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035B1 -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035B1
KR102016035B1 KR1020170169624A KR20170169624A KR102016035B1 KR 102016035 B1 KR102016035 B1 KR 102016035B1 KR 1020170169624 A KR1020170169624 A KR 1020170169624A KR 20170169624 A KR20170169624 A KR 20170169624A KR 102016035 B1 KR102016035 B1 KR 10201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us
fragrance
weight
composition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181A (ko
Inventor
박소라
고은성
장윤미
우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0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less than six carbon at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 및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로서, 시트러스향을 가지면서도 향의 지속성이 향상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TION COMPRISING FRAGRANCES OF CITRUS}
본 발명은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를 내면서도, 오랜시간 향기가 지속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료 시장에 있어서 어떠한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지, 그 지속성은 얼마나 되는지가 소비자의 주요한 구매요인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원하는 향을 구현하는 것과 향기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 또한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향료가 주성분이 되는 향수에서 뿐만아니라, 화장품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사용감을 좋게 하고, 특유의 향을 갖는 화장료의 유효성분들에 대해 사용자가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시트러스는 레몬, 자몽, 베르가못 등의 감귤과를 포함하는 귤속을 의미한다. 시트러스의 열매는 시큼하고 상큼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시트러스계열의 향료 또한 시큼하고 상큼한 향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러한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는 상큼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향수를 비롯한 다양한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고, 선호도 또한 매우 높은 향을 낸다. 그러나,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는 대체로 분자량이 작아 다른 향료들에 비해서 휘발성이 강해, 향이 빠르게 퍼지는 한편,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향수에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1-2시간 마다 향수를 반복적으로 도포해야 하거나, 디퓨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금방 향이 날아가버려 장기간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속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휘발성을 억제시키는 향취 성분을 개발하거나, 기타 첨가제를 추가하는 기술이 시도된 바 있으나, 시트러스향을 그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 선호도에 맞게 시트러스계열의 향을 충분히 구현하는 동시에 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반복한 끝에,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과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시트러스계열의 향기를 충분히 구현하는 동시에 기존의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향의 지속성이 현저히 향상된 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성이 향상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 및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4.2 내지 21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5.8 내지 2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클라리톤(Claritone),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 및 만다릴(Mandar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클라리톤(Claritone),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 및 만다릴(Mandaril)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클라리톤(Claritone)을 1.5 내지 7.5 중량%,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을 0.75 내지 3.75 중량%, 만다릴(Mandaril)을 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뮤게알코올(Muguet alcohol), 브라마놀(Brahmanol), 마드라놀(Madranol), 팔리산딘(Palisandin) 및 베티콘(Vetik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뮤게알코올(Muguet alcohol)을 2.45 내지 12.25 중량%, 브라마놀(Brahmanol)을 1.3 내지 6.5 중량%, 마드라놀(Madranol)을 0.75 내지 3.75 중량%, 팔리산딘(Palisandin) 0.25 내지 1.25 중량%, 베티콘(Vetikon)을 1.05 내지 5.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탄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선크림, 비비크림 및 두피용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 본연의 향을 구현함과 동시에, 시트러스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향이 오랜시간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향료를 향 특성에 따라 계열별로 분류하면, 플로럴, 시트러스, 오리엔탈, 시프레, 푸제르, 프루티, 우디 계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향의 지속성과 발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향료 입자의 분자량이다. 분자량이 작은 분자일수록 휘발성이 강하므로, 발향성은 우수하나 향의 지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향료를 활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화장료 조성물은 향수로서, 발향 단계에 따라 탑노트, 미들노트, 베이스노트 순으로 발향된다.