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498B1 -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498B1
KR102018498B1 KR1020180008089A KR20180008089A KR102018498B1 KR 102018498 B1 KR102018498 B1 KR 102018498B1 KR 1020180008089 A KR1020180008089 A KR 1020180008089A KR 20180008089 A KR20180008089 A KR 20180008089A KR 102018498 B1 KR102018498 B1 KR 10201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device
driver
worker
loading box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99A (ko
Inventor
정민관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Priority to KR102018000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4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2003/146Sensors, e.g. 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작업장치 조작부의 조작을 통한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적재함 후방에 설치된 작업장치의 승강 또는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작업장치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쓰레기의 적재 또는 개방된 적재함 후방을 밀폐하기 위해 작업장치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여 일정높이 이하로 작업장치가 하강되지 않도록 적재함 일측면에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하강이 정지되었던 작업장치를 다시 하강시켜 적재함 후방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적재함 후방 외측면에 후방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양수조작스위치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A Waste collective vehicle furnished with safe device for following workers}
본 발명은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차량의 후방에서 쓰레기를 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쓰레기가 배출된 적재함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자가 운전자의 부주의한 작업장치 조작에 의해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수거차량은 특장차량으로 분류되어 차량의 적재함에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함이 일반 차량들과는 전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쓰레기 수거차량의 종류를 살펴보면, 회전판과 밀판으로 이루어진 적재장치 파카를 이용해 쓰레기를 압착 적재하고 배출은 적재함을 덤프시켜 배출하는 압착식 진개형 쓰레기 차량과, 슬라이드판과 압축판으로 이루어진 적재장치 호파를 이용해 쓰레기를 압축 적재하고 배출은 적재함 내부의 배출판을 이용해 배출하는 압축식 진개형 쓰레기 차량과, 차량의 견인 후크 암에 의해 적재함을 차량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적재함을 덤프시켜 쓰레기를 배출하는 암롤차량과, 사방이 밀폐된 상태의 적재함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어 적재함 일측면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는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적재함 상부로 음식물쓰레기통을 들어 올려 적재함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차량과,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전용 쓰레기 수거차량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쓰레기 수거차량중 적재함 후방에서 쓰레기의 적재와 적하가 이루어지는 압착식 및 압축식 진개형 쓰레기 수거차량 경우, 적재함 후방에 쓰레기 적재에 필요한 작업장치가 구비되어 차량 후방에서 작업자가 쓰레기봉투를 적재함 후단 상면으로 들어 올린 후에 작업장치를 동작시켜 적재함 후단 상면에 적재된 쓰레기봉투를 적재함 내부로 강제로 압착 또는 압축시켜 적재함으로써 쓰레기의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경우, 적재함에 설치된 상차장치를 이용하여 통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에 상부에서 투입하고, 적재함에 채워진 음식물쓰레기는 적재함 후방의 도어를 열고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재활용쓰레기 수거차량의 경우, 재활용품만을 전문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차량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적재함에 재활용쓰레기를 적재하고, 적재함에 수집된 재활용쓰레기는 적재함을 덤프시킴으로써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운전석에서 운전을 하면서 적재함 후방에 구비된 호파 및 배출관련 장치의 원격제어를 하는 운전자와, 차량 후방에서 쓰레기통부나 재활용쓰레기 등을 적재장치의 투입구에 투입하는 한 명 이상의 후방작업자가 한조가 되어 쓰레기 수거차량을 운행하면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적재함에 설치된 호파 및 작업장치는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배출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후방작업자는 적재작업과 관련된 적재장치의 동작 및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쓰레기 수거차량 및 수거방식을 이용하여 쓰레기 수거차량에 쓰레기의 적재, 차량이동, 쓰레기 배출 등의 일련의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장치에 신체의 일부가 끼거나 운행하는 차량에서 추락하여 중대한 인명사고까지 발생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고의 일례로, 적재함에 쓰레기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쓰레기를 적재함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 회전하는 적재장치에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 신체 일부분이 절단 및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된 적이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적재함에 실린 쓰레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개방된 호파(또는 ‘파카’라고도 함)와 적재함 사이로 작업자가 들어가 적재장치에 끼여 있는 쓰레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임의로 호파를 하강시켜 작업자가 적재함과 호파 사이에 협착되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차량의 이동 과정중에 차량 후방에서 특별한 승차수단이 갖춰져 있지 않은 차량의 프레임이나 측면가드, 후부안전판 등에 후방작업자가 올라타 이동하다가 차량에서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고 등 다양한 형태의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적재함 후방의 적재장치 동작중이나 호파의 개폐 동작시, 