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49B1 - 가두리 양식장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49B1
KR102015749B1 KR1020190016706A KR20190016706A KR102015749B1 KR 102015749 B1 KR102015749 B1 KR 102015749B1 KR 1020190016706 A KR1020190016706 A KR 1020190016706A KR 20190016706 A KR20190016706 A KR 20190016706A KR 102015749 B1 KR102015749 B1 KR 10201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rame
water
delete delete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희
박은숙
이강빈
이설빈
Original Assignee
이천희
박은숙
이강빈
이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희, 박은숙, 이강빈, 이설빈 filed Critical 이천희
Priority to KR102019001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 양식 영역을 제공하도록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 양식 틀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가두리 틀; 및 가두리 틀을 둘러싸도록 가두리 틀에 결합되는 가두리 망을 포함하며, 가두리 틀을 둘러싸는 가두리 망의 내부에서 양식 생물이 양식되되, 가두리 틀의 회전에 의해 가두리 망의 오염된 부분이 수면 상으로 노출됨으로써 오염된 부분이 햇빛과 해풍에 의해 건조되면서 가두리 틀과 가두리 망에 부착된 오염물이 제거된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CAGE FARM}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양식 생물을 양식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가두리 양식은 물속에 어류 등을 기를 수 있는 가두리를 만들어 그 속에서 기르는 양식방법이다.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 틀, 가두리 틀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자, 가두리 틀의 구획 영역에서 물속으로 설치되는 양식 그물, 양식 그물의 수면 상에 설치되는 가두리 덮개 망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장은 그물망을 반드시 정기적(3개월에 1회 이상)으로 청소, 교환해야 하며, 1회 그물청소 시 3~4명이 일주일 이상 매달려 일해야 하는 고강도의 노동이 필요하다.
이때는 가두리 양식장의 양식 생물이 며칠 동안 먹이를 먹지 못할 정도의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양식생물의 상처 발생으로 인해 상품가치가 하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가두리 양식장에서는 양식생물을 개체의 성장치를 비슷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반드시 정기적으로 크기별 선별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선별작업을 실시하면 3~4명이 일주일 이상 매달려 일해야 하는 고강도의 노동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양식생물 질병발생 시 약품을 물에 녹인 후 양식생물을 넣어 두는 약욕을 해야 한다. 한번 약욕을 하려면 3~4명이 엄청난 무게의 가두리 망을 들어 올린 후 물이 새지 않는 큰 비닐재질의 봉지형태(대형 방수 포대, 일명 '갑바'라고 함)에 약을 풀어 양식생물을 담근 후 다시 풀어주는 수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한 번의 약욕 작업을 실시하면 양식생물은 며칠 동안 먹이를 먹지 않을 정도의 큰 스트레스를 받으며, 양식생물의 상처 발생으로 상품가치 하락 등의 문제점이 있다.
가두리 양식장에서는, 자연 상태의 물을 이용하므로 외부적 환경(기상 및 해황, 수온, 염분, 용존산소, 플랑크톤 및 수질 지표 생물 등)으로만 의존 양식함으로써 여름에는 고수온 및 적조, 겨울에는 낮은 수온에 의한 대량폐사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양식기술은 많은 노동력과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양식 생물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폐사하거나 상처를 입게 되며,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인위적 환경조절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의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 양식 생물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상품 가치의 하락을 방지하며, 인위적인 양식 환경의 조절이 용이한 가두리 양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 양식 영역을 제공하도록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 상기 양식 틀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가두리 틀; 및 상기 가두리 틀을 둘러싸도록 상기 가두리 틀에 결합되는 가두리 망을 포함하며, 상기 가두리 틀을 둘러싸는 상기 가두리 망의 내부에서 양식 생물이 양식되되, 상기 가두리 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두리 망의 오염된 부분이 수면 상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오염된 부분이 햇빛과 해풍에 의해 건조되면서 상기 가두리 틀과 가두리 망에 부착된 오염물이 제거된다.
