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396B1 -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396B1
KR102016396B1 KR1020170154740A KR20170154740A KR102016396B1 KR 102016396 B1 KR102016396 B1 KR 102016396B1 KR 1020170154740 A KR1020170154740 A KR 1020170154740A KR 20170154740 A KR20170154740 A KR 20170154740A KR 102016396 B1 KR102016396 B1 KR 102016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shing
cargo hold
coupling rod
reduction devic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603A (ko
Inventor
황정오
조성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3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슬로싱 저감 장치는 화물창에 고정되어 상기 화물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Sloshing reducing apparatus, cargo hold comprising the sloshing reducing apparatus and ship comprising the sloshing re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선박은 LNG 탱크를 적재하는 방식에 따라 모스형(Moss type) 선박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 선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모스형 선박은 선체와는 독립된 별도의 LNG 탱크를 구비한 선박이고, 멤브레인형 선박은 선체의 내벽에 결합된 LNG 탱크를 구비한 선박이다.
멤브레인형 선박의 LNG 탱크는 멤브레인에 의하여 형성된다. 선체의 내벽에 멤브레인이 부착되어 LNG 탱크를 형성할 수 있다.
LNG 탱크의 내부에서는 슬로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액체 연료가 LNG 탱크의 내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슬로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슬로싱 현상은 LNG 탱크의 모서리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0869호 (2016.10.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로싱 저감 장치의 일 면(aspect)은 화물창에 고정되어 상기 화물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화물창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로드는 그 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워진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캡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호간에 결합되는 돌출부 및 홈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슬로싱 저감부의 자세가 고정된다.
상기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는, 액체 연료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 구비되어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물창의 일 면(aspect)은 방벽, 및 상기 방벽의 표면에 구비되어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슬로싱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상기 방벽에 고정되어 상기 방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벽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고정부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복수 개가 상기 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 각각은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화물창, 및 상기 화물창에 구비되어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슬로싱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상기 화물창을 구성하는 방벽에 고정되어 상기 방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벽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고정부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복수 개가 상기 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 각각은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스터드 볼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슬로싱 저감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가 상호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슬로싱 저감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가 화물창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전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고정부(100) 및 슬로싱 저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0)는 슬로싱 저감부(200)를 화물창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00)는 화물창에 고정되어 화물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결합 로드(110), 스토퍼(120) 및 이탈 방지 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 로드(110)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로싱 저감부(20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로드(110)가 화물창의 표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슬로싱 저감부(200)를 결합 로드(110)에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스토퍼(120)는 결합 로드(110)의 중단에 구비되어 슬로싱 저감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 로드(110)에 끼워진 슬로싱 저감부(200)는 그 일측이 스토퍼(120)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120)에 의하여 슬로싱 저감부(200)는 화물창의 표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 캡(130)은 결합 로드(110)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ST)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부(200)가 결합 로드(110)에 끼워진 이후에 이탈 방지 캡(130)이 결합 로드(110)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슬로싱 저감부(200)가 결합 로드(11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부(200)는 고정부(100)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화물창 내부에서 형성되는 슬로싱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슬로싱 저감부(200)는 실린더(210)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이하, 플레이트라 한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10)는 고정부(100)의 결합 로드(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원통 형상의 결합 로드(1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실린더(210)의 내부 형상도 결합 로드(11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물창 내부에서 액체 연료가 이동하는 경우 플레이트(220)가 액체 연료의 이동을 제한하여 슬로싱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220)에는 결합 홀(240)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 홀(240)는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와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홀(240)이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결합 홀에 중첩된 상태에서 볼트가 결합 홀(240)을 관통함으로써 플레이트(220)는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00) 및 슬로싱 저감부(200)는 상호간에 결합되는 돌출부(140) 및 홈부(230)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40)가 홈부(230)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부(100)에 대한 슬로싱 저감부(200)의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고정부(100)에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슬로싱 저감부(200)에 홈부(23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00)에 홈부(230)가 형성되고 슬로싱 저감부(200)에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100) 및 슬로싱 저감부(200) 각각에 돌출부(140) 및 홈부(2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고정부(100)에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슬로싱 저감부(200)에 홈부(230)가 형성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스터드 볼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100)는 화물창(20)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S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00)의 결합 로드(110)는 스터드 볼트(SB)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홀(SH)을 구비할 수 있다. 