또는 차량 후방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 후방작업자와 운전석에 서 작업장치의 조작 및 차량운행을 담당하는 운전자 사이에 상호 의사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나, 또는 후방작업자의 안전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작업장치가 동작되도록 하는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 한국 특허등록 제10-1668005호(등록일: 2016.10.14, 발명의 명칭: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 한국 특허등록 제10-1802984호(등록일: 2017.11.23, 발명의 명칭: 쓰레기차량용 적재함커버의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이용시 발생되었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적재함 후방의 작업장치나 호파나 리어도어의 최종제어를 후방작업자가 수행하도록 하여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임의로 조작하는 작업장치의 동작에 의해 후방 작업자가 상해를 입거나 사망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위치한 운전자와 차량 후방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후방작업자 사이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보이지 않은 적재함 후방 상황을 운전자가 파악하여 운전자 임의로 작업장치를 제어하여 후방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 적재 후 차량 이동시에 후방작업자가 차량에 안전하게 올라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적재함 후방에서 후방작업자가 승차한 것을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쉽게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은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작업장치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적재함 후방에 설치된 호파 및 리어도어를 포함하는 작업장치를 개폐 또는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작업장치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개방된 적재함 후방을 밀폐하기 위해 작업장치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여 일정높이 이하로는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적재함 일측면에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는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하강이 정지되었던 작업장치를 다시 하강시켜 적재함 후방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적재함 후방 외측면에 후방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양수조작스위치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적재함 후단 일측에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펼쳐지거나 수직상태로 접혀지는 후방작업자 탑승용 접철 가능한 탑승발판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발판의 접철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탑승발판 접철감지센서가 탑승발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탑승발판 접철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탑승발판에 후방작업자의 승차 여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운전석 주변에 경보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탑승발판이 설치된 적재함 후방 상단에는 상기 탑승발판에 탑승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한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작업자의 파지시에 미끌리지 않도록 하는 마끌림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승차용 발판은 하부로 먼지나 이물질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면서 미끌림방지구가 상면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작업장치의 승하강실린더의 동작으로 작업장치의 하강시 승하강실린더에서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호스 또는 출구포트에는 배출호스 파손시 작동유 누유로 인한 급격한 유압손실로 작업장치가 자중에 의해 급강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버스트 체크밸브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적재함의 후방 외측면에는 후방 작업자가 조작하여 차량엔진 및 작업장치로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비상전원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차량의 전원을 강제 차단하여 작업장치의 회전이나 이동에 따라 작업자 위험상황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적재함 후방에는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와 적재함 후방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사이에 상호 소통을 할 수 있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쌍방향 통신으로 후방작업자의 안전을 운전자가 실시간 파악 가능하도록 하여 쓰레기 적재시 및 차량 이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은 차량의 후방에서 독립적으로 쓰레기 수거 및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후방작업자가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이나 동작되는 작업장치에 의해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불상사를 방지하여 후방작업자의 안전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작업장치의 하강을 임의로 수행할 경우 작업장치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적재함 바닥면과 작업장치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별도로 후방작업자가 적재함 외측면에 구비된 양수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작업장치의 최종 하강 및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장치에 끼거나 깔려 발생되는 각종 안잔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안전장치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중량이 무거운 작업장치의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실린더의 유압호스가 과도한 부하로 인해 파열되어 유압손실이 발생되는 경우, 하강되는 작업장치가 급강하하지 않고 서서히 하강되도록 하여 후방작업자가 하강하는 작업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생명존중 및 안전사고 방지에 더욱 유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일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일부 구성의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양수조작스위치의 동작구성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탑승발판의 동작구성도,
