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691B1 -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691B1
KR102017691B1 KR1020190011163A KR20190011163A KR102017691B1 KR 102017691 B1 KR102017691 B1 KR 102017691B1 KR 1020190011163 A KR1020190011163 A KR 1020190011163A KR 20190011163 A KR20190011163 A KR 20190011163A KR 102017691 B1 KR102017691 B1 KR 10201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eeswax
burned
burning
b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아
김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9001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6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burning or charring, e.g. cutting with hot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42Processes; Apparatus using melt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50Mixtures of different 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2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household utensils, e.g. spoons, clothes hangers, clothes p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기로 성형할 크기의 자연건조된 목재를 목기형태를 이루도록 깍아 목기로 제조하는 목기제조공정(S10); 목기 표면에서 0.2~0.5mm 두께의 깊이까지 타지도록 산소용접기 토치로 목기를 태워 일차태움목기를 만드는 일차태움공정(S20); 일차태움목기의 표면을 에어브로어로 불어 표면 손상 없이 표면의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차브로어공정(S30); 일차브로어공장을 마친 다음 일차태움목기 표면을 다시 태워 표면에서 0.5mm 초과 내지 2mm 두께의 깊이 부분도 태움탄화층을 이루도록 태우는 이차태움공정(S40); 이차태움공정(S40) 후 표면의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차브로어공정(S45); 밀납을 가열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녹이는 밀납용융공정(S50); 밀납이 용융된 밀납조에 이차태움목기를 21-30분간 침지시키는 밀납침지공정(S60); 밀납침지한 2차태움목기를 밀납조에서 꺼내 건조하는 건조공정(S70); 및
건조 공정 후 이차태움목기 내부에 75~100℃ 가열수를 30~60초 채운 다음 버리는 표면밀납제거공정(S80)을 순차 수행하는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fired wood vessle}
본 발명은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기를 제조하는 방법중의 하나는 낙동법(烙桐法)이 있다. 이는 오동나무의 표면을 인두로 지진 후 볏짚으로 문질러 약한 부분은 들어가고 단단한 부분은 도드라지게 하여 나뭇결[木理]을 살리는 전통기법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목기를 인두로 지져서 생산하는 것은 생산성이 낮고, 비경제적이고, 습기 침투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산소용접용 불꽃을 목기에 인가하여 겉을 태우고, 표면에서 밀납을 내부로 침투시킨 밀납칠 목기가 국내공개특허10-2009-0063927호, 검은 목기라는 명칭으로 국내공개특허10-2018-0086615호로 개시되었다. 이는 인두가 아닌 불꽃을 사용하여 표면을 태우고, 태운 공간으로 용융밀납조에 침지하여 꺼낸것을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목기 표면에서 내부로 밀납을 침투시켜 밀납코팅 상태로 완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태움공정과 용융공정 사이에 연마공정을 수행하여 밀납조에 침지하는 끓임공정 방식으로 코팅하는 것이어서 태움층 표면 손상이 수반되어 코팅 및 밀납침투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더운 음식을 담거나 햇빛에 노출시킬 경우 밀납이 표면으로 녹아 흘러내림으로 목기 표면에 물결무늬가 생기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목기 상태에서 표면을 태우는 방식이므로 표면이 타지면서 재가 생기고, 이는 표면의 태움이 불균일화게 되는 요인이 되고, 공개특허10-2018-0086615호의 경우 표면을 얇게 태운 다음 표면을 브러시로 닦는 연마공정을 수행하므로 도 1 과 같은 형상을 이루며, 표면을 얇게 태운 다음 표면을 브러시로 닦아 표면을 손상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므로 목기 표면의 강도 차이로 나이테와 나이테 사이의 공간이 도 2와 같이 파이게 되고, 용융 밀납조에 침지시킨 다음 꺼낸 다음 냉각시키면 태움층은 표면 손상으로 밀납침투가 균일하지 않고, 나이테와 나이테 사이의 공간에는 밀납이 나이테 부분 보다 두껍게 모여있어 더운 음식을 담을 때 표면 상태가 나이테 사이 부분에서 심하게 변형되고, 표면을 브러시로 닦으므로 