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35B1 -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35B1
KR102016635B1 KR1020150139011A KR20150139011A KR102016635B1 KR 102016635 B1 KR102016635 B1 KR 102016635B1 KR 1020150139011 A KR1020150139011 A KR 1020150139011A KR 20150139011 A KR20150139011 A KR 20150139011A KR 102016635 B1 KR102016635 B1 KR 10201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e
application
pop
window
specific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887A (ko
Inventor
권순부
Original Assignee
권순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부 filed Critical 권순부
Priority to KR102015013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35B1/ko
Priority to PCT/KR2016/008605 priority patent/WO2017057841A1/ko
Publication of KR2017003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팝업창(광고창)을 띄워 표시함으로써 적립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SUPPLYING VARIOUS RESERVE USING POP-UP P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적립금을 제공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광고 시장은 스마트 폰의 보급과 함께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광고가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리워드 앱(어플리케이션)이 차세대 광고 유형으로 각광받고 있다.
리워드 앱이란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해당 앱을 설치하고 설치된 앱을 통해 광고를 시청하거나, 이벤트 참여 및 광고주가 원하는 미션을 수행할 경우 적립금이나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형태의 앱 서비스이다. 즉, 광고를 보는 대가를 주는 것으로 여기서 누적된 적립금이나 포인트는 상품을 구입하거나 현금으로 환급이 가능하며, 상품권으로도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리워드 앱은 소비자의 경우 포인트나 현금이라는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광고주의 경우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통해 자사 제품이나 이벤트를 쉽게 홍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 리워드 앱은 사용자가 직접 해당 앱을 실행해야만 적립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지속적인 사용자의 참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8521호(발명의 명칭: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인터넷 동영상 광고 시스템 및 그방법, 공개일: 2002년 01월 31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팝업창(광고창)을 띄워 표시함으로써 적립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적립금을 제공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을 띄우도록 제공함으로써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여부로 적립금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립 대기 시간을 정해두어 적립 대기 시간 이전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적립 대기 화면을 팝업창으로 띄워 무분별한 적립 행위를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서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적립금을 제공하는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적립금 산출부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립금 산출부가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상기 적립금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적립금을 인가받고 실행 중인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시각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대기하는 적립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상기 팝업창에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과 추가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들을 포함하여 출력하고, 상기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해당 적립금을 사용자의 아이디로 바로 적립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뒤로가기 버튼 또는 홈 버튼의 선택 여부로 실행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립금 산출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로부터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인가받으면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립금 산출부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적립금의 적립 레벨을 다르게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립금 산출부가, 일정 주기마다 상기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에 따라 사용자의 레벨, 경험치를 갱신하고, 갱신된 사용자의 레벨, 경험치에 따라 상기 적립금의 적립 레벨을 다르게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일정 주기 동안에 실행 및 종료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은, 적립금을 제공하는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하는 적립금 산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상기 적립금 산출부로 인가하며, 상기 적립금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적립금을 인가받으면 실행 중인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즉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로 전달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하기 이전에,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시각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대기하는 적립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에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과 추가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들을 포함하여 출력하고, 상기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해당 적립금을 사용자의 아이디로 바로 적립시킬 수 있다.
상기 적립금 산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로부터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인가받으면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팝업창(광고창)을 띄워 표시함으로써 적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적립금을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을 띄워 적립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립 대기 시간을 정해두어 적립 대기 시간 이전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종료되면 적립 대기 화면을 팝업창으로 띄우고 적립 대기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적립 시점을 지연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무분별한 적립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간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에서 적립 대기 시간을 두어 적립을 제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팝업창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립 대기 화면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세부 메뉴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앱'으로 혼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을 통해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결되어 리워드(reward)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과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간 연결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또는 앱)(100A)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A)은 설명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캐시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100)에 탑재되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 화면에 팝업창을 출력하고 팝업창을 확인한 사용자에게 적립금을 리워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소정의 이벤트라 함은 팝업창을 출력하게 하는 발생 신호를 의미한다. 발생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발생 신호가 될 수 있고,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설정된 푸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0)에서 추가 적립을 위해 광고를 요청하거나 미션을 수행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벤트 발생으로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일정 주기마다 또는 수시로 신규 광고를 제공하는 푸시 신호에 의해 팝업창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일정 주기마다 또는 수시로 신규 광고를 푸시하는 이벤트 보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이벤트 발생이 주로 수행될 것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A)을 통해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A)을 통해 제공한다.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는 임의 광고업체 또는 게임업체가 광고할 정보로서, 동영상, 이벤트 정보, 게임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관련 앱의 설치를 유도하는 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앱 정보에는 이와 대응하여 적립금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앱 정보를 제공할 때 적립금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캐시 어플리케이션)(100A)을 통해,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이 종료되면 즉시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팝업창을 출력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출력된 팝업창을 통해 적립금을 획득하고, 추가 적립을 위해서는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계하여 광고 정보 및 게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금을 획득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일정 주기 동안에 실행 및 종료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한다.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본적으로 광고업체 또는 게임업체로부터 수주를 받고 해당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를 수집하여 추가 적립을 위한 적립금을 설정한다.
