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619B1 -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619B1
KR102014619B1 KR1020177015024A KR20177015024A KR102014619B1 KR 102014619 B1 KR102014619 B1 KR 102014619B1 KR 1020177015024 A KR1020177015024 A KR 1020177015024A KR 20177015024 A KR20177015024 A KR 20177015024A KR 102014619 B1 KR102014619 B1 KR 10201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blueberries
component
fertilizer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670A (ko
Inventor
겐이치 스가노
신이치 미우라
유스케 이치노
요시토시 오비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6Sulf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17/00Other phosphatic fertilisers, e.g. soft rock phosphates, bone meal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블루베리 과실의 생육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할 수 있어, 수확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낙과물을 빈번히 회수할 필요가 없어져, 실용상의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BSA 비표면적이 15000㎠/g 이하의 석고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GYPSUM FERTILIZER FOR BLUEBERRIES AND METHOD FOR SUPPRESSING BLUEBERRY ABSCISSION}
본 발명은, 시비(施肥)한 경우에,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이것을 이용한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베리는, 철쭉과의 산앵두나무속의 소(小)과수이며, 옛부터 식용으로 되어 있었다. 특히, 20세기 초부터, 하이부시계, 래빗아이계, 하프 하이부시계, 로우부시계의 교배에 의한 과수로서의 품종 개량에 의해, 많은 품종이 생산되어, 현재는, 그 품종은 수백 종류에도 미쳐, 세계의 온대권으로 널리 재배되어, 널리 식용되는 과수로 되어 있다. 근래, 그 수요에 수반하여, 과실의 대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블루베리는, 호산성, 호암모니아성의 식물이며, 다른 과수와 달리, 산성토양에서 성장한다. 이 때문에, 산도가 교정되어 있지 않은 피토모스라는 유기 자재를 사용하며, 예를 들면, 하이부시계는 pH4.3∼4.8 정도, 래빗아이계는 pH4.2∼5.3 정도라는 강산성 토양으로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키우는 것에 있어서는, 비료의 3요소인, 질소(N), 인산(P), 칼륨(K) 외에, 칼슘(Ca)과 마그네슘(Mg)을 더하여 비료의 5요소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베리는 산성토양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블루베리에 사용되는 비료에 관해서는, 전술한 일반적인 비료와는, 하기의 점에서 다르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블루베리 나무의 성장은 산성토양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실제, 재배원에서 Ca가 시용되지 않아, Ca 결핍증상은 거의 볼 수 없다. 한편, 토양 중의 Ca 함량이 많으면 토양 pH가 높아져, Fe 결핍이 발생한다」, 혹은, 「산성토양에서 용해도가 뒤떨어지는, 염기, 특히, Ca나 Mg의 요구량은 적다」, 라고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루베리의 재배원에서는, Ca 성분을 특히 시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또, 블루베리는, 산성토양에서 용출되는 고농도의, 알루미늄(Al), 철(Fe) 혹은 망간(Mn)에 대해서의 내성은 강하고, 또, 산성토양에서 안정되어 존재하는 암모니아성 질소(NH4-N)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블루베리에 대하여 질소(N)분은, 질산성 질소(NO3-N)보다 암모니아성 질소로서 시비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으로, 많은 열매가 달리는 블루베리에서는, 피할 수 없는 문제로서, 낙과의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무의 생육상태에 맞추어 착과 수를 자기-조절(self-control)하는, 미성숙인 상태로 낙과하는, 이른바 「생리 낙과」가 있고, 또한, 숙도가 너무 진행되어서 생기는 「자연 낙과」나, 바람의 영향 등에 의해, 수확 전에 성숙한 과실이 낙하해 버리는 「낙과」의 문제가 있다. 특히 익은 과실의 낙하는, 수확량의 감소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낙하한 상태로 과실을 방치한 경우에는, 하기의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즉, 부패한 과실취에 의해, 초파리 등의 해충이 수목에 접근하여, 낙과하지 않은 수확 전의 과실에 산란해 버릴 우려가 있으며, 산란된 과실도 수확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수확량이 감소하는 악순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낙하한 과실을 방치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서서히 회수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 블루베리는 과실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수확은, 성숙도를 확인하면서 작은 과실을 핸드 피킹(hand picking)하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고, 수확에 다대한 노력이 들 뿐만 아니라, 또한, 전술한 낙과물의 회수작업이나 회수물의 처리작업을 빈번히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생산자에의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블루베리의 「자연 낙과」나, 바람의 영향 등으로 수확 전에 성숙한 과실이 떨어지는 블루베리의 「낙과」는, 수확량 감소로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것에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회수작업은, 생산자에게 과도한 노동을 강요하고 있고, 이들에 의하여 생기는 생산성의 저하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과실의 낙하의 문제는, 블루베리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이즈가 큰 사과나 배는, 수확하기까지 날짜도 걸려, 수확 전에 성숙한 과실이 낙하하는 것에 의한 경제적 손실 등의 영향은, 보다 커진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사과나 배를 대상으로 한 낙과 방지제가 판매되고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에 사용되고 있는 낙과 방지제는, 식물 성장 조정제로 분류되는 식물 호르몬제이다. 식물 성장 조정제는, 통상, 물에 엷게 살포하여 이용되고 있지만, 살포 조건에 의하여 약효나 약해의 영향이 쉽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는 숙련을 필요로 한다.
