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82B1 -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82B1
KR102018082B1 KR1020170148495A KR20170148495A KR102018082B1 KR 102018082 B1 KR102018082 B1 KR 102018082B1 KR 1020170148495 A KR1020170148495 A KR 1020170148495A KR 20170148495 A KR20170148495 A KR 20170148495A KR 102018082 B1 KR102018082 B1 KR 10201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loading plate
bar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783A (ko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102017014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0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후면상 지그재그 형태로 가공되어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비하는 적재판을 구비하는 상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Loading plate assembly for loading space of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공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공간의 옆문과 뒷문에 적재판을 부착함으로써, 적재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확장하면서 휨응력이 강화된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각종 물건, 짐 등의 화물을 싣고 운행하는 것으로,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구비되는데, 적재함에는 안전을 위해 허용된 중랑 이내의 화물을 적재시켜야 한다.
여기서, 일반 트럭의 적재함은 통상적으로 짐을 싣는 적재공간, 이 적재공간을 구획하면서 적재공간의 바닥에 축결합된 낮은 높이의 옆문과 뒷문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적재함을 높이 방향으로 확장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 철판을 옆문과 뒷문에 용접 등으로 부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 보조 철판을 단순히 용접하여 사용하는 경우 적재공간에 수용된 적재물에 의해 보조판의 상부가 외향으로 휘어지거나 측면상 중앙부가 볼록하게 휘어지기도 하고, 보조철판이 탈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7990호(2017.04.20.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상 볼록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가공된 적재판이 지주와 가로바 사이에 고정되어 제작된 조립체를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함으로써, 종래보다 더 높은 적재공간을 확보하고, 적재물에 의해 적재판의 중앙부가 외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휨응력이 강화된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는 후면상 지그재그 형태로 가공되어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비하는 적재판을 구비하는 상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판은 트럭의 적재함의 양측면, 앞면과 뒷면 4곳 중 적어도 2곳에 세워서 고정되고, 이웃한 적재판들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측면은 적재판 사이의 적재공간에 싣거나 하적하는 적재물이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측면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경사면일 수 있다.
또, 상부체는 적재판의 측단 또는 적재판들 사이에 접합되어 적재함에 고정되는 지주, 이 지주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적재판의 상면에 접합된 적어도 1개의 가로바, 오목부에 삽입되어 측면에 맞닿으면서 상호 이격되어 접합되는 지지부재와, 가로바의 후단에 접합되면서 후면 적재판의 양측에 접합되는 적어도 1곳이 굴절된 마감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주는 적재판의 하방으로 더 연장되고, 적재함 바닥 또는, 옆문 및 뒷문에 접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 지주의 하단 부위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보강바를 선택적으로 추가 구비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한편, 볼록부는 "V"자 형상 보강홈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상부체는 적재판의 측단 또는 적재판들 사이에 접합되어 적재함에 고정되는 지주, 이 지주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적재판의 상면에 접합된 적어도 1개의 가로바와, 오목부에 삽입되어 측면에 맞닿으면서 보강홈이 수용되도록 홈이 가공되고 상호 이격되어 접합되는 보강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적재판의 하단에 접합되고, 적재함에 수용되어 옆문 또는 뒷문의 내면에 밀착 또는 접합되며, 양측면, 앞면과 뒷면의 4곳 중 적어도 1곳에 설치된 하부판과, 이 하부판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연장된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하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는 후면상 오목부 및 볼록부가 가공된 하부적재판과,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호 이격되어 양측면에 맞닿아 접합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하부적재판은 하부판과 적재판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적재판의 앞쪽에 장착되면서 천막이 권취된 권취롤러, 측면상 앞쪽 부위에 제자리회전 양측 적재판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회전롤러, 각 회전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되면서 선단부에 천막이 결합된 적어도 1개의 회전바, 이웃한 회전롤러들 끼리 상호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적어도 1개의 동력전달부재, 권취롤러에서 가장 먼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 