(44)가 몸체(4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지지홈(47)내로 스냅돌기(44)를 구비하는 스냅(45)이 삽입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드스블록(40)은 뎁스블록(30)의 좌우조절대(32)에 구비된 폭방향 가이드(38)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돌기(46)는 지지홈(47)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몸체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위드스블록(40)과 뎁스블록(30)이 슬라이드돌기(46) 및 폭방향 가이드(38)를 더 구비할 경우, 위드스블록(40)을 중심으로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가 안정적으로 수평이동될 뿐 아니라, 위드스블록(40)과 뎁스블록(30)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좌우방향 회전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드스블록(40)은 지지홈(47)내로 좌우조절대(32)가 삽입되도록 또한, 스냅돌기(44)가 위치조절단(36)에 결합되도록 좌우조절대(32)상에 안착되도록 조립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위드스블록(40)은 지지홈(47)과 좌우조절대(32)의 조립에 의해 뎁스블록(3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며, 팔걸이대(2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뎁스블록과 일체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상기 로테이트 블록(50)은 뎁스블록(40)을 관통한 암서포트의 체결구(12)에 볼트체결되어 위드스블록(40)과 뎁스블록(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로테이트 블록(50)은 도 1, 도 2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드스블록의 중앙회전돌기(42)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중앙회전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롤러(60)가 삽입되는 롤러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3 은 볼트홀이다.
상기 롤러(6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트블록의 롤러홈(52)과 위드스블록의 회전조절홈(43)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팔걸이대(20)의 회전시,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위드스블록(40)이 회전되도록 구름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업무형태에 맞도록 팔걸이대의 전후간격조절, 좌우폭조절, 좌우방향 회전각조절되어, 다양하게 위치가 조절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대의 전후방향이동(앞뒤간격조절)을 도시한 것으로, 팔걸이대를 전방방향(F)으로 밀게 되면, 뎁스블록(30)은 위드스블록(40)에 의해, 또한 위드스블록(40)은 로테이트 블록(50)에 의해 전후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조립되어 있으므로, 팔걸이대(20)만 전방방향(F)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전방방향으로 이동되는 팔걸이대(20)는 앞뒤조절홀(22)의 파형벽체(24)가 뎁스블록의 탄성돌기(33)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므로, 탄성돌기(33)가 결합되는 파형벽체(24)의 요(凹)부 위치에 따라 전방방향으로 팔걸이대의 위치가 단계별로 고정된다.
즉, 상기 탄성돌기(33)는 전방방향으로 이동되는 팔걸이대의 힘에 의해 파형벽체의 철(凸)부에 접촉될 시에는 탄성홀(34,35)내로 압축삽입되고, 파형벽체의 요(凹)부에 위치할 시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요(凹)부내로 돌출결합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탄성돌기(33)가 결합되는 파형벽체(24)의 요(凹)부 위치에 따라 전방방향으로의 팔걸이대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대의 팔걸이대의 폭조절을 도시한 것으로, 팔걸이대를 화살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위드스블록(40)은 로테이트블록(5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되도록 조립되고, 뎁스블록(30)은 좌우조절대(32)가 위드스블록의 지지홈(47)내로 삽입되도록 조립되어 있으므로, 위드스블록(40)을 중심으로 팔걸이대(20)와 뎁스블록(30)이 일체로 이동된다.
이때,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는 팔걸이대(20)의 힘에 의해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가 위드스블록의 스냅돌기(44)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므로, 스냅돌기(44)가 결합되는 좌우조절대의 위치조절단(36) 위치에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팔걸이대(20)의 위치가 단계별로 고정된다.
