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70B1 - 랩핑 부재 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랩핑 부재 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70B1
KR102014170B1 KR1020190034811A KR20190034811A KR102014170B1 KR 102014170 B1 KR102014170 B1 KR 102014170B1 KR 1020190034811 A KR1020190034811 A KR 1020190034811A KR 20190034811 A KR20190034811 A KR 20190034811A KR 102014170 B1 KR102014170 B1 KR 102014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sheet
wrap sheet
protective she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근
Original Assignee
송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근 filed Critical 송재근
Priority to KR102019003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4Feeding webs from rolls by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 시트를 설정된 간격으로 커팅하여 제공하는 랩 시트 제공부; 상기 랩 시트 제공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보호 시트 제공부; 상기 보호 시트 제공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래핑 대상물을 제공하는 래핑 대상물 제공부; 및 상기 랩 시트, 상기 보호 시트, 상기 래핑 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설정된 제1지점에 위치시키는 다기능 핸들부를 포함하는 랩핑 부재 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랩핑 부재 위치 장치{APPARATUS FOR POSITIONING A WRAPPING MEMBER}
본 발명은 물건의 외면에 랩을 포장하기 전, 랩핑 대상물과 랩핑 준비물을 위치시키는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 등은 팔레트에 적재된 후, 습기 또는 먼지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 제품 운송의 편의를 위해, 폴리에틸렌 또는 염화비닐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랩 필름으로 랩핑을 하게된다.
이러한 제품의 랩핑은 랩핑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랩핑장치에 의해 랩핑 대상물을 랩핑하기 전에, 랩핑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에는, 랩 시트와 보호 시트를 각각 배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랩핑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에 보호 시트와 랩 시트를 각각 배치시킨 후, 랩 필름을 래핑 대상물의 측면에서 감으면서 랩핑 대상물을 랩핑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랩핑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에 보호 시트와 랩 시트를 각각 위치시키는 것을 수작업으로 하여, 능률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안 제20-0426323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랩 필름을 래핑 대상물의 측면에서 감싸기 전, 랩핑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에 보호 시트와 랩 시트를 자동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랩핑 부재 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는, 랩 시트를 설정된 간격으로 커팅하여 제공하는 랩 시트 제공부; 상기 랩 시트 제공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보호 시트 제공부; 상기 보호 시트 제공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래핑 대상물을 제공하는 래핑 대상물 제공부; 및 상기 랩 시트, 상기 보호 시트, 상기 래핑 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설정된 제1지점에 위치시키는 다기능 핸들부를 포함하고,상기 다기능 핸들부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랩 시트의 단부를 잡아 상기 제1지점으로 이송시키는 그랩 모듈과, 상기 그랩 모듈과 평행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 시트를 흡착하여,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한 상기 랩 시트의 상측에 상기 보호 시트를 위치시키는 흡착기와, 상기 그랩 모듈 및 상기 흡착기와 각각 수직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래핑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을 고정한 후, 상기 보호 시트의 상측에 상기 래핑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고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기에 고정된 상기 래핑 대상물을 상기 보호 시트 상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랩 모듈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랩 시트의 단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그랩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그랩기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랩 시트를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편에는 정전기 흡수 패드가 구비되어 상기 랩 시트의 전정기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는, 상기 래핑 대상물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후, 상기 내부 코어에 접촉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을 고정하는 한 쌍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 의하면, 랩 시트, 보호 시트 및 래핑 대상물을 자동적으로 설정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시키고, 래핑전 준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서 랩 시트를 이송하는 모습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서 보호 시트를 이송하는 모습의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서 래핑 대상물을 이송하는 모습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의 다기능 핸들부의 평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다기능 핸들부를 A 측에서 바라면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의 부분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핑 부재 위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서 랩 시트를 이송하는 모습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서 보호 시트를 이송하는 모습의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에서 래핑 대상물을 이송하는 모습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의 다기능 핸들부의 평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다기능 핸들부를 A 측에서 바라면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의 부분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의 랩핑 부재 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랩핑 부재 위치 장치(100)는 랩 시트 제공부(110), 보호 시트 제공부(120), 래핑 대상물 제공부(130), 및 다기능 핸들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랩 시트 제공부(110)는 랩 시트(10)를 설정된 간격으로 커팅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랩 시트 제공부(110)는, 롤에 감긴 랩 시트(10)가 언 와인딩되면, 상기 래핑 대상물 제공부(130)에서 제공하는 래핑 대상물(30)의 하면과 상면을 각각 포장할 수 있는 크기로 커팅하여, 커팅된 랩 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랩 시트 제공부(110)는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1랩 시트(10)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2랩 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랩 시트(10)와 상기 제2랩 시트(10)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랩 시트(10)는 상기 래핑 대상물 제공부(130)에서 제공하는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하면과 상면을 습기, 먼지 등으로 보호하는 시트를 의미한다.