블루베리 생산의 기초(101페이지-110페이지, 요켄도(YOKENDO), 2008년)
전술한 바와 같이, 사과나 배와 같이, 큰 과실에 대한 낙과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 사용에는 숙련을 필요로 하지만, 낙과 방지제에 따른 대응책이 채택되고 있다. 낙과 방지제는, 개개의 과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효과도 얻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큰 과실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낙과 방지제가, 작은 과실의 블루베리에도 약효가 있다고 가정해도, 하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과실의 특징으로부터, 낙과 방지제를 블루베리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즉, 근래, 과실이 대형화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블루베리는, 1화상(하나의 꽃눈에서 나오는 꽃다발형태)에 5∼10의 과실이 결실하고, 화상 내의 모든 과실이 완숙되기까지 4∼6주간 걸린다. 이 때문에, 화상마다 일제히 수확할 수 없어, 성숙한 것부터 순서로 수확되고 있다. 이것은, 식물 성장 조정제로 분류되어 있는 식물 호르몬제인 낙과 방지제의 경우는, 이것을 화상마다 일제히 살포하면 불편함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블루베리의 낙과에 대해서는, 바람이 불기 전에 수확하도록 하거나, 낙하한 과실을 가능한 한 빨리 회수하는, 혹은, 회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궁리를 한다고 하는, 생산자의 노력에 맡기는 해결책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또, 생산성으로 직결되는, 숙도가 너무 진행되어 생기는 「자연 낙과」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품종에 의하여 자연 낙과하는 시기가 다른 것도 발견되고 있고, 품종의 선택에 의하여 낙과율을 저하시키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낙과율의 저하를 가능하게 하는, 보다 최적인 품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음식맛이나 재배지의 기후 등을 감안한 후에, 많은 품종이 있는 블루베리의 낙과율에 대하여, 상세한 검토를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용이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배경하, 큰 과실인 사과나 배의 낙과 방지제에 사용되고 있는, 식물 성장 조정제로 분류되는 식물 호르몬제 같은 것이 아니고, 또, 숙련을 필요로 하는 살포 작업을 수반하는 것도 아니며, 과수의 근본에 고형 비료로서 실시하는 것만으로,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할 수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는 인식을 가지기에 이르렀다. 즉,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전술한 과실의 특징을 가지는 블루베리 과실에 적절한 유용한 비료가 개발되면, 지극히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사과나 배에 대해서의 낙과 방지제를 살포할 때에 발생하고 있는 번잡함이 없고, 식물 호르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염려되는 약해의 문제도 없으며, 수확량의 증가를 달성할 수 있고, 게다가, 낙과를 회수하는 수고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이 점에서도 생산자의 노력을 저감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어, 그 실용 가치는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베리 과실의 생육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비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하기의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BSA 비표면적이 15000㎠/g 이하의 석고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제공한다. 한편, 비료로서의 석고는, 비료 단속법에 기초하여 특수 비료 등의 하나로 정의되어 있지만, 그곳에서는, 「석고(인산을 생산할 때에 부산되는 것으로 한정됨.)」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석고는, 위에서 언급된 석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석고비료를 구성하는 석고는 위에서 언급된 석고로 한정되지 않으며, 천연 석고나 다른 부산 석고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하기의 것들을 들 수 있다. 상기 BSA 비표면적이 8000㎠/g 이하인 것; 상기 BSA 비표면적이 5000㎠/g 이하인 것; 상기 BSA 비표면적이 1500㎠/g 이하인 것; 또한, 질소 성분, 인산 성분, 칼륨 성분 및 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 상기 인산 성분은, 오르토 인산, 폴리 인산, 아인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 상기 석고 100질량부에 대하여, 질소 성분, 인 성분, 칼륨 성분 및 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 상기 석고가, 인산 석고인 것; 상기 석고가 이수석고인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몇 개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베리 과실의 생육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어느 품종에 대해서도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인정되는 우수한 석고비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석고비료에 의하면,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할 수 있어, 수확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낙과의 양이 저감하기 때문에, 낙과를 회수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자들이,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른 경위를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료를 이용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의 과제인 블루베리의 낙과를 억제하는 것에 있어서, 블루베리의 낙과를 억제할 수 있는 유효한 비료 성분을 찾아내는 것에 착안하여 검토하는 것으로 했다. 