및 구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한 커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원에 의해 회전바가 회전하면서 권취롤러로부터 천막을 잡아당겨 개방된 적재공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바는 측면상 적재판의 앞쪽에서 중앙부까지 설치되고, 앞쪽 권취롤로에 감긴 천막을 뒷쪽까지 잡아당겨 적재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바는 권취롤러에서 가까운 회전바부터 먼 회전바까지 점차 길이가 길어지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는 권취롤러에서 가까운 회전롤러부터 먼 회전롤러까지 점차 회전각이 넓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가공되고, 오목부에 지지부재가 고정된 적재판이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됨으로써, 높이 방향으로 적재공간을 확장시키고, 적재판의 선단부위 또는 중간부위가 외향으로 휘어지는 휨모멘트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휨응력이 최대화되며, 적재물에 의한 적재판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판이 평면상 앞면, 양측면 및 뒷면을 구획하고, 지주와 가로바 등이 설치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작됨으로써, 옆문과 뒷문만 있는 일반 트럭의 개방된 적재함에 간단히 탑재 및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가 고철 수집용 트럭에 설치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재판 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판이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판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적재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적재판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1의 적재판 조립체에 장착된 커버수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적재판 조립체(A)는 일례로 도 1에서 보듯이 고철 수집용 트럭(T)의 적재함에 탑재 및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적재판 조립체(A)는 트럭 적재함의 낮은 옆문(10)과 뒷문의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일반 트럭의 적재공간에 적재판 조립체(A)를 탑재 및 고정하여 고철 등과 같은 적재물을 싣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적재판 조립체는 도 2와 도 3과 도 8a에서 보듯이, 상부체(100), 하부체(200)와 커버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200)는 트럭 적재함의 옆문(10)과 뒷문의 내면에 맞닿아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부체(100)는 옆문(10)과 뒷문보다 더 위에 위치하여 적재공간을 높게 확보할 수 있는 부위이다. 이하에서, 측면은 도 1에서와같이 차량을 바라보는 방향이고, 후면은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먼저, 상부체(100)는 적재판(110), 보강지지부재(160), 지주(130), 가로바(140)와 마감바(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적재판(110)은 트럭 적재함의 옆문(10)과 뒷문의 윗쪽으로 설치되어 적재공간의 높이를 확보하는 부재이다. 이 적재판(110)은 적재함의 앞, 뒤, 좌, 우 중 적어도 2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4면 모두 또는, 좌, 우 2면 또는, 좌, 우, 뒤 3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판(110)은 일정 두께의 판으로, 강철, 합금 또는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적재판(110)은 도 4에서 보듯이, 후면상 볼록부(111)가 지그재그 형태로 가공되어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일측면에서 볼록부(111)는 타측면에서는 오목부(112)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듯이,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를 형성하기 위해 경사면(113)이 가공되고, 이 경사면(113)은 대략 60~80°, 바람직하게는 70° 정도일 수 있다. 이 경사면(113)의 각도(θ1)는 일례로 크레인이 고철을 움켜쥐고 적재공간에 하방으로 적재시킬 때, 고철이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에 최대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경사면(113)의 각도(θ1)는 가장 기본적으로 고철을 찌그러뜨리거나 찌그러진 고철에 의해 후면상 적재판(110)의 중간부위가 외향으로 볼록해져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각도이다. 또한, 볼록부(111), 오목부(112)와 경사면(113)은 적재판(110)의 선단부위 또는 중간부위가 외향으로 휘어지는 휨모멘트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휨응력이 최대화됨으로써, 적재물에 의한 적재판(110)의 초기 형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는 경사면(113)을 합한 길이(L1)는 대략 130 ~ 170mm, 바람직하게는 150mm이고, 경사면(113)을 뺀 길이(L2)는 대략 90 ~ 130mm, 바람직하게는 115mm일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의 높이(H1)는 대략 30 ~ 70mm, 바람직하게는 50mm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길이(L1, L2)와 높이(H1)는 적재판(110)이 외력에 의해 가장 강하게 지지될 수 있는 최적의 길이다. 이때, 적재판(110)의 전체 높이는 대략 1500 ~ 2500mm일 수 있다. 이러한 적재판(110)에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가 대략 3개 이상 10개 이하 정도로 가공되는 정도로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보강지지부재(160)는 도 2와 도 4에서 보듯이, 외력에 대해 적재판(110)이 최대한 지지하기 위한 보조 부재이다. 이 보강지지부재(160)는 적재판(110)의 오목부(112)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보강지지부재(160)는 1개의 오목부(112)에서 양측 경사면(113)과 바닥면에 접합되도록 후면상 대략 평평한 판 또는 'ㄷ'자의 마름모꼴 형상일 수 있다.