즉, 상기 스냅돌기(44)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팔걸이대(20)의 힘에 의해, 좌우조절대의 위치조절단(36)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스냅돌기(44)가 끼움결합되는 위치조절단(36)의 위치에 따라 팔걸이대(20)가 고정되게 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대의 회동(회전각도조절)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팔걸이대(2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 팔걸이대의 앞뒤조절홀(22)내에 뎁스블록(30)이 위치하고,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가 위드스블록의 지지홈(47)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므로, 팔걸이대(20), 뎁스블록(30) 및 위드스블록(40)은 로테이트 블록(50)에 결합된 위드스블록의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회전이동된다.
이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팔걸이대(20)의 힘에 의해 로테이트 블록(50)과 위드스블록(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된 롤러(60)는 구름작동하면서, 회전이동되는 위드스블록의 회전조절홈(43)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롤러(60)가 삽입되는 회전조절홈(43)의 위치에 따라 팔걸이대(20)의 회전각이 조절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상태(팔걸이대 상하방향 이동)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팔걸이대(20)를 중심으로 암로드의 레버(17g)를 당기게 되면 암로드(17a)가 로드스프링(17c)을 압축하며 암로드 삽입홈(13a)을 따라 상향이동되어 관통홀(13b)이 개방되고, 관통홀(13b)이 개방된 상태에서 팔걸이대(20)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내리게 되면, 록킹블록(17d)의 상/하단경사면(17i,17k)이 암포스트에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홀(15d)을 타고 넘어 이동하게 된다. (도3참조)
이때, 상기 록킹블록(17d)은, 록킹스프링(17e)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블록의 후단(17m)이 개방된 암서포트의 관통홀(13b)를 통해, 암로드 삽입홈(13a) 방향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록킹스프링(17e)의 탄성력에 의해 높이조절홀(15d)내로 삽입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팔걸이대(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팔걸이대(20)가 필요로 하는 높이에 도달되었을 경우, 암로드의 레버(17g)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로드스프링(17c)의 탄성력에 의해 암로드(17a)가 암로드 삽입홈(13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관통홀(13b)이 폐쇄되고, 관통홀(13b)의 폐쇄에 의해 록킹블록(17d)의 수평방향 이동이 방지되며, 암포스트의 또다른 높이조절홀내에 록킹블록(17d)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팔걸이대(20)가 연결설치된 암서포트(14)의 높이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암지지체 (11) : 상단플레이트
(12) : 체결구 (13) : 지지대
(13a) : 암로드 삽입홈 (13b) : 관통홀
(13c) : 록킹스프링홈 (13d) : 스프링돌기
(13e) : 로드가이드구 (13f) : 스토퍼홈
(14) : 암서포트(ARM SUPPORT) (15) : 암포스트(ARM POST)
(15a) : 상측 (15b) : 하측
(15c) : 수용홀 (15d) : 높이조절홀
(15e) : 스토퍼볼트 (16) : 암커버
(16a) : 중공홀 (17) : 높이조절부
(17a) : 암로드(ARM ROAD) (17b) : 가이드홀
(17c) : 로드스프링 (17d) : 록킹블록(ROCKING BLOCK)
(17e) : 록킹스프링 (17f) : 가이드 고정구
(17g) : 레버 (17h) : 스프링 설치홀
(17i) : 상단 경사면 (17k) : 하단 경사면
(20) : 팔걸이대 (21) : 암패드커버(ARM PAD COVER)
(22) : 앞뒤조절홀 (23) : 지지벽체
(24) : 파형벽체 (25) : 설치홀
(26) : 암패드(ARM PAD) (30) : 뎁스블록(DEPTH BLOCK)
(31) : 좌우조절홀 (32) : 좌우조절대
(33) : 탄성돌기 (34,35): 탄성홀
(36) : 위치조절단 (37) : 탄성지지편
(38) : 폭방향 가이드 (39) : 이동레일
(40) : 위드스블록(WIDTH BLOCK) (41) : 몸체
(42) : 중앙회전돌기 (43) : 회전조절홈
(44) : 스냅돌기 (45) : 스냅(SNAP)
(46) : 슬라이드돌기 (47) : 지지홈
(50) : 로테이트블록(ROTATE BLOCK) (51) : 중앙회전홀
(52) : 롤러홈 (60) : 롤러
(100) : 팔걸이장치 (200) : 의자

Claims (11)

  1. 2개의 체결구(12)가 상단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돌출형성된 암지지체(10); 암지지체의 상단플레이트에 접촉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팔걸이대(20); 팔걸이대(20)내에 형성된 앞뒤조절홀(22)내로 삽입설치되는 뎁스블록(30);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위드스블록(40); 위드스블록(40)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팔걸이대 및 뎁스블록(30)의 좌우조절홀(31)을 관통한 2개의 체결구(12)에 볼트체결되어 위드스블록(40)과 뎁스블록(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위치가 고정설치되는 로테이트블록(50); 로테이트블록의 롤러홈(52)과 위드스블록의 회전조절홈(43)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위드스블록(40)이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름작동되는 롤러(60);를 포함하되,
