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143B1 -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143B1
KR102015143B1 KR1020130142540A KR20130142540A KR102015143B1 KR 102015143 B1 KR102015143 B1 KR 102015143B1 KR 1020130142540 A KR1020130142540 A KR 1020130142540A KR 20130142540 A KR20130142540 A KR 20130142540A KR 102015143 B1 KR102015143 B1 KR 10201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ilter
hole
drainage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233A (ko
Inventor
장원택
김양규
정경남
정길주
이태진
한기훈
윤성환
이현우
오승혜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43B1/ko
Priority to EP14858393.3A priority patent/EP3064260A4/en
Priority to US15/032,618 priority patent/US10071324B2/en
Priority to CN201480059611.1A priority patent/CN105745001B/zh
Priority to PCT/KR2014/010055 priority patent/WO2015064967A1/ko
Publication of KR2015005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재들은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재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Device for Draining Back-washing Fluid and 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데 이용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장치는 선박 등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필터장치가 선박에 설치되는 경우, 필터장치는 평형수(Ballast Water)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선박에 저장되도록 선박에 공급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평형수는 선박에 적재된 화물량에 따라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는 양이 조절됨으로써, 선박의 균형 및 흘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된 평형수의 양을 조절하는 공정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된 평형수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선박의 외부에 위치된 해수, 담수 등의 유체를 밸러스트 탱크로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선박에 설치되는 필터장치는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되는 유체로부터 자갈, 모래, 진흙 등의 무기질 및 어패류, 갑각류, 플랑크톤 등의 생물체와 유기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평형수를 통해 생태계 교란, 유해 병원균 확산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9834호(2007년 10월 24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가 필터링 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가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10)는 유체가 필터부재(11)에 형성된 통과공(12)들을 통과하도록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체에 대한 필터링 공정을 수행한다. 유체는 관통공(13)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11) 내부로 공급된 후에 상기 필터부재(11)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공(12)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11)의 외부로 이동한다. 상기 통과공(12)들은 유체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체가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11)의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은 상기 통과공(12)들을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유체로부터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링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부에 남게 되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12)들을 점차적으로 막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10)는 상기 필터부재(1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필터링 공정에 대한 기능이 저하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11)에 대한 역세척 공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유체는 상기 필터부재(11)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11)로부터 이격시킨다. 즉, 유체는 상기 필터링 공정을 수행할 때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1)로부터 이물질을 이격시킨다. 상기 필터부재(11)로부터 이격된 이물질은 유체가 상기 필터부재(1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관통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10)는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11)에서 상기 관통공(1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먼 부분일수록 상기 필터부재(11)의 외부에 위치된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흡입력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11)에서 상기 관통공(1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먼 부분일수록 상기 필터부재(11)의 외부에 위치된 유체가 상기 필터부재(11)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속이 감소된다. 즉, 상기 필터부재(11)의 상측에 위치된 부분일수록 역세척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10)는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된 후에 상기 필터부재(11)의 상측에 위치된 부분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로 잔존하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 상기 통과공(12)들이 막혀 있음에 따라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역세척 공정 후에 잔존하는 이물질로 인한 필터링 기능의 감소율을 줄일 수 있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유체 배수장치는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들은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들은 상기 유입공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이물질이 이격되도록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세척부; 및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들은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들은 상기 유입공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링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이물질이 이격되도록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세척부; 및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역세척부로 배출되도록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공들은 역세척유체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유입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에 대해 교체 등을 수행해야 하는 유지보수 주기를 늘릴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필터부재에 대한 교체 비용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필터부재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가 필터링 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장치가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 및 필터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유체 배수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평형수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도록 선박에 공급되는 해수, 담수 등의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본체(2), 상기 본체(2)에 설치되는 필터부재(3), 유체에 대한 필터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필터링부(4, 도 4에 도시됨),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역세척부(5,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배수장치(6)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3)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공(3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4)는 유체가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체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이 상기 통과공(31)들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남게 됨으로써, 유체에 대한 필터링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역세척부(5)는 상기 유체가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유체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물질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역세척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는 상기 본체(2)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역세척유체는 유체 및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된 이물질이 포함된 것이다.