도 5는 호퍼승강실린더에 구비되는 호스버스트 체크밸브의 설치상태 단면도및 일부 확대도,
도 6은 비상전원스위치의 동작구성 회로도,
도 7은 운전자와 후방작업자 사이에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 소통수단의 설치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이하, ‘쓰레기 수거차량’으로 약칭함)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구성이나 그 동작원리 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자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용도의 쓰레기 수거차량에 적합하게 필요한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용도에 따라 적재함 후방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호파나 리어도어 등의 세부장치의 명칭을 일일이 나열하지 않고 작업장치로 통칭하여 표현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100)의 전체 구성을 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에는 적재함 후방 일부 구성을 발췌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의 전방에 운전석(10)이 구비되고, 운전석 후방에 사방이 밀폐된 적재함(30)이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운전석(10)에는 후방 적재함(30)에 구비된 작업장치(40)를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장치 조작부(20)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탑승발판(70)의 전개여부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하여 운전자가 탑승발판(70)에 후방작업자가 탑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경보수단(15) 등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쓰레기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일정 용적의 적재함(30)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개폐 또는 승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40)가 구비되며, 적재함 후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후방 작업자가 차량 이동중에 탑승가능하도록 하는 탑승발판(70)이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탑승발판(70)에 탑승한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파지할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끌림방지수단(38)이 구비된 손잡이(37)가 상기 탑승발판(70)이 구비된 상단으로 한 개 이상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량 후방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수행하는 후방작업자가 양손으로 조작하여 작업장치의 최종 하강 또는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재함을 밀폐할 수 있도록 적재함의 후방 일측 외측면에 양수조작스위치(60)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100)은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작업장치 조작부를 조작하여 적재함 후방에 설치된 작업장치의 승강 또는 개폐동작이 일차적으로 가능하더라도, 운전석에서 조작하는 조작명령에 의해서는 작업장치가 완전히 하강 또는 밀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적재함 바닥면과 작업장치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차량 후방에서 후방작업자가 양수조작스위치(60)를 이차적으로 조작함으로 인해서 작업장치(40)의 최종 하강 또는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적재함의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장치가 하강되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재함 후면에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기 위한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가 한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에 의해 작업장치의 하강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작업장치 조작부(20)의 조작신호를 차단하여 작업장치의 하강이 멈추도록 제어하고, 양수조작스위치(60)의 조작으로 인해 차단된 작업장치의 하강신호가 다시 회복(연결)되어 작업장치의 하강이 연속 이어지게 된다.
또한, 적재함의 후방에는 후방작업자를 향해 운전석의 운전자가 말하는 내용이 전달되는 스피커(32)가 설치되고, 적재함의 후방 하단측에는 후방작업자의 말소리를 운전석에 있는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34)가 설치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운전석에도 운전자의 말소리를 후방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와 후방 작업자의 말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운전자와 후방 작업자가 작업시에 상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후방작업자의 안전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수조작스위치(60)의 중간부에는 비상전원스위치(65)가 추가로 구비되어 차량 후방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는 후방작업자가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작업장치 및 차량엔진을 강제로 멈출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비상전원스위치(65)를 눌러 차량의 모든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장치의 계속된 동작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적재함 후단에 설치되는 탑승발판(70)은 다수개의 관통부(7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발바닥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작업자의 승하차시에 발판 상면에 쌓이지 않고 발판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탑승발판(70)은 차량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하단 또는 일측에 스프링(74)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 후단부가 상향 회동되고, 작업자가 탑승할 경우에 지면에 평행하게 펼쳐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탑승발판(70)의 접힘과 펼쳐짐을 감지하여 운전석에 있는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탑승발판(70)과 차체 사이에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운전석에 구비된 경보수단(15)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 3에는 상술한 양수조작스위치(60)의 동작구성 회로도를 간략하게 발췌도시하고 있다.
