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455B1 -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455B1
KR102017455B1 KR1020190045398A KR20190045398A KR102017455B1 KR 102017455 B1 KR102017455 B1 KR 102017455B1 KR 1020190045398 A KR1020190045398 A KR 1020190045398A KR 20190045398 A KR20190045398 A KR 20190045398A KR 102017455 B1 KR102017455 B1 KR 10201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plating liquid
temperature
liqui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현
Original Assignee
한성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테크(주) filed Critical 한성테크(주)
Priority to KR102019004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2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금액(R)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티타늄 재질로 된 도금조(10)와; 도금액(R)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금조(10)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동되는 냉매에 의하여 상기 도금액(R)을 냉각시키기 위한 한쌍의 열교환부(20)와; 열교환부(20)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Plating equipment capable of controling temperature of plating solution }
본 발명은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동안 고품질의 경질크롬 도금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이란 도금대상물의 표면에 금속(순금속 외에 합금도 포함)의 얇은 층을 입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금대상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마찰 저항을 줄임과 동시에 내마모성을 부여하고, 광택이 발생되게 함으로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어, 차량, 금속가공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금중 경질크롬도금의 경우, 도금대상물의 표면에 비교적 두꺼운 크롬 도금(0.03mm 이상)을 입히는 것이며, 다른 도금에 비하여 큰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부품 제조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자동차 현가장치인 쇽업쇼버에 사용되는 로드의 경우, 피스톤 부의 중심에 위치 왕복운동을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해야 하고, 오랜 기간 사용해도 치수변화가 없어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쇽업쇼버 로드는 경질크롬도금되어야 한다.
한편, 경질크롬도금은, 크롬산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에 여러개의 봉형태의 전극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전극을 사이의 도금액에 도금대상물을 담근 상태에서 전극에 + 전원을, 그리고 도금대상물에 ??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진행되었다.
그런데 도금은 전기를 이용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전극에서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열은 도금액의 온도를 높여 다양한 도금 불량의 원인이 된다. 예를 들면, 도금 두께 미달이 발생하기도 하며, 도금 표면에 안개 낀 형태로 뿌옇게 되거나 표면 조도가 나빠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며, 더 심할 경우 도금 속도가 저하되어 생산성을 약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금조의 외주면에 냉매가 흐르는 냉각파이프를 설치하여 도금조 자체를 냉각시키고 있다. 참고적으로, 도금조는 철제로 된 박스에 도금액과 반응하지 않는 PVC 가 코팅됨으로서 구현된다.
그런데 냉각파이프의 냉온은 도금조를 통하여 도금액으로 전도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금조에 근접한 부분의 도금액은 냉각되지만 내측의 도금액은 여전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금대상물의 도금 품질의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도금조 내측에 코팅된 PVC 는 시간이 지남에 경화되어 주기적으로 재코팅을 하여야 하였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금액을 직접 냉각시킴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교반 작용이 진행되도록 하여, 도금액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면서 도금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는, 도금액(R)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티타늄 재질로 된 도금조(10); 상기 도금액(R)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금조(10)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동되는 냉매에 의하여 상기 도금액(R)을 냉각시키기 위한 한쌍의 열교환부(20); 상기 열교환부(20)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부(30); 및 상기 도금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금액(R)을 교반시키는 교반형성부(6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형성부(60)는, 상기 열교환부(20)(2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도금조(10) 내주면 코너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분배기둥(61)(61')과; 상기 각각의 분배기둥(61)(6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2,3노즐(62a)(63a)(64a)이 형성된 제1,2,3교반관(62)(63)(64)과; 상기 각각의 분배기둥(61)(6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분배기둥(61)(61')으로 도금액을 흡입한 후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으로 압송하는 스크류(65)와; 상기 한쌍의 분배기둥(61)(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65)를 회전시키는 모터(66)(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금액(R)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50); 및 상기 온도센서(5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냉매공급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20)(20')는, 상기 도금액에 잠겨진 다수의 냉각관(21)과, 상기 다수의 