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61)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공(61)들은 상기 역세척유체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유입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높이는 상기 필터부재(3)가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돌출된 방향(Z축 방향, 이하 '높이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공(61)들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6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역세척유체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유입공(61)들을 통해 상기 배수장치(6)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이격된 유입공(6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먼 부분이더라도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 위치된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된 부분일수록 유체에 대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이 감소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된 후에 상기 필터부재(3)의 상측에 위치된 부분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로 잔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필터링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 형성된 통과공(31)들이 이물질에 의해 막힘에 따라 교체 등을 수행해야 하는 유지보수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교체 비용 등을 줄임으로써,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유체의 유량 및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2), 상기 필터부재(3), 상기 필터링부(4), 상기 역세척부(5) 및 상기 배수장치(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2)는 상기 필터부재(3)를 지지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필터부재(3)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3)들은 서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관통공(21)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3)는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관통공(21)은 상기 필터링 공정 및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상기 필터링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유체는 상기 본체(2)의 내부로 공급된 후에 상기 관통공(21)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다. 상기 관통공(21)을 통과한 유체는, 상기 배수장치(6)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유체는,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은 상기 통과공(31)들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남아있게 됨으로써, 유체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로 이동한 유체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됨으로써 평형수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 상기 필터부재(3)가 복수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본체(2)는 상기 필터부재(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공(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한 유체는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는, 상기 관통공(21)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는, 상기 배수장치(6)를 거쳐 상기 관통공(21)을 통과한 후에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역세척유체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 및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된 이물질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필터부재(3)가 설치되는 제1본체(22), 및 상기 역세척부(5)가 설치되는 제2본체(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2)는 상기 필터부재(3)를 지지한다. 상기 제1본체(22)는 상기 제2본체(23)의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제2본체(23)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링 공정 및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본체(22)의 내부는 유체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2)는 제1연결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21)는 상기 필터링 공정 및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유체가 상기 제1본체(22)의 내부 및 상기 제1본체(22)의 외부 간에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 기능한다. 상기 필터링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3)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재(221)를 통해 상기 제1본체(2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본체(22)의 외부에 위치된 유체는, 상기 제1연결부재(221)를 통해 상기 제1본체(2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21)는 파이프라인 등을 통해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21) 및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는 상기 필터링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3)는 상기 제1본체(22)를 지지한다. 상기 필터링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본체(23)의 내부는 유체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3)는 제2연결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231)는 상기 필터링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유체가 상기 제2본체(23)의 내부 및 상기 제2본체(23)의 외부 간에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 기능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231)는 선박 주변에 위치한 해수, 담수 등이 상기 제2본체(2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3)에는 상기 역세척부(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3)는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내부가 유체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3) 및 상기 제1본체(22)의 연결 부분에서 상기 관통공(2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유체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폐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부재(3)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부재(3)는 상기 제1본체(22)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제1본체(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재(3)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공(31)을 포함한다. 상기 통과공(31)들은 상기 필터부재(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31)들은 서로 이격되게 상기 필터부재(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유체는 상기 통과공(31)들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유체에 혼합된 이물질은 상기 통과공(31)들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부재(3)에 차단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남아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3)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는 타단이 상기 본체(2)에 접촉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의 타단은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된 일단에 대해 반대되는 끝단을 의미한다. 