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636B1 -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636B1
KR102014636B1 KR1020180006805A KR20180006805A KR102014636B1 KR 102014636 B1 KR102014636 B1 KR 102014636B1 KR 1020180006805 A KR1020180006805 A KR 1020180006805A KR 20180006805 A KR20180006805 A KR 20180006805A KR 102014636 B1 KR102014636 B1 KR 10201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il
electromagnetic force
cycle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356A (ko
Inventor
이상갑
강혁
정동현
김동우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6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Abstract

본 발명은 안티롤링 진자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전자기력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인 진자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자기력 발생장치에서 전류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진자의 주기와 위상차를 제어하여 다양한 파의 주기에 대응하여 횡동요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일을 포함하며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구조물; 레일 상단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도선; 레일 위에서 한 쌍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운동하는 금속 재질의 중량물;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구조물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횡동요 주기 센서; 중량물 내부에 내장되어 중량물의 주기를 계산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중량물 주기 센서; 및 횡동요 주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을 전송받아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고, 중량물 주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을 전송받아 중량물 주기를 계산하며, 양 주기를 비교하여 전원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omitted}
본 발명은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육지와 달리 항상 파랑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횡동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횡동요 저감은 선박 설계에서 이슈가 되어 왔으며, 다양한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횡동요 저감을 위해 안티롤링 탱크(Anti-rolling tank), 빌지킬(Bilge keel), 핀 스테빌라이저(Fin-stabilizer), 자이로 스테빌라이저(Gyro-stabilizer) 등이 소개된 바 있다.
안티롤링 탱크와 같이 해수나 평형수를 활용하여 횡동요를 저감하는 경우 자유수면효과가 발생해 횡동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안티롤링 탱크를 설치했음에도 자유수면효과로 인해 오히려 횡동요에 악영향을 주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빌지킬과 핀 스테빌라이저의 경우 선체 외판의 부가물로 인해 접수 표면적이 넓어져 선체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스테빌라이저의 경우 큰 중량으로 인해 선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박과 위상차가 있는 진자운동을 적용한 안티롤링 진자(Anti-rolling pendulum)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안티롤링 진자는 선체 내부에 중량물을 진자운동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장치이다.
안티롤링 진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다른 횡동요 저감장치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다양한 파의 주기에 대응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진자운동을 하기 위해서 외부의 동력공급을 필요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0554219호(2006.02.22.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안티롤링 진자 방식에서 용이하게 제어 가능한 외부 동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는 레일을 포함하며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구조물; 레일 상단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도선; 레일 위에서 한 쌍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운동하는 금속 재질의 중량물;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구조물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횡동요 주기 센서; 중량물 내부에 내장되어 중량물의 주기를 계산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중량물 주기 센서; 및 횡동요 주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을 전송받아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고, 중량물 주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을 전송받아 중량물 주기를 계산하며, 양 주기를 비교하여 전원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면 중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레일; 한 쌍의 돌출부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도선;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한 쌍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레일 상을 운동하는 금속 재질의 중량물;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하우징 외면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각을 감지하는 횡동요각 감지센서; 하우징 외면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 각속도를 감지하는 횡동요 각속도 센서; 중량물 내부에 내장되어 중량물의 속도와 위치를 측정하는 중량물 센서; 및 횡동요각 감지센서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횡경사 각도와 횡동요 각속도를 이용하여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고, 중량물 센서로부터 측정된 중량물의 속도와 위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주기를 계산하며, 양 주기를 비교하여 전원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양단은 개폐 가능하고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며, 중량물은 금속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방법은 (a) 선박에 장착되며 상단에 도선이 장착된 원호 상의 레일에 선박의 횡동요로 인하여 특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단계; (b) 레일에 장착된 횡동요각 감지센서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횡경사 각도와 횡동요 각속도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c) 레일 상을 운동하는 금속구 중량체 내부에 내장된 중량물 센서로부터 측정된 중량물의 속도와 위치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중량물의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제어부가 레일의 정지 타이밍을 감지하고 (b)단계와 (c)단계를 통해 산출된 횡동요 주기와 중량물 주기를 비교하여 도선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방법은 (e) 전원제어에 의해 중량물에 전자기력이 가해지고 평상시 대비 레일이 기울어져 상승한 방향으로 중량물이 가속되는 단계; 및 (f) 레일이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중량물이 감속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티롤링 진자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전자기력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인 진자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력 발생장치에서 전류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진자의 주기와 위상차를 제어하여 다양한 파의 주기에 대응하여 횡동요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의 모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실제 해역에서는 다양한 파랑에 의해 여러 형태의 횡동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진자의 위상과 횡동요 각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횡동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진자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동력 공급이 필요한 바,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 장치를 통해 보다 능동적으로 진자의 주기를 조절하고 동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한 전자기 장치는 레일건 원리를 이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일건에서는 도체가 두 개의 코일 사이를 지날 때 순간적으로 도체가 도선의 역할을 하게 되고,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힘(F)과 가속도를 발생시킨다.