또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활동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 분석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간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 적립금 산출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도 3에서 예시한 것처럼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연동 어플리케이션 #1, #2 내지 #K)을 정의하고,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연동 어플리케이션 #1, #2 내지 #K)에 대하여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한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라인, 페이스북 등 채팅이나 쇼설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적용할 수 있다.
체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종료 시간은 추후에 모바일 단말(10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동 사용 내역을 분석할 때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앱 종료임을 알리는 신호(이하, 종료 신호)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뒤로가기 버튼 또는 홈 버튼의 선택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뒤로가기 버튼이 선택되거나 홈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된 시점의 시간을 체크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일정 주기 동안에 실행 및 종료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패턴 분석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또는 종료 신호)이 수신되면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적립금 산출부(130)로 인가한다. 여기서의 캐시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이미 실행중인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동작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실제 앱 아이콘을 클릭하여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실행시키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는 적립금 산출부(130)를 통해 산출된 적립금을 인가받으면 실행 중인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도 7 참조)을 출력부(140)로 즉시 출력한다. 이때, 팝업창에는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과, 추가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들이 포함되는데,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가 팝업창에 포함된 해당 적립금을 사용자의 아이디로 바로 적립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는 팝업창을 출력하기 이전에,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시각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는 적립금이 포함된 팝업창을 출력하고,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대기하는 적립 대기 화면(도 8 참조)을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팝업창을 구분하여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팝업창이 출력된 시각으로부터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이후에 제2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가 종료한 경우 이전 제1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시점이 아닌, 이전 제2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마다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어플리케이션별로 구분하지 않고 이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적립금 산출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로부터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인가받으면,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조건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한다.
산출 시, 적립금 산출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적립금의 적립 레벨을 다르게 산정할 수 있다. 또, 적립금 산출부(130)는 사용자의 레벨과 경험치에 따라 적립금의 적립 레벨을 다르게 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레벨과 경험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도 1의 100)에서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에 따라 산정되는데, 적립금 산출부(130)에서 일정 주기마다 산정하여 갱신할 수 있고 또는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도 1의 200)에 갱신을 요청하고 갱신된 레벨과 경험치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모바일 단말(100) 내 하드웨어 구성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며, 기록매체는 컴퓨터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 외부 관련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일 수 있다. 컴퓨터는 모바일 단말, PC, PDA(Personal Digital Assiant),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한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종료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 팝업 횟수, 적립 횟수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하며, 산출된 적립금을 포함한 팝업창을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가입자 관리부(210), 광고 관리부(22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30), 데이터 수신부(240), 사용 패턴 분석부(250), 가입자 DB(260), 광고 정보 DB(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부(210)는 서비스의 가입을 관리한다. 즉, 가입자 관리부(210)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광고업체, 게임업체 등에게 고유의 계정을 부여하고 부여한 아이디, 비밀번호를 포함한 가입 정보를 가입자 DB(260)에 저장한다.
광고 관리부(220)는 서비스에 가입한 광고업체 또는 게임업체들이 광고할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 정보 DB(270)에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는 동영상, 이벤트 정보, 게임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관련 앱의 설치를 유도하는 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관리부(220)는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에 대응되는 적립금을 설정하고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를 제공할 대 적립금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30)는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립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며, 특히 광고 정보 DB(27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를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매칭하여 제공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30)는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설치, 수정, 갱신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30)는 데이터 수신부(240)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적립 횟수, 또는 모바일 단말에 출력한 팝업 횟수 등에 따라 일정 주기마다 사용자의 레벨 및 경험치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4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립한 사용자별 적립금과, 레벨 및 경험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들을 가입자 정보(260)에 갱신한다.