상기 필터부재(3)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필터부재(3)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재(3)는 상기 본체(2)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3)들은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링부(4, 도 4에 도시됨)는 유체가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체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는 필터링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필터링부(4)는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4)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링부(4)는 상기 제1본체(22)의 제1연결부재(221)에 연결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필터링부(4)는 상기 제2본체(23)의 제2연결부재(231)에 연결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역세척부(5)는 유체가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유체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물질이 이격되는 역세척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역세척부(5)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역세척부(5)는 상기 제2본체(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역세척부(5)는 회전기구(51), 연결기구(52) 및 작동기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1)는 상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기구(51)는 일부가 상기 제2본체(23)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제2본체(23)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2본체(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1)는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로 기능한다. 상기 회전기구(5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1)는 구동기구(5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54)는 상기 회전기구(5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본체(2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구(54)는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기구(51)를 연결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본체(22)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기구(51)를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는 상기 제2본체(23)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본체(23)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2)는 일단이 상기 회전기구(5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기구(52)는 상기 회전기구(5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기구(5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2)는 상기 회전기구(51)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2)의 타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면, 상기 역세척유체는 상기 관통공(21)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기구(52)로 공급된 후에 상기 회전기구(5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2)는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유체를 상기 회전기구(51)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한다. 상기 연결기구(5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본체(2)에 복수개의 필터부재(3)가 결합된 경우, 상기 연결기구(52)는 상기 회전기구(51)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3)들 중에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필터부재(3)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들 중에서 상기 연결기구(52)에 연결된 필터부재(3)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기구(52)에 연결되지 않은 필터부재(3)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53)는 상기 회전기구(51)에 결합된다. 상기 작동기구(53)는 상기 회전기구(51)에서 상기 제2본체(23)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53)는 상기 회전기구(51)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기구(53)는 상기 회전기구(51)에서 역세척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53)가 상기 회전기구(51)를 폐쇄하면, 상기 필터부재(3)가 상기 연결기구(52)에 연결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작동기구(53)가 상기 회전기구(51)를 개방하면, 상기 연결기구(52)에 연결된 필터부재(3)에 대해 역세척 공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역세척 공정은 유체로 채워진 제1본체(22)의 내부 압력 및 상기 회전기구(51)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압력 간의 차이로부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력이 발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작동기구(53)는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펌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배수장치(6)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는 타단이 상기 본체(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의 타단은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는 일단에 대해 반대되는 끝단을 의미한다. 상기 배수장치(6)의 타단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배수장치(6)의 일단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된 부분이다. 상기 본체(2)에 상기 필터부재(3)가 복수개 결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배수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들은 각각 상기 필터부재(3)들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유입공(61)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공(61)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유입공(61)을 이용하여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된 부분에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분배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서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된 부분에 대한 유체 흡입력 및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유입공(6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공(61)들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유입공(61)들을 통해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더 많은 위치에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역세척유체는 상기 유입공(61)들을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배수장치(6)의 내부로 공급된 후에, 상기 배수장치(6)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 및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된 필터부재(3) 각각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아래 표 1에서 비교예에 표시된 그래프는 배수장치(6)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실시예 1에 표시된 그래프는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된 필터부재(3)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106279812-pat00001
상기 비교예에 대한 그래프 및 상기 실시예 1에 대한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이고, 가로축은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속이다. 세로축에서 하단은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관통공(21)에 근접한 부분이고, 세로축을 기준으로 상측일수록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된 부분이다. 가로축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길게 표시될수록 유체의 유속이 빠른 것이다.
