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65B1 -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65B1
KR101544665B1 KR1020140003311A KR20140003311A KR101544665B1 KR 101544665 B1 KR101544665 B1 KR 101544665B1 KR 1020140003311 A KR1020140003311 A KR 1020140003311A KR 20140003311 A KR20140003311 A KR 20140003311A KR 101544665 B1 KR101544665 B1 KR 10154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attenuation
construction equipment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590A (ko
Inventor
홍태훈
지창윤
구충완
김지민
정광복
박주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기초로 각각의 건설장비에 의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추출하는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로부터 측정위치에서 감쇠량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장비별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가중합산하여,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를 포함한다. 또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 각각의 평균값을 토대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환경비용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에 기초하여,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하는 환경비용 예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PREDICTION METHOD AND MODEL OF ENVIRONMENTAL COST DUE TO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피해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시공단계)에서 건설장비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과 진동을 예측하고, 예측된 소음과 진동을 바탕으로 소음 및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요구되는 환경비용을 예측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인간의 생산 활동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대한 요구 역시 커지고 있다. 건설산업은 에너지의 과다소비 및 폐기물 발생 등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산업 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환경문제들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자 다양한 노력들이 있어왔다.
도심지 내에서 시행되는 건축물 시공현장의 소음 및 진동은 주변에서 생활하는 거주자에게 피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건축물 시공현장에서는 측정장비(‘BlastMate II (DS-477)’혹은 ‘VMS-200S (THOMAS)’)를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측정하고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소음 장벽 등을 설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방법은 특별한 체계없이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거나 과다한 관리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건축물의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줄이기 위해 소요되는 추가적인 환경비용을 예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4246호의 “건설공사의 환경부하량 산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건축물의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예측된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토대로 하여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피해 해결을 위한 환경비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사항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는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ㄱ기초로, 각각의 건설장비에 의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추출하는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서 감쇠량들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장비별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을 가중합산하여,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를 포함한다.
또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의 각 평균값을 기초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환경비용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기초하여,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하는 환경비용 예측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은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기초로,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가 각각의 건설장비에 의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추출하는 s1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가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로부터 측정위치에서 감쇠량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가 건설장비별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합산하여,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을 각각 산출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비용 산출부가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의 각 평균값을 기초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s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비용 예측부가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에 기초하여,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이 산출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건축물의 시공이전단계에서 제시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미래의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시공이전단계에서 예측 가능하다.
둘째, 예측된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바탕으로 허용 소음 및 진동 기준과 피해보상기준을 고려하므로,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비용 예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사항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에서 시공계획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에서 데이터 저장부에 포함된 데이터(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는 다양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는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기초로, 각각의 건설장비에 의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측정위치에서 감쇠량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장비별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가중합산하고,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을 각각 산출하는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의 각 평균값들을 기초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환경비용 산출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기초하여,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하는 환경비용 예측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기초로 하며,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시공단계에서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피해 예상비용을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한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을 예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들인 시공계획 정보들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시공계획 정보는 건설현장의 지면 정보, 건설장비 종류 정보, 건설장비 수량 정보, 건설장비 사용기간 정보, 소음 및 진동 측정위치 정보, 소음장벽 정보, 기후정보 또는 건설장비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시공계획 정보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전단계의 시공계획에서 제시되는 건설장비(장비) 정보에 해당되는 건설장비 종류, 건설장비 높이, 건설장비 사용기간을 입력받는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110)는 측정지역(측정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건설장비와 측정위치와의 거리, 측정높이(측정위치의 높이)를 입력받는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110)는 소음장벽 정보에 해당되는 건설장비와 소음장벽 간의 거리, 소음장벽 높이를 입력받는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110)는 기후정보에 해당되는 상대습도, 온도와 지면(지표)정보를 입력받는다.