냉각관(21)의 양측단이 연결되는 제1,2관체브라켓(22)(23)과, 상기 제1,2관체브라켓(22)(23)을 구획하여 상기 냉각관(21)이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2구획단(24)(25)과, 상기 제1구획단(24)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체브라켓(22)의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 연결되는 유입관(26) 및 유출관(2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20) 각각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금액(R)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한쌍의 에어관(40)(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40)(40')에는 에어가 분출되는 다수의 에어노즐(41)이 형성되되, 상기 에어노즐(41)은 상기 도금조(10)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은 상기 제1,2,3노즐(62a)(63a)(64a)에서 분출되는 도금액의 분출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배기둥(61)(61')의 제1,2,3결합공(61b)(61c)(61d)에서 회전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둥(61)(61')은, 상기 도금액(R)에 일부 잠겨진 관체 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금액이 유입되는 유입공(61a)과,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이 결합되는 상기 제1,2,3결합공(61b)(61c)(61d)과, 상기 제1,2,3결합공(61b)(61c)(61d)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구획관통공(61f)이 형성된 구획벽(61e)과, 상기 구획벽(61e)의 상부측에 형성된 유출공(61g)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65)는, 상기 분배기둥(61)(61') 내측에 위치되는 스크류몸체(65a)와, 상기 스크류몸체(65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관통공(61f)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65b)와, 상기 스크류몸체(65a)의 상부측 샤프트(65b)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61e)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구획관통공(61f)을 차단하는 디스크(65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부가 도금조에 수용된 도금액을 직접 냉각시키고, 에어관이 열교환부에 의하여 냉각된 도금액을 순환시켜 자연스러운 교반 작용이 진행되도록 하여, 도금액이 고른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에 의하여 도금액(R)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적의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금대상물에 고품질의 경질크롬 도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형성부를 채용함으로써 에어관과 직각되는 방향에서 도금액의 교반이 진행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도금조의 내측 전체면에서 교반이 진행되도록 하여 도금액의 더욱 고른 온도분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금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도금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에어관에 에어노즐이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도금장치에 도금액을 교반시키는 교반형성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교반형성부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배기둥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금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금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에어관에 에어노즐이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는. 도금액(R)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티타늄 재질로 된 도금조(10)와; 도금액(R)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금조(10)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동되는 냉매에 의하여 도금액(R)을 냉각시키기 위한 한쌍의 열교환부(20)와; 열교환부(20)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부(30)와; 열교환부(20) 각각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금액(R)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한쌍의 에어관(40)(40')과; 도금조(10)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도금액(R)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50)와; 온도센서(5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냉매공급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금조(10)는 상부측으로 개구된 박스 형태로 되어 도금대상물에 경질크롬 도금을 위한 크롬산 도금액이 수용된 것으로서, 크롬산 도금액에도 반응되지 않도록 티타늄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도금조(10)의 외주면은 외부 온도 환경과 독립될 수 있도록 단열재(미도시)로 감싸여져 있다.
열교환부(20)(20')는, 도금조(10)의 내측면에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어 도금액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액(R)에 잠겨진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냉각관(21)과, 다수의 냉각관(21)의 양측단이 연결되는 제1,2관체브라켓(22)(23)과, 제1,2관체브라켓(22)(23)을 구획하여 상기 냉각관(21)이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2구획단(24)(25)과, 제1구획단(24)을 기준으로 제1관체브라켓(22)의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 연결되는 유입관(26) 및 유출관(27)을 포함한다.
열교환부(20)는 내부에 제1,2구획단(24)(25)이 형성된 제1,2관체브라켓(22)(23)을 채용함으로써 다수의 냉각관(21)을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냉매가 유출입되는 유입관(26) 및 유출관(27)을 도금조(10) 일측에 위치된 제1관체브라켓(22)의 상단 및 하단과 연결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후술할 냉매공급부(30)와 연결되는 배관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관(21) 및 제1,2관체브라켓(22)(23)은 도금액(R)에 잠겨진 형태이기 때문에 냉매의 냉열이 도금액(R)으로 직접 전달되고, 이에 따라 가열된 도금액(R)을 즉각 냉각시킬 수 있다.