    상기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는, 좌우조절홀(31)의 폭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측에 복수의 위치조절단(36)이 형성된 2개의 이동레일(39)과, 2개의 이동레일(39) 사이에 구비되는 폭방향 가이드(38)를 포함하고,
    상기 위드스블록(40)은, 몸체(41)의 상면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로테이트 블록의 중앙회전홀(51)내로 끼움결합되는 중앙회전돌기(42)와,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몸체상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조절홈(43)과, 몸체 하측에 구비되어 뎁스블록의 좌우조절대(32)가 삽입되는 지지홈(47)과, 지지홈(47)내로 삽입설치되고 좌우조절대(32)의 위치조절단(36)에 결합되는 스냅돌기(44)가 구비된 스냅(45)과, 상기 지지홈(47)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몸체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뎁스블록(30)의 폭방향 가이드(38)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46)를 포함하여,
    로테이트블록의 롤러홈(52)내에 설치된 롤러의 구름작동에 의해 로테이트블록(50)에 연결된 중앙회전돌기(42)를 중심으로 위드스블록(40)이 회전되어 뎁스블록(30) 및, 팔걸이대(20)가 회전이동되고,
    뎁스블록(30)의 좌우조절대(32)가 위드스블록(40)의 스냅돌기(44)에 접촉되며 이동되어 팔걸이대(20)가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며,
    뎁스블록(30)을 중심으로 팔걸이대(20)가 앞뒤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팔걸이대(20)는, 암지지체의 상단플레이트(11)에 놓여지는 암패드커버(21)와, 암패드커버(21)에 결합되어 로테이트블록(50), 위드스블록(40), 뎁스블록(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암패드(26)를 포함하되,
    상기 암패드커버(21)는 소정깊이로 앞뒤조절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앞뒤조절홀(22)내에 설치홀(25)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앞뒤조절홀(22)은 뎁스블록(30)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벽체(23)와, 뎁스블록의 탄성돌기가 삽입되도록 산(철)부와 골(요)부가 연속적으로 반복형성된 파형벽체(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뎁스블록(30)은, 좌우조절홀(31)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조절홀(31)을 가로질러 위드스블록(40)이 안착되는 좌우조절대(32)가 위치하고, 앞뒤조절홀의 파형벽체(24)에 결합되는 탄성돌기(33)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돌기(33)가 형성된 양측내부에 탄성홀(34,35)이 형성되되,
    상기 좌우조절대(32)는 상측에 위드스블록의 스냅돌기가 결합되는 복수의 위치조절단(36)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뎁스블록(30)은, 일측 탄성홀(34)내에 탄성지지편(37)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일측 탄성돌기(33)의 지지력이 증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암지지체(10)는,
    좌판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설치되고 일측에 복수의 높이조절홀(15d)이 형성된 암포스트(15)와,
    암포스트(15)가 삽입결합되는 암커버(16)와,
    암커버(16)가 상단플레이트(11)에 연결되고, 암포스트의 수용홀(15c)내로 지지대(13)가 삽입되며, 상단플레이트(11)에 체결구(12)가 돌출형성된 암서포트(14)와,
    암서포트(14)와 암포스트(15)에 연결설치되어 암서포트(1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팔걸이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높이조절부(17)는,
    암서포트의 암로드 삽입홈(13a)내로 삽입되는 암로드(17a)와,
    암로드(17a)에 일측이 지지되고, 암서포트의 스프링돌기(13d)에 타측이 지지되도록 암로드(17a)와 암서포트의 지지대(13)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스프링(17c)과,
    암서포트의 록킹스프링홈(13c) 및 관통홀(13b)내로 삽입설치되는 록킹블록(17d)과,
    록킹블록(17d)을 암포스트의 높이조절홀(15d) 방향으로 탄성이동시키도록 암로드(17a)에 형성된 록킹스프링홈(13c)내로 삽입설치되는 록킹스프링(17e)과,
    암로드의 가이드홀(17b)을 관통하는 암서포트의 로드가이드구(13e)에 체결되어 암로드(17a)의 위치를 지지하는 가이드 고정구(17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