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받는 정보들은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측결과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에서 시공계획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가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을 산출하기 위한 토대인 시공계획 정보들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가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하기 위한 토대인 시공계획 정보들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지표정보에 해당되는 토양 타입에서 ‘silty gravelly sand’는 고운자갈이 포함된 모래를 의미한다.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는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토대로 각 건설장비별 소음 및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한다. 또한,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는 시공계획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건설장비별 소음 표준 크기 데이터 및 건설장비별 진동 표준 크기 데이터를 토대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부(170)를 포함하며, 데이터 저장부(170)는 건축물의 시공단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건설장비의 소음 및 진동 발생량을 의미하는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 대한 표준 크기 데이터들을 삼각분호 함수의 형태로 저장한다. 아울러, 데이터 저장부(170)는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 또는 환경비용 산출부(150) 중 적어도 한 부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단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건설장비들에 의한 소음 크기 값에 해당되는 정보들을 삼각분포 데이터로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단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건설장비들에 의한 진동 크기 값에 해당되는 정보들을 삼각분포 데이터로 저장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에서 데이터 저장부에 포함된 건설장비에 따른 소음 및 진동 발생량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서 ‘Asphalt finisher’는 ‘아스팔트 피니셔’를 의미한다. 또한, ‘Asphalt plant’는 ‘아스팔트 플랜트’를 의미한다. ‘Backhoe’는 ‘백호’로 표시될 수 있으며, 토사의 굴착용 기계를 의미한다. ‘Bar bender’는 ‘바아 벤터’로 표시될 수 있으며, 철근을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구부리는 가공기를 의미한다. ‘Compactor’는 콤팩터’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짐 기계를 의미한다. ‘Drilling machine’은 ‘들릴링 머신’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공작물(가공물)에 구멍을 뚫는 기계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건설장비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이다.
도 5에서 기재된 ‘Min NL’은 건설장비별 소음의 최소 크기를 나타내며, ‘Max NL’은 건설장비별 소음의 최대 크기를 나타내며, ‘Median’은 건설장비별 소음의 중간 크기를 나타내며, ‘Mean’은 건설장비별 소음의 평균 크기를 나타낸다. ‘Number of Data’는 해당 건설장비의 소음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의 개수를 의미한다. ‘Equipment’은 건설장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되어 나타난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은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에서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을 산출할 때 사용된다. 즉,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삼각분포의 건설장비별 소음 발생량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을 산출한다.
도 6에서 기재된 ‘Min VL’은 건설장비별 진동의 최소 크기를 나타내며, ‘Max VL’은 건설장비별 진동의 최대 크기를 나타내며, ‘Median VL’은 건설장비별 진동의 중간 크기를 나타내며, ‘Mean’은 건설장비별 소음의 평균 크기를 나타낸다. ‘Number of Data’는 해당 건설장비의 진동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의 개수를 의미한다. ‘Equipment’은 건설장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되어 나타난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은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에서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할 때 사용된다. 즉,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삼각분포의 건설장비별 진동 발생량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한다.
데이터 저장부(170)는 삼각분포로 정의된 건설장비들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 데이터(정보)와 더불어,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에 의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 산출 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하게 된다.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되는 데이터(정보)들은 기 설정될 수 있으며,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7에서 도 14는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에 건설장비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의 감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설정된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는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건설장비별 소음 및 진동의 크기 값에서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수준을 제외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한다.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에서 산출되는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에서 감쇠량은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지면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및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이다. 또한,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에서 산출되는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서 감쇠량은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및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이다. 본 발명에서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음 및 진동의 감쇠량 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는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을 통합하여, 건축물의 시공현장 주변지역에서 예측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각각 산출한다. 건축물의 시공현장 주변지역에서 예측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는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을 의미한다.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에서 산출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은 예측결과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를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반복 횟수만큼 반복하여 산출한다. 즉,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반복 횟수만큼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 및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의 구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측결과 저장부(180)는 반복적인 구동에 의해 산출되는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을 저장하게 되고, 저장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은 환경비용 산출부(150)에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 시 사용된다.
환경비용 산출부(150)는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 및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의 반복적인 구동을 통해 예측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의 각 평균값에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허가 소음 및 허가 진동 크기 정보 그리고 피해보상 기준 정보를 이용한 함수식으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한다.