그때, 하기의 이유에서, 먼저 서술한, 「블루베리의 성장은 산성토양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산성토양에서 용해도가 뒤떨어지는, 염기, 특히, Ca나 Mg의 요구량은 적고, 반대로, 토양 중의 칼슘(Ca)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pH가 높아져 버려, 철 결핍에 빠질 우려가 있다.」고 한 기재, 특히 「블루베리의 성장에 …Ca의 요구량은 적다」라는 점에 의문을 가졌다.
즉, 본 발명자들은, 블루베리의 과실 100g당에 포함되는 칼슘(Ca)의 양이 인(P)과 동일한 정도인 것에 착안했다(오정증보 일본식품 표준성분표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베리의 육성에서는, 칼슘 성분을 시비할 필요는 적다고 되어 있지만, 과실에 포함되는 인(P)과 칼슘(Ca)의 양이 동일한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인(P) 성분과 마찬가지로 칼슘(Ca) 성분을 시비하는 것도 유효하지 않을까 착안했다. 그리고, 근래 과실의 대형화에도 기인하고, 수목 전체에 포함되는 칼슘 성분이 과실 부분에 흡수되어, 과실 이외의 개소에서 칼슘 성분이 부족한 것이, 블루베리 낙과의 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하여 여러 가지의 검토를 행하였다.
전술한 사실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블루베리의 생육에는 칼슘 성분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가설을 세우고, 칼슘 성분을 포함하는 비료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전제한 바와 같이, 블루베리는 산성토양(pH4∼5)을 좋아하기 때문에, 소석회 등의 석회질 비료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중성 물질인 석고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를 이용하여, 블루베리의 낙과에 대하여 억제 효과가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상세한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석고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를 이용함으로써 블루베리의 낙과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찾아냈다. 그리고, 한층 더 검토의 결과, 그 중에서도, BSA 비표면적을 일정치 이하로 컨트롤한 석고를 함유한 석고비료를 시비함으로써, 블루베리의 낙과가 억제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되는 것을 찾아냈다.
즉,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BSA 비표면적을 일정치 이하로 컨트롤한 중성 물질인 석고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석고비료를 산성토양에 시비함으로써, 칼슘(Ca)의 활성이 적절히 억제되어 흡수가 양호하게 행해져, 블루베리의 수목 및 과실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칼슘 성분이 충족한 상태가 되고, 이 결과, 과실의 생육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낙과를 억제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하기에 드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석고비료의 구성을, 질소 성분, 인산 성분, 칼륨 성분 및 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더 함유시킨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석고 100질량부에 대하여, 이들의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시킨 구성의 것으로 하면 좋다. 또, 인산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오르토 인산, 폴리인산, 아인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고에는, 인산 석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석고에는, 이수석고를 사용하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칼슘(Ca) 성분을 포함하는 비료에는, 일반적으로, 생석회(산화칼슘)나 소석회(수산화 칼슘)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토양 중에서 강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산성토양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비료로서 칼슘(Ca) 성분을 포함하는 비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토양의 pH치가 높게 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토양 중에서 산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병용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와 관련하여, 석고는 토양 중에서 중성을 나타내므로, 산성 토양에서 성장하는 블루베리에 칼슘(Ca)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블루베리의 재배에 있어서, 칼슘 성분이 특별히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오히려 그의 요구량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실제 재배원에서 Ca가 시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Ca 결핍 증상은 거의 볼 수 없다고 되어 있다.