상기 비교예에 대한 그래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는 상측에 위치된 부분일수록 유체의 유속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즉,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는 상측에 위치된 부분일수록 유체에 대한 흡입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에 대한 그래프로부터,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는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먼 부분일수록 역세척 효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 1에 대한 그래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된 필터부재(3)는 상기 유입공(61)들이 위치된 높이에서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는 부분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된 필터부재(3)는 상기 유입공(61)들이 위치된 높이에서 유체에 대한 흡입력이 증가하는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배수장치(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유입공(61)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수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각각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각각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배수부재(62)들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4,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관통공(21)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본체(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상기 지지부재(24)에 결합됨으로써,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지지부재(24)가 십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관통공(21)의 일부를 개방시키면서 상기 배수부재(62)들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각각 타단이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상기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한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부재(62)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재(62)들 사이에는 상기 역세척 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공(6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배수장치(6)에 상기 유입공(61)을 가공하는 공정 없이도 상기 유입공(61)을 갖는 배수장치(6)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유입공(61)을 갖는 배수장치(6)를 제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배수부재(62)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유입공(61)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다양한 크기 및 높이의 필터부재(3)를 필요로 하는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는 작은 직경을 갖는 배수부재(62)일수록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수장치(6)는 제1직경을 갖는 배수부재(62)의 내부에 상기 제1직경에 비해 작은 제2직경을 갖는 배수부재(62)가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62)들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부재(62)들은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재(62)들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61)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유입공(61)들을 갖는 배수장치(6)를 제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배수부재(62)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유입공(61)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다양한 크기 및 높이의 필터부재(3)를 필요로 하는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는 긴 길이를 갖는 배수부재(62)일수록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수장치(6)는 제1길이를 갖는 배수부재(62)의 내부에 상기 제1길이에 비해 긴 제2길이를 갖는 배수부재(62)가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배수장치(6)는 제1배수부재(621, 도 4에 도시됨) 및 제2배수부재(62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타단이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제1삽입공(62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공(6211)은 상기 제1배수부재(62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공(6211)은 상기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상기 제1배수부재(621)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타단이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상기 제1삽입공(62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배수부재(621)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삽입공(6211)은 상기 제2배수부재(622)가 상기 제1배수부재(62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배수부재(621)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622)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배수부재(621) 및 상기 제2배수부재(622)가 원통 형태인 경우, 상기 제1삽입공(6211)은 상기 제2배수부재(62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타단이 상기 제1배수부재(62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배수부재(621)에 비해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배수부재(622)와 상기 제1배수부재(621) 사이에 역세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611, 도 4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제1유입공(611)으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1삽입공(6211)을 따라 이동한 후에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유입공(611)은 상기 제1배수부재(621)의 타단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입공(611)은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제1유입공(611)이 위치된 높이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제1유입공(611)에 대응되는 높이로 위치된 부분에 대한 유체 흡입력 및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제2삽입공(6221)을 포함한다. 상기 제2삽입공(6221)은 상기 제2배수부재(6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공(6221)은 상기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배수장치(6)는 제3배수부재(623, 도 4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상기 제2배수부재(622)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타단이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상기 제2삽입공(62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배수부재(622)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삽입공(6221)은 상기 제3배수부재(623)가 상기 제2배수부재(62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배수부재(622)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3배수부재(623)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배수부재(622) 및 상기 제3배수부재(623)가 원통 형태인 경우, 상기 제2삽입공(6221)은 상기 제3배수부재(623)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배수부재(623)와 상기 제2배수부재(622) 사이에 역세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612, 도 4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제2유입공(612)으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2삽입공(6221)을 따라 이동한 후에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2유입공(612)은 상기 제2배수부재(622)의 타단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유입공(612)은 상기 제1관통공(61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상기 제2유입공(612)이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622)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제1유입공(611)이 위치된 높이 및 상기 제2유입공(612)이 위치된 높이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필터부재(3)에서 상기 제1유입공(611)에 대응되는 높이로 위치된 부분 및 상기 제2유입공(612)에 대응되는 높이로 위치된 부분에 대한 유체 흡입력 및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타단이 상기 제2배수부재(62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622)에 비해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제3삽입공(6231)을 포함한다. 상기 제3삽입공(6231)은 상기 제3배수부재(62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3삽입공(6231)은 상기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제3배수부재(623), 상기 제2배수부재(622) 및 상기 제1배수부재(621)는 각각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입공(612)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된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는,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입공(612) 및 상기 제1유입공(611)으로 나누어져 공급된다. 즉, 상기 제2유입공(612) 및 상기 제1유입공(611)은, 상기 제2유입공(612)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된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를 분담하여 상기 관통공(21)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장치(6)는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배수장치(6)가 상기 필터부재(3)에 부분적으로 접촉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수장치(6)가 부분적으로 접촉되게 설치된 필터부재(3) 및 상기 배수장치(6)가 이격되게 설치된 필터부재(3) 각각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아래 표 2에서 실시예 1에 표시된 그래프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 필터부재(3)에 상기 배수장치(6)가 부분적으로 접촉되게 설치된 실시예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62)들은 각각 상기 유입공(61)들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