환경비용 예측부(160)는 환경비용 산출부(150)에서 산출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통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을 산출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은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토대로,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120)가 각각의 건설장비에 의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 각각 산출하는 s1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130)가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로부터 측정위치에서 감쇠량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140)가 건설장비별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가중합산하여,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비용 산출부(150)에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의 각 평균값을 기초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s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경비용 예측부(160)에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기초하여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은 s1단계 내지 s3단계가 반복되어 산출되는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이 예측결과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s1단계는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과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건설장비별 소음 및 진동 발생량에 관한 데이터를 통해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을 추출한다.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을 추출은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설정된 기준인 키워드 기준 추출, 소음 및 진동 발생에 대한 기준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가능할 것이며,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s1단계를 통해 추출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은 건설장비와 15m의 거리를 가진 측정위치에서 예측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15m는 일 예에 해당되며 거리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s1단계에서 추출되는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은 도 5와 도6에 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삼각분포의 데이터에서 임의로 추출된 것이다. 또한,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기준거리 15m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준화한 것이다.
s2단계는 건설장비별 소음 및 진동이 측정위치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감쇠량을 산출한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에 대한 감쇠량은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지면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및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이다. 아울러, s2단계에서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서 감쇠량은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및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이다.
s2단계는 산출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 대한 감쇠량을 반영하여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을 산출하게 된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입력받는 정보들 중 건설장비와 측정위치와의 거리를 토대로 산출된다.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1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1
여기서, NAdiv는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2
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3
는 참조거리인 15m를 의미한다. 여기서, NA는 ‘Noise Attenuation’의 약어이며, div는 ‘divergence’의 약어이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받는 정보들 중, 건설장비와 측정위치와의 거리 정보와 온도 및 상대습도를 토대로 제시되는 대기의 소음 흡수 계수를 이용하여,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이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대기 흡수 계수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설정된 값이며, 도 7은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설정된 대기 흡수 계수를 보여준다. 건설장비에 의한 소음은 일반적으로 500㎐의 진동수를 갖기 때문에 500㎐의 계수를 적용한다. 도 7에서 ‘atmospheric noise absorption coefficient’는 소음의 ‘대기 흡수 계수’를 의미한다. ‘Relative Humidity’는 ‘상대습도’를 의미한다. ‘preferred frequency’는 ‘우선 주파수’를 의미한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2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4
여기서 NAatm은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α는 대기의 소음 흡수 계수, di,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atm은 ‘atmospheric’의 약어이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지면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정보들 중, 건설장비의 높이, 측정지역의 높이, 건설장비와 측정위치 사이의 거리를 토대로 지면 흡수에 의한 소음의 감쇠량이 산출된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지면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3으로 산출된다.
Figure 112015069381197-pat00104
여기서 NAgro는 지면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MH(Mean Height)i,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의 중간 높이, di ,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gro는 ‘ground’의 약어이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정보들 중, 건설장비와 측정위치 사이의 거리, 소음의 진동수, 소음장벽 높이와 건설장비와 소음장벽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소음장벽을 넘어 전달되는 소음 경로의 거리를 토대로,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의 감쇠량이 산출된다. 소음장벽을 넘어 전달되는 소음 경로의 거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장비와 소음 장벽 사이의 거리, 소음장벽의 높이, 소음장벽과 측정위치 사이의 거리를 토대로 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에서 s2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Noise Source’는 ‘소음원’인 건축장비를 의미한다. 또한, ‘Receiving Node’는 소음 장벽을 넘어 측정위치(j)에 전달되는 소음 경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s2단계에서 산출되는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4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6
여기서 NAbar는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7
는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진동수, Si ,j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한 소음이 소음 장벽을 넘어 측정위치(j)에 전달되는 소음 경로의 거리, di ,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bar은 ‘barrier’의 약어이다. d는 ‘distance’의 약어이다.