검은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햇빛에 노출되거나 더운 음식을 담아도 바닥의 표면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항균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 태움공정과 이차의 브로어공정으로 표면 손상 없이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태움탄화층이 균일하게 깊어지도록 하여 용융된 밀납조에 2차 태움목기를 21~30분 침지시켰을 때 밀납의 태움탄화층 침지 깊이가 이차태움탄화층만큼 더 깊어지도록 하여 목기로 사용시의 항균성을 용기 내부 바닥면 어디에서도 일정하게 제공하는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 태움공정과 이차의 브로어공정을 부가하여 태움탄화층이 표면 손상 없이 깊어지도록 하여 용융된 밀납조에 2차 태움목기를 침지시켰을 때 밀납의 태움탄화층 침지 깊이가 이차태움탄화층 만큼 더 깊어지도록 하되 균일한 침지 깊이를 이루고, 밀납침지 공정 후의 건조 공정으로 건조한 태움목기 내부에 75~100℃의 가열수를 태움목기 내부에 채웠다가 버려 밀납이 태움목기 태움탄화층으로 침투한 밀납만 남고 태움탄화층 표면위에 덮여 부분 뭉친 밀납층은 제거되도록하며, 항균성을 유지하되 표면에 더운 음식이 놓여도 제조공정에서 표면 손상이 없으므로 표면 요철을 유지하여 더운 음식과 점접촉을 이루므로 내부 밀납이 녹아 표면으로 용출되지 않아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고 표면손상이 없어 항균성이 유지되는 표면손상이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은 목기로 성형할 크기의 자연건조된 목재를 목기형태를 이루도록 깍아 목기로 제조하는 목기제조공정;
목기 표면에서 0.2~0.5mm 두께의 깊이까지 타지도록 산소용접기 토치로 목기를 태워 일차태움목기를 만드는 일차태움공정;
일차태움목기의 표면을 에어브로어로 불어 표면 손상 없이 표면의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차브로어공정;
일차브로어공장을 마친 다음 일차태움목기 표면을 다시 태워 표면에서 0.5mm초과 내지2mm 두께의 깊이 부분도 태움탄화층을 이루도록 태우는 이차태움공정;
이차태움공정 후 표면의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차브로어공정;
밀납을 가열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녹이는 밀납용융공정;
밀납이 용융된 밀납조에 이차태움용기를 21~30분간 침지시키는 밀납침지공정;
밀납침지한 2차태움목기를 밀납조에서 꺼내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삭제
삭제
삭제
건조 공정 후 이차태움목기 내부에 75~100℃ 가열수를 30~60초 채운 다음 버리는 표면밀납제거공정을 순차 수행한다.
이를 위한 청구항 3은 상기, 표면밀납제거공정 후에 태움용기 내면과 외면 습기나 이물질을 천으로 닦는 닦는공정을 더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햇빛에 노출되거나 더운 음식을 담아도 바닥의 표면이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항균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2차 태움공정을 부가하여 태움층이 깊어지도록 하여 용융된 밀납조에 2차 태움목기를 침지시켰을 때 밀납의 태움탄화층 침지 깊이가 이차태움탄화층 만큼 더 깊어지도록 하여 목기로 사용시의 목기 표면에서의 항균성을 일정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2차 태움공정을 부가하여 태움층이 깊어지도록 하여 용융된 밀납조에 2차 태움목기를 침지시켰을 때 밀납의 태움탄화층 침지 깊이가 이차태움탄화층 만큼 더 깊어지도록 하되, 밀납침지 공정 후의 건조 공정으로 건조한 태움목기 내부에 75~100℃의 가열수를 태움목기 내부에 채웠다가 버려 밀납이 태움목기 태움탄화층으로 침투한 밀납만 남고 표면위에 덮여 뭉친 밀납층은 제거되도록하며, 항균성은 유지하되 표면에 더운 음식이 놓여도 제조공정에서 표면 손상이 없으므로 표면으로 내부 밀납이 녹아 표면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상품성 및 항균성이 유지된다.
도 1은 종래의 검은 목기 사진,
도 2는 도 1 의 목기 표면 요부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공정도와 공정상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성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도 3과 같이 목기로 성형할 크기의 자연건조된 목재를 목기형태를 이루도록 깍아 목기로 제조하는 목기제조공정(S10);
목기 표면에서 0.2~0.5mm 두께의 깊이까지 타지도록 산소용접기 토치로 목기를 태워 일타 태움목기를 만드는 일차태움공정(S20);
일차태움목기의 표면을 에어브로어로 불어 표면 손상 없이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차브로어공정(S30);
일차브로어공정을 마친 다음 일차태움목기 표면을 다시 태워 표면에서 0.5mm초과 내지2mm 두께의 깊이 부분도 타지도록 태우는 이차태움공정(S40);
밀납을 가열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녹이는 밀납용융공정(S50);
삭제
밀납이 용융된 밀납조에 2차 태움목기를 21-30분간 침지시키는 밀납침지공정(S60);
밀납침지한 이차태움목기를 밀납조에서 꺼내 건조하는 건조공정(S70); 및
건조 공정 후 이차태움목기 내부에 75~100℃ 가열수를 30~60초 채운 다음 버리는 표면밀납제거공정(S80)을 순차 수행한다.