아래 표 2에서 실시예 2에 대한 그래프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 필터부재(3)에 상기 배수장치(6)가 이격되게 설치된 실시예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62)들은 각각 상기 유입공(61)들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Figure 112013106279812-pat00002
상기 표 2에 표시된 그래프들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는 상기 배수장치(6)가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기 유입공(61)들이 위치된 높이에서 유체의 유속이 더 증가한다. 즉, 상기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기 유입공(61)들이 위치된 높이에서 유체에 대한 흡입력이 더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배수장치(6)가 상기 필터부재(3)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유입공(612)은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공(612)은 상기 제1배수부재(621) 및 상기 제2배수부재(622)가 이격된 간격(611D)에 비해 상기 제2배수부재(622) 및 상기 제3배수부재(623)가 이격된 간격(612D)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배수부재(623) 및 상기 제2배수부재(622) 간의 직경 차이는, 상기 제2배수부재(622) 및 상기 제1배수부재(621) 간의 직경 차이에 비해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제2유입공(612)이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먼 거리로 이격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작은 크기로 분배되더라도, 상기 역세척유체가 상기 제2유입공(612)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3배수부재(623)는 상기 제2배수부재(622)가 상기 제1배수부재(62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거리(622L)에 비해 짧은 거리(623L)로 상기 제2배수부재(622)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배수부재(623) 및 상기 제2배수부재(622) 간의 길이 차이는, 상기 제2배수부재(622) 및 상기 제1배수부재(621) 간의 길이 차이에 비해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제2유입공(612)이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먼 거리로 이격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상기 제1유입공(611)에 비해 작은 크기로 분배되더라도, 상기 제2유입공(612)이 역세척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담당하는 영역의 크기를 상기 제1유입공(611)이 역세척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담당하는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배수장치(6)가 2개 또는 3개의 배수부재(62)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배수장치(6)는 4개 이상의 배수부재(62)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배수장치(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배수부재(62)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장치(6)는 5개의 유입공(61)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62)들 중에서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가장 높게 돌출된 배출부재(62)는, 상기 본체(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본체(2, 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수부재(62)들 중에서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가장 높게 돌출된 배출부재(62)는, 상기 본체(2, 도 3에 도시됨)에 접촉되게 상기 본체(2, 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차단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는 상기 배수장치(6) 및 상기 필터부재(3)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차단부(7)는 상기 지지부재(24, 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는 상기 관통공(21)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배수장치(6)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수장치(6) 및 상기 필터부재(3) 사이를 통해 상기 관통공(21)으로 배출되는 역세척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장치(6) 및 상기 필터부재(3) 사이는 상기 관통공(21)에 가깝게 위치되므로, 역세척유체를 상기 관통공(21)으로 배출시키는데 큰 흡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도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흡입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역세척부(5)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상기 배수장치(6) 및 상기 필터부재(3) 사이를 통해 역세척유체를 상기 관통공(21)으로 배출시키는데 소모되는 양을 줄임으로써, 상기 유입공(61)들로 분배되는 흡입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단부(7)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 및 상기 차단부(7)가 설치된 필터부재(3) 각각에 대해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아래 표 3에서 실시예 2에 표시된 그래프는 상기 차단부(7)가 설치되지 않은 필터부재(3)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표 3에서 실시예 3에 대한 그래프는 실시예 2와 비교할 때 상기 차단부(7)가 추가로 설치된 필터부재(3)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106279812-pat00003
상기 표 3에 표시된 그래프들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은 상기 차단부(7)가 상기 관통공(21)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실시예 2와 비교할 때,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차단부(7)는 상기 배수장치(6)가 갖는 배수부재(62)들 중에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배수부재(62) 및 상기 필터부재(3) 사이에서 상기 관통공(21)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7)는 상기 제1배수부재(621) 및 상기 필터부재(3) 사이에서 상기 관통공(21)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는 차단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71)는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71)는 타측이 상기 제1배수부재(6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역세척유체는 상기 차단부재(71)의 타측 및 상기 제1배수부재(621) 사이를 통해 상기 관통공(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71)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는 돌출부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72)는 상기 차단부재(71)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72)는 상기 제1배수부재(6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공(21)에 근접하게 위치된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는, 상기 돌출부재(72)를 우회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관통공(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72)는 상기 관통공(21)에 근접하게 위치된 통과공(31)들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3)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흡입력 및 해당 유체의 유속에 대한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72)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필터장치 2 : 본체
3 : 필터부재 4 : 필터링부
5 : 역세척부 6 : 배수장치
61 : 유입공 62 : 배수부재

Claims (14)

  1.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유체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링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이물질이 이격되도록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세척부;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수장치; 및