상기 가두리 틀은 원형 틀로서,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중심점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한 쌍의 원형 프레임; 상기 회전축과 원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원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가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식 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가두리 양식장은 상기 가두리 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두리 틀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양식 생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 가능한 선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체는 상기 가두리 틀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가두리 양식장은, 상기 가두리 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두리 틀의 내부와 외부의 물을 차단하는 방수 포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포대는 반원형 갑바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포대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의 펌프 라인 상에 설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펌프 라인 상에 설치되며,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온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온 조절부는 냉각기와 히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온 조절부에 연결되며 수온이 일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순환펌프와 함께 상기 냉각기를 작동시키며, 다른 일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순환펌프와 함께 상기 히터를 가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존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용존산소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가두리 양식장은, 상기 용존산소센서에 의해 검출된 용존 산소 농도가 일정 이하이면,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두리 틀은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두리 틀은 부식이 방식되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틀은,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형의 가두리 틀로서,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중심점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한 쌍의 원형 프레임; 상기 회전축과 원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원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가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두리 틀은 상기 가두리 틀을 둘러싸도록 상기 가두리 틀에 결합되는 가두리 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두리 틀은 상기 가두리 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두리 틀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양식 생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 가능한 반원형의 선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양식방법은,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회전형 가두리 틀을 사용하는 양식 방법으로서, 상기 가두리 틀을 둘러싸는 상기 가두리 망의 내부에 양식 생물을 넣고 양식하되, 상기 가두리 틀을 회전시켜 상기 가두리 망의 오염된 부분을 수면 상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오염된 부분을 햇빛과 해풍에 의해 건조하여 오염물을 제거한다.
상기 가두리 틀에 상부에 반원형 방수 포대를 설치하고, 상기 가두리 틀을 회전시켜 상기 방수 포대에 물과 함께 양식 생물을 수용한 후, 물에 약품을 처리하여 상기 양식 생물을 약욕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방수 포대에 수용된 물을 펌프에 의해 순환시켜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되, 순환되는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양식 생물의 서식 환경에 맞게 수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의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 양식 생물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상품 가치의 하락을 방지하며, 인위적인 양식 환경의 조절이 용이한 가두리 양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가두리 틀과 망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구동부와 가두리 틀의 개념도,
도 4는 도 2의 가두리 틀에 배치되는 선별체 및 그 배치도,
도 5는 도 2의 가두리 틀에 방수 포대가 설치되는 상태도,
도 6은 도 1의 펌프 순환, 필터, 수온 제어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가두리 틀과 망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동부와 가두리 틀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 양식 영역을 제공하도록 수상에 부자(101)와 함께 설치되는 양식 틀(100), 양식 틀(100)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양식 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가두리 틀(110), 및 가두리 틀(110)에 마련되는 가두리 망(118)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 틀(110)을 둘러싸는 가두리 망(118)의 내부에서 양식 생물의 양식이 가능한 것이다.
가두리 틀(110)은 가두리 망(118)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양식 영역의 물속으로 배치됨으로써 그 내부에서 양식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양식 생물은 양식 영역에 투입되는 먹이를 먹고 자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두리 틀(110)과 별도의 가두리 망(118)이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가두리 틀(110)과 가두리 망(118)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두리 틀(110) 자체에 양식 생물을 가둘 수 있는 그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가두리 틀(110)은 양식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영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일정 시간의 양식에서 오염물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양식 영역에서 회전되면서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틀(110)은, 가두리 틀(110)의 회전에 의해 가두리 망(118)의 오염된 부분이 수면 상으로 노출됨으로써 오염된 부분이 햇빛과 해풍에 의해 건조되면서 가두리 틀(110)과 가두리 망(118)에 부착된 오염물이 제거된다. 오염물은 바람이나 인공적인 진동, 또는 부착이 심한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의 가두리 틀(110)은 물속 회전이 용이한 원통 형상의 틀이다.
이러한 가두리 틀(110)은 양식 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111), 회전축(111)에 중심점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축(1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원형 프레임(112), 회전축(111)과 원형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지지부재(115), 및 한 쌍의 원형 프레임(112)을 상호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가로부재(116)를 포함하여 중공된 원기둥과 같은 원통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틀(110)은 가두리 망(118)이 씌워진 상태가 원형의 통발과 유사한 형태로서 원통형 공간에 양식 생물이 수용된다. 양식 생물은 원통형 공간에서 투입되는 먹이에 대한 먹이 활동을 하게 된다.