상기 보호 시트 제공부(120)는 상기 랩 시트 제공부(11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보호 시트(2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시트 제공부(120)도,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1보호 시트(20)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2보호 시트(20)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시트(20)는, 상기 랩 시트(10)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보호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하면과 상면은 상대적으로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측면보다, 상기 랩 시트(10)를 여러 겹으로 겹쳐 포장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하면과 상면은 상기 보호 시트(20)를 통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래핑 대상물 제공부(130)는 상기 보호 시트 제공부(12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는, 상기 랩 시트(10), 상기 보호 시트(20),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순차적으로 설정된 제1지점(15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는 6축 로봇(101)에 설치되어, 상기 랩 시트(10), 상기 보호 시트(20),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각각 상기 제1지점(150)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는 상기 제1랩 시트(10)를 상기 제1지점(150)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1보호 시트(20)를 상기 제1랩 시트(10) 상측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상기 제1랩 시트(10)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보호 시트(20)를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상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2랩 시트(10)를 상기 제2보호 시트(20) 상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점(150)은 상기 래핑 대상물(30)이 최종적으로 래핑되는 지점이거나, 최종적으로 래핑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중간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는, 그랩 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랩 모듈(142)은 메인 프레임(14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랩 시트(10)의 단부를 잡아 상기 제1지점(15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그랩 모듈(142)은 제1프레임(1421)과, 한 쌍의 그랩기(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그랩기(1422)는 각각 상기 제1프레임(1421)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그랩기(1422)는 상기 랩 시트(10)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그랩기(1422)는 가압모듈(1422a)과, 한 쌍의 가압편(14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편(1422b)는 상기 가압모듈(1422a)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모듈(1422a)이 상기 가압편(1422b)을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한 쌍의 가압편(1422b)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랩 시트(10)는 상기 한 쌍의 가압편(1422b)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압편(1422b)에는 정전기 흡수 패드(1422c)가 구비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랩 시트(10)의 정전기는 상기 정전기 흡수 패드(1422c)에 의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랩 시트(10)가 상기 제1지점(150)에 이송된 후, 상기 한 쌍의 가압편(1422b)이 상기 가압모듈(1422a)에 의해 서로 멀어진 후, 정전기에 의해 상기 랩 시트(10)가 상기 한 쌍의 가압편(1422b)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는, 흡착기(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기(143)는 상기 메인 프레임(141)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흡착기(143)는 보호 시트(20)를 흡착하여, 상기 제1지점(150)에 위치한 상기 랩 시트(10)의 상측에 상기 보호 시트(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흡착기(143)는, 흡착관(1431)과, 흡착패드(1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패드(1432)는 상기 흡착관(1431)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흡착관(1431)은 상기 흡착패드(1432)에 진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패드(1432)에 진공이 제공되면, 상기 흡착패드(1432)는 상기 보호 시트(20)의 일면을 흡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관(1431)에는 탄성관(143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관(1431a)은 상기 흡착패드(1432)가 상기 보호 시트(20)의 접촉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흡착패드(1432)가 상기 보호 시트(20)의 접촉될 때, 상기 탄성관(1431a)은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6축 로봇(101)에 의해 상기 흡착패드(1432)와 상기 보호 시트(20)가 접촉될 위치가 정확히 제어되지 않아도, 상기 흡착패드(1432)가 상기 보호 시트(20)의 접촉될 때, 상기 탄성관(1431a)은 수축되어 상기 흡착패드(1432)에 의해 상기 보호 시트(20)가 파손되거나, 상기 흡착패드(1432)에 상기 보호 시트(20)가 흡착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는 고정기(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144)는 상기 메인 프레임(141)의 측면에 상기 흡착기(143)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기(144)는 