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056B1 -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056B1
KR102015056B1 KR1020160096681A KR20160096681A KR102015056B1 KR 102015056 B1 KR102015056 B1 KR 102015056B1 KR 1020160096681 A KR1020160096681 A KR 1020160096681A KR 20160096681 A KR20160096681 A KR 20160096681A KR 102015056 B1 KR102015056 B1 KR 10201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equipment
user terminal
location
heav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250A (ko
Inventor
이호중
김성래
최한규
하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9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0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5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관제 서버가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는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LOCATION OF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현장에서 중장비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하여 중장비 작업 여부 및 위치를 판단하고, 작업 중인 중장비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에 표시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에서는 중장비 사용으로 인하여 지하에 매설된 선로케이블 등의 시설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주의표지판, 경고등 등을 설치하여 경고하고 있으며, 공사현장 순회점검 등의 방법으로 직접적 예방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시설물 설치에 의한 예방은 실효성이 낮고, 순회점검은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최근에는 각종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이러한 사고예방과 감시활동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25598호 (2014.08.04.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사현장에서의 중장비에 의한 선로케이블의 파손 등의 피해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순회점검, 주의표지판, 경고등 등을 설치하여 사고 예방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고 실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은,
관제 서버가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는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수신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로 SMS 또는 메신저 앱을 통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로 SMS 또는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앱을 통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은,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중장비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속도 범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중장비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과 선로케이블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모양 또는 색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는,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장비 사용자의 단말 및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 및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로부터 해당 중장비가 작업 중인지를 판단하고, 작업중인 중장비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사현장의 중장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사고예방을 위한 별도의 시설물 설치 비용이나 순회점검 인력을 절약할 수 있고, 선로케이블 등의 파손으로 인한 통신사와 건설사 간의 예기치 않은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 측에서 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인 중장비의 위치를 한눈에 모니터링하면서 선로케이블 등이 파손될 우려가 높은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를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시스템은 공사현장의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 및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 중장비 사용자의 단말(200) 및 관제 서버 관리자의 단말(300)을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중장비 작업 중에 매설된 선로케이블 등의 시설물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공사현장에서 작업중인 중장비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중장비의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중장비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매설된 선로케이블 등과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 및 상기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3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중장비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주의를 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데이터 연산 처리,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DB서버와 상기 중장비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중장비의 위치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따라 경고 및 알림을 수행하는 선로케이블 지도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장비라 함은 토목 공사에 쓰는 중량이 큰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굴삭기, 롤러, 불도저, 덤프 트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은 공사 현장의 중장비 사용자가 작업 중 휴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이며, 주변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Microphone), 단말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위치를 감지하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다른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각 센서가 구동될 수 있다. 획득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태블릿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의 관리자가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로부터 중장비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정보로부터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의 관리자는 중장비 사용자에 대하여 직접 연락을 취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300)은, 예를 들어, 태블릿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와 단말(200, 3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은, 정보 수신 단계(S210), 작업 여부 판단 단계(S220),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알림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우선, S210 단계에서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 자이로센서, GPS센서 등의 기능 모듈을 구동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중장비 사용자가 중장비 작업 전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것을 잊어버리더라도, 즉 오프 상태이더라도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 자체의 벨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중장비 사용자에게 자체적으로 알림을 제공하여, 중장비 사용자에게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도록 환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추후에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로 선로케이블 파손 위험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번호나 설치된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220 단계에서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수신한 소음 및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중장비가 현재 작업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및 진동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값의 합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은 중장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중장비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의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중장비 작업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의 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는 소음 및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1) 및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S221 단계는 이미 도 2에서 살펴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222 단계에서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장비의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속도 범위는 중장비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소음 및 진동으로만 판단하는 경우의 부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인 중장비는 정지해있거나 아주 느린 속도로 움직인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예를 들어, 굴삭기에 시동이 걸려있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40km/h의 속도로 이동 중이라고 가정하자. 일반적으로 굴삭기가 굴삭 작업 중에는 5km/h 미만의 속도로 이동 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해당 굴삭기는 단순히 이동 중인 것이고 매설된 선로케이블을 파손시킬 가능성은 없기 때문이다. 도 3에서는 S221 단계를 먼저 수행한 후에 S222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당연히 S222 단계를 S221 단계보다 먼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두 단계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하여 해당 중장비의 작업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상기 관제 서버(100)에서 중장비 작업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소음 및 진동 값의 합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및 중장비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범위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때에만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230 단계에서는 전 단계(S220)에서 소음 및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해당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표시하기 시작한다.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는 중장비의 위치와 동일시 된다.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는 별도로 구축되어 있는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연결된 별도의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중장비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면서 동시에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는 선로케이블까지 떨어진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모양 또는 색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관제 방법에서 중장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로케이블로부터의 거리가 5m 및 10m 떨어진 경우를 기준으로 중장비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으로 표시한 것이다. S220 단계를 통해 현재 작업 중인 것으로 판단된 중장비(41 내지 44)가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1 및 42의 경우에는 선로케이블로부터의 거리가 10m를 초과한 것으로 동그라미로 표시되고, 43의 경우에는 5m이상 10m미만의 거리에 있어 마름모로 표시되고, 44의 경우 선로케이블로부터 5m 미만의 거리에 있어 별표로 표시되어, 관제 서버 관리자로 하여금 보다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S240 단계에서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 및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3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SMS 또는 상기 단말(200, 300)에 기 설치된 메신저 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번호 및 설치된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는 상기 정보 수신 단계(S210)에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 관리자가 상기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직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화로 연락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 전송은,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그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특정 위험 범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이 동그라미로 표시되는 때에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마름모 또는 별표로 표시되는 때에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100)는 통신부(110), 연산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에서 측정된 소음, 진동, 위치 정보, 전화번호 및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 및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300)로 작업 중인 중장비 위치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20)는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 및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로부터 해당 중장비가 작업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과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110)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200)과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모양 또는 색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 200: 중장비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300: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
120: 연산부
130: 표시부