가두리 틀(110)은 수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상당한 노동력이 투입되므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은, 양식 틀(100)에 설치되어 회전축(111)에 연결되며 회전축(11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구동모터(121), 및 구동모터(121)의 구동력을 회전축(111)에 전달하는 감속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21)는 감속기(123)에 의해 토크를 증가시켜 회전축(11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가두리 틀(110)은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구동모터(121)의 구동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구동모터(121)는 가두리 틀(110)의 물속에 있는 부분이 오염된 경우처럼 필요에 따라 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두리 틀(110)의 오염 부분이 노출되어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가두리 틀에 배치되는 선별체 및 그 배치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은, 가두리 틀(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두리 틀(110)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양식 생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 가능한 선별체(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체(125)는 가두리 틀(110)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양식 생물의 선별을 위한 바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선별체(125)는 양식 생물의 크기를 구분하여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선별체(125)가 반원형으로 가두리 틀(110)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면 바들 간격보다 작은 양식 생물은 그대로 양식 선별기(125)를 빠져 나가며, 바들 간격보다 큰 양식 생물은 선별체(125)의 이동 방향 한쪽으로 몰리게 된다. 선별체(125)에 의해 크기 별로 분리된 양식 생물은 상호 다른 장소로 분리되어 양식된다. 이에 따라 양식 생물의 크기에 따른 먹이 구분 및 생존 경쟁을 줄이어 양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가두리 틀에 방수 포대가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은, 상기의 가두리 양식장은, 가두리 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두리 틀(110)의 내부와 외부의 물을 차단하는 방수 포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 포대(130)는 반원형 갑바로 마련되며, 가두리 틀(110)의 상부에 씌어진 상태에서 하부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두리 틀(110)이 회전됨에 따라 방수 포대(130)는 물속으로 배치되면서 양식 생물과 물을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 포대(130)는 가두리 틀(110) 내측에 있는 물을 외부와 내부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방수 포대(130)에 의해 분리된 물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질이나 수온에 따라 인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펌프 순환, 필터, 및 수온 제어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은, 방수 포대(130)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31), 순환펌프(131)의 펌프 라인(133) 상에 설치되는 필터부(135), 및 펌프 라인(133) 상에 설치되며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온 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펌프(131)가 가동됨으로써 펌프 라인(133)을 따라 방수 포대(130)에 수용된 물이 순환되면서 필터부(135)에 의해 물속의 부유물이나 적조 현상을 일으키는 영양물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131)에 의해 순환되는 물은 수온 조절부(140)에 의해 온도가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수온 조절부(140)는 여름철에는 양식 생물이 살기 어려운 높아진 수온을 낮추게 되며, 겨울철에는 낮아진 수온을 높이게 된다.
수온 조절부(140)는 냉각기(141)와 히터(1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라인(133)에 냉각기(141)와 히터(142)가 설치되며, 수온에 따라 냉각기(141)와 히터(142) 중 어느 하나를 가동시킬 수 있다. 냉각기(141)는 물의 수온을 낮추는 것이며, 히터(142)는 물의 수온을 높이는 것이다.
수온 조절부(140)에는 제어부(145)가 연결된다. 제어부(145)는 수온 조절부(140)에 연결되며 수온이 일정 온도 이상이면 순환펌프(131)와 함께 냉각기(141)를 작동시키며, 다른 일정 온도 이하이면 순환펌프(131)와 함께 히터(142)를 가동시킨다.
이러한 제어부(145)에는 양식 생물의 생존이 가능한 정상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최고 온도 및 최저 온도가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145)는 수온이 최고 온도가 보다 높으면 냉각기(141)를 가동시키며, 수온이 최저 온도보다 낮으면 히터(142)를 가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상기의 제어부(145)는 수온이 양식 생물의 정상 온도 범위에 위치하도록 수온 조절부(140)를 가동시키는 역할로서, 수온 제어를 위한 마이컴이나 PLC를 구비할 수 있다.
양식장의 가두리 틀(110) 하부에는 물속의 용존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용존산소센서(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제어부(145)는 용존산소센서(150)에 의해 검출된 용존 산소 농도가 일정 이하이면, 순환펌프(131)를 작동시킴으로써 물을 필터링하여 물의 부영양화를 방지하며, 양식 생물의 용존산소농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의 가두리 틀(110)은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가두리 틀(110)이 공간을 포함한 전체 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의 틀로서 제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사각, 오각, 육각, 팔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두리 틀(110)은 부식이 방식되는 금속, 일예로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틀은 철재(코팅 포함),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여러 재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가두리 틀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이 완료 되었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더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틀(110)은,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100)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양식 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형의 가두리 틀(110)로서, 양식 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11), 회전축(111)에 중심점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축(11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원형 프레임(112), 회전축(111)과 원형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지지부재(115), 및 한 쌍의 원형 프레임(112)을 상호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가로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두리 틀(110)은 가두리 틀(110)을 둘러싸도록 가두리 틀(110)에 결합되는 가두리 망(118), 및 가두리 틀(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두리 틀(110)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양식 생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 가능한 반원형의 선별체(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에서 양식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양식방법은,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100)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양식 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회전형 가두리 틀(110)을 사용하는 양식 방법이다.