나사홀(SH)은 결합 로드(1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터드 볼트(SB)를 화물창(20)의 표면에 설치한 이후에 결합 로드(110)를 스터드 볼트(SB)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터드 볼트(SB)는 화물창(20)의 코너 패널(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슬로싱 저감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100)에는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슬로싱 저감부(200)에는 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00)의 외측 표면에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슬로싱 저감부(200)의 실린더(210)의 내부에 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제 1 플레이트(221) 및 제 2 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21)는 화물창에 수용된 액체 연료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화물창 내에서 이동하는 액체 연료가 제 1 플레이트(221)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움직임이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슬로싱이 저감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플레이트(222)는 제 1 플레이트(221)의 일측에서 연장 구비되어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222)는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와 볼트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 2 플레이트(222)는 결합 홀(240)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21) 및 제 2 플레이트(222)는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21)가 제 2 플레이트(222)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플레이트(222)의 두께는 제 1 플레이트(221)의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플레이트(220)의 일면이 일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제 2 플레이트(2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플레이트(221)와 제 2 플레이트(222)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돌출부(140)가 홈부(230)에 삽입됨으로써 슬로싱 저감부(200)가 고정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0)가 홈부(230)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부(100)에 대한 슬로싱 저감부(200)의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플레이트(220)가 수평 방향(X)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슬로싱 저감부(200)가 고정부(100)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 방향에 따라 플레이트(220)가 수직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슬로싱 저감부(200)가 고정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가 상호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접한 2개의 슬로싱 저감 장치(11, 1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각 슬로싱 저감 장치(11, 12)는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플레이트(220)는 제 1 플레이트(221) 및 제 2 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222)는 인접한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제 2 플레이트(222)에 접합되고, 볼트(BT) 및 너트(NT)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양측 슬로싱 저감 장치(11, 12)의 제 2 플레이트(222)가 볼트(BT) 및 너트(NT)에 의하여 결합됨에 따라 양측 슬로싱 저감 장치(11, 12)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플레이트(222)는 플레이트(220)의 일측면이 일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플레이트(221)에 비하여 제 2 플레이트(222)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222)의 두께가 제 1 플레이트(221)의 두께의 절반인 경우 양측 슬로싱 저감 장치(11, 12)의 플레이트(220)는 단차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일측 슬로싱 저감 장치의 플레이트(220)의 넓은 면 각각은 상대측 슬로싱 저감 장치의 플레이트(220)의 넓은 면 각각과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양측 슬로싱 저감 장치(11, 12)의 플레이트(220)간의 단차가 없기 때문에 단차를 통한 액체 연료의 충격 유입이 방지되고, 슬로싱 저감 장치(11, 12)의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슬로싱 저감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101)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뿐만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0)가 고정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0)에 홈부(230)가 결합되는 경우 플레이트(220)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0)에 홈부(230)가 결합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20)는 사선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수평 및 사선 방향으로 돌출부(140)가 형성됨에 따라 플레이트(220)의 다양한 배치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가 화물창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화물창(20)의 표면에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화물창(20)의 표면에 스터드 볼트(SB)를 설치하고, 스터드 볼트(SB)에 결합 로드(110)를 결합시키고, 결합 로드(110)에 슬로싱 저감부(200)를 끼운 이후에 이탈 방지 캡(130)을 결합 로드(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슬로싱 저감 장치(10)를 화물창(20)에 설치할 수 있다.
결합 로드(110)에 끼워지는 각도에 따라 플레이트(220)의 배치 방향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등의 작업만으로 슬로싱 저감 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슬로싱 저감 장치(10)의 설치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액체 연료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슬로싱 저감 장치(10)가 파손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화물창(20)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 연료에 의한 충격이 상대적으로 작거나 슬로싱 저감 장치(10)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각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와의 결합 없이 단독으로 화물창(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전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의 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20)은 복수의 방벽(21)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창(20)은 전체적으로 팔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화물창(20)은 10개의 방벽(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물창은 방벽 및 슬로싱 저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방벽(21)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물창(20)은 10개의 방벽(2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각 방벽(21)에 구비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복수 개가 방벽(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10) 각각은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10)가 나란히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10)로 구성된 띠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10)로 구성된 띠는 방벽(21)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방벽(21)이 사각형인 경우 사각형의 띠가 형성되고, 방벽(21)이 팔각형인 경우 팔각형의 띠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슬로싱 저감 장치(10)의 띠는 화물창(20)의 내측면에서 방벽(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슬로싱은 방벽(21)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방벽(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로싱 저감 장치(10)가 배치됨에 따라 슬로싱의 효율적인 방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선박(30)은 화물창(20) 및 슬로싱 저감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창(20)은 선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액체 연료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7은 2개의 화물창(20)으로 구성된 선박(30)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선박(30)에 구비된 화물창(20)의 개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박(30)은 하나의 화물창(20)만을 구비할 수 있다.