상기 그랩 모듈(142) 및 상기 흡착기(143)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에 삽입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고정한 후, 상기 보호 시트(20)의 상측에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기(144)는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로 삽입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기(144)는 한 쌍의 바(1441)와, 회전모듈(14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1442)은 상기 한 쌍의 바(1441)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1441)가 상기 회전모듈(1442)에 의해 이격되면,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에 상기 한 쌍의 바(1441)가 접촉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기능 핸들부(140), 제1센서(1451)와, 제2센서(1452)와, 제어부(14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451)는 한 쌍의 바(1441)의 단부의 일측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제1센서(1451)는 한 쌍의 바(1441) 중 어느 하나의 단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451)는 상기 한 쌍의 바(1441)의 단부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진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센서(1451)는 음파 또는 레이저를 발생시켜,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내부로부터 반사된 음파 또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센서(1451)는 상기 한 쌍의 바(1441)의 단부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진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1452)는 한 쌍의 바(1441)의 단부의 타측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제2센서(1452)는 한 쌍의 바(1441) 중 어느 하나의 단부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1452)는 상기 한 쌍의 바(1441)의 단부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진입했을 때,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센서(1452)는 음파 또는 레이저를 발생시켜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차단면 반사되는 음파 또는 레이저를 감지하여,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53)는 상기 제1센서(1451)와, 상기 제2센서(1452)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센서(1451)가 상기 한 쌍의 바(1441)의 단부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진입을 감지했을 때, 상기 제2센서(1452)를 통해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깊이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53)는 상기 제2센서(1452)를 통해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의 깊이를 기초로, 상기 한 쌍의 바(1441)가 상기 래핑 대상물(30)의 내부 코어(30a)에 삽입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랩핑 부재 위치 장치
110: 랩 시트 제공부
120: 보호 시트 제공부
130: 래핑 대상물 제공부
140: 다기능 핸들부

Claims (4)

  1. 랩 시트를 설정된 간격으로 커팅하여 제공하는 랩 시트 제공부;
    상기 랩 시트 제공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보호 시트 제공부;
    상기 보호 시트 제공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래핑 대상물을 제공하는 래핑 대상물 제공부; 및
    상기 랩 시트, 상기 보호 시트, 상기 래핑 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설정된 제1지점에 위치시키는 다기능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핸들부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랩 시트의 단부를 잡아 상기 제1지점으로 이송시키는 그랩 모듈과,
    상기 그랩 모듈과 평행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 시트를 흡착하여,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한 상기 랩 시트의 상측에 상기 보호 시트를 위치시키는 흡착기와,
    상기 그랩 모듈 및 상기 흡착기와 각각 수직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래핑 대상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을 고정한 후, 상기 보호 시트의 상측에 상기 래핑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고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기에 고정된 상기 래핑 대상물을 상기 보호 시트 상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부재 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랩 모듈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랩 시트의 단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그랩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그랩기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랩 시트를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가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편에는 정전기 흡수 패드가 구비되어 상기 랩 시트의 전정기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부재 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는,
    상기 래핑 대상물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후, 상기 내부 코어에 접촉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상기 래핑 대상물을 고정하는 한 쌍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 부재 위치 장치.