지주(1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적재판(110)을 세워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지주(130)는 대략 원형,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러한 지주(130)는 입상의 적재판(110) 측단부에 접합되고, 하면이 트럭 적재함의 옆면 위에 얹혀지거나 얹혀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주(130)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면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마감바(150) 대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전면과 후면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130)는 적재판(110)을 세워서 설치할 수 있는 기둥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가로바(140)는 적재판(110)의 상면에 접합되면서 지주(130)와 마감바(150) 또는, 지주(130)와 지주(1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가로바(140)는 도 4에서 보듯이, 적재판(110)의 상면에 접합된 제1가로바(141)와, 제1가로바(141)의 상면에 접합된 제2가로바(142) 중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후면상 제1가로바(141)의 하면은 적재판(110)의 경사면(113)과 접합되도록 경사지게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바(140)와 지주(130)는 적재판(110)의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최대한 강화시킬 수 있다.
마감바(150)는 도 2에 보듯이, 가로바(140)의 반대측이면서 적재판(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마감바(150)는 대략 'ㄱ'자 처럼 굴절되면서 굴절 부위가 경사지게 가공된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전면보다 후면의 적재판(110)의 높이 낮게할 수 있다. 이때, 마감바(150)의 상단부는 가로바(140)와 접합되고, 하단부는 옆문(10)에 얹혀지거나 얹혀져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바(150)는 가로바(140) 또는 지주(130)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체(2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트럭 적재함에 수용되면서 상부체(1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부위이다. 이 하부체(200)는 하부판(210)과 플랜지(22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판(210)은 후면상 평평한 판 형상이거나, 상부에 볼록부가 가공된 형상일 수 있다. 이 하부판(210)은 적재판(110)의 하단에 접합되고, 적재함의 옆문(10) 또는 뒷문의 내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판(210)의 상부에 볼록부가 가공된 경우 볼록부는 옆문(10) 또는 뒷문의 상면에 얹혀지거나 얹혀져 접합될 수 있다.
플랜지(22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하부판(210)을 적재함의 바닥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플랜지(220)는 하부판(210)의 하단에서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판재일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220)는 필요에 의해 적재합의 바닥에 접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부판(210)을 비롯하여 상부체(100)가 적재함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판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적재판(110)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볼록부(111)에 대략 "V"자 보강홈(114)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는 경사면(113)을 포함한 길이(L3)가 대략 170 ~ 200mm, 바람직하게는 185mm이고, 경사면(113)을 뺀 길이(L4)가 대략 130 ~ 170mm, 바람직하게는 150mm이고, 깊이(H2)가 30 ~ 70mm, 바람직하게는 50mm이고, 보강홈(114)의 길이(L5)가 30 ~ 50mm, 바람직하게는 40mm이고, 보강홈(114)의 깊이(H3)가 35 ~ 60mm, 바람직하게는 40mm일 수 있다. 보강홈(114)은 단면상 사각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판(110)의 하단과 접합되는 하부판(210)은 상부에 볼록부가 가공될 수 있고, 이 볼록부는 경사면이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적재판(110)은 전체 높이가 대략 1500 ~ 2500mm이고, 볼록부(111)와 오목부(112)는 3 ~ 10개 정도가 가공될 수 있도록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홈(114)이 가공된 오목부(112)에는 보강보강지지부재(160)가 삽입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보강지지부재(160)는 보강홈(114)이 끼워지는 홈이 가공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적재판 조립체에서 지주(130)가 위치한 앞면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앞면의 적재판(110) 및 보강지지부재(160)와, 하부판(210) 및 플랜지(220)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앞면, 양측면, 뒷면 등이 서로 별개로 제작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양측면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듯이 