상기, 이차태움공정(S40) 후 이차브로어공정(S45)을 더 수행한다.
상기, 표면밀납제거공정(S80) 후에 태움용기 내면과 외면 십기와 이물질을 천으로 닦아내는 닦는공정(S90)을 더 수행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원발명에서 도 3 (a)의 목기제조공정(S10)에 이어 도 3 (b)에 보인 일차태움공정(S20)에서 0.2~0.5mm 태우는 공정은 목기의 표면에 붙어있는 미세한 섬유질이나 이물질등을 태워 재를 만들고 일정 두께로 얇게 태우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어 일차브로어공정(S30)을 수행하는 것은 타고난 재나 이물질을 바람으로 불어 표면 손상 없이 털어내기 위함으로 태움목기의 표면을 일차 태움에도 손상 없이 요철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이어지는 이차태움공정(S40)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본원발명에서의 이차태움공정(S40) 전에 일차태움공정(S20)에 이어 일차브로어공정(S30)을 수행하는 것은 일차태움에서의 표면에 잔류한 재가 남으면 이차태움공정(S40)시 원하는 태움탄화층의 깊이까지 타는 것을 방해하므로, 표면 손상 없이 재를 분 다음 이차태움공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일정한 깊이의 태움탄화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원발명 도 3 (C)에 보인 이차태움공정(S40)은 태운 목기의 표면 태움탄화층이 0.5mm초과 내지 2mm 깊이까지 더 탄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0.5mm를 초과하지 않으면 태움탄화층을 통하여 침투하는 밀납층이 얇아져서 항균성이 저하되며 목재의 특성상 밀납코팅이 부실한 부분도 나타나 목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태움탄화층이 2mm를 초과하여 탄화되면 항균 특성은 좋아지지만 목기의 두께를 얇게하기가 어려워 목기 제작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한다.
본원발명에서 밀납용융공정(S50)은 밀납조에 밀납을 넣고 가열하여 끓이는 것으로 밀납의 용융온도가 약75℃ 되므로 75℃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에서 밀납침지공정(S60)은 이차태움용기를 밀납을 가열시킨 밀납조에 침지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침지 시간인 10~20분 보다 긴 21분 내지 30분 침지 시킨다. 21분 미만이면 밀납 침지 깊이가 이차태움탄화층 보다 얕아 항균성이 저하되고, 30분을 넘으면 침지 두께의 차이가 없어 비경제적이다.
본원발명에서 건조공정(S70)은 밀납조에서 2차태움용기를 꺼내어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물론 필요에 따라 냉풍건조도 가능하다.
본원발명에서 표면밀납제거공정(S80)은 건조공정(S70)을 마친 이차태움목기 내부에 75~100℃ 가열수를 30~60초 채운 다음 버리는 것으로, 가열수를 사용하는 것은 표면 밀납이 녹아 내린 것을 버려 표면에 밀납층이 잔류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며(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표면이 아닌 크랙홈이나 요부의 틈새에 밀납이 소량 잔류하는 것은 당연하다), 시간을 30~60초로 한정하는 것은 30초 정도 되어야 이차태움목기 표면에 묻은 밀납이 녹기 때문이며, 60초를 초과하면 이차태움목기의 이차태움탄화층에 침투한 밀납마저 표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렇게하여 목기 내부 표면의 밀납을 녹인 다음에는 가열수와 함께 버린다. 그러면 도 3 (e)와 같이 이차태움으로 인한 태움탄화층의 깊이(두께)가 깊어진 상태와, 목기 내표면의 요철 및 크랙홈의 산과 골이 깊어지고, 표면에 코팅되는 밀납층도 표면밀납제거공정(S80)에서 극히 얇아져서 더운 음식을 담아도 요철부를 이룬 철부의 표면에서 음식과 점접촉하므로 표면으로 밀납의 녹아내림 영향이 생기지 않고 균일한 코팅을 이루어 항균성이 유지되고, 표면이 매끄러워 상품성이 좋아지며, 촉감도 자연 목기와 같은 요철 질감을 제공하여 천연 탄화목기의 이미지를 줄 수 있다.