사용 패턴 분석부(25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가입자)가 활동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을 통해 가입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이고, 얼마나 빈도로 사용하며, 각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시간 등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궁극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타겟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1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본 발명의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캐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해 둔다. 이는 각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단말에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서비스에 가입한다. 서비스 가입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대한 고유 계정을 부여받고 부여받고 계정을 통해 사용자별 적립금을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단말에서는 S100 단계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가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는 실행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체크해 둘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종료 시간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로 인가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시간 대신 앱 종료임을 알리는 식별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로 인가할 수 있다.
이후 S120 및 S1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가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10)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종료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달받은 앱 정보를 적립금 산출부(130)로 전달한다.
이후 S140 단계에서, 적립금 산출부(13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와 모바일 단말에서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 사용자별에 따른 레벨과 경험치(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조건들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한다.
사용자별 레벨과 경험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전 팝업창을 출력한 팝업 횟수, 적립 횟수 등에 따라 산정되는데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정 주기마다 산정하여 갱신될 수 있고, 또는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에 갱신을 요청하고 갱신된 레벨과 경험치를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후 S150 단계에서, 적립금 산출부(130)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로 이전 단계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별 적립금을 전달한다.
S16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가 적립금 산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적립금을 포함하여 단말의 출력부로 팝업창을 출력한다.
팝업창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즉시 적립을 위한 제1 선택 버튼(74)과, 추가 적립을 위한 제2 내지 제4 선택버튼(75,76,77)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서비스 가입을 통해 부여받은 사용자 아이디 정보(71), 사용자 아이디에 해당하는 총 적립금(72)을 표시하고, 내 정보를 상세 확인할 수 있는 버튼(73)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시 적립을 위한 제1 선택 버튼(74)에는 해당 적립금이 표시되며, 제1 선택 버튼(74)이 선택되면 해당 적립금이 바로 적립되고 총 적립금에 갱신된다.
제2 내지 제4 선택버튼(75,76,77)은 광고 앱 또는 게임 앱의 설치를 유도하여 추가 적립을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 이벤트, 프로모션 기간 동안 미션을 수행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적립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친구 초대를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는 연동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친구를 초대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선택버튼(77)은 친구 초대로 인해 추가 적립을 수행하는 기능이며, 초대한 친구가 활동하면 추천인 사용자에게도 적립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S16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가 팝업창을 출력할 때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여 적립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61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한다.
S162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팝업창을 출력하기 전에, 이전 팝업창이 출력된 시각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한 경우, S163 단계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적립금이 포함한 팝업창을 출력한다.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S164 단계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대기하는 적립 대기 화면을 출력한다. 적립 대기 화면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적립 대기 화면에는 도 7의 팝업창에서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도 7의 74) 대신 적립 대기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대기하는 정보를 알리기 위한 버튼(81)이 표시되며, 상기 버튼(81)에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는 진행 상황(82)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도 7의 팝업창에 제공되는 화면과 유사하게 사용자 아이디 정보(71), 사용자 아이디에 해당하는 총 적립금(72)이 표시되고, 내 정보를 상세 확인할 수 있는 버튼(73), 추가 적립을 위한 제2 내지 제4 선택버튼(75,76,77)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단말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적립금이 제공되는 형태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팝업창을 띄움으로써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활발한 유저에게는 더욱 차별화하여 적립하도록 제공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세부 메뉴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세 정보 화면으로, 도 7의 팝업창에서 또는 도 8의 적립 대기 화면에서 내 정보 확인 버튼(73)의 선택 시 제공될 수 있다.
상세 정보 화면에는 총 적립금(91), 사용자 아이디 및 사용자 아이디별 레벨과 경험치에 대한 정보(92), 친구 초대한 이력 정보(93), 초대한 친구의 활동에 의해 적립된 적립금 정보(94)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추가 적립을 위한 화면이다.