상기 양수조작스위치(60)는 좌우 양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양손으로 누를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는 수동 조작스위치로, 적재함 후단 및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된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가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여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차단한 후에 상기 양수조작스위치(60)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누를 경우에 작업장치의 하강신호가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의 우회단자를 통해 다시 전달되도록 하여 작업장치의 하강이 마무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적재함 후방에서 상하 개폐가능하거나 상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치는 그 하강동작이 운전석에 설치된 작업장치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1차적으로 하강하더라도 적재함 바닥면에서 최소거리가 이격된 상태, 일례로 적재함 바닥면에서 작업장치 하단부까지의 거리가 대략 50~70㎝ 정도가 유지되는 높이까지만 하강되어 적재함 후방이 일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는 1차 하강단계와, 적재함 후방 외측면에 설치되어 후방작업자가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가능한 양수조작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정지된 작업장치의 추가 하강동작이 이루어져 적재함 후방을 완전히 밀폐하는 2차 하강단계로 이루어져 작업장치의 하강 및 밀폐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작업장치 조작부(20)의 제어를 통해 작업장치하강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작업장치의 하강신호가 ①,②라인을 통해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와 양수조작스위치(60)로 신호가 전달되지만, 양수조작스위치(60)의 양쪽 단자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는 ⓐ,ⓑ단자가 상호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에 하강신호를 내보내게 되면서 작업장치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작업장치가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적재함 후단 일정 높이에 설치된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에서 작업장치의 하강을 감지하여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에 하강신호를 내보내던 ⓐ와 ⓑ의 접속단자가 단락되면서 작업장치 조작부의 신호가 더 이상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강이 이루어지던 작업장치는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에서는 운전석의 작업장치 조작부 신호를 전달하는 ⓐ와 ⓑ의 접속단자가 단락되면서 ⓒ,ⓓ 단자가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지만, ⓒ,ⓓ 단자에 연결된 양수조작스위치(60)의 단자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여전히 작업장치 조작부의 신호는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신호를 전달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차량 후방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차량 후방 외측면에 구비된 양수조작스위치(60)를 누르게 되면 양수조작스위치(60)의 단락된 단자가 접속되면서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42)의 ⓒ,ⓓ 단자를 통해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작업장치 하강신호가 전달되면서 정지되었던 작업장치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석에서 제어하는 조작장치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1차적으로 작업장치의 하강이 이루어지다가, 일정거리 하강된 작업장치가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에 접촉하면서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전달되는 신호가 차단되고, 차량 후방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가 차량 적재함 후명 외측면에 구비된 양수조작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비로서 작업장치의 하강신호가 승하강실린더로 전달되면서 작업장치의 2차 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적재함 후방이 완전히 밀폐된다.
그리고, 도 4에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탑승발판(70)과, 상기 탑승발판(70)의 접철 상태에 따라 경보신호를 표출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경보수단(15)의 구성 및 동작관계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 후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펼쳐지거나 지면에 대해 수직상태 또는 일정 각도로 접혀지는 접철 가능한 탑승발판(70)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발판(70)이 차량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연결부에는 리미트스위치(75)가 설치되어 상기 탑승발판(70)의 회동각도에 따라 리미트스위치(75)의 접점이 단락되거나 연결되어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 경보수단(15)에 소리나 빛을 통해 운전자에게 탑승발판의 접철 여부를 통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탑승발판(70)은 차량 후방에서 적재함에 쓰레기를 적재하는 작업자가 쓰레기 적재 후에 상기 탑승발판(70)에 올라탄 뒤 차량과 함께 이동할 경우 지면에 대해 평행상태로 펼쳐지게 되면서 리미트스위치(75)를 가압하여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연결되고,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연결되면서 발생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경보수단(15)으로 일정한 신호를 보내서 미리 설정된 경고등(또는 경고음)이 점등되도록 하고, 운전자는 경보수단의 경고등(또는 경고음)을 보고 탑승발판(70)에 작업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을 안전하게 출발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쓰레기 수거를 위해 지상에서 작업하는 도중에는 상기 탑승발판(70)은 스프링의 압축력(또는 인장력)에 의해 일정각도 접혀지면서 리미트스위치(75)의 접점이 단락되고, 리미트스위치의 접점 단락신호가 제어부를 통해 운전석에 설치된 경보수단으로 전달되어 탑승발판이 펼쳐졌을때와 다른 경고등(또는 경고음)이 점등되도록 하고, 운전자는 경보수단에 점등되는 경고등이나 경고음을 통해 탑승발판에 작업자가 탑승하지 않고 쓰레기 적재작업을 계속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출발을 