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181B1 -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181B1
KR101619181B1 KR1020150120406A KR20150120406A KR101619181B1 KR 101619181 B1 KR101619181 B1 KR 101619181B1 KR 1020150120406 A KR1020150120406 A KR 1020150120406A KR 20150120406 A KR20150120406 A KR 20150120406A KR 101619181 B1 KR101619181 B1 KR 10161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line
tank
upper plate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영
강재욱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free vortex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4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spr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원수유입라인이 연통하며 하부에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이 형성되고 여재층 하부에 처리수배출라인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유격을 형성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상기 원수유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집수하는 집수공간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상기 집수공간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곡면유로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와류형 여과장치는 수평형 혹은 수직형 여과장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적용시 처리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VORTEX TYPE FILTERING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본 발명은 다방향의 와류를 형성케 하는 등으로 처리효율을 배가시킨 와류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 폐수처리, 오수처리 등 다양한 수처리에 사용되는 설비는 오염물질, 미세입자등과 같은 이물을 포함하는 원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원수탱크, 상기 원수를 공급받아 모래, 활성탄과 같은 여재를 이용하여 원수로부터 이물과 처리수로 분리하여 여과하는 여과조 및 여과된 처리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처리수탱크로 구성된다.
이중 여과조(장치)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19680호에서는 일정량의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탱크, 원수가 통과되는 필터층이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된 여과조 및 여과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탱크를 갖추어 원수를 여과하는 수처리수설비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와 여과조사이를 연결하는 원수공급관의 길이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탱크의 원수를 상기 여과조내로 공급하는 여과펌프;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여과조의 내부중앙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일방향 회전구동시키는 교반모터; 상기 필터층에 배치되는 회전축의 하부단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어 역세척시 상기 필터층에 흡착된 이물을 분리하도록 회전되는 교반날개; 상기 처리수탱크와 여과조사이를 연결하는 세척수공급관의 길이중간에 설치되어 역세척시 상기 처리수 탱크의 처리수를 상기 여과조내로 공급하는 역세척펌프; 및 상기 여과조내의 원수중 일부를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여과조내로 일단이 노출되고, 상기 원수공급관에 타단이 연결되어 여과시 상기 필터층의 상부로 하향되는 원수흐름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반송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를 제시하면서 몸체내로 인입된 원수공급관 단부에는 여과시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몸체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경사진 토출각을 갖는 노즐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 제시하는 와류형 여과장치의 경우 노즐에 의해 1방향의 와류만이 형성됨으로써 하부의 필터층(여재층)에 와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파이거나 여재층의 표면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에 의해 여재층에는 부분적 여과면이 형성되어 불균일한 여과에 의해 결국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196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수와 여재층의 접촉면적을 크게 가져가면서 여재층이 균일하게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으로 처리효율을 배가시킨 와류형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류형 여과장치는 상부에 원수유입라인이 연통하며 하부에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이 형성되고 여재층 하부에 처리수배출라인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유격을 형성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상기 원수유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집수하는 집수공간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상기 집수공간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곡면유로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하판에는 상기 집수공간 외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곡면을 형성하되 하판 외측방향으로 너비가 커지는 형상의 격벽이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은 격벽에 체결되어 격벽 간에 곡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탱크 하부에는 세척수공급라인이 연통하며 상부에는 드레인라인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상판은 상기 원수유입라인에 연결된 축관에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원수가 상기 곡면유로로 토출시 상기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체결된 하판은 상기 축관을 축으로 회전연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노즐부에는, 상기 상판 상부에 집수부가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끝단부에 종굴곡부가 형성되어 층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층류형성관이 더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은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하는 와류라인과 상기 집수부와 연통하는 층류라인에 삼방밸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삼방밸브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와류라인과 층류라인을 교번으로 개방 및 폐쇄토록 하여 상기 노즐부가 와류 및 층류가 교번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류형 여과장치는 다방향에서 유체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와류를 형성토록 하여 여재층과 원수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류형 여과장치는 와류에 의해 여재층의 상부에 일부분만 파이거나 왜곡에 의해 여재층의 불균일한 여과면의 형성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부분폐색에 의한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류형 여과장치는 여재층 상부에 케이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지연/방지하여 처리효율을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일 장치화 한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노즐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노즐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류형 