s2단계에서 감쇠량 반영 소음의 크기 값은 아래의 수학식 5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8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09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확산되어 측정위치에서 예상되는 감쇠량 반영 소음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0
는 참조거리(reference distance; rd)에서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1
는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2
은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3
는 지면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4
는 소음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ANL은 ‘Attenuated Noise Level’, rn은 ‘Receiving Node’의 약어이며, NL은 ‘Noise Level’의 약어이다.
s3단계는 s2단계에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의 크기 값을 통합하여 예측 소음의 크기 값을 산출한다. s3단계에서 산출되는 예측 소음의 크기 값은 아래의 수학식 6으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6
는 모든 건설장비들의 통합되는 예측 소음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7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측정위치(j)로 전달되어 측정위치(j)에서 예상되는 예측 소음의 크기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CNL은 ‘Combined Noise Level ’의 약어이며, rn은 ‘receiving node’의 약어이다. ANL은 ‘Attenuated Noise Leve’의 약어이다.
s2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에 대한 감쇠량에서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은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정보들 중, 건설장비와 측정위치와의 거리와 건설장비의 위치를 바탕으로 제시되는 진동 감쇠 계수(Geometric vibration attenuation coefficient)를 토대로 확산에 의한 진동의 감쇠량이 산출되는 것이다.
진동 감쇠 계수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설정된 값으로, 도 9에 제시된 것과 같다. 도 9에서 ‘Geometric vibration attenuation coefficient’는 ‘진동 감쇠 계수’를 의미한다.
s2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은 아래의 수학식 7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19
은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0
은 진동 감쇠계수,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1
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2
는 참조거리인 15m를 의미한다. 여기서, VA‘Vibration Attenuation’의 약어이다.
s2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건설장비별 소음의 크기 값에 대한 감쇠량에서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은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정보값 중, 토양 종류에 따라 제시되는 재질 감쇠 계수(Material damping coefficient)와 건설장비와 측정위치와의 거리 정보를 토대로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의 감쇠량이다. 재질 감쇠 계수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기 설정된 값으로, 도 10에 제시된 것과 같다.
도 10에서 ‘Material damping coefficient’는 ‘재질 감쇠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Soil type and condition’은 ‘지면 형태(종류)와 상태’를 의미한다. ‘Silty gravelly sand’는 ‘Silty gravelly sand’은 ‘실트질 자갈 모래’를 의미한다. ‘Silty find sand’는 ‘실트질 고운 모래’를 의미한다. ‘saturated fine grain sand’는 ‘포화된 미세 입자의 모래’를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지면 형태와 상태는 본 발명이 해당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다.
s2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은 수학식 8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3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4
는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5
는 재질에 따른 진동 감쇠계수,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6
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7
는 참조거리인 15m를 의미한다.
s2단계에서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 대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은 아래의 수학식 9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8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29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확산되어 측정위치에서 예상되는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0
는 참조거리에서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1
는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2
는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AVL은 ‘Attenuated Vibration Level ’의 약어이다. VA‘Vibration Attenuation’의 약어이다. rn은 ‘receiving node’의 약어이다. rd는 ‘reference distance’의 약어이다.
s3단계는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은 s2단계에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이 통합되어 산출된다. s3단계에서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은 아래의 수학식 10으로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4
는 모든 건설장비에 의한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이 통합되어 측정위치(i)에서 예상되는 예측 진동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5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확산되어 측정위치에서 예상되는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을 의미함. 여기서, CVL은 ‘Combined Vibration Level’의 약어이다.
s4단계는 s3단계에서 산출된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의 각 평균값을 토대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된다. s4단계는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의 각 평균값에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허가 소음 및 진동 크기 정보, 피해보상 기준 데이터를 이용한 함수식으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된다.
도 11과 도 12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 국가별 허가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permissible noise level in each country’는 ‘각 국의 허가 소음 크기’를 의미한다. ‘Quite Areas’는 ‘조용한 지역’를 의미한다. ‘Residential Areas’는 ‘주택가 지역’를 의미한다. ‘Commercial Areas’는 ‘상업 지역’를 의미한다. ‘Industrial Areas’는 ‘산업 지역’를 의미한다.