상기 현상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라고 하는 새로운 관점에서, 석고비료의 유용성을 찾아냈다. 그리고,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의 관점에서, 그 효과를,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BSA 비표면적이 15000㎠/g 이하의 석고를 함유하는 석고비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찾아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BSA 비표면적이 8000㎠/g 이하의 석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g 이하의 석고, 더 바람직하게는 1500㎠/g 이하의 석고를 함유하는 석고비료로 하는 것이 유용한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석고의 BSA 비표면적은, JIS R 5201(시멘트의 물리 시험방법)에 규정되는 브레인 공기 투과법에 따른 비표면적 시험에 준하여 측정한 값이다.
여기서, 식물의 각 영양소의 상관관계로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우선, 칼슘은, 질소(N), 칼륨(K)의 흡수를 저해하는 경향이 있고, 또, 칼슘이 과잉이 되면, 인산(P) 성분과 철(Fe) 성분의 흡수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되어 있다. 블루베리의 생육에 있어서도, 질소, 인산, 칼륨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특히 철(Fe) 성분이 결핍되면, 블루베리의 성장이 저해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석고비료는, 석고를 주성분으로 하고, 칼슘을 함유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석고비료를 블루베리에 시비한 경우에, 그 생육을 저해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고, 게다가, 새롭게,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의 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석고를 이용하여 칼슘 성분을 시비하고, 또한, 석고의 BSA 비표면적을 일정치 이하로 컨트롤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칼슘에 의한 다른 영양소의 흡수 저해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블루베리의 생육이 저해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되며, 또한,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라는 새로운 효과의 달성도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구성하는 석고의 종류로서는, 종래 공지의 어느 석고도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인산 석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수석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수석고는 용해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칼슘 과다를 일으키기 어려워, 자기 경화성(self-hardening property)에 의한 강도 발현에 의하여 뿌리의 생육이 저해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는, 함유되는 석고가 상기 BSA 비표면적을 만족하면 좋고, 비료로서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비할 때의 형상도 특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분체나, 분체를 입상체나 과립상체로 한 상태로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체란, 평균 입자 지름이 200㎛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지름」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을 이용한 입도분포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체적 평균지름(MV)을 말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는, 그 형상을, 분체를 입상체나 과립상체로 한 경우, 함유된 석고는, 용이하게,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BSA 비표면적을 만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는, 분체를 입상체나 과립상체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상체나 과립상체로 함으로써, 시비할 때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것과 함께, 시비 후는, 토양 중의 수분이나 강우에 의해 입상체나 과립상체가 용이하게 붕괴하기 때문에, 충분히 토양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양호한 상태로 시비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입상체나 과립상체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석고, 벤토나이트 등의 팽윤성 점토 광물, 필요에 따라서 리그닌 설폰산 염류 등의 유기물 함유 조립조제(造粒助劑)를 혼합하여 조립기에 공급하여, 조립화를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는, 전술한 석고 성분에 더하여, 질소(N) 성분, 인산(P) 성분, 칼륨(K) 성분, 철(Fe)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재료를 첨가제로서 함유시킨 것이라도 좋다. 