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탑승발판(70)의 접철 상태에 따라 운전석에 구비된 경보수단(15)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경고등이나 서로 다른 음색의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경보수단에서 출력되는 내용에 따라 차량 출발 여부를 판단하여 후방작업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급히 차에 올라타는 위험한 행동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는 또 다른 안전장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안전장치는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45)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호스, 즉 작업장치의 상승을 위해 신장되었던 승하강실린더의 하강을 위해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호스가 파손이나 절손 등으로 인해 승하강실린더에 공급되었던 작동유가 순식간에 배출되면서 승하강실린더 내부의 압력 급강하로 인해 작업장치가 급히 하강하여 후방 작업자가 다치거나 인명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에서 작동유가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는 호스버스트(hose burst) 체크밸브(50)가 출구포트 또는 배출호스(46)측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호스버스트(hose burst) 체크밸브(50)는 배출호스(46) 내측이나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측 출구포트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실린더형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중심부에 관통 설치되되 외주연에 압축코일스프링(53)이 외감되어 일정 변위 이내에서 상하 승강가능한 구조로 체결되는 승강로드(52)와, 상기 승강로드(52)가 관통 설치된 외측 원주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작동유 배출이 이루어지는 관통부(54)와, 상기 관통부(54)로 배출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부(54)의 상부측 승강로드(52)에 결합되고 일측에 미세한 관통공(56)이 형성된 원판형의 디스크(5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호스버스트(hose burst) 체크밸브(50)는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가 신장하면서 작업장치가 상승 또는 개방된 경우 유압계통에 고압이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호스, 즉 작동유가 출입되는 배출호스가 결함이나 외부충격이나 훼손 등으로 파열될 경우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의 내부를 채우고 있던 작동유가 갑자기 누유가 되면서 유압이 떨어져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의 신장상태가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승 위치에 있는 중량물의 작업장치는 급히 하강하게 되고, 이때 적재함 위나 근처에서 작업하고 있는 후방작업자가 낙하되는 작업장치에 신체의 일부가 다치거나 심할 경우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늘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호스버스트(hose burst) 체크밸브(50)를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포트나 배출호스측에 설치하여 비록 배출호스가 파손되더라도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디스크(55)의 관통공(56)을 통과하면서 오리피스(54)로 빠져 나가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장치의 급작스런 하강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는 또 다른 안전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안전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후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양수조작스위치(60)의 중간부에 비상전원스위치(65)가 추가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비상전원스위치(65)는 배터리(5)에서 차량측으로 공급되는 메인전원 라인에 구비된 개폐스위치(7)의 제어를 통해 차량엔진 및 작업장치 측으로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일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의 후방에서 쓰레기 수거 및 적재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후방작업자가 회전동작 및 압착동작이 수행되는 작업장치에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거나 다른 이상상황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이 예견될 경우에 운전자에게 이를 알릴만한 여유가 없을 경우, 다른 작업자가 차량의 적재함 후단 외측면에 구비된 비상전원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차량 전체 전원을 알시에 차단하여 작업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켜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는 또 다른 안전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안전장치는 운전석에 있는 운전자와 적제함 후방에서 쓰레기 수거 및 적재작업을 하고 있는 후방작업자 사이에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느 일측의 부주의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운전석(10)과 적재함(30)의 후단에 각각 스피커(31,32)와 마이크(33,34)가 양쪽에 구비되어 어느 일측에서 말하는 내용을 상대편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일방의 부주의로 안전사고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운전석(10)에 구비된 마이크(33)를 통해 입력된 소리가 적재함 후단에 설치된 스피커(32)를 통해 출력되어 적재함 후방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 후방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목소리가 적재함 후단에 설치된 마이크(34)를 통해 운전석에 위치한 스피커(31)를 통해 출력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시야 확보가 안된 적재함 후방상황을 스피커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통해 후방 작업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 또는 후방작업자는 상대방에게 하고 싶은 작업지시나 작업내용을 상호 소통하면서 작업이 가능하여 어느 일측이 임의로 추측하여 부주의한 행동을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술한 스피커와 마이크 대신에 적재함 후방에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석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후방 작업상황을 운전자가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도 더불어 채용이 가능하다.
