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73B1 -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673B1
KR102013673B1 KR1020180146745A KR20180146745A KR102013673B1 KR 102013673 B1 KR102013673 B1 KR 102013673B1 KR 1020180146745 A KR1020180146745 A KR 1020180146745A KR 20180146745 A KR20180146745 A KR 20180146745A KR 102013673 B1 KR102013673 B1 KR 10201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blower
air
impell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708A (ko
Inventor
이명준
Original Assignee
두영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영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영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04D25/1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and having shutters, e.g. automatically closed when not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송풍하우징; 상기 흡입구 타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임펠러는 상기 송풍하우징의 중심에서 상측과 토출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편심되도록 배치되되, 토출구 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편심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부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A blowing device having a closing part}
본 발명은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를 편심 배치하고, 폐쇄부를 구비하여 토출구의 면적을 변형시킴으로써 송풍효율을 향상시킨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의 하나로써, 주로 실내를 환기하기 위해 쓰이는 송풍기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1990호 '댐퍼 부착형 송풍기'(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유동을 발생시키는 임펠러 및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임펠러는 선행문헌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어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선행문헌과 같은 종래의 송풍기는 임펠러가 하우징 내부의 정중앙에 배치됨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하우징과 임펠러의 이격거리가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거리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는 흡입구로부터 토출구까지 동일한 압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유입구측의 공기는 임펠러에 의해 적당한 힘을 받지만, 토출구로 갈수록 보다 많은 힘이 작용해야 되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임펠러를 편심 배치하여 공기의 흐름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높은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며, 폐쇄부를 구비하여 의도적이지 않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공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배출됨으로써 송풍효율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는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송풍하우징; 상기 흡입구 타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임펠러는 상기 송풍하우징의 중심에서 상측과 토출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편심되도록 배치되되, 토출구 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편심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부 일부를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일단부가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위에서 타단까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구 방향의 공기를 임펠러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관은 상기 폐쇄부 하단에서 상기 송풍하우징 외측으로 설치되며, 끝단이 송풍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쇄부는 상기 토출구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되어 폐쇄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토출구 양측면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 및 상기 레일 길이를 따라 상기 토출구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상응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토출구 양측면에 고정되되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일면에 기어치를 형성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송되는 슬라이딩판을 포함하며, 제어부에 의해 원격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로에 설치되는 풍량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량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판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량감지부는 상기 송풍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및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날개가 상기 감지센서와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센서에 대한 날개의 시간당 접촉횟수로 풍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구 정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 분사장치와 연동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하우징 내측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물 분사장치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는 공기의 흐름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폐쇄부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의도치 않은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발생되지 않아 송풍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보조관이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레일식 슬라이딩부의 정면도이고, (c)는 기어식 슬라이딩부를 구비하였을 때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더 포함되는 풍량감지부가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더 포함되는 물 분사장치가 설치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우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보조관이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1)는 통상적인 송풍장치와 같이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풍하우징(10) 및 임펠러(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하우징(10)은 원통형의 몸체를 바탕으로 흡입구(12)와 토출구(14)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2)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하우징(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많은 공기의 흡입을 위해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구(12)의 끝단부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4)는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간으로서, 송풍하우징(10) 전방 하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임펠러(20)는 송풍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임펠러(20)는 흡입구(12) 타측으로 설치되며, 구동모터(22)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펠러(20)는 작동시 흡입구(12)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4)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임펠러(20)를 통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구조는 통상적인 송풍장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함으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1)는, 임펠러(20)를 편심 배치하며, 토출구(14)에 폐쇄부(30)를 구비하여 송풍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20)는 송풍하우징(10)의 중심에서 상측과 토출구(14)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편심배치될 수 있다.