여과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원수유입라인(21)이 연통하며 하부에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22)이 형성되고 여재층(22) 하부에 처리수배출라인(24)이 형성된 탱크(2); 상기 탱크(2)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2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상판(31)과 상기 상판(31)과 유격을 형성하는 하판(32)과 상기 상판(31)과 상기 하판(32) 사이에 상기 원수유입라인(21)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집수하는 집수공간(33)과 상기 상판(31)과 상기 하판(32) 사이에서 상기 집수공간(33)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곡면유로(34)를 포함하는 노즐부(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노즐부(3)에서 다방향의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원수와 여재층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면서 불균일한 여과를 제어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탱크(2)는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에 여재층(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여재층(22)을 통과한 처리수가 탱크(2) 하부에서 상기 처리수배출라인(24)을 통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조(5)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여재층(22)을 이루는 여재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모래, 활성탄, 미생물여재 등 다양한 종류의 여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가 다른 여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수저장조(4)와 연결되어 원수저장조(4)에 저장된 하수, 폐수 등 원수를 상기 탱크(2) 내부로 유입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부(3)는 상기 탱크(2)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2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상판(31)과 상기 상판(31)과 유격을 형성하는 하판(32)과 상기 상판(31)과 상기 하판(32) 사이에 상기 원수유입라인(21)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집수하는 집수공간(33)과 상기 상판(31)과 상기 하판(32) 사이에서 상기 집수공간(33)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곡면유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31)은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나 도 1 등에서는 원판형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원수유입라인(21)과 연통하는 축관(35)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판(32)은 상기 상판(31)과 대향하는 형상으로 도 1 등에서는 원판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하판(32)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원판형의 몸체(321)와 상기 몸체(321)에서 돌출되되 중앙부에 집수공간(33) 외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곡면을 형성하되 하판(몸체(321)) 외측방향으로 너비가 커지는 형상의 격벽(322)이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31)은 격벽(322)에 체결되어 격벽(322) 간에 곡면유로(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격벽(322)은 복수로 구성되되 집수공간(33) 외측에서부터 몸체(321) 외주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 각각의 격벽(322)이 동일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면서 그 너비가 몸체(321) 외주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d2 > d1)으로 구성되어 격벽(322) 간에도 동일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면서 몸체(321) 외주방향으로 너비가 커지는 곡면유로(3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을 통해 상판(31) 및 하판(32) 사이의 중앙부에 집수공간(33)으로 유입된 원수가 방사형으로 곡면유로(34)를 타고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에 의해 다방향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집수공간(33)으로 유입된 원수(집수공간(33)을 포함한 곡면유로(34) 초입부)는 곡면유로(34)에서 곡면을 타고 유동함에 따라 유체유동저항을 최소화 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게 되는 것이며 너비가 커지는 곡면유로(34)를 통해 토출됨에 따라 빠른 유속으로 토출되어 더 넓은 영역으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넓은 영역으로 와류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의 여재층(22)과 직접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곡관에 의한 와류의 경우 여재층(22)의 일부분이 패임, 여재층(22) 표면의 왜곡 등에 의해 여과면적이 불균일화 되는 문제를 상기 노즐부(3)에 의해 제어토록 하여 균일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판(32)에 있어 상기 격벽(322)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31)은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하판(32)에 체결이 되는 것이다. 그 외에 상기 상판(31)과 상기 하판(32)은 다양한 체결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노즐부(3)를 통해 토출되는 원수는 여재층(22)을 통과하면서 처리수로 배출되는데 어느 정도 사용기간이 계속되면 특히 여재층(22)의 상부에 와류에 의해 회오리치고 있는 불순물의 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즉 여재층(22)의 상부에 케이크층이 형성되며 이러한 케이크층은 여재층(22)을 폐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크층이 형성되면 여과운전이 정지되도록 한 후에 상기 탱크(2) 하부와 연통하는 세척수공급라인(25)을 통해 세척수가 탱크(2)의 하부에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공급라인(25)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펌프가 연동되도록 하여 바람직하게는 강한 압력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세척수가 공급되면 여재층(22) 내부의 이물질은 물론 여재층(22) 상부에 형성된 케이크층이 부유되며 이렇게 부유된 이물질 등은 탱크(2) 상부에 연통하는 드레인라인(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본 발명의 와류형 여과장치(1)(원수저장조(4) 및 처리조(5) 포함)를 1장치화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B)에 탱크(2), 원수저장조(4) 및 처리조(5)를 배치하고 원수유입라인(21), 처리수배출라인(24), 드레인라인(26) 등 각종 배관을 연결하여 1장치화 한 것이다. 여기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종 펌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14)가 더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장치를 1장치화 하여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기본예의 경우 다방향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나, 각각 곡면유로(34)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의 괘적은 원수유입압을 변동시키지 않는 경우 일정하여 곡면유로(34)를 복수로 구성하여도 여재층(2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곡면유로(34)의 갯수를 크게 하는 경우 각 곡면유로(34)로의 유입압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어려워 유입압의 차이가 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도 유입압의 차이에 의해 여재층(2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여재층(22) 표면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여재층(2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의해 불균일한 여과가 이루어져 부분적 폐색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제시한다.