5 : 배터리 7 : 개폐스위치
10 : 운전석 15 : 경보수단
20 : 작업장치 조작부 25 : 작업장치 승강스위치
30 : 적재함 31,32 : 스피커
33,34 : 마이크 37 : 손잡이
38 : 미끌림 방지수단
40 : 호퍼 42 : 작업장치 하강감지센서
45 :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 46 : 배출호스
50 : 호스버스트 체크밸브 51 : 본체
52 : 승강로드 53 : 압축코일스프링
54 : 오리피스 55 : 디스크
56 : 관통공
60 : 양수조작스위치 65 : 비상전원스위치
70 : 탑승발판 72 : 관통부
74 : 스프링 75 : 리미트스위치
100 : 쓰레기 수거차량

Claims (6)

  1.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작업장치 조작부의 조작을 통한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적재함 후방에 설치된 작업장치의 동작과 승강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 조작부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업장치하강스위치와;
    상기 작업장치하강스위치가 조작되면 하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단자와 ⓒ단자로 상기 제어부의 하강신호가 입력되고, 1차 하강단계에서는 상기 ⓐ단자와 ⓑ단자가 접속되어 상기 ⓐ, ⓑ단자를 통해 상기 하강신호가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전달되도록 하고, 추가 하강단계에서는 상기 ⓒ단자와 ⓓ단자가 접속되어 상기 ⓒ, ⓓ단자를 통해 상기 하강신호가 상기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1차 하강단계에서 상기 작업장치가 일정 높이로 하강하면 상기 ⓐ, ⓑ단자간 접속이 차단되고 상기 ⓒ, ⓓ단자가 접속되는 하강감지센서와;
    상기 적재함 후방 외측면에 외부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와 상기 ⓒ단자 사이를 개방하다가 외부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상기 ⓒ단자가 접속되도록 하는 양수스위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후단 일측에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펼쳐지거나 수직상태 또는 일정각도로 접혀지는 접철 가능한 구조의 탑승발판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발판의 접철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탑승발판의 일측에 탑승발판 접철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발판 접철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탑승발판에 후방작업자의 승차 여부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일정한 신호를 제공하도록 운전석 주변에 경보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발판이 설치된 적재함 후방 상단에는 상기 탑승발판에 탑승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한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작업자의 파지시에 미끌리지 않도록 하는 미끌림방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탑승발판은 먼지나 이물질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면서 미끌림방지구가 상면에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작업장치 승하강실린더의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호스 또는 작동유 배출포트에는 배출호스 파손시 작동유 누유로 급격한 유압손실이 발생되어 작업장치가 자중에 의해 급강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버스트 체크밸브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 외측면에는 후방작업자가 조작하여 차량엔진 및 작업장치로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일시에 차단할 수 있는 비상전원스위치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차량의 운전석과 적재함 후방에는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와 적재함 후방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사이에 상호 소통을 할 수 있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쌍방향 통신으로 후방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180008089A 2018-01-23 2018-01-23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1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89A KR102018498B1 (ko) 2018-01-23 2018-01-23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89A KR102018498B1 (ko) 2018-01-23 2018-01-23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99A KR20190089499A (ko) 2019-07-31
KR102018498B1 true KR102018498B1 (ko) 2019-09-05

Family

ID=6747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89A KR102018498B1 (ko) 2018-01-23 2018-01-23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89B1 (ko) 2019-11-25 2021-03-09 박상국 후방작업자 협착사고 방지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338606B1 (ko) * 2020-12-22 2021-12-13 신희대 특장차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04Y1 (ko) 2006-02-23 2006-05-03 장정복 테일 게이트가 구비된 쓰레기 운반차의 안전장치