    상기 배수장치와 상기 필터부재 사이를 통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역세척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장치와 상기 필터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역세척부로 배출되도록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공들은 역세척유체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유입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배수장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배수장치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배수부재, 및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배수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배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수부재는 상기 제2배수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공은 상기 제2배수부재가 상기 제1배수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 및 상기 제1배수부재 사이에 역세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배수부재는 타단이 상기 제1배수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배수부재에 비해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3배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부재는 상기 제3배수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제3배수부재가 상기 제2배수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3배수부재와 상기 제2배수부재 사이에 역세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3배수부재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제1유입공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제1유입공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수부재는 상기 제2배수부재가 상기 제1배수부재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에 비해 짧은 거리로 상기 제2배수부재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6. 삭제
  7.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이물질이 이격되도록 유체를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세척부;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수장치; 및
    상기 배수장치와 상기 필터부재 사이를 통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역세척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장치와 상기 필터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배수장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배수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재들은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유입공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9. 필터부재의 내부로 이동한 역세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재들은 역세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재들 중에서 제1배수부재는 일단이 역세척유체가 배출되는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수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역세척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1배수부재로부터 이격된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들 중에서 제2배수부재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배수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배수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배수부재에 비해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배수부재는 상기 제2배수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공은 상기 제2배수부재가 상기 제1배수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 사이에 역세척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들 중에서 제3배수부재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배수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배수부재는 상기 제3배수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제3배수부재가 상기 제2배수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3배수부재와 상기 제2배수부재 사이에 역세척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3배수부재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제1유입공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제1유입공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수부재는 상기 제2배수부재가 상기 제1배수부재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에 비해 짧은 거리로 상기 제2배수부재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들은 각각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KR1020130142540A 2013-10-29 2013-11-21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KR102015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540A KR102015143B1 (ko) 2013-11-21 2013-11-21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EP14858393.3A EP3064260A4 (en) 2013-10-29 2014-10-24 Backwashing fluid discharge apparatus and filter unit
US15/032,618 US10071324B2 (en) 2013-10-29 2014-10-24 Backwashing fluid discharge apparatus and filter unit
CN201480059611.1A CN105745001B (zh) 2013-10-29 2014-10-24 回洗流体排水装置以及过滤装置
PCT/KR2014/010055 WO2015064967A1 (ko) 2013-10-29 2014-10-24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540A KR102015143B1 (ko) 2013-11-21 2013-11-21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33A KR20150059233A (ko) 2015-06-01
KR102015143B1 true KR102015143B1 (ko) 2019-08-28

Family

ID=5349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540A KR102015143B1 (ko) 2013-10-29 2013-11-21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42B1 (ko) * 2015-07-23 2016-04-28 김창세 필터 장치
KR101949804B1 (ko) * 2017-03-24 2019-02-19 편기열 오염수 스크린 필터 장치
KR102560842B1 (ko) * 2022-04-08 2023-07-28 박종성 기능성 지하수위 저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위 저하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436B1 (ko) * 2011-11-29 2012-07-27 주식회사고려필터 필터 드럼에 의한 가압 역세척 방식의 필터장치
JP6004890B2 (ja) * 2012-10-25 2016-10-12 三井精機工業株式会社 複合加工研削盤及びそれを利用した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90Y2 (ja) * 1982-02-12 1985-02-14 朝日印刷紙器株式会社 チユ−ブ中吊仕切付カ−トン
DE102005013673A1 (de) * 2005-03-24 2006-09-2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ilter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436B1 (ko) * 2011-11-29 2012-07-27 주식회사고려필터 필터 드럼에 의한 가압 역세척 방식의 필터장치
JP6004890B2 (ja) * 2012-10-25 2016-10-12 三井精機工業株式会社 複合加工研削盤及びそれを利用した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33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19B1 (ko) 자동 역세척 필터 장치
JP2011025228A (ja) 濾過材洗浄装置
KR102015143B1 (ko)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CN105771381A (zh) 河道淤泥过滤装置
KR101230352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기
JP5597314B1 (ja) 処理装置
KR101757205B1 (ko)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KR101619181B1 (ko)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JP6336077B2 (ja) フィルター装置
JP6268291B2 (ja) フィルター装置
CN103463843B (zh) 连续过滤系统
EP3064260A1 (en) Backwashing fluid discharge apparatus and filter unit
KR20130040046A (ko) 역세척라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US20180111069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KR101939963B1 (ko) 역세척이 용이한 무동력 여과기
CN110038347A (zh) 一种用于废水治理的初除杂装置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CN104923084B (zh) 内外压预涂式动态膜支撑体及动态膜系统
KR101918689B1 (ko)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JP2013244439A (ja) 濾過装置
CN106075975A (zh) 无滤料纯机械免反冲洗过滤器
KR101844470B1 (ko) 고액분리장치
KR100425050B1 (ko)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진행되는 연속형 여과기
KR101693232B1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필터 장치
KR20230121234A (ko)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