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94B1 -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94B1
KR102014494B1 KR1020190052323A KR20190052323A KR102014494B1 KR 102014494 B1 KR102014494 B1 KR 102014494B1 KR 1020190052323 A KR1020190052323 A KR 1020190052323A KR 20190052323 A KR20190052323 A KR 20190052323A KR 102014494 B1 KR102014494 B1 KR 10201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ed lighting
delete delete
base lay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오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오상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Priority to KR102019005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90Methods of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8Vinyl-typ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LED 소자가 실장된 기판으로 이루어진 LED 모듈;과상기 LED 소자의 전방 측을 감싸 상기 LED 소자의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기 LED 소자와 대향한 것으로, PC, 플라스틱, 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는 내오염 코팅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ENHANCING POLLUTION RESISTANCE 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오염 코팅층을 구비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실외에서 사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후 및 외부 환경의 노출로 인하여 LED 조명 장치의 오염 및 노후를 방지할 수 있는,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라고도 불리며, 갈륨(Ga), 인(P), 비소(As)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LED는 반도체를 이용한 PN 접합이라고 불리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전극으로부터 반도체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플러스 전극 전하)은 다른 에너지띠를 흘러 PN접합부 부근에서 띠 간격(Band gap)을 넘어 재결합을 하는데, 이때 띠 간격에 상당하는 에너지가 광자, 즉 빛으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LED는 약 10만 시간의 긴 수명을 가지며, 같은 전기를 가지고 형광등, 백열전구보다 훨씬 높은 광량을 발산할 수 있고, 충격에 매우 강해 견고하며, 압력 전류를 조절하여 최대 밝기 또는 최소 밝기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것이 용이(즉, 광량의 조절이 쉬움)하고, 적은 유지비용이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LED는 플래시라이트 뿐만 아니라 리모컨, 인디케이터, 디스플레이 등 광원이 요구되는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 LED 조명 장치가 실외에서 사용될 경우 기후 및 외부 환경의 노출로 인하여 LED 조명 장치가 오염되거나 노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LED 효율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때, 실외용 LED 조명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66746호(발명의 명칭 : 적정온도 보정형 LED 실외조명등)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의 LED와, 상기 복수의 LED의 점등을 위한 회로가 설치된 메탈 PCB가 장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하는 히트 플레이트와, 상기 LED기판과 상기 히트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히트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갖는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LED기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로부터 조사된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는 하부덮개와, 상기 LED기판과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LED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LED기판을 발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자동전극절환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극절환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극절환 전원공급부의 구동과 상기 LED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를 덮는 차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실외조명등의 지지대에 체결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에 체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끝단에 체결되는 차단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상하로 교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부 차단플레이트와 하부 차단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정온도 보정형 LED실외조명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외부환경의 온도에 맞추어 LED실외조명등을 적절한 온도로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부의 환경에 의한 오염 및 노후 가능성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오염 코팅층을 구비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실외에서 사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후 및 외부 환경의 노출로 인하여 LED 조명 장치의 오염 및 노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층의 둘레 영역 저면에 방열층이 추가적으로 부착되고, 베이스층과 방열층 사이의 이격 스페이스에는 단열 코어가 포함됨으로써 외부의 고온 및 화재 발생 시 단열 역할을 수행하여 LED 조명 장치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코어어 내부에 보강체 및 에어층을 함유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완충성능 또한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LED 소자가 실장된 기판으로 이루어진 LED 모듈;과 상기 LED 소자의 전방 측을 감싸 상기 LED 소자의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기 LED 소자와 대향한 것으로, PC, 플라스틱, 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는 내오염 코팅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의 둘레 영역의 저면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 방열층이 추가적으로 부착되되, 상기 방열층은, 수축 및 팽창을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층의 대응 면에는,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이격 스페이스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입 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이격 스페이스는, 석고 분말을 포함한 단열재를 함유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단열 코어와, 상기 단열 코어를 감싸는 내화용 부직포로 이루어진 단열 블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단열 코어는, 표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도입 홈 및, 상기 도입 홈의 종결부위에서 상기 도입 홈을 확장하도록 상기 도입 홈의 직경보다 크게 함입 형성된 확장 공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 공간에는, 상기 단열 코어보다 탄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보강체와, 상기 확장 공간 내에서 상기 보강체가 수용되고 난 잔여공간에서 공기를 함유한 에어층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1) 실외에서 사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후 및 외부 환경의 노출로 인하여 LED 조명 장치의 오염 및 노후를 방지할 수 있고,