도 2의 적재판 조립체의 양측면, 앞면, 뒷면 중 적어도 1면에는 적재판(110)과 하부판(210) 사이에 오목부(112), 볼록부(111)와 보강지지부재(160)를 구비한 하부적재판(2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하부적재판(230)은 하부판(210)의 상부에 볼록부(231)와 오목부(232)가 가공되고, 지지부재(233)가 부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 하부적재판(230)은 하부판(210)의 상부를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하부판(210)에 접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부적재판(230)은 옆문(10)과 뒷면의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듯이 지주(130)를 다수 설치하고, 이들 지주(130) 사이에 적재판(1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적재판(110)의 측면 길이가 짧아져 강도가 상승할 수 있고, 다수의 지주(130)와 더불어 외력에 대한 지지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이때,
또한, 하부판(210)과 플랜지(220)가 배제되고, 지주(130)가 적재함 바닥까지 연장되고, 바닥은 물론 옆문(10) 및 뒷문에 접합되어 상부체(100)가 적재함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주(130)들의 하단부위를 보강바(170)가 연결하여 접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적재판()의 하단에 적어도 1개의 제3가로바(143)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재판 조립체는 도 8a 내지 도 8d에서와 같이 개방된 상면을 천막으로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수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버수단(300)은 권취롤러(310), 회전바, 회전롤러, 동력전달부재(320)와 동력원(330)을 구비할 수 있다.
권취롤러(310)는 적재판 조립체에서 운전사측 부위에 천막(311)을 감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권취롤러(310)는 동력원 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풀린 천막(311)을 다시 감을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회전바는 일단부가 천막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적재판(110)의 측면에 장착된 회전롤러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회전바는 일례로 도 8a에서와 같이 운전석측인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회전바(340), 제2회전바(341), 제3회전바(342)와 제4회전바(3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바(340), 제2회전바(341), 제3회전바(342)와 제4회전바(343)는 순서대로 길이가 점점 길어질 수 있다. 이는 도 8a에서 보듯이, 커버수단(300)이 적재판(110)의 측면에 부착되면서 권취롤러(310)가 장착된 전면에서 중간부위까지 설치되므로, 도 8d에서와같이 천막(311)을 후면까지 덮기 위한 것이다.
회전롤러는 회전바를 축회전시키는 롤러이다. 이를 위해, 회전롤러는 적재판(110)의 측면에 장착되면서 동력원(330)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바의 타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는 동력전달부재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회전롤러에 별도의 풀리 또는 기어 등이 설치되고 이 풀리 또는 기어에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롤러에 동력전달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회전롤러는 일례로, 제1회전바(340)가 결합된 제1회전롤러(350), 제2회전바(341)가 결합된 제2회전롤러(351), 제3회전바(342)가 결합된 제3회전롤러(352), 제4회전바(343)가 결합된 제4회전롤러(35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롤러(310)에서 가까운 제1회전롤러(350)부터 제4회전롤러(353)까지 상호 이격되어 순서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권취롤러(310)에서 가까운 제1회전롤러(350)의 시간 대비 회전 수는 최소이고, 점점 증가되어 제4회전롤러(353)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이는 천막(311)을 완전히 펼치기 위한 제1회전롤러(350)의 축회전 각도가 순차적으로 넓어져 제4회전롤러(353)에서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된 제1회전롤러(350)의 지름이 제일 크고, 순차적으로 작아져서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된 제4회전롤러(353)의 지름이 제일 작을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동력원(330)의 동력을 각 회전롤러로 전달하는 부재이다. 