금속 재질의 진자를 금속 재질의 레일 상에 올려놓고 운동시키면 진자는 레일건에서의 도체 역할을, 레일에 전류를 흘리면 레일은 두 개의 코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전류의 세기(I)와 방향을 조절하면 진자에 가해지는 외력의 세기와 방향을 즉각적으로 바꿀 수 있다. 즉, 진자에 가속과 감속을 가해 진자의 주기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는 구조물(2), 레일(4), 도선(6), 중량물(8), 중량물 주기 센서(10), 전원(12), 횡동요 주기 센서(14),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조물(2)은 선박 상에 장착되어, 선박에 횡동요가 발생하면 구조물(2)에도 선박의 횡동요 주기 및 진폭과 동일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구조물(2)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원호의 길이는 전체 원의 반지름과 중심각에 의해 정해지는 바, 여기서 원호의 길이와 곡률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는 선박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조물(2)은 ㄷ자, U자, V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4)은 구조물(2)의 상단에 구비되어 중량물(8)과 접촉하며, 중량물(8)의 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레일(4) 간의 간격은 중량물(8)의 운동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중량물(8)의 지름보다는 작아야 한다. 반면, 레일(4)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으면 중량물(8)의 운동이 불안정할 수 있다.
도선(6)은 레일(4) 상단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한 쌍 배치된다. 도선(6)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중량물(8)의 표면과 직접 전기적 접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레일(4)과 도선(6)이 별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레일(4)을 금속재질로 할 경우 별도의 도선 없이 레일(4) 자체가 도선 역할을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레일(4)의 일측에 단자를 인출하여 전원에 연결하면 된다.
중량물(8)은 레일(4) 위에서 한 쌍의 도선(6)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운동한다. 중량물(8)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물(8)은 도 1의 구조에서 양 레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 역할을 하게 된다.
중량물(8)은 선박의 횡동요시 레일(4) 상에서 진자운동을 한다.
진자의 고유주기와 선박의 고유주기가 일치하고, 둘의 위상차가 π/2(rad)일 때 선박의 횡동요 감쇠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둘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 진자의 고유주기가 선박의 고유주기와 가까워질수록 감쇠특징이 좋아진다.
본 발명에서 전원(12)과 도선(6) 및 중량물(8)로 이루어지는 전자기력 발생장치에서 전원(12) 제어를 통해 선박의 횡동요 주기와 일치하도록 중량물의 주기를 조절하고, 선박과 중량물의 진동시 위상차가 π/2가 되도록 중량물의 운동을 조절하는 것이다.