전술한 첨가제의 첨가량은 특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석고 100질량부에 대하여, 0.1∼20질량부 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산(P) 성분은, 블루베리의 과실 중에 포함되는 양이 칼슘(Ca) 성분과 동일한 정도이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석고비료 중에 있어서의 칼슘(Ca) 성분과 인(P) 성분의 양(量) 밸런스가 적당량이면, 상호 흡수를 도와서, 보다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인산(P) 성분으로서는, 오르토 인산 외, 폴리인산, 아인산을 이용해도 좋고, 또, 이들의 염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구성성분으로서, 상기 첨가제로서 칼륨(K)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블루베리의 생육은, 산성토양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시비한 경우에 토양이 알칼리성이 되지 않게, 그 첨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에 칼륨(K)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인(P) 성분과 함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륨 성분은, 황산칼륨이나 염화칼륨 등의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또, 블루베리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암모니아의 형태의 질소를 좋아하기 때문에, 상기 첨가제로서 질소(N)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암모니아의 형태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암모늄 염이라도 좋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베리는, 철(Fe) 성분이 결핍되면 성장이 저해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에 있어서, 칼슘(Ca) 성분이, 비교적 과잉이 되는 경우에는, 특히, 전술한 첨가제 중 철(Fe) 성분을, 추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의 시비량은, 블루베리의 품종이나 수령, 기상조건, 사용하는 토양 환경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양지 10a(1000㎡)에 대하여, 10∼2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비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도, 블루베리의 품종이나 수령, 사용하는 풍토나 환경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낙과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착화 후에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는, 다른 화성비료와 겸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화성비료의 시비에 대해서는, 품종이나 수령, 기상조건, 토양조건에 의하여 화성비료의 종류나 그 시비량도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루베리의 시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이식 3년째 이후는 연 4회를 기본으로 하고, 1회째는 맹아 직전으로 하며, 그리고 6∼7주의 간격으로 2회 추비, 그리고 과실 수확 후에 예비를 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 추비에서는 각 회 1년간에 시비하는 양의 20∼25% 정도를 시비하는 경우가 많아, 과실 수량이나 품질이 안정되는 성목기(묘목 이식으로부터 6∼8년째 이후)에서는, 생육상태에도 따르지만, 추비의 단계에서, 질소(N), 인산(P), 칼륨(K)을 각각 8% 포함하는 화성비료로, 각 회 7∼35㎏/10a(1000㎡) 정도를 시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는, 블루베리로 한정하지 않고, 산성토양을 좋아하며, 소석회 등의 석회질 비료를 사용할 수 없었던 과실이나 작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종래, 칼슘이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았던 과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과실의 생육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낙과의 억제를 달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비교예]
블루베리 나무에 대하여 비료를 시비하기에 있어서, 화성비료에 더하여 본 발명의 구성의 석고비료를 시비한 실시예의 경우와, 석고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에서, 블루베리의 낙과율(%)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석고비료를 시비한 것에 따른 우위성을 확인했다. 한편, 석고비료는, 모두 분체를 입상체로 한 것을 사용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비교예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 3개씩, 동일한 정도의 생육상태의 블루베리(품종:에메랄드, 남부 하이부시계)를, 시비하는 비료를 바꾼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화분에 심어 재배하여, 각각의 화분마다, 착과 수와 낙과 수를 측정하여, 낙과율을 구했다.
비료의 시비량이나 시비방법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비했다. 1번째의 추비를 행할 때에, 실시예 1∼4에서는, 통상의 화성비료에 더하여, 표 1에 나타낸 구성의 비료를, 10a(1000㎡)당 이수석고가 80㎏가 되도록 각각 시비했다. 또한, 이들의 실시예에서는, 인산(오르토 인산)을, 상기 이수석고 100질량부에 대하여 5%가 되도록 첨가했다. 상기 화성비료로서는, 질소(N), 인(P), 칼륨(K)을 각각 8%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고, 어느 예에서도, 10a(1000㎡)당 25㎏이 되도록 시비했다. 또, 비교예에서는, 1번째의 추비를 행할 때에, 실시예와 같은 양으로, 통상의 화성비료만을 시비했다.
표 1에서의 낙과율(%)은, 하기와 같이 하여 얻은 값이다. 실시예 1∼4, 비교예의 각 3화분에 대하여, 각각 착과한 과실의 수를 세고, 실시예 1∼4, 비교예에 있어서의, 1화분당의 평균 착과 수를 구했다. 또, 각각의 화분마다, 낙과한 과실의 수를 하루걸러 세고, 이것을 수확 적기까지 계속하여, 각각의 화분마다 누적 낙과 수를 구하고, 실시예 1∼4, 비교예에 있어서의, 1화분당의 평균 누적 낙과 수를 구했다. 그리고, 1화분당의 평균 누적 낙과 수를,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1화분당의 평균 착과 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퍼센티지를 산출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석고의 BSA 비표면적은, JIS R 5201(시멘트의 물리 시험방법)로 규정되는 브레인 공기 투과법에 따른 비표면적 시험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으로서는, 이미 용적을 알고 있는 셀 중에 석고의 분체를 충전하고, 공기량 및 압력차이를 일정하게 하여 그 투과시간을 측정하여, 표준 시멘트와의 비교에 의해, 각각의 비표면적을 측정했다.