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는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인 경우가 많아서, 휘발성이 커서, 발향 시 향료 입자의 분산성은 우수한 반면,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를 포함하는 향수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시트러스향은 탑노트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큼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는 시트러스향은 높은 선호도에도 불구하고, 지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시트러스계열의 향료에 비해 향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발향성 또한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과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4.2 내지 21 중량%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5.8 내지 29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15 내지 19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가 충분히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에 비해 과다하게 첨가됨에 따라, 향의 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만을 첨가한 경우와 같이 초기에 빠른 휘발성으로 인해 시트러스 향의 지속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트러스 본연의 향 구현력이 떨어지고 혼합된 향이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라 함은 시트러스향을 내는 것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클라리톤(Claritone),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 및 만다릴(Mandar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라리톤(Claritone)은 2,4,4,7-테트라메틸옥타-6-엔-3-온(2,4,4,7-tetramethyloct-6-en-3-one)으로도 불리우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다. 또한, 상기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은 5-시클로헥실-3-메틸펜탄니트릴(5-cyclohexyl-3-methylpentanenitrile)로도 불리우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고, 만다릴(Mandaril)은 (2E)-트리데카-2,12-디엔니트릴((2E)-trideca-2,12-dienenitrile)로도 불리우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다.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단일 성분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다수의 성분이 혼합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클라리톤(Claritone),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 및 만다릴(Mandaril)의 혼합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각 성분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클라리톤(Claritone)을 1.5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을 0.75 내지 3.7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3.3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다릴(Mandaril)의 경우, 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 아닌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플로럴, 오리엔탈, 시프레, 푸제르, 프루티, 우디계열 등의 향취 성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로럴계열의 향취 성분 및 우디계열의 향취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플로럴계열의 향취 성분 및 우디계열의 향취 성분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럴계열의 향취 성분은 뮤게알코올(Muguet alcohol) 및 히드록시시트로넬알(Hydroxy citronell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뮤게알코올은 3-시클로헥실-2,2-디메틸프로판-1-올(3-cyclohexyl-2,2-dimethylpropan-1-ol)로도 불리우며, 은방울꽃 향이 나는 플로럴계열의 향취 성분이다.
상기 우디계열의 향취 성분은 브라마놀(Brahmanol), 마드라놀(Madranol), 팔리산딘(Palisandin) 및 베티콘(Vetik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향취 성분이 혼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브라마놀(Brahmanol), 마드라놀(Madranol), 팔리산딘(Palisandin) 및 베티콘(Vetikon)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브라마놀(Brahmanol)은 2-메틸-4-(2,2,3-트리메틸-1-시클로펜타-3-에닐)뷰탄-1-올(2-methyl-4-(2,2,3-trimethyl-1-cyclopent-3-enyl)butan-1-ol)으로도 불리우며, 마드라놀(Madranol)은 3-메틸-4-(2,2,6-트리메틸시클로헥실)뷰탄-2-올(3-methyl-4-(2,2,6-trimethylcyclohexyl)butan-2-ol)에 해당되는 성분이며, 팔리산딘(Palisandin) 및 베티콘(Vetikon)은 각각 메톡시시클로도데칸(methoxycyclododecane) 및 4-메틸-4-페닐-2-펜타논(4-methyl-4-phenyl-2-pentanone)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이 플로럴계열의 향취 성분과 우디계열의 향취 성분의 혼합물으로 구성되는 경우, 뮤게알코올(Muguet alcohol), 브라마놀(Brahmanol), 마드라놀(Madranol), 팔리산딘(Palisandin) 및 베티콘(Vetikon)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뮤게알코올(Muguet alcohol)을 2.45 내지 12.25 중량%,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8.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1 내지 7.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브라마놀(Brahmanol)을 1.3 내지 6.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5.7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9 내지 5.25 중량%일 수 있으며, 마드라놀(Madranol)을 0.75 내지 3.75 중량%,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팔리산딘(Palisandin)은 0.25 내지 1.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7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베티콘(Vetikon)의 경우, 1.05 내지 5.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1.3 내지 3.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7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선크림, 비비크림 및 두피용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내지 3의 성분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로 포함하는 바디로션을 제조하였다.