중량물 주기 센서(10)는 중량물(8) 내부에 내장되어 중량물(8)의 주기를 계산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한다. 중량물의 주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량물의 진동수(주파수, frequency)를 측정하면 된다. 중량물의 진동수는 초당 진동각을 의미하는 각속도를 측정하면 되므로, 중량물 주기 센서(10)는 각속도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량물 주기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원(12)은 도선(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선(6)에 전류를 인가한다. 도선(6)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방향과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횡동요 주기 센서(14)는 구조물(2)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기 위한 물리량을 측정한다. 선박의 횡동요 주기는 광학적 방식으로 측정할 수도 있으나, 중량물의 주기 산출과 마찬가지로 횡동요각과 횡동요 각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횡동요 주기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미도시)는 횡동요 주기 센서(14)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을 전송받아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고, 중량물 주기 센서(10)로부터 측정된 물리량을 전송받아 중량물 주기를 계산한다. 양 주기를 비교하여 중량물의 주기가 선박의 횡동요 주기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전원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선박의 진동과 중량물의 진동 간의 위상차가 π/2가 되도록 타이밍을 맞추어 중량물(8)에 전류를 인가하여 운동시킨다. 예컨대 제어부는 레일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최대로 기울어질 때 레일의 정지 타이밍을 감지하고, 감지와 동시에 중량물이 레일이 상승한 방향으로 운동을 시작하도록 하여 위상차를 맞출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레일 상을 운동하는 중량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우징(100)을 구비한 점, 횡동요각 감지센서(120)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122)를 구비한 점 이외에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는 하우징(100), 레일(104), 도선(106), 중량물(108), 중량물 주기 센서(110), 전원(112), 횡동요각 감지센서(120), 횡동요 각속도 센서(122),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고, 양단은 개폐 가능하며,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다.
레일(104)은 하우징(100) 내면 중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로 구성된다.
도선(106)은 한 쌍의 돌출부 상단에 각각 장착된다.
중량물(108)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어 한 쌍의 도선(106)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레일(104) 상을 운동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횡동요각 감지센서(120)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122)는 각각 하우징 외면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각과 횡동요 각속도를 감지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횡동요각 감지센서(120)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122)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횡경사 각도와 횡동요 각속도를 이용하여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고, 중량물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중량물(108)의 속도와 위치를 이용하여 중량물(108)의 주기를 계산하며, 양 주기를 비교하여 전원(112)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횡동요각이 0도인 평상시의 레일과 중량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횡동요가 발생하여 선박이 일측 방향(편의상 '순방향')으로 기울어져 횡동요각이 30도인 상태의 레일과 중량물이 도시되어 있다. 횡동요각 감지센서과 횡동요 각속도 센서는 레일의 횡동요 주기와 관련된 물리량를 측정하며, 중량물도 레일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운동하기 시작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선박이 일측 방향으로 더 기울어져 횡동요각이 45도(최대 횡동요각이라고 가정)인 상태의 레일과 중량물이 도시되어 있다. 횡동요각 감지센서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의해 제어부는 횡동요 주기를 산출한다. 한편, 선박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운동을 시작한 중량물은 중량물 주기 센서에 의해 산출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중량물의 주기를 산출한다.
도 4c의 경우가 횡동요각이 최대이고 레일의 횡동요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상태이며, 제어부는 레일의 정지 타이밍을 감지하고, 중량물에 전자기력을 가하여 선박의 횡동요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가지고 선박과 일정한 위상차(π/2)가 되도록 한다. 중량물은 가속되어 순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레일이 역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횡동요각이 30도가 된 상태이며, 중량물은 여전히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레일(선박)과 중량물의 위상차가 90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레일이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횡동요각이 0도가 될 때까지 중량물을 순방향으로 운동시키되 중량물을 감속시켜 레일이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 시작하면(횡동요각 < 0) 중량물은 역방향으로 가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방법은 제1 ~ 6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선박에 장착되며 상단에 도선이 장착된 원호 상의 레일에 선박의 횡동요로 인하여 특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단계이다.
제2 단계는 레일에 장착된 횡동요각 감지센서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횡경사 각도와 횡동요 각속도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는 레일 상을 운동하는 금속구 중량체 내부에 내장된 중량물 센서로부터 측정된 중량물의 속도와 위치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중량물의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는 제어부가 레일의 정지 타이밍을 감지하고 제2 단계와 제3 단계를 통해 산출된 횡동요 주기와 중량물 주기를 비교하여 도선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제5 단계는 전원제어에 의해 중량물에 전자기력이 가해지고 평상시 대비 레일이 기울어져 상승한 방향으로 중량물이 가속되는 단계이다.