냉매공급부(30)는 열교환부(20)를 도금액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기 및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공조기에 의하여 냉각된 물을 공급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압축기 및 라디에이터를 경유한 프레온 가스를 공급하는 형태나, 수자원공사에서 공급하는 수돗물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20) 및 냉매공급부(30)에 의하여, 유입관(26)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제1,2관체브라켓(22)(23) 및 제1,2구획단(24)(25)에 의하여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관(21)을 경유하고, 이에 따라 도금액과 직접 접촉되는 냉각관(21)은 도금과정중에 가열되는 도금액을 냉각시킨다.
에어관(40)(40')은 열교환부(20)(20')에 의하여 냉각되는 도금액이 순환시킴과 동시에, 수용액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출한다.
이때 에어관(40)(40')에는 에어가 분출되는 다수의 에어노즐(41)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노즐(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조(10)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에어노즐(41)은 열교환부(20)(20')의 상부측에서 비스듬하게 에어버블(B)을 분출하므로, 열교환부(20)(20')에 의하여 냉각된 도금액(R)을 순환시켜 온도 분포가 균일해지도록 한다.
온도센서(50)는 도금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 온도 이상이 될 때 냉매공급부(30)를 작동시키는 온도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센서(5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0)(20')의 하부측 도금조(10) 내주면에 설치되어, 냉각되기전 도금액(R)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온도센서(50)를 채용함으로서 작업자가 별다른 액션을 하지 않아도 도금액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도금장치에 도금액을 교반시키는 교반형성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교반형성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배기둥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금조(10) 내부에서 상기 도금액을 교반시키는 교반형성부(60)를 더 포함한다.
교반형성부(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0)(2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도금조(10) 내주면 코너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분배기둥(61)(61')과; 각각의 분배기둥(61)(6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2,3노즐(62a)(63a)(64a)이 형성된 제1,2,3교반관(62)(63)(64)과; 각각의 분배기둥(61)(6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분배기둥(61)(61')으로 도금액을 흡입한 후 제1,2,3교반관(62)(63)(64)으로 압송하는 스크류(65)와; 한쌍의 분배기둥(61)(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스크류(65)를 회전시키는 모터(66)(66')를 포함한다.
분배기둥(61)(61')은 도금액에 일부 잠겨진 관체 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도금액이 유입되는 유입공(61a)과,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이 결합되는 제1,2,3결합공(61b)(61c)(61d)과, 제1,2,3결합공(61b)(61c)(61d)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구획관통공(61f)이 형성된 구획벽(61e)과, 구획벽(61e)의 상부측에 형성된 유출공(61g)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배기둥(61)(61')은, 유출공(61g)이 도금액(R)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잠겨진다.
제1,2,3교반관(62)(63)(64)은 스크류(65)에 의하여 분배기둥(61) 내측으로 압송되는 도금액을 도금액으로 분출시킨다.
제1,2,3교반관(62)(63)(64)은 제1,2,3결합공(61b)(61c)(61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2,3교반관(62)(63)(64)은 제1,2,3결합공(61b)(61c)(61d)에서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제1,2,3노즐(62a)(63a)(64a)에서 분출되는 도금액의 분출 각도를 비스듬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3노즐(62a)(63a)(64a)에서 비스듬하게 분출되는 도금액은 도금조(10)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교반이 진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금 과정에서 도금액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더라도, 열교환부(20)(20')에 의하여 냉각된 도금액을 다른 도금액과 빠르게 교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금액 전체 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고른 온도분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스크류(65)는, 도금액을 분배기둥(61)(61')의 유입공(61a)을 통하여 제1,2,3교반관(62)(63)(64)으로 압송한다. 스크류(6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둥(61)(61') 내측에서 위치되는 스크류몸체(65a)와, 스크류몸체(65a)의 상단에 형성되어 구획관통공(61f)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65b)와, 스크류몸체(65a)의 상부측 샤프트(65b)에 형성되어 구획벽(61e)에 밀착됨으로서 구획관통공(61f)을 차단하는 디스크(65c)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류(65)에 의하여, 유입공(61a)을 통하여 유입되는 도금액은 디스크(65c)에 의하여 구획벽(61e) 및 구획관통공(61f)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부식성이 강한 도금액이 모터(66)(66')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금액은 부식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장기간동안 스크류 샤프트(65b)와 구획관통공(61f)을 완벽하게 실링한 상태로 유지하는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스크류(65)는 상기 디스크(65c)를 채용함으로서, 스크류 샤프트(65b)와 구획관통공(61f)을 실링하는 별도의 부재를 채용하지 않고도, 도금액이 구획관통공(61f)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실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부(20)(20')가 도금조(10)에 수용된 도금액을 직접 냉각시키고, 에어관(40)(40')이 열교환부(20)(20')에 의하여 냉각된 도금액을 순환시켜 자연스러운 교반 작용이 진행되도록 하여, 도금액이 고른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50)에 의하여 도금액(R)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적의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금대상물에 고품질의 경질크롬 도금을 할 수 있다.