이러한 양식방법은 가두리 틀(110)을 둘러싸는 가두리 망(118)의 내부에 양식 생물을 넣고 양식하되, 가두리 틀(110)을 회전시켜 가두리 망(118)의 오염된 부분을 수면 상으로 노출시키고, 오염된 부분을 햇빛과 해풍에 의해 건조하여 오염물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식방법은, 가두리 틀(110) 상부에 반원형 방수 포대(130)를 설치하고 가두리 틀(110)을 회전시켜 방수 포대(130)에 물과 함께 양식 생물을 수용한 후, 물에 약품을 처리하여 양식 생물을 약욕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살균되고, 양식 생물이 병균으로부터 보호되어 잘 자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양식방법에서는, 방수 포대(130)에 수용된 물을 펌프에 의해 순환시켜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되, 순환되는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양식 생물의 서식 환경에 맞게 수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온 조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및 그 양식방법은, 그물망이 씌워져 있는 회전형 양식 틀을 일주일 간격으로 회전시켜주면 깨끗한 그물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오염물이 부착되어있는 그물은 위쪽으로 올라간 후 햇빛에 의해 자연건조 된 후 해풍에 의해 자연적으로 떨어지는 자연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그동안 반드시 정기적으로 그물망 청소, 교환의 번거로움, 인건비 절감 등 경제적 이점과 위쪽 그물이 있어 양식생물을 섭취하려는 새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양식생물에 스트레스를 전혀 입히지 않아 상품가치 상승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11)에 탈부착형 "반원형 선별기"를 장착하여 한쪽 끝에서 반대쪽으로 이동만 시켜주면 작은 고기는 빠져나오고 큰 고기는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 까지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남은 고기만 건저 다른 칸으로 옮겨주기만 하면 선별작업이 용이하게 완료되는 장점이 있다. 이 또한 작업시간과 인건비 절감 등 경제적 이점과 양식생물에게 스트레스를 전혀 입히지 않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양식생물 질병발생 시 탈부착형 "반원형 갑바"를 양식틀 위쪽 바깥쪽에 씌운 후 돌려주기만 하면 항상 일정량의 물을 담고 있는 수조형태로 바뀌어 정확한 약품중량을 계산 할 수 있어 약품의 남용과 약욕시간을 지킬 수 있어 안전한 수산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여름에는 고수온 및 적조, 겨울에는 저수온으로 매년 양식생물의 대량폐사가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실시예서는, 위 문제점 발생우려 시 탈부착형 "반원형 갑바"를 장착하여 수조형태로 전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여름에는, "반원형 갑바"의 물을 냉각기(141)와 필터부(135)로 순환시키면 고수온 및 적조를 인위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겨울에는, 반원형 갑바의 물을 히터(142)와 필터부(135)로 순환시키면 저수온을 인위적 으로 제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은, 자연환경(가두리양식환경을)을 선택적ㅇ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무분별하게 노출되어있던 양식생물집단폐사 방지뿐만 아니라, 노동력과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으므로, 상당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양식 틀 101: 부자
110: 가두리 틀 111: 회전축
112: 원형 프레임 115: 지지부재
116: 가로부재 118: 가두리 망
120: 구동부 121: 구동모터
123: 감속기 125: 선별체
130: 방수 포대 131: 순환펌프
133: 펌프 라인 135: 필터부
140: 수온 조절부 141: 냉각기
142: 히터 145: 제어부
150: 용존산소센서

Claims (20)

  1. 가두리 양식 영역을 제공하도록 수상에 설치되는 양식 틀;
    상기 양식 틀의 양식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 빠짐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가두리 틀; 및
    상기 가두리 틀에 마련되는 가두리 망을 포함하며,
    상기 가두리 망의 내부에서 양식 생물이 양식되되, 상기 가두리 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두리 망의 오염된 부분이 수면 상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오염된 부분이 햇빛과 해풍에 의해 건조되면서 상기 가두리 틀과 가두리 망에 부착된 오염물이 제거되며,
    상기 가두리 틀은 원통 형상의 틀로서,
    상기 양식 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중심점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한 쌍의 원형 프레임;
    상기 회전축과 원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원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가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두리 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두리 틀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양식 생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 가능한 선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체는 상기 가두리 틀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양식 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두리 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두리 틀의 내부와 외부의 물을 차단하는 방수 포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 포대는 반원형 갑바로 마련되며,
    상기 방수 포대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의 펌프 라인 상에 설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펌프 라인 상에 설치되며,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온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두리 틀을 회전시켜 상기 방수 포대에 물과 함께 양식 생물을 수용한 후, 물에 약품을 처리하여 상기 양식 생물을 약욕 처리하며,