  11. 청구항 1, 2, 3, 4, 9, 10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팔걸이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70154504A 2017-11-20 2017-11-20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KR10201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04A KR102019090B1 (ko) 2017-11-20 2017-11-20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04A KR102019090B1 (ko) 2017-11-20 2017-11-20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14A KR20190057514A (ko) 2019-05-29
KR102019090B1 true KR102019090B1 (ko) 2019-11-04

Family

ID=6667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504A KR102019090B1 (ko) 2017-11-20 2017-11-20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6045A (zh) * 2019-08-05 2019-10-29 江苏新泉汽车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车用扶手装置
CN113100599A (zh) * 2020-01-09 2021-07-13 陈羿儒 具多向调整的扶手靠垫
CN114052424B (zh) * 2020-07-31 2024-05-07 广力达企业有限公司 椅扶手
KR102327381B1 (ko) * 2021-05-13 2021-11-17 (주) 파트라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KR102573564B1 (ko) * 2023-05-26 2023-09-0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팔걸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74B1 (ko) * 2014-06-04 2014-12-11 (주) 파트라 편심회전이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JP6045015B2 (ja) * 2012-05-02 2016-12-1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729041B1 (ko) * 2017-01-12 2017-04-2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팔걸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85Y1 (ko) 2004-06-07 2004-08-25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 팔걸이의 회동장치
KR100743935B1 (ko) 2006-06-22 2007-07-30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KR101145803B1 (ko) 2009-09-21 2012-05-16 (주)유피스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106095B1 (ko) 2009-09-21 2012-01-18 (주)유피스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5015B2 (ja) * 2012-05-02 2016-12-1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470574B1 (ko) * 2014-06-04 2014-12-11 (주) 파트라 편심회전이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729041B1 (ko) * 2017-01-12 2017-04-2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팔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14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090B1 (ko) 편의성이 증대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US8662586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US5746480A (en) Armrest assembly
US4819986A (en) Reclining chair with suspended seating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CN101137306A (zh) 多用途座椅调整机构
DE19848074A1 (de) Stuhl
US20030015900A1 (en) Leisure chair capable of reclining, rocking and swiveling movements
KR20100129915A (ko)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CN203555399U (zh) 一种转椅底盘
US9565945B2 (en) Seating device having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20230190001A1 (en) 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KR101378063B1 (ko)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102327381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DE10200846B4 (de) Verschwenkbare Sitzanordnung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0390797Y1 (ko)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200424403Y1 (ko) 등받이 조절 및 볼바퀴가 달린 의자
KR100605035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CN220369738U (zh) 一种重力自适应靠背连动机构及座椅
CN218228751U (zh) 一种汽车后排座椅骨架总成
CN217987091U (zh) 一种新型座椅
JPH07139U (ja) 椅子の座部の揺動装置
KR19980025851U (ko) 리클라이닝 의자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