또한 교반형성부(60)를 채용함으로써, 에어관(40)과 직각되는 방향에서 도금액의 교반이 진행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도금조(10)의 내측 전체면에서 교반이 진행되도록 하여 도금액의 더욱 고른 온도분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도금조 20, 20' ... 열교환부
21 ... 냉각관 22, 23 ... 제1,2관체브라켓
24, 25 ... 제1,2구획단 26 ... 유입관
27 ... 유출관 30 ... 냉매공급부
40, 40' ... 에어관 41 ... 에어노즐
50 ... 온도센서 60 ... 교반형성부
61, 61' ... 분배기둥 61a ... 유입공
61b, 61c, 61d ... 제1,2,3결합공 61f ... 구획관통공
61e ... 구획벽 61g ... 유출공
62, 63, 64 ... 제1,2,3교반관 65... 스크류
65a ... 스크류몸체 65b ... 샤프트
65c ... 디스크 66, 66' ... 모터

Claims (8)

  1. 도금액(R)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티타늄 재질로 된 도금조(10);
    상기 도금액(R)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금조(10)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동되는 냉매에 의하여 상기 도금액(R)을 냉각시키기 위한 한쌍의 열교환부(20)(20');
    상기 열교환부(20)(20')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부(30); 및
    상기 도금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금액(R)을 교반시키는 교반형성부(6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형성부(60)는, 상기 열교환부(20)(2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도금조(10) 내주면 코너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분배기둥(61)(61')과; 상기 각각의 분배기둥(61)(6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2,3노즐(62a)(63a)(64a)이 형성된 제1,2,3교반관(62)(63)(64)과; 상기 각각의 분배기둥(61)(6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분배기둥(61)(61')으로 도금액을 흡입한 후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으로 압송하는 스크류(65)와; 상기 한쌍의 분배기둥(61)(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65)를 회전시키는 모터(66)(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금액(R)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50); 및
    상기 온도센서(5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냉매공급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20)(20')는,
    상기 도금액에 잠겨진 다수의 냉각관(21)과,
    상기 다수의 냉각관(21)의 양측단이 연결되는 제1,2관체브라켓(22)(23)과,
    상기 제1,2관체브라켓(22)(23)을 구획하여 상기 냉각관(21)이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2구획단(24)(25)과,
    상기 제1구획단(24)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체브라켓(22)의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 연결되는 유입관(26) 및 유출관(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20) 각각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금액(R)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한쌍의 에어관(40)(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40)(40')에는 에어가 분출되는 다수의 에어노즐(41)이 형성되되, 상기 에어노즐(41)은 상기 도금조(10)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은 상기 제1,2,3노즐(62a)(63a)(64a)에서 분출되는 도금액의 분출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배기둥(61)(61')의 제1,2,3결합공(61b)(61c)(61d)에서 회전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둥(61)(61')은, 상기 도금액(R)에 일부 잠겨진 관체 형상으로,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금액이 유입되는 유입공(61a)과, 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교반관(62)(63)(64)이 결합되는 상기 제1,2,3결합공(61b)(61c)(61d)과, 상기 제1,2,3결합공(61b)(61c)(61d)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구획관통공(61f)이 형성된 구획벽(61e)과, 상기 구획벽(61e)의 상부측에 형성된 유출공(61g)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65)는, 상기 분배기둥(61)(61') 내측에 위치되는 스크류몸체(65a)와, 상기 스크류몸체(65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관통공(61f)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65b)와, 상기 스크류몸체(65a)의 상부측 샤프트(65b)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61e)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구획관통공(61f)을 