[표 1]
Figure 112017052492699-pct00001
표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화성비료와 함께 이용한 석고비료 중의 석고의 BSA 비표면적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한 실시예 1∼4의 경우는, 석고비료를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분명하게 낙과율이 작고, 낙과가 억제된 결과로 되었다. 그 중에서도 BSA 비표면적이 8000㎠/g 이하의 석고를 이용한 실시예 1∼3의 경우는, 화성비료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낙과율이 반 이하로 되어, 보다 높은 낙과 방지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 BSA 비표면적이 1500㎠/g 이하의 석고를 이용한 실시예 1의 경우는, 낙과율이 화성비료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1/10로 되어, 생산자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음과 함께, 수확량의 대폭적인 증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비료로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석고성분을 함유하는 석고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에서는, 착과 수는 충분했지만, 낙과율이 크고, 수확량은 실시예 1∼4에 비해 적었다. 또, 실시예 1∼4에서 수확한 블루베리는, 그 생육에 아무런 문제도 없고, 비교예에서 수확한 블루베리와 아무런 손색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할 수 있어, 수확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낙과물을 빈번히 회수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블루베리의 생육을 해치지 않고, 수확량의 증가와, 생산자의 노력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실용상의 큰 효과가 기대된다. 또, 본 발명의 기술은, 블루베리로 한정되지 않고, 산성토양을 좋아하며, 소석회 등의 석회질 비료를 사용할 수 없는, 칼슘(Ca) 성분을 필요로 하는 다른 과실이나 작물로의 적용도 기대된다.

Claims (10)

  1. 블루베리 과실의 낙하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BSA 비표면적이 15000㎠/g 이하의 석고를 함유하는 블루베리용 석고비료를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SA 비표면적이 80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SA 비표면적이 50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SA 비표면적이 15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질소 성분, 인산 성분, 칼륨 성분 및 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 성분은, 오르토 인산, 폴리인산, 아인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 100질량부에 대하여, 질소 성분, 인산 성분, 칼륨 성분 및 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가 인산 석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가 이수석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10. 삭제
KR1020177015024A 2014-12-26 2015-12-24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KR102014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5527 2014-12-26
JP2014265527 2014-12-26
PCT/JP2015/085932 WO2016104560A1 (ja) 2014-12-26 2015-12-24 ブルーベリー用石膏肥料及びブルーベリーの落果抑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670A KR20170081670A (ko) 2017-07-12
KR102014619B1 true KR102014619B1 (ko) 2019-08-26

Family

ID=5615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024A KR102014619B1 (ko) 2014-12-26 2015-12-24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70297964A1 (ko)
EP (1) EP3239118B1 (ko)
JP (1) JP6602316B2 (ko)
KR (1) KR102014619B1 (ko)
CN (1) CN107001164B (ko)
CA (1) CA2969824C (ko)
ES (1) ES2864281T3 (ko)
MX (1) MX2017008484A (ko)
PL (1) PL3239118T3 (ko)
PT (1) PT3239118T (ko)
WO (1) WO2016104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6024A (zh) * 2017-05-08 2017-07-04 玉溪市鑫达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蓝莓的专用有机肥
KR101925910B1 (ko) * 2018-06-25 2018-12-06 주식회사 삼농바이오텍 인산부산석고 및 사문석을 이용한 수도용 상토 조성물
KR101925909B1 (ko) * 2018-06-25 2018-12-06 주식회사 삼농바이오텍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08670A (zh) * 2021-07-13 2021-10-19 济南科百数字农业技术有限公司 一种保护地南高丛蓝莓高效的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0068A (en) * 1969-12-29 1972-05-02 Phillips Petroleum Co Soil additives
FR2612812A1 (fr) * 1987-03-25 1988-09-30 Tillie Etienne Procede de fabrication, produits et emplois du gypse residuaire sous la forme bouletee