이는, 흡입구(12)로 흘러들어와 송풍하우징(10)을 통해 유동되어 토출구(14)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임펠러(20)가 편심된 방향 즉, 토출구(14)의 상방에 위치한 송풍하우징(10)의 정면 상단부로부터 시작되는데, 이때, 상기 송풍하우징(10)의 정면 상단부와 임펠러 간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서 높은 압력을 형성하여 토출구(14)로 배출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임펠러(20)는 편심배치될 때 상측으로의 편심 위치에 대비하여 토출구(14) 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의 흐름은 유입측에서부터 높은 압력을 형성하여 토출구(14)로 배출되기 때문에 송풍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때, 임펠러(20)의 편심비율은 도 1과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토출구(14)부터 그 타측인 송풍하우징(10) 끝단까지의 전체길이를 100이라 하면, 토출구(14) 측에서 42 내지 45의 비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송풍하우징(10) 하단부터 상단까지의 전체길이를 100이라 하면, 송풍하우징(10) 상측에서 46 내지 49의 비율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출구(14)부터 그 타측인 송풍하우징(10)의 끝단 길이가 567mm이면, 토출구(14) 끝단에서 타방향으로 약 246mm의 길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송풍하우징(10) 하단부터 상단까지의 전체길이가 597mm이면, 송풍하우징(10) 상측에서 하방으로 약 282mm의 길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편심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후 더 좋은 효율을 낼 수 있는 편심위치가 모색되면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14)에 폐쇄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폐쇄부(30)는 토출구(14)의 상부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임펠러(20)가 편심배치됨에 따라 토출구(14) 상단 부근에서부터 압력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공기의 일부가 토출구(14) 측으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거나, 임펠러(20)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와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이다.
즉, 폐쇄부(30)를 통해 토출구(14)의 상부를 폐쇄하여 공기가 송풍하우징(10) 내에서의 유동로를 따라 흐르는 의도된 흐름을 제외한 다른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력을 높여 배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유용하게 달성할 수 있다.
한편, 폐쇄부(30)는 폐쇄판 등이 용접설치되어 폐쇄될 수 있으며, 이때, 폐쇄부(30)의 폐쇄비율은 토출구(14)의 높이를 100으로 가정하면, 41 내지 44 비율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폐쇄판은 토출구(14) 높이방향 길이 대비 41 내지 44의 비율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출구(14)의 높이가 315mm이면, 폐쇄판은 약 135mm의 길이를 형성하여 토출구(14)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용접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후 더 좋은 효율을 낼 수 있는 길이가 모색되면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1)는 종래 송풍장치 대비 송풍효율을 대략 20% 내지 30% 정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임펠러(20)는 날개의 일단부가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 타단까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된 임펠러(20)의 일단부는 임펠러(20)의 베이스인 회전통과 연결되는 연결부이며, 상기의 구조를 통해 회전시에 저항을 최소화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1)는 토출구 방향의 공기를 임펠러(20)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임펠러(20)의 회전력을 더하여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함이며, 보조관(40)은 토출구(14)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임펠러(20)측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관(40)은 일단이 폐쇄부(3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관(40)은 송풍하우징(10)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관(40)의 끝단은 송풍하우징(10)을 관통하여 임펠러(2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관(40)은 폐쇄부(30)의 하단에서부터 임펠러(20)의 상단부까지 관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보조관(40)을 따라 임펠러(20)측으로 도달되어 임펠러(20)의 회전력을 더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조관(40)의 내부에는 필터 등이 구비되어 먼지 등을 필터링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레일식 슬라이딩부의 정면도이고, (c)는 기어식 슬라이딩부를 구비하였을 때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더 포함되는 풍량감지부가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에 더 포함되는 물 분사장치가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송풍하우징(110) 및 임펠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펠러(120)는 편심배치될 수 있고, 토출구(114)는 폐쇄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폐쇄부(130)가 슬라이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1)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송풍하우징(110) 및 임펠러(120)의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폐쇄부(30)가 용접설치되어 고정되는 제1 실시예(1)와 달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폐쇄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폐쇄부(130)는 토출구(114)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부는 레일식(140) 또는 기어식(15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식(140)으로 형성될 시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형성되며, 기어식(150)으로 형성될 시에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조절하거나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식 슬라이딩부(14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42), 슬라이딩판(144), 고정돌기(146) 및 걸림돌기(1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142)은 슬라이딩판(144)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토출구(114)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142)은 토출구(114)의 높이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되거나 토출구(114)의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142)이 토출구(114)의 높이 길이 전체를 따라 형성될 때에는 슬라이딩판(144)으로 하여금 토출구(114) 전체를 폐쇄할 수도 있어 송풍장치 미사용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슬라이딩판(144)은 토출구(114)의 폐쇄면적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4) 상단에 설치된 수용함(135)에 내재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레일(142)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판(144)은 레일(142)을 통해 토출구(114)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판(144)이 토출구(114)를 폐쇄하는 면적에 따라 송풍 효율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여건을 고려하여 슬라이딩판(144)을 통해 송풍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판(14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114) 전체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송풍장치 미사용시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 등의 계절로 인해 외부에 차가운 공기가 형성될 시에는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등의 