도 12에서 ‘permissible vibration level in each country’는 ‘각 국의 허가 진동 크기’를 의미한다. ‘permissible Vibration level’는 ‘허가 진동 크기’를 의미한다. ‘Tunnel Blasting at high populated areas’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터널 발파’를 의미한다. ‘Tunnel Blasting at low populated areas’는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터널 발파’를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해당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도 13과 도 14는 초과 소음 및 진동에 따른 피해보상 기준을 보여준다. 도 13 및 도 14에서 ‘Duration’은 ‘지속기간’을 의미한다. ‘Excessive noise’는 ‘초과소음’을 의미한다. ‘Excessive vibration’는 ‘초과진동’을 의미한다.
s4단계에서 산출되는 소음 피해 예상비용은 아래의 수학식 11을 통해 산출되는 초과소음의 크기와 측정위치에 생활하는 거주인의 수를 수학식 12에 적용함으로써,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6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7
는 측정위치(j)에서 허용 소음 기준을 초과하는 소음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8
는 측정위치(j)에서 예상되는 소음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39
는 측정위치(j)에서 허용 소음 기준을 나타낸다. 여기서, ENL은 ‘Excessive Noise Level’의 약어이다. CNL은 ‘Combined Noise Level’의 약어이다. PNL은 ‘Permissible Noise Level’의 약어이다.
아울러, 수학식 12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0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1
는 측정위치(j)에서 예상되는 소음에 의한 소음 피해 예상비용,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2
는 측정위치(j)에서 허용 소음 기준을 초과하는 소음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3
는 측정위치(j)에서 초과소음이 예상되는 기간,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4
는 측정위치(j)에서 생활하는 거주인의 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ECN은 ‘Environmental Cost of excessive Noise level’의 약어이다. END는 ‘Excessive Noise Duration’의 약어이다. NR은 ‘Number of Residents’의 약어이다.
s4단계에서 산출되는 진동 피해 예상비용은 아래의 수학식 13을 통해 산출되는 초과 진동과 측정위치에 생활하는 거주인의 수를 수학식 14에 적용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5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6
는 측정위치(j)에서 허용 진동 기준을 초과하는 진동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7
는 측정위치(j)에서 예상되는 진동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8
는 측정위치(j)에서의 허용 진동 기준을 의미한다. 여기서, EVL은 ‘Excessive Vibration Level’의 약어이다. CVL은 ‘Combined Vibration Level’의 약어이다. PVL은 ‘Permissible Vibration Level’의 약어이다.
아울러, 수학식 14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4002735545-pat00049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50
는 측정위치(j)에서 예상되는 진동에 진동 피해 예상비용,
Figure 112014002735545-pat00051
는 측정위치(j)에서 허용 진동 기준을 초과하는 진동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52
는 측정위치(j)에서 초과진동이 예상되는 기간,
Figure 112014002735545-pat00053
는 는 측정위치(j)에서 생활하는 거주인의 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ECV는 ‘Environmental Cost of excessive Vibration level’의 약어이다. EVL은 ‘Excessive Vibration Level’의 약어이다. EVD는 ‘Excessive Vibration Duration’의 약어이다. NR은 ‘Number of Residents’의 약어이다.
s5단계는 s4단계에서 산출된 소음 피해 예상비용과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모두 통합하여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하는 것이다. s5단계에서 소음 피해 예상비용과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모두 통합은 소음 피해 예상비용과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합산하는 수학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은 건축물의 시공이전단계에서 제시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미래의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시공이전단계에서 예측 가능하다.