S10;목기제조공정, S20;일차태움공정, S30;일차브로어공정, S40;이차태움공정, S50;밀납용융공정, S60;밀납침지공정, S70;건조공정, S80;표면밀납제거공정

Claims (3)

  1. 목기로 성형할 크기의 자연건조된 목재를 목기형태를 이루도록 깍아 목기로 제조하는 목기제조공정(S10);
    목기 표면에서 0.2~0.5mm 두께의 깊이까지 타지도록 산소용접기 토치로 목기를 태워 일차 태움목기를 만드는 일차태움공정(S20);
    일차태움목기의 표면을 에어브로어로 불어 표면 손상 없이 표면의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차브로어공정(S30);
    일차브로어공장을 마친 다음 일차태움목기 표면을 다시 태워 표면에서 0.5mm 초과 내지 2mm 두께의 깊이 부분도 태움탄화층을 이루도록 태우는 이차태움공정(S40);
    이차태움공정(S40) 후 표면의 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차브로어공정(S45);
    밀납을 가열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녹이는 밀납용융공정(S50);
    밀납이 용융된 밀납조에 이차태움목기를 21-30분간 침지시키는 밀납침지공정(S60);
    밀납침지한 2차태움목기를 밀납조에서 꺼내 건조하는 건조공정(S70); 및
    건조 공정 후 이차태움목기 내부에 75~100℃ 가열수를 30~60초 채운 다음 버리는 표면밀납제거공정(S80)을 순차 수행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표면밀납제거공정(S80) 후에 태움용기 내면과 외면 습기와 이물질을 천으로 닦아내는 닦는공정(S90)을 더 수행하여 표면 상태를 균일하게 함을 특징으로하는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KR1020190011163A 2019-01-29 2019-01-29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KR10201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63A KR102017691B1 (ko) 2019-01-29 2019-01-29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63A KR102017691B1 (ko) 2019-01-29 2019-01-29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691B1 true KR102017691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163A KR102017691B1 (ko) 2019-01-29 2019-01-29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254A (ko) * 2003-11-13 2005-05-18 김원호 꿀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3150A (ko) * 2005-08-05 2005-08-25 장문순 나무결을 살린 목기의 제작 방법
KR20090063927A (ko) * 2007-12-14 2009-06-18 서장원 밀랍칠 목기와 이의 제작방법
KR20180086615A (ko)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검은목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254A (ko) * 2003-11-13 2005-05-18 김원호 꿀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3150A (ko) * 2005-08-05 2005-08-25 장문순 나무결을 살린 목기의 제작 방법
KR20090063927A (ko) * 2007-12-14 2009-06-18 서장원 밀랍칠 목기와 이의 제작방법
KR20180086615A (ko)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검은목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91B1 (ko) 표면손상 없는 항균성 탄화목기 제조방법
CN106853508A (zh) 一种预防陶瓷型壳开裂的方法
CN103266325B (zh) 斑铜器具制作工艺
CN108309023B (zh) 一种环保型的不粘锅表面处理工艺
KR20180086615A (ko) 검은목기 제조방법
KR100807779B1 (ko) 레큐퍼레이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레큐퍼레이터
CN105599093A (zh) 手机壳制造工艺
CN1332792C (zh) 一种桃木工艺品材料的处理方法
JP2005186539A (ja) 木材表面の加工方法
CN109454730B (zh) 红木板材表面柔化处理工艺
JP2001040361A (ja) 竹炭の製造方法および竹材の煮沸液
JP4677055B1 (ja) 竹材表面加工方法
KR100584036B1 (ko) 금분을 이용한 분청사기의 제조방법
EP1215182B1 (fr) Céramique à base de mâchefers d'incinération d'ordures ménagères
KR101692879B1 (ko)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JPH11343166A (ja) 珪藻土焼成製品とその製造方法
US922026A (en) Treating wood.
CN105367044B (zh) 一种年轮装饰融入青瓷造型的制备工艺
US2791020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fireproof acoustical tile
CN108000656A (zh) 一种柳编工艺品仿古处理方法
JP4339859B2 (ja) 濡れ揚げせんべいの製造方法
FR2498114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bavurage de pieces moulees par compression
KR102238606B1 (ko) 저온 표면 결함 보수 기술을 이용하는 메탈 포세린 인공치아 제조방법
JP2010202464A (ja) 和瓦の製造方法
CN107214798A (zh) 一种在木材表面制作立体天然木纹的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