    상기 방수 포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하되, 상기 수온 조절부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양식 생물의 서식 환경에 맞게 수온을 조절 가능한 가두리 양식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 조절부는 냉각기와 히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 조절부에 연결되며 수온이 일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순환펌프와 함께 상기 냉각기를 작동시키며, 다른 일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순환펌프와 함께 상기 히터를 가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포대에 수용된 물의 용존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용존산소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산소센서에 의해 검출된 용존 산소 농도가 일정 이하이면,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 틀은 부식이 방식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16706A 2019-02-13 2019-02-13 가두리 양식장 KR10201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06A KR102015749B1 (ko) 2019-02-13 2019-02-13 가두리 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06A KR102015749B1 (ko) 2019-02-13 2019-02-13 가두리 양식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749B1 true KR102015749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06A KR102015749B1 (ko) 2019-02-13 2019-02-13 가두리 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3056A (zh) * 2020-01-19 2020-04-24 集美大学 一种海水池塘循环水网箱养殖的链式换网装置及方法
CN115325759A (zh) * 2022-08-19 2022-11-11 王厚林 一种机械加工冷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185A (ko) * 2004-01-20 2004-05-27 윤동현 양식장 수조의 어류 선별장치
KR20080101052A (ko) * 2007-05-15 2008-11-21 영어조합법인보전수산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어류와 해삼의 복합 양식 방법 및 그장치
KR20110066253A (ko) * 2009-12-11 2011-06-17 (주)파스텔 해양 오염물을 차단하는 반구형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
KR101754813B1 (ko) * 2016-03-10 2017-07-06 이정구 부착물 제거가 용이한 가두리양식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185A (ko) * 2004-01-20 2004-05-27 윤동현 양식장 수조의 어류 선별장치
KR20080101052A (ko) * 2007-05-15 2008-11-21 영어조합법인보전수산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어류와 해삼의 복합 양식 방법 및 그장치
KR20110066253A (ko) * 2009-12-11 2011-06-17 (주)파스텔 해양 오염물을 차단하는 반구형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
KR101754813B1 (ko) * 2016-03-10 2017-07-06 이정구 부착물 제거가 용이한 가두리양식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3056A (zh) * 2020-01-19 2020-04-24 集美大学 一种海水池塘循环水网箱养殖的链式换网装置及方法
CN115325759A (zh) * 2022-08-19 2022-11-11 王厚林 一种机械加工冷却设备
CN115325759B (zh) * 2022-08-19 2024-02-23 河北欧耐机械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冷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766B2 (en) Aquaculture system
KR102015749B1 (ko) 가두리 양식장
KR20170030682A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무환수 어류 양식 수조,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305702A (zh) 罗非鱼工厂化育苗方法
Appleford et al. General principles
CN114680070A (zh) 一种养殖装置、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CN106912412A (zh) 一种七彩神仙鱼室内集约化循环水高效养殖方法
CN111003885A (zh) 一种池塘原位养殖尾水处理系统
JP6980210B2 (ja) 良質な海洋環境を創出して海洋生態系の持続的保持を可能とする水生生物生産インフラシステム及び水生生物生産方法
KR101511948B1 (ko) 양어장의 물순환 시스템
CN112913763A (zh) 一种银鲑用高效的陆基工厂化循环水养殖系统
JP3535103B2 (ja) 真珠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CN103598133B (zh) 生物浮游阶段养殖水池自动换水装置
KR101423295B1 (ko) 일체형 급·배수관을 갖는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생산용 도넛형 수조
KR101402648B1 (ko)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 생산용 도넛형 수조
TW201304677A (zh) 以淺水養殖技術建構垂直型水產養殖系統
CN212116693U (zh) 一种蟹卵孵化器
CN213881396U (zh) 一种用于螺、贝类水产的周年规模化养殖系统
CN209473349U (zh) 饵料生物或浮游生物的养殖系统及悬浮式换水器
CN107372279B (zh) 斑节对虾亲虾的单桶培育系统
CN207733482U (zh) 一种漂浮式池塘内循环流水鱼智能监控系统
KR102102047B1 (ko) 지류식 송어순치 양식장을 이용한 친환경 복합양식방법
CN217446272U (zh) 一种养殖装置及其养殖系统
CN112106706A (zh) 一种用于螺、贝类水产的规模化养殖技术及周年化生产系统
CN207305793U (zh) 斑节对虾亲虾的单桶培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