도 4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시 예의 노즐부(3)는 상판(31)과 축관(35)을 연결함에 있어 상기 축관(33) 하단에서 상기 상판(31)이 연통하면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관(35)은 베어링(351)에 의해 상기 상판(31)과 연통하면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원수유입라인(21)의 원수가 상기 축관(33)을 통해 상기 집수공간(33)으로 집수되며 집수된 원수는 각각 곡면유로(3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데 원수가 곡면유로(34)로 토출시 원수의 토출력에 의해 상기 상판(31) 및 상판(31)과 체결된 하판(32)은 상기 축관(35)을 축으로 회전연동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수의 토출력에 의한 상기 상판(31) 및 상기 하판(32)의 회전연동은 각각 곡면유로(34)를 통해 형성되는 와류가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결국 노즐부(3)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는 여재층(22) 전체 면적에 걸쳐 직접적이며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재층(22)의 패임, 왜곡 등이 방지됨으로써 균일한 여과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당연히 균일한 여과에 의해 그 처리효율은 배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즐부(3)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여재층(22)에는 그 표면에 케이크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케이크층은 여재층(22)을 폐색시킬 수 있어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일정시간 여과운전 후에는 세척공정이 수행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세척공정의 경우 본 공정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그 만큼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재층(22)에 케이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하여 세척공정의 주기를 크게 하여 그만큼 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의 노즐부(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31) 상부에 집수부(36)가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36)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끝단부에 종굴곡부(371)가 형성되어 층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층류형성관(37)이 더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은 상기 집수공간(33)과 연통하는 와류라인(211)과 상기 집수부(36)와 연통하는 층류라인(212)에 삼방밸브(21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213)는 제어부(214)에 의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데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해 삼방밸브(213)가 작동되어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의 원수는 상기 집수공간(33)과 연통하는 와류라인(211)과 상기 집수부(36)와 연통하는 층류라인(212)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14)의 제어는 수동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일정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삼방밸브(213)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특징의 하나인 상기 집수부(36)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31)의 상부에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부(36)에서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층류형성관(37)은 끝단부에 종굴곡부(371)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종굴곡부(371)는 하방향으로 여재층(22)과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층류형성관(37)에 의해 토출되는 원수는 층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층류형성관(37)에 있어 종굴곡부(371)의 길이는 상기 곡면유로(34)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가 종굴곡부(37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 예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도 6a에서는 본 실시 예의 노즐부(3)가 와류를 형성토록 하는 예를 상정한다.