도 10의 화면은 도 7의 팝업창에서 또는 도 8의 적립 대기 화면에서 추가 적립을 위한 제2 및 제3 선택버튼(75,76)의 선택 시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적립을 위한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업체 또는 게임업체로부터 수주받은 광고 정보 또는 게임 정보를 적립금과 함께 표시하고, 카테고리 또는 적립금의 단가별로 추가 적립의 메뉴 항목(예컨대, 더더적립1, 더더적립2)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리워드를 위한 화면이다. 도 11의 화면에서 총 적립금에 대하여 환급받을 은행, 계좌번호, 예금주, 환급액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단말 100A: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
200: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 110: 어플리케이션 연동부
1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30: 적립금 산출부
140: 출력부 210: 가입자 관리부
220: 광고 관리부 23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240: 데이터 수신부 250: 사용 패턴 분석부
260: 가입자 DB 270: 광고 정보 DB

Claims (17)

  1. 모바일 단말에서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적립금을 제공하는 캐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된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에 의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상기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가 이전의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만 상기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 대신에 적립 대기 화면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팝업창은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과 추가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들을 포함하며, 상기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팝업창에 제시된 해당 적립금을 사용자의 아이디로 바로 적립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뒤로가기 버튼 또는 홈 버튼의 선택 여부로 실행 종료를 판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가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 종료 시간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대기 화면은,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를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된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에 의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립금 산출부가 상기 실행 종료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립금 산출부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적립금의 적립 레벨을 다르게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립금 산출부가 사용자의 레벨, 경험치에 따라 상기 적립금의 적립 레벨을 다르게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10. 삭제
  11.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하되,
    이전의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만 상기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적립금을 적립하기 위한 팝업창 대신에 적립 대기 화면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며,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과 추가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들을 포함하는 상기 팝업창에서 상기 즉시 적립을 위한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팝업창에 제시된 해당 적립금을 사용자의 아이디로 바로 적립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뒤로가기 버튼 또는 홈 버튼의 선택 여부로 실행 종료를 판단하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여부를 체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립금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대기 화면은,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상기 적립 대기 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를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립금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139011A 2015-10-02 2015-10-02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11A KR102016635B1 (ko) 2015-10-02 2015-10-02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CT/KR2016/008605 WO2017057841A1 (ko) 2015-10-02 2016-08-04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011A KR102016635B1 (ko) 2015-10-02 2015-10-02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402A Division KR20170066292A (ko) 2017-06-01 2017-06-01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87A KR20170039887A (ko) 2017-04-12
KR102016635B1 true KR102016635B1 (ko) 2019-08-30

Family

ID=5842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011A KR102016635B1 (ko) 2015-10-02 2015-10-02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6635B1 (ko)
WO (1) WO2017057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51B1 (ko) * 2019-09-11 2021-01-07 류재완 홈화면 전환으로 팝업출력 및 캐시적립을 이용한 캐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74A (ko) * 2000-05-09 2000-08-05 배경완 윈도우즈에서 별도의 광고창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1797768B1 (ko) * 2011-08-31 2017-12-1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9881A (ko) * 2012-01-10 2013-08-1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수익률을 이용한 관계형 포인트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0038A (ko) * 2012-06-22 2014-01-02 서경동 스마트폰에서의 광고제공방법
KR101583115B1 (ko) * 2012-11-12 2016-01-08 문광진 광고 애플리케이션 운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90001A (ko) * 2015-07-18 2015-08-05 안범주 앱 아이콘 활성화에 따른 광고 리워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탈로그]넥스트데일리/2013.09.23./DMC소프트코리아, 리워드 앱과 포털 서비스 개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41A1 (ko) 2017-04-06
KR20170039887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167B1 (ko) 콘텐츠 수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마케터별로 광고비를 배분하는 바이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24278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multi-purpose task completion platform
US20140089068A1 (en) Videos for In Application Purchases and Rewards for Sharing Same through Social Media and Video Advertising for Reengagement
CN102938122A (zh) 社交媒体活动度量
KR101367248B1 (ko) 상황인지를 통한 광고배포 플랫폼 및 광고배포 방법
CN104660600A (zh) 一种终端广告的综合展示系统及方法
US20120316936A1 (en) Integrated loyalty program infrastructure
US201301321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aring rewards
US11803874B2 (en) Transaction-based promotion campaign
US202201013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grammatic control of transmitted electronic content
KR20140019928A (ko)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에서의 수익 분배형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3497A (ko) 온라인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102013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roup promotions
KR102016635B1 (ko)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26687A (ko) 체리 피커 방지를 위한 사용자 행동 분석에 기반한 2단계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51679B1 (ko) 바이럴 마케팅 서비스용 앱 트래픽 퀄리티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12473A1 (en) Evaluation of advertisements
KR101758973B1 (ko) 리워드형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244050B1 (ko) 지역기반 가맹점 광고 홍보 시스템 및 방법
Gerpott et al. Correlates of using the billing system of a mobile network operator to pay for digital goods and services
KR20150025848A (ko) 온라인상의 안심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3087B1 (ko) 리워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66292A (ko) 팝업창을 이용한 적립금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10406962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ynchronous Delivery Of Active Media And Electronic Marketing Communications
KR101813082B1 (ko) 게임 보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7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01

Effective date: 201901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