화합물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Claritone 5 10 8
Hydrocitronitrile 2.3 9 8
Mandaril 3.5 8.5 8
Muguet alcohol 6.5 - 1
Brahmanol 5 - 0.8
Madranol 2 - 0.5
Palisandin 0.7 - 0.45
Vetikon 2.5 - 0.75
화합물명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Claritone 10.8 8 8
Hydrocitronitrile - 2.8 0.6
Mandaril - - 2.2
Muguet alcohol 6.5 6.5 6.5
Brahmanol 5 5 5
Madranol 2 2 2
Palisandin 0.7 0.7 0.7
Vetikon 2.5 2.5 2.5
화합물명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Claritone 5 5 5
Hydrocitronitrile 2.3 2.3 2.3
Mandaril 3.5 3.5 3.5
Muguet alcohol 15.7 15.1 15
Brahmanol 1 1 2
Madranol - 0.5 0.5
Palisandin - 0.1 0.1
Vetikon - - 0.1
실험예 1 - 지속성 확인 실험
일반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디로션의 잔향 지속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시험자의 왼쪽 팔을 깨끗이 세척한 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디로션을 0.1g 취하여, 오백원짜리만한 크기의 영역에 원모양으로 10번 가볍게 문지르며 바른 후, 30초 후 최초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1시간 경과 후 왼쪽 팔의 다른 부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바디로션을 도포하고 30초 후의 잔향을 최초 도포부위의 잔향과 비교하여 다음의 표 4와 같은 설문지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1 냄새거의 나지않음
2 아주약하게냄새느껴짐
3 약하게냄새느껴짐
4 중간강도의냄새느껴짐
5 조금강하게냄새느껴짐
6 강하게냄새느껴짐
7 매우강하게냄새느껴짐
4시간 후, 상기 실험과 마찬가지로 바디로션을 새로운 부위에 도포한 후, 30초 후의 잔향을 최초 도포부위의 잔향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설문지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8시간 후와 12시간 후 각각 잔향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에 따라 각 점수를 매긴 사람수를 측정하여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내었다.
점수 실시예1(사람수)
1h 4h 8h 12h
1 0 0 0 0
2 0 0 0 0
3 0 0 0 1
4 0 1 5 6
5 6 7 4 4
6 6 6 7 5
7 8 6 4 4
점수 비교예1(사람수) 비교예2(사람수)
1h 4h 8h 12h 1h 4h 8h 12h
1 0 0 5 8 0 0 0 0
2 0 4 6 7 0 0 0 8
3 0 5 7 5 0 4 6 7
4 0 4 2 0 0 4 5 2
5 0 3 0 0 3 5 6 1
6 3 2 0 0 5 4 2 1
7 17 2 0 0 12 3 1 1
점수 비교예3(사람수) 비교예4(사람수)
1h 4h 8h 12h 1h 4h 8h 12h
1 0 0 5 9 0 0 0 0
2 0 4 4 4 0 0 0 6
3 0 5 5 4 0 2 4 4
4 0 4 6 3 0 3 2 6
5 0 7 0 0 3 5 7 4
6 5 0 0 0 7 10 7 0
7 15 0 0 0 10 0 0 0
점수 비교예5(사람수) 비교예6(사람수)
1h 4h 8h 12h 1h 4h 8h 12h
1 0 0 0 1 0 0 0 0
2 0 0 1 4 0 2 4 10
3 0 5 8 4 0 5 7 7
4 4 7 3 6 0 4 7 3
5 5 3 8 5 0 4 2 0
6 5 5 0 0 7 3 0 0
7 6 0 0 0 13 2 0 0
점수 비교예7(사람수) 비교예8(사람수)
1h 4h 8h 12h 1h 4h 8h 12h
1 0 0 0 0 0 0 0 0
2 0 1 3 7 0 0 2 4
3 0 2 7 9 0 0 7 9
4 0 5 7 3 0 6 4 6
5 5 4 3 1 4 4 7 1
6 5 7 0 0 7 7 0 0
7 10 1 0 0 9 3 0 0
실험예 2 - 전문가 관능평가
전문 조향사 1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바디로션의 향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단일 성분으로 포함하는 참고예를 기초로, 시트러스향과의 유사도 여부에 따라, 0 ~9의 값을 매기게 하였다.