화물창(20)의 내부에는 액체 연료에 의한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슬로싱 저감 장치(10)가 구비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복수 개가 화물창(20)의 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 장치(10) 각각은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10)는 띠를 형성할 수 있다. 슬로싱 저감 장치(10)의 띠가 화물창(20)을 구성하는 각 방벽의 가장자리에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화물창(20)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슬로싱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슬로싱 저감 장치 20: 화물창
30: 선박 100, 101: 고정부
200: 슬로싱 저감부 110: 결합 로드
120: 스토퍼 130: 이탈 방지 캡
140: 돌출부 200: 슬로싱 저감부
210: 실린더 220: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
221: 제 1 플레이트 222: 제 2 플레이트
230: 홈부 240: 결합 홀
SB: 스터드 볼트 ST: 나사산
SH: 나사홀

Claims (14)

  1. 화물창에 고정되어 상기 화물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로드는 그 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워진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캡과 나사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화물창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호간에 결합되는 돌출부 및 홈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슬로싱 저감부의 자세가 고정되는 슬로싱 저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는,
    액체 연료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 구비되어 다른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슬로싱 저감 장치.
  7. 방벽; 및
    상기 방벽의 표면에 구비되어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슬로싱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상기 방벽에 고정되어 상기 방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로드는 그 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워진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캡과 나사 결합되는 화물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벽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화물창.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복수 개가 상기 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화물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 각각은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되는 화물창.
  11. 화물창; 및
    상기 화물창에 구비되어 슬로싱을 저감시키는 슬로싱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상기 화물창을 구성하는 방벽에 고정되어 상기 방벽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슬로싱 저감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움 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로드는 그 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로드에 끼워진 상기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캡과 나사 결합되는 선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벽의 표면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선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는 복수 개가 상기 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선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로싱 저감 장치 각각은 인접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결합되는 선박.
KR1020170154740A 2017-11-20 2017-11-20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16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40A KR102016396B1 (ko) 2017-11-20 2017-11-20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40A KR102016396B1 (ko) 2017-11-20 2017-11-20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03A KR20190057603A (ko) 2019-05-29
KR102016396B1 true KR102016396B1 (ko) 2019-08-30

Family

ID=6667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740A KR102016396B1 (ko) 2017-11-20 2017-11-20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662A (zh) * 2019-11-05 2020-03-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lng加注船液货舱的止荡方法
WO2021225402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에이원글로벌네트웍스코리아 수격현상 방지용 바플을 구비한 lng iso 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2351A (zh) * 2022-11-10 2023-04-0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markiii型围护系统的主屏蔽结构、液货舱及lng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869B1 (ko) * 2012-10-09 2016-10-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192B1 (ko) * 2009-06-15 2012-03-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러싱 충격 완화장치
KR101571427B1 (ko) * 2013-07-26 2015-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869B1 (ko) * 2012-10-09 2016-10-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662A (zh) * 2019-11-05 2020-03-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lng加注船液货舱的止荡方法
WO2021225402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에이원글로벌네트웍스코리아 수격현상 방지용 바플을 구비한 lng iso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03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396B1 (ko)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349871B1 (ko) 액화 천연가스 저장탱크
EP3196113B1 (en) Barrier structure for corner portion of cargo hold and method for installing barrier for corner portion of cargo hold
KR1017518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장치
KR20130099900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722442B1 (ko) 방폭 구조물
KR20130099907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215599B1 (ko)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선박
KR101661927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KR101337638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고정 스트립
KR10186516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150142468A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KR101690933B1 (ko) 화물창 방벽 설치용 결합장치
KR101874366B1 (ko) 단열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644367B1 (ko) 화물창 단열 유닛 및 화물창 단열 구조
US20130300156A1 (en) Pipe fixing part structure for vehicle
KR101563859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40004881U (ko) 선박용 맨홀의 안전 장치
KR101422595B1 (ko) 액화물 저장 탱크의 멤브레인
KR102665821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60013320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43414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방열시스템
KR102652225B1 (ko) 선박 및 해상구조물의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
KR10162586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US11105591B2 (en) Anti-projectile protection device for an attachment means and inspection hatch implementing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