2) 외부의 고온 및 화재 발생 시 단열 역할을 수행하여 LED 조명 장치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 단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완충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층과 방열층에 적용된 추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라고도 불리며, 갈륨(Ga), 인(P), 비소(As)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LED는 반도체를 이용한 PN 접합이라고 불리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전극으로부터 반도체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플러스 전극 전하)은 다른 에너지띠를 흘러 PN접합부 부근에서 띠 간격(Band gap)을 넘어 재결합을 하는데, 이때 띠 간격에 상당하는 에너지가 광자, 즉 빛으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LED는 약 10만 시간의 긴 수명을 가지며, 같은 전기를 가지고 형광등, 백열전구보다 훨씬 높은 광량을 발산할 수 있고, 충격에 매우 강해 견고하며, 압력 전류를 조절하여 최대 밝기 또는 최소 밝기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것이 용이(즉, 광량의 조절이 쉬움)하고, 적은 유지비용이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LED는 플래시라이트 뿐만 아니라 리모컨, 인디케이터, 디스플레이 등 광원이 요구되는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 LED 조명 장치(100)가 실외에서 사용될 경우 기후 및 외부 환경의 노출로 인하여 LED 조명 장치(100)가 오염되거나 노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LED 효율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LED 조명 장치(100)를 제시하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옥외 가로등이나 도 2와 같이 터널 내 조명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기타 다양한 실외 장소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실외용 LED 조명 장치(100)는 LED 소자(200)가 실장된 기판(300)으로 이루어진 LED 모듈과, LED 소자(200)의 전방 측을 감싸 LED 소자(200)의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커버(400)로 이루어지되, 커버(400)는 LED 소자(200)와 대향한 것으로 PC, 플라스틱, 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층(410)과 베이스층(410) 상에는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을 포함하는 내오염 코팅층(420)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한다.
LED 모듈은 기판(300)에 복수개의 LED 소자(200)가 실장된 것으로 본 발명의 LED 조명 장치(100)에서 광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LED 소자(20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긴 수명을 가지며 유지비용이 적고 형광등 또는 백열전구보다 광 효율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기판(300)의 소재로는 PCB, 유리섬유 등이 될 수 있고, 직사각형,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구체적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나아가, 이러한 기판(300)에는 방열판이 추가적으로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판이 구비되어 LED 조명 장치(100)의 높은 열 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커버(400)는 LED 소자(200)를 감싸는 형태로 기판(300) 상에 접착되어 LED 소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LED 광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400)는 투명, 반투명 성질을 가질 수 있고 그 단면은 직사각형, 원형이 될 수 있으며 기판(300)의 크기에 맞추어 LED 소자(200)를 잘 감싸 보호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제한은 두지 않는다.
이때, 커버(400)는 베이스층(410)과 베이스층(410) 상에 적층된 내오염 코팅층(42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베이스층(410)은 즉, 커버(400) 그 자체가 될 수 있으며 PC, 플라스틱,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4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LED 광을 외부로 조사해야하므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적에 따라 커버(400)에 색(色)을 넣어 조명 장치의 발광 시 색이 있는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더하여,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 및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내오염 코팅층(420)은 LED 조명 장치(100)의 최외각층 즉, 외부와 접촉되는 외측 면(또는 상면)에 존재하는 것이며 외부 환경으로 인한 오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bisphenol a glycerolate)와 디아크릴레이트(diacrylate)는 모두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서 정전기의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는 음전하를 띄게 되는데, 이러한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와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내오염 코팅층을 제조하게 되면, 먼지에 대한 정전기가 방지되어 먼지의 흡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와 디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기 위한 용매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는 부착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물질로서 일반적인 코팅 재료로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내오염 코팅층 중량 대비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와 디아크릴레이트가 각각 10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어 내오염 코팅층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와 조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실외용으로 사용할 경우 내오염 코팅층(420)의 존재로 인하여 외부의 오염, 특히 터널 내 먼지로 인한 LED 광 효율의 저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층(410)과 방열층(500)에 적용된 추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베이스층(410) 중에서 둘레 영역의 표면(LED 소자의 대향 