또한, 예측된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바탕으로 허용 소음 및 진동 기준과 피해보상기준을 고려하므로,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비용 예측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20: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
130: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
140: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
150: 환경비용 산출부
160: 환경비용 예측부
170: 데이터 저장부
180: 예측결과 저장부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데이터 입력부가 입력받은 시공계획 정보들을 기초로, 환경부하 발생량 산출부가 각각의 건설장비에 의한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추출하는 s1단계;
    환경부하 감쇠량 산출부가 건설장비별 소음 및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들로부터 측정위치에서 감쇠량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지면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및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을 포함하는 산출된 감쇠량이 반영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각각 산출하는 s2단계;
    환경부하 발생량 예측부에서 건설장비별로 산출된 감쇠량 반영 소음 및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들을 가중합산하여,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이 각각 산출되는 s3단계;
    환경비용 산출부가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들의 각각의 평균값들을 기초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이 산출되는 s4단계; 및
    환경비용 예측부가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에 기초하여, 시공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측 환경비용을 산출하는 s5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면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3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15069381197-pat00105

    (여기서 NAgro는 지면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MHi,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의 중간 높이, di,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를 의미함)
  9. 청구항 8에 있어서,
    s1단계 내지 s3단계가 반복되어 산출되는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이 예측결과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s4단계는
    예측 소음 및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의 각 평균값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허용 기준 소음 및 허용 기준 진동 크기 정보, 피해보상 기준 정보를 이용한 함수식으로 소음 피해 예상비용 및 진동 피해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1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5069381197-pat00054

    (NAdiv는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5069381197-pat00055
    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5069381197-pat00056
    는 참조거리를 의미함)
  13. 청구항 8에 있어서,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2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5069381197-pat00057

    (여기서 NAatm은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α는 대기의 소음 흡수 계수, di,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를 의미함)
  14. 삭제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수학식 4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4 :
    Figure 112015069381197-pat00059

    (여기서 NAbar는 소음 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0
    는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진동수, Si,j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한 소음이 소음 장벽을 넘어 측정위치(j)에 전달되는 소음 경로의 거리, di,j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를 의미함)
  16. 청구항 8에 있어서,
    s2단계에서 감쇠량 반영 소음의 크기 값은 아래의 수학식 5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5 :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1

    (여기서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2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확산되어 측정위치에서 예상되는 감쇠량 반영 소음의 크기 값,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3
    는 참조거리에서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 값,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4
    는 확산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5
    은 대기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6
    는 지면 흡수에 의한 소음 감쇠량,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7
    는 소음장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을 의미함)
  17. 청구항 8에 있어서,
    s3단계는 예측 소음의 크기 값은 수학식 6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6 :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8

    (여기서
    Figure 112015069381197-pat00069
    는 모든 건설장비들의 통합되는 예측 소음의 크기 값,
    Figure 112015069381197-pat00070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측정위치(j)로 전달되어 측정위치(j)에서 예상되는 예측 소음의 크기 값을 나타냄)
  18. 청구항 8에 있어서,
    s2단계에서 건설장비별 진동의 크기 값에서 감쇠량은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및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은 수학식 7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7 :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1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2
    은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3
    은 진동 감쇠계수,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4
    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5
    는 참조거리인 15m를 의미함)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은 수학식 8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8 :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6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7
    는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8
    는 재질에 따른 진동 감쇠계수,
    Figure 112014002735545-pat00079
    는 건설장비(i)와 측정위치(j)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0
    는 참조거리인 15m를 의미함)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s2단계에서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은 수학식 9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9 :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1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2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확산되어 측정위치에서 예상되는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3