전문 조향사의 평가점수를 취합하여 평균 점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냈다.
구별 실시예1 비교예
1 2 3 4 5 6 7 8
평균점수 8.0 8.3 8.0 6.6 6.6 7.0 7.6 7.3 7.3
상기 표 5 내지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바디로션을 도포한 경우, 12시간 경과 후에도 가장 우수한 잔향 지속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전문가에 의한 관능평가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 바, 시트러스향을 충분히 구현하면서도 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을 참조하면, 시트러스향만을 포함한 경우, 가장 많은 함량으로 시트러스계열의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동시에,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의 일반적인 성질과 같이 높은 휘발성으로 인해, 전문가의 관능평가에 있어서 시트러스향을 가장 충분히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잔향 지속성에 있어서 초기에 향이 모두 날아가고, 12시간 경과 후에는 잔향이 매우 약하게 남아있다고 평가되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시트러스 성분을 과량 포함하고 있으나, 전문가의 관능평가에 있어서 동일한 수준의 향 구현도를 나타내는 반면, 잔향 지속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내지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비해 잔향 지속성은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전문가에 의한 관능 평가에 있어서, 상당히 낮은 점수로 평가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부 전문 조향사의 경우에는, 시트러스향 외의 다른 향으로 평가할 수 있을 정도의 향취가 느껴진다고 평가한 경우도 있었다.
비교예 6 내지 8을 참조하면, 전문가에 의한 관능평가 점수도 크게 높지 않은 편이고, 잔향 지속성도 우수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9)

  1.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 및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7.5 중량%의 클라리톤(Claritone), 0.75 내지 3.75 중량%의 히드로시트로니트릴(Hydrocitronitrile), 및 0.5 내지 5 중량%의 만다릴(Mandaril)을 포함하고,
    상기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45 내지 12.25 중량%의 뮤게 알코올(Muguet alcohol), 1.3 내지 6.5 중량%의 브라마놀(Brahmanol), 0.75 내지 3.75 중량%의 마드라놀(Madranol), 0.25 내지 1.25 중량%의 팔리산딘(Palisandin), 및 1.05 내지 5.25 중량%의 베티콘(Vetikon)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4.2 내지 21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비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은 5.8 내지 29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선크림, 비비크림 및 두피용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69624A 2017-12-11 2017-12-11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201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24A KR102016035B1 (ko) 2017-12-11 2017-12-11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24A KR102016035B1 (ko) 2017-12-11 2017-12-11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81A KR20190069181A (ko) 2019-06-19
KR102016035B1 true KR102016035B1 (ko) 2019-08-29

Family

ID=6710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24A KR102016035B1 (ko) 2017-12-11 2017-12-11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0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0320A1 (en) * 2009-12-02 2011-06-02 Symrise Ag Perfume-containing hollow body consisting of a polymer matrix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4385D0 (en) * 2015-03-16 2015-04-29 Givauda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0320A1 (en) * 2009-12-02 2011-06-02 Symrise Ag Perfume-containing hollow body consisting of a polymer matr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81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363B1 (ko) 조성물
CN112980576A (zh) 一种花香果香调香精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145764B1 (ko)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2016035B1 (ko) 시트러스계열의 향취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JP2002206097A5 (ko)
JP2007137781A (ja)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6147828A (ja) パック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632036A (zh) 含玫瑰萃取物和山茶花萃取物的缓解压力及增进心神稳定用萃取水组合物
KR101614066B1 (ko) 황금향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3650B1 (ko) 오얏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110902A (ko) 향료 조성물
JP2002241745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H05279690A (ja) 頭髪化粧料用及び頭髪洗浄料用香料組成物
JP2007254497A (ja) 香料組成物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US20070042933A1 (en) Fragrances, cosmetics and other body products based on Phi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JP7382615B2 (ja) 外用剤
KR101843163B1 (ko)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59404B1 (ko) 변색내성이 우수한 조합향료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797852B1 (ko) 속리산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72B1 (ko)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43168B1 (ko)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