이 동력전달부재는 벨트, 체인 또는 기어 등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부재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는 일례로, 동력원(330)에서 제4회전롤러(353)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부재(320), 제4회전롤러(353)에서 제3회전롤러(352)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전달부재(362), 제3회전롤러(352)에서 제2회전롤러(351)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재(361), 제2회전롤러(351)에서 제1회전롤러(350)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3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 동력전달부재는 동력원(330)이 제1회전롤러(350) 내지 제4회전롤러(353)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 동력전달부재는 동력원(330)에서 각 회전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동력원(330)은 회전롤러를 제자리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원(330)이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면 회전바가 축회전하고, 권취롤러(310)로부터 천막(311)이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수단(300)에 대해 도 8a 내지 도 8d를 참고하여 그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권취롤러(310)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반대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8a와 도 8b를 보면, 적재판 조립체(A)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이다. 이때, 권취롤러(310)에 천막(311)이 감긴 상태이고, 제1회전바(340) 내지 제4회전바(343)의 선단부가 권취롤러(310)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c와 도 8d를 보면, 동력원(330)이 작동하여, 구동력전달부재(320)가 제4회전롤러(353)를 회전시키고, 제3동력전달부재(362)가 제3회전롤러(352)를 회전시키고, 제2동력전달부재(361)가 제2회전롤러(351)를 회전시키고, 제1동력전달부재(360)가 제1회전롤러(3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4회전롤러(353)의 회전각이 제일 크고, 제3회전롤러(352), 제2회전롤러(351) 및 제1회전롤러(350) 순으로 회전각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4회전바(343)의 축회전각이 제일 크고, 제3회전바(342), 제2회전바(341) 및 제1회전바(340) 순으로 축회전각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천막(311)을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도 8e를 보면, 제1회전롤러(350) 내지 제4회전롤러(353)들이 최대 회전하고, 제1회전바(340) 내지 제4회전바(343)들이 최대 축회전하여 천막(311)이 적재판 조립체(A)의 상면을 완전 덮을 수 있다.
이후, 다시 적재판 조립체(A)의 상면을 개방하려면, 동력원(330)에 의해 제1회전바(340) 내지 제4회전바(343)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시키고, 이때 권취롤러(310)는 회전하여 천막(311)을 감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옆문
100:상부체
110:적재판 111:볼록부
112:오목부 113:경사면
114:보강홈 120:지지부재
130:지주 140:가로바
141:제1가로바 142:제2가로바
143:제3가로바 150:마감바
161:보강지지부재 170:보강바
200:하부체
210:하부판 220:플랜지
230:하부적재판 231:볼록부
232:오목부 233:지지부재
300:커버수단
310:권취롤러 311:천막
320:동력전달부재 330:동력원
340:제1회전바 341:제2회전바
342:제3회전바 343:제4회전바
350:제1회전롤러 351:제2회전롤러
352:제3회전롤러 352:제4회전롤러
360:제1동력전달부재 361:제2동력전달부재
362:제3동력전달부재
A:조립체 c:크레인
T:트럭.

Claims (9)

  1. 후면상 지그재그 형태로 가공되어 볼록부(111)와 오목부(112)를 구비하는 적재판(110)을 구비하는 상부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110)은 트럭의 적재함의 양측면, 앞면과 뒷면 4곳 중 적어도 2곳에 세워서 고정되고, 이웃한 적재판(110)들이 접합되고, 상기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의 측면은 적재판(110) 사이의 적재공간에 싣거나 하적하는 적재물이 볼록부(111) 또는 오목부(112)의 측면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경사면(113)인 것으로는 하는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체(100)는 적재판(110)의 측단 또는 적재판(110)들 사이에 접합되어 적재함에 고정되는 지주(130), 이 지주(130)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적재판(110)의 상면에 접합된 적어도 1개의 가로바(140), 오목부(112)에 삽입되어 측면에 맞닿으면서 상호 이격되어 접합되는 보강지지부재(160)와, 가로바(140)의 후단에 접합되면서 후면 적재판(110)의 양측에 접합되는 적어도 1곳이 굴절된 마감바(1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4. 제3항에서
    상기 지주(130)는 적재판(110)의 하방으로 더 연장되고, 적재함 바닥 또는, 옆문(10) 및 뒷문에 접합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지주(130)의 하단 부위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보강바(170)를 선택적으로 추가 구비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5. 제1항에서,
    상기 볼록부(111)는 "V"자 형상 보강홈(114)이 가공되고,
    상기 상부체(100)는 적재판(110)의 측단 또는 적재판(110)들 사이에 접합되어 적재함에 고정되는 지주(130), 이 지주(130)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적재판(110)의 상면에 접합된 적어도 1개의 가로바(140)와, 오목부(112)에 삽입되어 측면에 맞닿으면서 보강홈(114)이 수용되도록 홈이 가공되고 상호 이격되어 접합되는 보강보강지지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적재판(110)의 하단에 접합되고, 적재함에 수용되어 옆문(10) 또는 뒷문의 내면에 밀착 또는 접합되며, 양측면, 앞면과 뒷면의 4곳 중 적어도 1곳에 설치된 하부판(210)과, 이 하부판(210)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연장된 플랜지(2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하부체(200);를 더 포함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7. 제6항에서,