우선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해 삼방밸브(213)가 와류라인(211)이 on되고 층류라인(212)이 off되도록 하여 원수유입라인(21)을 통한 원수는 집수공간(33)만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리하여 곡면유로(34)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원수가 탱크(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류의 작용은 기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원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탱크(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제어부(214)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삼방밸브(213)가 와류라인(211)이 off되고 층류라인(212)이 on되도록 작동케 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원수유입라인(21)을 통한 원수는 집수부(36)만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집수부(36)로 집수된 원수는 층류형성관(37)을 통해 탱크(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층류형성관(37)에 의해 토출되는 원수는 여재층(22)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낙하되어 난류가 형성되지 않는 바, 즉 층류로서 탱크(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수가 층류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여재층(22)의 상부에 케이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노즐부(3)가 원수를 탱크(2) 내부로 유입시킴에 있어 와류와 층류로 교번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여재층(22)에 케이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세척공정의 주기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동일처리유량 및 동일시간 대비 와류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 2 : 탱크
3 : 노즐부 4 : 원수저장조
5 : 처리조

Claims (6)

  1. 상부에 원수유입라인이 연통하며 하부에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이 형성되고 여재층 하부에 처리수배출라인이 형성된 탱크; 및 상기 탱크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유격을 형성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상기 원수유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집수하는 집수공간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상기 집수공간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굴곡을 형성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곡면유로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에는
    상기 상판 상부에 집수부가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끝단부에 종굴곡부가 형성되어 층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층류형성관이 더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라인은 상기 집수공간과 연통하는 와류라인과 상기 집수부와 연통하는 층류라인에 삼방밸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상기 집수공간 외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곡면을 형성하되 하판 외측방향으로 너비가 커지는 형상의 격벽이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은 격벽에 체결되어 격벽 간에 곡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하부에는 세척수공급라인이 연통하며 상부에는 드레인라인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원수유입라인에 연결된 축관에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원수가 상기 곡면유로로 토출시 상기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체결된 하판은 상기 축관을 축으로 회전연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여과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와류라인과 층류라인을 교번으로 개방 및 폐쇄토록 하여 상기 노즐부가 와류 및 층류가 교번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 여과장치.

KR1020150120406A 2015-08-26 2015-08-26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KR10161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406A KR101619181B1 (ko) 2015-08-26 2015-08-26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406A KR101619181B1 (ko) 2015-08-26 2015-08-26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181B1 true KR101619181B1 (ko) 2016-05-10

Family

ID=5602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406A KR101619181B1 (ko) 2015-08-26 2015-08-26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1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8678A (zh) * 2018-03-25 2018-07-27 苏州鑫活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水处理过滤塔
KR101942380B1 (ko) * 2018-11-01 2019-01-25 문상욱 수처리용 활성탄 여과장치
KR20210105590A (ko) 2020-02-19 2021-08-27 장한기술 주식회사 와류 강도 조절을 통한 고정밀 여과 장치
KR102437226B1 (ko) * 2021-06-18 2022-08-3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수처리용 여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80B1 (ko) * 2012-11-30 2014-01-08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525408B1 (ko) 2014-05-26 2015-06-09 주식회사 부강테크 와류 발생 막 증류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80B1 (ko) * 2012-11-30 2014-01-08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525408B1 (ko) 2014-05-26 2015-06-09 주식회사 부강테크 와류 발생 막 증류 여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8678A (zh) * 2018-03-25 2018-07-27 苏州鑫活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水处理过滤塔
KR101942380B1 (ko) * 2018-11-01 2019-01-25 문상욱 수처리용 활성탄 여과장치
KR20210105590A (ko) 2020-02-19 2021-08-27 장한기술 주식회사 와류 강도 조절을 통한 고정밀 여과 장치
KR102361269B1 (ko) * 2020-02-19 2022-02-10 장한기술 주식회사 와류 강도 조절을 통한 고정밀 여과 장치
KR102437226B1 (ko) * 2021-06-18 2022-08-3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수처리용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181B1 (ko)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와류형 여과장치
CN105833578B (zh) 水处理设备和系统
KR101817296B1 (ko) 회전세척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WO2018103537A1 (zh) 水平流砂滤池及其水处理工艺
KR20140053830A (ko)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LT6730B (lt) Dispersijų perskyrimo įrenginys ir būdas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JP2015123424A (ja) 濾過装置、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US3455458A (en) Mineral bed backwashing devices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939963B1 (ko) 역세척이 용이한 무동력 여과기
JPS6216125B2 (ko)
KR102015143B1 (ko)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JP2012192310A (ja) 逆洗型ろ過装置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20020063332A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688564B1 (ko)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KR20230062971A (ko)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JP2016064371A (ja) 水処理装置
CN115594246A (zh) 滤芯、过滤器、过滤系统和清洗系统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MX2010000387A (es) Metodo y sistema para retrolavado de un filtro.
KR100425050B1 (ko)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진행되는 연속형 여과기
KR101623039B1 (ko) 다중 여과 장치
KR101745340B1 (ko) 유체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