  4. 삭제
KR1020190034811A 2019-03-27 2019-03-27 랩핑 부재 위치 장치 KR10201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11A KR102014170B1 (ko) 2019-03-27 2019-03-27 랩핑 부재 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11A KR102014170B1 (ko) 2019-03-27 2019-03-27 랩핑 부재 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70B1 true KR102014170B1 (ko) 2019-08-27

Family

ID=6780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11A KR102014170B1 (ko) 2019-03-27 2019-03-27 랩핑 부재 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56A (ko) * 2020-04-01 2021-10-12 다인시스템주식회사 표면 가압 장치
KR20220099722A (ko) * 2021-01-07 2022-07-14 다인시스템주식회사 랩 포장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188A (ja) * 1989-10-30 1991-06-17 Fujitsu Ltd 吸着ハンド
JPH0516903A (ja) * 1991-07-05 1993-01-26 Shibuya Kogyo Co Ltd ラツプラウンド包装装置
JPH0784205B2 (ja) * 1991-09-19 1995-09-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コイルの側板及び外周当金装着装置
JP2006255801A (ja) * 2005-03-15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KR20090116699A (ko) * 2007-03-07 2009-11-11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곤포 시스템, 보호 시트 적재 장치, 보호 시트 공급 장치, 및 유리 기판 곤포 방법
KR20110094863A (ko) * 2010-02-18 2011-08-24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로봇
JP7084205B2 (ja) * 2018-05-29 2022-06-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気体透過膜を使用した廃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188A (ja) * 1989-10-30 1991-06-17 Fujitsu Ltd 吸着ハンド
JPH0516903A (ja) * 1991-07-05 1993-01-26 Shibuya Kogyo Co Ltd ラツプラウンド包装装置
JPH0784205B2 (ja) * 1991-09-19 1995-09-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コイルの側板及び外周当金装着装置
JP2006255801A (ja) * 2005-03-15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KR20090116699A (ko) * 2007-03-07 2009-11-11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곤포 시스템, 보호 시트 적재 장치, 보호 시트 공급 장치, 및 유리 기판 곤포 방법
KR20110094863A (ko) * 2010-02-18 2011-08-24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로봇
JP7084205B2 (ja) * 2018-05-29 2022-06-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気体透過膜を使用した廃水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56A (ko) * 2020-04-01 2021-10-12 다인시스템주식회사 표면 가압 장치
KR102438487B1 (ko) * 2020-04-01 2022-08-31 다인시스템주식회사 표면 가압 장치
KR20220099722A (ko) * 2021-01-07 2022-07-14 다인시스템주식회사 랩 포장 장치
KR102491398B1 (ko) * 2021-01-07 2023-01-27 다인시스템주식회사 랩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170B1 (ko) 랩핑 부재 위치 장치
US7547052B2 (en) Robotic head for palletizing full boxes, tray packs and spot packs
SE531818C2 (sv) Förfarande att applicera ett hörnskydd och ark för användning vid förfarandet
EP3472079B1 (en) Palletizing and/or depalletizing system of goods with drones
KR101634308B1 (ko) 물품보호 기능이 강화된 포장상자
CZ297499B6 (cs) Přepravní jednotka a způsob její výroby
CN203781094U (zh) 空调设备包装结构
TWM570303U (zh) Wisdom pallet
KR102334289B1 (ko) 원통 포장 장치
JP607291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梱包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梱包方法
JP4737940B2 (ja) 太陽電池素子の梱包方法
JP2013529582A (ja) 円筒形に巻かれてラッピングされて包装された水分感受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8162702A (ja) 包装体及び包装方法
JP4119685B2 (ja) 包装装置
JP614739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梱包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梱包方法
US3521747A (en) Protective wrap
JP3230540U (ja) 軟質シート用梱包箱、及び梱包体
JP4106783B2 (ja) 包装体
JP6525306B2 (ja) 梱包体
CN211686283U (zh) 一种治具及包装运输组件
KR102491398B1 (ko) 랩 포장 장치
CN108839949B (zh) 包装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TW202019789A (zh) 包裝結構及包裝其之包裝箱結構
JP5127844B2 (ja) 太陽電池素子の梱包体、および太陽電池素子の梱包方法
JP2003237820A (ja) 包装材及び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