면인 외측 면)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 방열층(500)이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열층(500)은 수축 및 팽창을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출부(510)를 포함하고, 돌출부(510)와 마주보는 베이스층(410)의 대응 면에는 돌출부(510)와의 사이에서 확장된 이격 스페이스(520)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입 홈(41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방열층(500)은 LED 조명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주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방열층(500)은 LED 기판(300)에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방열층(500)을 베이스층(410)의 둘레 영역의 외측 면에도 부착시킴으로써 기판(300)에 존재하는 방열판과 더불어 더욱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하여 LED 조명 장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질에 의해, 방열층(500)은 투명도가 낮아 LED 소자의 광 분출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LED 소자의 직진성질에 방해되지 않는 일부 부위, 즉 베이스층(410)의 둘레 영역에 부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열층(500)은 알루미눔(Al), 구리(C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LED 광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면 그 재질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하여, 방열층(500)은 반사안료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더하여, 베이스층(410)과 방열층(500)을 서로 부착되어 존재하게 되므로, 함입홀과 돌출부(510)의 위치 및 개수는 동일하게 하여 이격 스페이스(52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 스페이스(520)가 존재함으로 인해 베이스층(410)과 방열층(500)을 포함하는 커버(400)의 물리적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열 전달 차단 효과도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외부의 환경에 존재하여도 견고하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격 스페이스(520)는 석고 분말을 포함한 단열재를 함유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단열 코어(610)와, 단열 코어(610)를 감싸는 내화용 부직포(620)로 이루어진 단열 블록(600)이 내장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410)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함입 홈(411)과 방열층(500)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돌출부(510)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 스페이스(520)는 단열 블록(600)이 내장되어 특히 터널 화재 발생 시 전기 합선을 방어하는 것은 물론 터널은 물론 가로등과 같은 설치 장소에서 여름날의 높은 온도에 의해 변형이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재는 석고 분말을 함유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가 뛰어나고 열에 대하여 뛰어난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LED 조명 장치(100) 외부 및 내부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열재는 파우더의 형태인데, 이를 고무와 같은 탄성체 내에 혼입 내지 함입하여 단열 코어(610)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단열 코어(610)는 단열 성능은 물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성능을 겸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화용 부직포(620)는 시판중인 제품인 모다크릴 섬유나 프로텍스C섬유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용 부직포(620)의 예로서 제 1면 및 제 2면을 갖는 개방 메쉬 스크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면의 위에는 권축 내열성 유기 섬유가 압축되어 열가소성 결합제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화용 부직포(620)가 고열 또는 화염에 노출되는 경우, 구조물 내 결합제가 연화되고, 구속되어 있는 권축 섬유가 풀리게 되어, 내화용 부직포(620)의 두께가 현저히 증가된다. 이러한 증가가 내화용 부직포(620) 내의 공기 주머니를 생성시키는데, 이것이 내화용 부직포(620)의 방열 성능을 증가시키게 된다.
권축 내열성 유기 섬유는 포에서 압축되긴 하지만 뚜렷하게 엉켜 있지는 않기 때문에, 포는 고열 또는 화염에 대한 반응으로 그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섬유-스크림 시트는 상기 섬유와 스크림 및/또는 시트에 있는 다른 섬유와의 기계적 엉킴을 높은 수준으로 보장하는 데 치중해 왔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기계적 엉킴은 시트를 형성하는 섬유 및/또는 스크림의 로프티 웹에 에너지를 부여하여 섬유를 엉키게 하고 시트를 조밀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계적 엉킴이 이루어지면, 상기 시트의 섬유는 열 및 화염에 노출 시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을 정도로 엉켜 있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통해 본 발명의 내화용 부직포(620)를 방열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구성된 단열 블록(600)이 내장된 이격 스페이스(520)는 고열 또는 화염에 노출될 경우 효과적으로 그 열이 LED 조명 장치(100)에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 또는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충격 완화 효과도 있어 외부의 환경에서도 견고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단열 코어(610)는 아래의 설명과 같이 보다 세부적인 구조를 구비하여 단열성 및 완충성을 강화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단열 코어(610)는 표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도입 홈(611) 및, 도입 홈(611)의 종결부위에서 도입 홈(611)을 확장하도록 도입 홈(611)의 직경보다 크게 함입 형성된 확장 공간(612)을 더 포함하되, 확장 공간(612)에는 단열 코어(610)보다 탄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확장 공간(612) 내부에 수용되는 보강체(613)와, 확장 공간(612) 내에서 보강체(613)가 수용되고 난 잔여공간에서 공기를 함유한 에어층(614)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입 홈(611)의 종결부위에서 함입 형성된 확장 공간(612)에는 단열 코어(610)보다 탄성이 강한 재질의 보강체(613)와 에어층(614)이 포함되며, 이와 같이 확장 공간(612) 내부에 보강체(613) 및 에어층(614)이라는 두 가지 물성을 채우게 됨으로써 하나의 재질을 사용할 때 보다 더욱 높은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또, 에어층(614)에 의해 외부 충격을 더욱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므로 기존의 단일 재질의 단열 코어(610)를 완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향상된 수준의 완충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확장 공간(612)은 원형의 종단형상으로 형성되고, 보강체(613)는 다각형의 종단 형상을 갖되, 각 꼭짓점이 확장 공간(612)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으며, 보강체(613)의 내부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포함하여 관통공 내에 공기를 함유한 상태에서 각각의 관통공을 내통 가능하게 연결한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보강체(613)의 종단형상은 변이 3개 이상인 다각형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다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꼭짓점이 모두 확장 공간(612)의 내벽에 접촉되어야 한다. 이로써, 복수의 통공을 통해 복수의 에어층(614)을 내부에 구비하게 되어 충격으로부터 더욱 높은 내구성을 담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LED 조명 장치 200: LED 소자