차단하는 디스크(6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KR1020190045398A 2019-04-18 2019-04-18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KR10201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98A KR102017455B1 (ko) 2019-04-18 2019-04-18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98A KR102017455B1 (ko) 2019-04-18 2019-04-18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455B1 true KR102017455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398A KR102017455B1 (ko) 2019-04-18 2019-04-18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7419A (zh) * 2019-09-04 2021-03-05 荥经县旭光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控温功能的化成铝箔生产用干燥装置
KR102350064B1 (ko) * 2021-10-22 2022-01-11 주식회사 에스비테크산업 고품질 다기능 도금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381A (ja) * 2000-10-26 2002-05-09 Hideyuki Kobayashi メッキ装置の流量調整可能なメッキ液噴出ノズルシステム
KR20110092746A (ko) * 2010-02-10 2011-08-18 이동근 전해니켈도금설비
CN102677134A (zh) * 2012-05-31 2012-09-19 无锡市喷特环保工程有限公司 连续镀槽
KR20130103407A (ko) * 2012-03-09 2013-09-23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메키시켄키 도금 장치 및 도금물의 제조 방법
KR101328511B1 (ko) * 2013-06-11 2013-11-13 배민수 기판도금용 도금액 가열공급장치
KR101348208B1 (ko) * 2013-06-11 2014-01-06 배민수 무전해 도금조용 열교환장치
KR20150012597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액 온도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381A (ja) * 2000-10-26 2002-05-09 Hideyuki Kobayashi メッキ装置の流量調整可能なメッキ液噴出ノズルシステム
KR20110092746A (ko) * 2010-02-10 2011-08-18 이동근 전해니켈도금설비
KR20130103407A (ko) * 2012-03-09 2013-09-23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메키시켄키 도금 장치 및 도금물의 제조 방법
CN102677134A (zh) * 2012-05-31 2012-09-19 无锡市喷特环保工程有限公司 连续镀槽
KR101328511B1 (ko) * 2013-06-11 2013-11-13 배민수 기판도금용 도금액 가열공급장치
KR101348208B1 (ko) * 2013-06-11 2014-01-06 배민수 무전해 도금조용 열교환장치
KR20150012597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액 온도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7419A (zh) * 2019-09-04 2021-03-05 荥经县旭光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控温功能的化成铝箔生产用干燥装置
KR102350064B1 (ko) * 2021-10-22 2022-01-11 주식회사 에스비테크산업 고품질 다기능 도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455B1 (ko) 도금액 온도제어가 가능한 도금장치
CN105081321B (zh) 激光3d打印成形非晶态金属构件冷却系统及其冷却方法
JP6603288B2 (ja) 工作機械の切削液供給装置
JP2015163428A (ja) 動作中に発熱する機能部品を備える工作機械
KR102306309B1 (ko) 열 교환 시스템 및 이 열 교환 시스템을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CN103433616A (zh) 一种搅拌摩擦焊装置
JP2017199874A (ja) 熱処理装置
JP2007003154A (ja) 恒温器
CN204142045U (zh) 一种换热器
CN108796424B (zh) 轻合金回转体零件等离子喷涂的冷却装置
CN218175037U (zh) 一种高强度合金丝锥热处理加工用快速降温装置
JP4175840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の表面処理方法
CN109234503A (zh) 一种用于桶形工件的淬火装置
CN112935645B (zh) 一种搅拌摩擦焊的冷却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010064B1 (ko) 도금장치
JPS60221533A (ja) 金属ストリツプの冷却装置
JP6904370B2 (ja) ガスジェット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JPS59137176A (ja) 薄肉金属管の肉盛溶接方法
Fu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orced convection on evaporation of continuously-fed sessile droplets
CN206983464U (zh) 镁板制版机制冷机构
RU161466U1 (ru) Установка электроимпульсного полирования
CN211570804U (zh) 一种铝合金电解氧化成膜装置
CN214830509U (zh) 一种铝合金热处理装置
CN217849752U (zh) 一种具有控温放电辊的等离子表面处理机
CN212955241U (zh) 一种连续型热加工循环淬火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