    상기 하부체(200)는 후면상 오목부(232) 및 볼록부(231)가 가공된 하부적재판(230)과, 오목부(232)에 삽입되어 상호 이격되어 양측면에 맞닿아 접합된 지지부재(233)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적재판(230)은 하부판(210)과 적재판(110) 사이에 설치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적재판(110)의 앞쪽에 장착되면서 천막(311)이 권취된 권취롤러(310), 측면상 앞쪽 부위에 제자리회전 양측 적재판(110)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회전롤러, 각 회전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되면서 선단부에 천막(311)이 결합된 적어도 1개의 회전바, 이웃한 회전롤러들 끼리 상호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적어도 1개의 동력전달부재(320), 권취롤러(310)에서 가장 먼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330) 및 구동력전달부재(320)를 구비한 커버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원(330)에 의해 회전바가 회전하면서 권취롤러(310)로부터 천막을 잡아당겨 개방된 적재공간의 상면을 덮도록 이루어진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9. 제8항에서,
    상기 회전바는 측면상 적재판의 앞쪽에서 중앙부까지 설치되고, 앞쪽 권취롤러(310)에 감긴 천막(311)을 뒷쪽까지 잡아당겨 적재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는 권취롤러(310)에서 가까운 회전바부터 먼 회전바까지 점차 길이가 길어지도록 제작되고,
    상기 회전롤러는 권취롤러(310)에서 가까운 회전롤러부터 먼 회전롤러까지 점차 회전각이 넓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 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KR1020170148495A 2017-11-09 2017-11-09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KR10201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95A KR102018082B1 (ko) 2017-11-09 2017-11-09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95A KR102018082B1 (ko) 2017-11-09 2017-11-09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83A KR20190052783A (ko) 2019-05-17
KR102018082B1 true KR102018082B1 (ko) 2019-09-04

Family

ID=6667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95A KR102018082B1 (ko) 2017-11-09 2017-11-09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000B1 (ko) * 2020-01-21 2022-01-14 송석문 화물 차량용 적재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953A (en) * 1994-06-03 1996-06-11 Shaer; Jack E. Contractable vehicle bed cover assembly with extendable closure
KR101727990B1 (ko) 2015-09-09 2017-04-20 김병선 트럭용 적재함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83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118B2 (en) Vehicle sill reinforcement
EP2684780A1 (en) Rear structure of car body
RU2612344C2 (ru) Короб кузова и кузов, выполненный с приплюснутым и удлиненным криволинейным в продо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с-образным днищем
US80617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fting a vehicle
EP1859983B1 (fr) Face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escamotable en choc,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KR20140115274A (ko) 수하물 물품의 휠 조립체를 위한 원추형 베어링
JP2010052627A (ja) 車両クォーター部構造
KR102018082B1 (ko) 트럭의 적재공간용 적재판 조립체
CN204845468U (zh) 用于车辆的举升式车门和加固板
CN201343205Y (zh) 一种可折叠箱体
CN103958333A (zh) 车身后部结构
KR101540776B1 (ko) 차량용 캠핑 하우스
CN104118376A (zh) 用于车辆的能量消散系统
JP5514043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8109558B2 (en) Door structure
KR200424854Y1 (ko) 철재 포장박스
KR102633968B1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지지용 차체
JP4718232B2 (ja) バックドア構造
CN217396659U (zh) 汽车后备箱盖板、汽车后备箱及汽车
EP2915771B1 (en)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JP2018052181A (ja) 車体後部構造
JP5549613B2 (ja) 車両後部の車体構造
JP4554500B2 (ja) バンパ構造
KR101372231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CN207657755U (zh) 安装装置及具有安装装置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