KR100762789B1 (ko) 2006-07-13 2007-10-09 마노자동차(주)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JP2008285314A (ja) * 2007-05-21 2008-11-27 Fuji Heavy Ind Ltd 油圧モータユニット及び塵芥収集車
KR100952212B1 (ko) 2008-07-22 2010-04-09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차량의 동작제어시스템
JP2011011856A (ja) 2009-07-01 2011-01-20 Fuji Heavy Ind Ltd 塵芥収集車
JP2013056778A (ja) * 2012-12-26 2013-03-28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塵芥収集車
JP2014198614A (ja)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回転式塵芥収集車
KR200475951Y1 (ko) 2014-03-21 2015-01-16 김성태 청소차량에 구비된 안전손잡이 히팅장치
JP2015131726A (ja) 2014-01-15 2015-07-23 浜崎商工株式会社 塵芥車の安全装置
KR101668005B1 (ko) * 2016-02-02 2016-10-20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902A (ja) * 1985-07-03 1987-01-1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塵芥車のテ−ルゲ−ト開閉用安全装置
JPH0684201B2 (ja) * 1986-06-25 1994-10-2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のリフト安全装置
ES2461168T3 (es) * 2010-09-16 2014-05-19 Iveco S.P.A. Sistema de seguridad para un vehículo, en especial un vehículo industrial o comercial o de transporte de pasajeros
DE202013008142U1 (de) * 2013-07-11 2014-10-13 Faun Umwelttechnik Gmbh & Co. Kg Abfallsammelfahrzeug
KR101802984B1 (ko) 2016-05-16 2017-11-30 유한회사 삼능기계 쓰레기차량용 적재함커버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04Y1 (ko) 2006-02-23 2006-05-03 장정복 테일 게이트가 구비된 쓰레기 운반차의 안전장치
KR100762789B1 (ko) 2006-07-13 2007-10-09 마노자동차(주)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JP2008285314A (ja) * 2007-05-21 2008-11-27 Fuji Heavy Ind Ltd 油圧モータユニット及び塵芥収集車
KR100952212B1 (ko) 2008-07-22 2010-04-09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차량의 동작제어시스템
JP2011011856A (ja) 2009-07-01 2011-01-20 Fuji Heavy Ind Ltd 塵芥収集車
JP2013056778A (ja) * 2012-12-26 2013-03-28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塵芥収集車
JP2014198614A (ja)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回転式塵芥収集車
JP2015131726A (ja) 2014-01-15 2015-07-23 浜崎商工株式会社 塵芥車の安全装置
KR200475951Y1 (ko) 2014-03-21 2015-01-16 김성태 청소차량에 구비된 안전손잡이 히팅장치
KR101668005B1 (ko) * 2016-02-02 2016-10-20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99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498B1 (ko) 후방작업자 안전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CN206219119U (zh) 充气式自动锁止千斤顶
US20120018240A1 (en) Operator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GB2481709A (en) Load sensitive safety device for an aerial lift
US4946330A (en) Truck restraint
CN111891590A (zh) 带有压缩功能的回收箱
KR101054379B1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US20070234908A1 (en) Multiple Baler System
CN112918418B (zh) 一种应用于公交车落水后的辅助乘客自救设备
CN113320857B (zh) 再生资源分类压缩回收箱
CN111252095A (zh) 一种可进行避难的两用安全矿车
CN206589643U (zh) 一种逃生门系统及使用该逃生门系统的客车
KR102274344B1 (ko) 엘리베이터 승강홀 추락 방지 안전 시스템
CN105711470B (zh) 建筑工地助力搬运车
EP3833570B1 (en) Multifunctional control system for use in a tipper vehicle
CN211224967U (zh) 一种吊装式垃圾车安全作业的保护系统
US20200276781A1 (en) Compacting system and method
JP3052140B1 (ja) 廃棄物の減容化処理装置
CN214191094U (zh) 智能压缩资源回收箱
KR101860424B1 (ko)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CN110498164A (zh) 吊装式垃圾车安全作业的保护系统
CN110577134A (zh) 新型工业用安全货梯
EP0413400A1 (en) Transport vehicle with a container unloading device
CN203032459U (zh) 一种平衡监测配重翻斗车
CN211871086U (zh) 一种电梯限载自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