300: 기판 400: 커버
410: 베이스층 411: 함입 홈
420: 내오염 코팅층 500: 방열층
510: 돌출부 520: 이격 스페이스
600: 단열 블록 610: 단열 코어
611: 도입 홈 612: 확장 공간
613: 보강체 614: 에어층
620: 내화용 부직포

Claims (10)

  1.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로서,
    LED 소자가 실장된 기판으로 이루어진 LED 모듈;과
    상기 LED 소자의 전방 측을 감싸 상기 LED 소자의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기 LED 소자와 대향한 것으로, PC, 플라스틱, 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는 비스페놀에이글리세롤레이트 및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내오염 코팅층이 적층되고,
    상기 베이스층의 둘레 영역의 외측 면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 방열층이 추가적으로 부착되되,
    상기 방열층은, 수축 및 팽창을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층의 대응 면에는,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이격 스페이스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입 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스페이스는,
    석고 분말을 포함한 단열재를 함유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단열 코어와,
    상기 단열 코어를 감싸는 내화용 부직포로 이루어진 단열 블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코어는,
    표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도입 홈 및,
    상기 도입 홈의 종결부위에서 상기 도입 홈을 확장하도록 상기 도입 홈의 직경보다 크게 함입 형성된 확장 공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 공간에는,
    상기 단열 코어보다 탄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보강체와,
    상기 확장 공간 내에서 상기 보강체가 수용되고 난 잔여공간에서 공기를 함유한 에어층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공간은, 원형의 종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체는,
    다각형의 종단 형상을 갖되, 각 꼭짓점이 상기 확장 공간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관통공 내에 공기를 함유한 상태에서 각각의 관통공을 내통 가능하게 연결한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2323A 2019-05-03 2019-05-03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KR10201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323A KR102014494B1 (ko) 2019-05-03 2019-05-03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323A KR102014494B1 (ko) 2019-05-03 2019-05-03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94B1 true KR102014494B1 (ko) 2019-08-26

Family

ID=6780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323A KR102014494B1 (ko) 2019-05-03 2019-05-03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490A (ko) * 2005-05-27 2006-11-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정 기능을 가지는 신호등
KR20140110313A (ko) * 2013-03-07 2014-09-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형 폴리비닐계 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9199B1 (ko) * 2016-04-21 2017-04-21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터널용 집광조명식 피난구 유도표시등
JP2019507212A (ja) * 2016-01-14 2019-03-14 モメンティブ パフォーマンス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防曇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490A (ko) * 2005-05-27 2006-11-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정 기능을 가지는 신호등
KR20140110313A (ko) * 2013-03-07 2014-09-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형 폴리비닐계 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507212A (ja) * 2016-01-14 2019-03-14 モメンティブ パフォーマンス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防曇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29199B1 (ko) * 2016-04-21 2017-04-21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터널용 집광조명식 피난구 유도표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3743B1 (en) Lighting device
CN102410452B (zh) 照明模块及包括该照明模块的照明装置
RU250763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го диода
US83580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with energy blocking layer
CN105358899B (zh) 带有具有流体通道的光学元件的照明设备
KR20120059059A (ko) 엘이디 램프
GB2428467A (en) Explosion proof lighting fixture
EP2653775A1 (en) Acoustic light emitting element
JP2005019110A (ja) 埋込灯
CN103190007A (zh) 应用量子点的光学组件
US8507933B2 (en) LED lighting device
KR102014494B1 (ko) 내오염성을 강화한 실외용 led 조명 장치
US9752770B2 (en) Light-emitting diode light fixture with channel-type heat dissipation system
US10714451B2 (en) Tiling structure type light apparatu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243153B1 (ko)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하는 led 조명 모듈
KR20150013052A (ko) 액상 봉지재를 갖는 광원
JP2013112940A (ja) 屋外用発光建材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86216Y1 (ko) 보호케이스가 마련된 led 조명 모듈
JP2006156160A (ja) 有機elパネル
CN109560181B (zh) 一种led封装结构
KR20110001430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08661U (ko) 광 반도체 기반 면 조명장치
CN105336733A (zh) Led封装结构及发光器件
KR20120103291A (ko) 매립등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매립등
JP2015012156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