Claims (11)

  1. 관제 서버가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는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앱의 사용자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수신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로 SMS 또는 메신저 앱을 통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로 SMS 또는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앱을 통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은,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중장비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속도 범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중장비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위치 표시 단계는,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과 선로케이블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모양 또는 색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중장비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소음, 진동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장비 사용자의 단말 및 관제 서버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
    수신된 소음 및 진동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 및 상기 중장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로부터 해당 중장비가 작업 중인지를 판단하고, 작업중인 중장비와 선로케이블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중장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선로케이블 지도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위치 관제 서버.
KR1020160096681A 2016-07-29 2016-07-29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81A KR102015056B1 (ko) 2016-07-29 2016-07-29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81A KR102015056B1 (ko) 2016-07-29 2016-07-29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50A KR20180013250A (ko) 2018-02-07
KR102015056B1 true KR102015056B1 (ko) 2019-08-27

Family

ID=6120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681A KR102015056B1 (ko) 2016-07-29 2016-07-29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8570A (ja) 2008-09-29 2010-04-08 Takenaka Komuten Co Ltd 振動予測装置、及び振動予測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98B1 (ko) 2013-07-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44665B1 (ko) * 2014-01-10 2015-08-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8570A (ja) 2008-09-29 2010-04-08 Takenaka Komuten Co Ltd 振動予測装置、及び振動予測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50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461B1 (en) Determining corrective actions based upon broadcast of telematics data
CA2831520C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eractions with a vehicle
CN103578288B (zh) 交通安全提醒方法、移动终端及交通安全提醒系统
JP6515495B2 (ja) テレマティクスシステム
US9420559B2 (en) Obstacl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US95364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peed limit violation
JP2020513617A (ja) 運転行為の確定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US9444929B2 (en) Mobile device usage activity reporting system and method
CN109323132B (zh) 一种基于光纤预警技术的长输管道无人机侦检系统
KR20170006095A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255957B (zh) 一种隧道内车辆行驶监测的方法及系统
CN111885500B (zh) 基于窄带物联网的路况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582979B2 (en) Improving safety on sites with movable objects
JP2008197860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CN104916151A (zh) 基于互联网的交通报警系统和方法
KR20160105206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2차 교통사고예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U2018100992A4 (en) A Safety Warning System
CN103389709B (zh) 工程机械车载信息服务系统和车载终端
KR20210032758A (ko) 터널 내 교통 흐름 정보에 기초한 교통 안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695956A (zh) 用于汽车租赁平台的智能服务管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102015056B1 (ko)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5348149A (zh) 车联网中的设备监控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30184987A1 (en) Generation of proximity information
CN112954002A (zh) 监控车辆的方法和车锁
GB2577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