CN1033617A (zh) * 1988-11-12 1989-07-05 中国科学院昆明生态研究所 磷石膏长效复合肥及其制造方法
US4954134A (en) * 1989-07-31 1990-09-04 Tennessee Valley Authority Agglomeration of gypsum, limestone, or gypsum-limestone mix
JP3538258B2 (ja) * 1995-04-26 2004-06-14 吉野石膏株式会社 カルシウム葉面散布剤
US5917110A (en) * 1996-10-18 1999-06-29 Tetra Technologies, Inc. Moisture-resistant calcium containing particles
KR20030062520A (ko) * 2002-01-17 2003-07-28 김계훈 석고 및 요소를 포함하는 질소비료
AU2007222639A1 (en) * 2006-03-06 2007-09-13 Syngenta Participations Ag Stabilized pesticidal granules
CN104202961B (zh) * 2011-12-23 2017-12-12 热带产品公司 栽培植物的容器、土壤混料和方法
CN104098371A (zh) * 2013-04-09 2014-10-15 郭俊强 一种吸附性缓释石膏肥
JP2015012126A (ja) * 2013-06-28 2015-01-1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04130042A (zh) * 2014-07-25 2014-11-05 安徽省日日春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废料利用的蓝莓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130088A (zh) * 2014-07-25 2014-11-05 安徽省日日春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保水能力强的有机蓝莓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099102B (zh) * 2014-07-29 2016-08-17 青岛沃林蓝莓果业有限公司 一种蓝莓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02316B2 (ja) 2019-11-06
CN107001164A (zh) 2017-08-01
MX2017008484A (es) 2017-09-19
WO2016104560A1 (ja) 2016-06-30
EP3239118B1 (en) 2021-03-31
EP3239118A1 (en) 2017-11-01
PL3239118T3 (pl) 2021-10-11
EP3239118A4 (en) 2018-07-25
KR20170081670A (ko) 2017-07-12
CA2969824C (en) 2019-09-10
CN107001164B (zh) 2020-08-11
CA2969824A1 (en) 2016-06-30
US20170297964A1 (en) 2017-10-19
ES2864281T3 (es) 2021-10-13
PT3239118T (pt) 2021-04-15
JPWO2016104560A1 (ja)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19B1 (ko) 블루베리용 석고비료 및 블루베리의 낙과 억제방법
Erel et al. Olive fertilization under intensive cultivation management
CN113597965B (zh) 一种促进沃柑早熟的种植方法
CN110891415A (zh) 营养液
JP6820710B2 (ja) 腐植酸含有三要素液体肥料
US8968696B2 (en) Fertilizer for foliar use
Chohura et al. Suitability of some nitrogen fertilizers for the cultivation of early cabbage.
KR101826256B1 (ko)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3264838B2 (ja) 育成培地とその製造法
JP2015221000A (ja) 巨峰の栽培方法及び巨峰
Mawalagedera et al. Circulation culture of tomato for efficient nutrient uptake and high yield in tropical greenhouses
Kondo et al. Effects of calcium concentration in fertilizer solution on passion fruit quality
Krewer et al. Southeast regional blueberry horticulture and growth regulator guide
Heijerman et al. Higher profits with planting hole treatment in red currant
KR20180000216A (ko)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용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Shalaby et al. Effect of seed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yield and quality of sugar cane
Pike et al. Cucumbers
Chohura et al. Nutrition status of greenhouse tomato grown in intert media. Part I. Macroelements
RU2555759C2 (ru) Способ подкормки рассады томата
El-Labbody et al. PERFORMANCE OF TWO PROMISING SUGAR CANE VARIETIES UNDER DIFFERENT INTERROW SPACING.
Paikra et al. Effect of fertigation scheduling, mulching technique and plant growth regulator on physico-chemical changes in three cultivars of guava under ultra HDP-a review.
Decorte et al. Positive effects of foliar nutrition on yield and storage life of kiwiberry
Mercik et al. Effect of 65-year static soil fertilization on the growth, fruiting and leaf nutrient status of a tart cherry trees
Baez-Perez et al. Polyhalite effects on corn and bean performance in Guanajuato, Mexico.
Maas et al. Precision-regulation of tree growth and crop loads in ap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