제6 단계는 레일이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중량물이 감속되는 단계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구조물 4, 104 - 레일
6, 106 - 도선 8, 108 - 중량물
10, 110 - 중량물 주기 센서 12, 112 - 전원
14 - 횡동요 주기 센서 120 - 횡동요각 감지센서
122 - 횡동요 각속도 센서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면 중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레일;
    한 쌍의 돌출부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도선;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한 쌍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레일 상을 운동하는 금속 재질의 중량물;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하우징 외면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각을 감지하는 횡동요각 감지센서;
    하우징 외면에 장착되어 선박의 횡동요 각속도를 감지하는 횡동요 각속도 센서;
    중량물 내부에 내장되어 중량물의 속도와 위치를 측정하는 중량물 센서; 및
    횡동요각 감지센서와 횡동요 각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횡경사 각도와 횡동요 각속도를 이용하여 선박의 횡동요 주기를 계산하고, 중량물 센서로부터 측정된 중량물의 속도와 위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주기를 계산하며, 양 주기를 비교하여 전원에 인가할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양단은 개폐 가능하고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며, 중량물은 금속구인,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06805A 2018-01-18 2018-01-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KR102014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05A KR102014636B1 (ko) 2018-01-18 2018-01-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05A KR102014636B1 (ko) 2018-01-18 2018-01-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356A KR20190088356A (ko) 2019-07-26
KR102014636B1 true KR102014636B1 (ko) 2019-08-26

Family

ID=6746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805A KR102014636B1 (ko) 2018-01-18 2018-01-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0589A (ja) 2015-08-03 2017-02-09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減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474A (en) * 1994-12-05 1998-12-08 Itt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Inc. Lorentz force actuator
JPH08244682A (ja) * 1995-03-13 1996-09-24 Tokimec Inc 船舶の動搖防止装置
JP3709605B2 (ja) * 1996-04-15 2005-10-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海洋構造物の減揺装置
JP3769694B2 (ja) * 1996-04-22 2006-04-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減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0589A (ja) 2015-08-03 2017-02-09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減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356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8740B1 (en) Control system for a floating wind turbine structure
EP1937542B1 (en) Buoy
US6571724B1 (en) Stern depressor type motion stabilization system for marine vessel
KR20130122222A (ko) 균형추를 이용한 선박 안티롤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730647B (zh) 船舶航速控制方法
KR102014636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안티롤링 진자 방식의 횡동요 저감장치 및 방법
JPH10184782A (ja) 減揺装置
NL2007165C2 (en) Damping device for a vessel.
JP2016094902A (ja) 波力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019056A (en) Anti-rolling apparatus
KR20200058690A (ko) 모형선의 횡동요 및 선수동요 방향 관성모멘트 측정 장치
KR20110101870A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및 선박의 횡동요 제어 방법
US8975769B2 (en) Electromagnetic field and current inducing surfboard for repelling sharks
JP2004009785A (ja) 波浪予測動揺低減方法及び波浪予測動揺低減装置
JP2020085635A (ja) 水槽試験装置、水槽試験システム、および水槽試験方法
Han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motion reduction performance of a small suspension catamaran exploiting an active skyhook control strategy
CN104949653B (zh) 水平检测装置
JP6671238B2 (ja) 移動体の速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H10129585A (ja) 減揺装置
WO2019111335A1 (ja) 制振装置
WO2021094635A1 (es) Sistema para adrizar y reducir movimientos en plataformas flotantes
KR19990064822A (ko) 어선의 전복방지장치
JP3743054B2 (ja) 海洋構造物の減揺装置
KR20190050630A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NL2033189B1 (en) Non-contact motion compensation of suspended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