    는 참조거리에서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4
    는 확산에 의한 진동 감쇠량,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5
    는 지면 흡수에 의한 진동 감쇠량)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s3단계에서 예측 진동의 크기 값은 수학식 10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수학식 10 :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6

    (여기서,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7
    는 모든 건설장비에 의한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이 통합되어 측정위치(i)에서 예상되는 예측 진동의 크기 값,
    Figure 112014002735545-pat00088
    는 건설장비(i)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확산되어 측정위치에서 예상되는 감쇠량 반영 진동의 크기 값을 의미함)
  23. 청구항 8에 있어서,
    s1단계의 시공계획 정보는
    건설현장의 지면 정보, 건설장비 종류 정보, 건설장비 수량 정보, 건설장비 사용기간 정보, 소음 및 진동 측정위치 정보, 소음장벽 정보, 기후정보 또는 건설장비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KR1020140003311A 2014-01-10 2014-01-10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KR10154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11A KR101544665B1 (ko) 2014-01-10 2014-01-10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11A KR101544665B1 (ko) 2014-01-10 2014-01-10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90A KR20150083590A (ko) 2015-07-20
KR101544665B1 true KR101544665B1 (ko) 2015-08-17

Family

ID=5387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11A KR101544665B1 (ko) 2014-01-10 2014-01-10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056B1 (ko) * 2016-07-29 2019-08-27 주식회사 케이티 중장비 위치 관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58004B1 (ko) * 2019-11-21 2022-02-04 현대건설주식회사 배경소음을 고려한 공사장의 공사일정 조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3443A (ja) 2007-05-28 2008-12-04 Denzaburo Kosugi 工事の環境負荷演算プログラム、記録媒体、工事の環境負荷演算装置及び工事管理システム
JP2010078570A (ja) * 2008-09-29 2010-04-08 Takenaka Komuten Co Ltd 振動予測装置、及び振動予測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3443A (ja) 2007-05-28 2008-12-04 Denzaburo Kosugi 工事の環境負荷演算プログラム、記録媒体、工事の環境負荷演算装置及び工事管理システム
JP2010078570A (ja) * 2008-09-29 2010-04-08 Takenaka Komuten Co Ltd 振動予測装置、及び振動予測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진균 외 2명. "현장 적용성을 향상시킨 건설현장 소음예측 프로그램 개발".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제19권 제4호. 2009.*
은희준 외 6명. "소음으로 인한 피해의 인과관계 검토기준 및 피해액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소음으로 인한 피해의 인과관계 검토기준 및 피해액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1-337쪽. 1997.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90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gyroudis et al. Analytical seismic fragility functions for highway and railway embankments and cuts
Ansal et al. Seismic microzonation and earthquake damage scenarios for urban areas
Madshus et al. Prediction model for low frequency vibration from high speed railways on soft ground
Chowdhury et al. Role of slope reliability analysis in landslide risk management
Tavakoli et al. Evaluation of effect of soil characteristics on the seismic amplification factor using the neural network and reliability concept
Cassidy et al. Probability risk assessment of landslides: A case study at Finneidfjord
Hong et al. Prediction of environmental costs of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Hu et al. SHM-based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rise buildings under long-period ground motion
KR101544665B1 (ko)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환경비용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비용 예측 방법
Sağlam et al. Estimation of duration of earthwork with backhoe excavator by Monte Carlo Simulation
Akbas et al. Reliability-based design approach for differential settlement of footings on cohesionless soils
Petridis et al. Soil–structure interaction effect on earthquak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moment resisting frames: the role of the structure
JP6338610B2 (ja) 管路被災予測装置、管路被災予測方法および管路被災予測プログラム
Meshref et al. Exploring the criteria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of diaphragm walls in underground stations in Egypt
Zankoul et al. Simulation of on-shore wind farm construction process in lebanon
Sagala Analysis of soil subscription on soil lack combination of PVD and PHD with analytical and numerical methods using 3D plaxis in STA 103+ 550 construction of high click toll road range, stage 1
Xia et al. Investigation of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behavior due to long and large excavation in soft clays
PETRIDIS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C Structures Including Nonlinear Soil-Structure Interaction Effects
Darus et al. Comparison of noise prediction and measurement from construction sites
Baninajarian et al. Developement of fragility curves for soil embankment slopes due to future extreme rainfall events
Walliman et al. Development of a tool to estimate individual building vulnerability to floods
Králik Analysis of the effect of layered subsoil on the seismic excitation of the NPP hall building
LUBEJ et al. A new approach for the prediction of traffic-induced ground vibration using a hybrid optimized anfis-based model
Petridis et al. Soil-foundation compliance effect on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C structures
Coulier et al. The influence of source-receiver interaction on the numerical prediction of traffic induced vib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