유해입자들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고정돌기(146)는 슬라이딩판(144)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판(144)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46)는 걸림돌기(148)와 상응하여 슬라이딩판(14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148)는 레일(142)의 형성 길이를 따라 토출구(114)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48)는 레일(142)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146)는 걸림돌기(148)에 안착되거나, 걸림돌기(148)간의 이격거리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걸림돌기(148)간의 이격거리를 고정돌기(146)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슬라이딩판(144)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46)를 설명하였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돌기(146)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균형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고정돌기(146)와 걸림돌기(148)의 구성에 따라 슬라이딩판(144)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의 슬라이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식 슬라이딩 구성(140)이 아닌 기어식(150)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식 슬라이딩부(150)로 형성될 시에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2), 피니언기어(154) 및 슬라이딩판(15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52)은 토출구(114) 양측면에 의해 고정되며,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는 DC모터 또는 BLDC모터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CW/CCW 기능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54)는 회전축(152)과 결합하여 회전축(152)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피니언기어(154)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판(156)은 토출구(14)의 폐쇄면적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피니언기어(154)와 치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판(156)은 일면에 기어치(156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판(156)은 모터가 작동하면 피니언기어(154)가 회전하고, 피니언기어(154)와 치합된 슬라이딩판(156)이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는 스마트 단말, PC(Personal Computer),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er) 등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조절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모터가 구동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의 형태는 상술한 스마트 단말, PC(Personal Computer),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er)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피니언기어(154)와 슬라이딩판(156)이 직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래크기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피니언기어(154)는 래크기어와 치합되어 래크기어를 상/하로 이송시키며, 래크기어에는 슬라이딩판(156)이 결합되어 래크기어를 따라 슬라이딩판(156)이 이송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4)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로에 설치되는 풍량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풍량감지부(160)는 송풍하우징(1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자동 또는 원격으로 슬라이딩판(156)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와 연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회전축(152)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풍량감지부(160)는 감지센서(162) 및 회전체(1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162)는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로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감지센서(162)는 송풍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164)는 다수의 날개(164a)를 구비하며, 감지센서(162)와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체(164)도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로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164)는 다수의 날개(164a)가 감지센서(162)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회전시에 날개(164a)가 감지센서(162)에 부딪친 횟수를 계수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풍량감지부(160)는 감지센서(162)에 대한 날개의 시간당 접촉횟수로 풍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은 초 단위 또는 분 단위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어식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풍량감지부(160)로부터 계산되는 풍량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4) 정면에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물 분사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구(114) 정면에 물을 뿌리게 되면 토출구(114) 정면측의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으로 송풍장치 내측에 유입된 뜨거운 공기가 토출구(114) 측으로 빠르게 유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내부의 환기 등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물 분사장치(170)가 구비될 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송풍하우징(110)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 분사장치(170)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송풍하우징(110) 내부에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물 분사장치(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송풍하우징(110)내의 온도가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고온일 시 물 분사장치(17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송풍하우징(110)내의 온도가 설정범위에 미달되는 저온일 시 효율성을 고려하여 물 분사장치(170)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분사장치(170)와 온도센서는 제어부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 되도록 형성될 시에는 물 분사장치(170) 및 온도센서는 각각 제어부와 연동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는 제어부로 감지되는 온도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어부로 하여금 원격제어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물 분사장치(170)는 자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2)는 송풍하우징(110) 내측에 가스 누출 등의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제어부와 연동되어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형성되거나, 원격 또는 자동으로 기어식의 슬라이딩부(150)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2 :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10 : 송풍하우징
12 : 흡입구
14 : 토출구
20 : 임펠러
22 : 구동모터
30 : 폐쇄부
40 : 보조관
110 : 송풍하우징
112 : 흡입구
114 : 토출구
120 : 임펠러
130 : 폐쇄부
135 : 수용함
140 : 레일식 슬라이딩부
142 : 레일
144 : 슬라이딩판
146 : 고정돌기
148 : 걸림돌기
150 : 기어식 슬라이딩부
152 : 회전축
154 : 피니언기어
156 : 슬라이딩판
156a : 기어치
160 : 풍량감지부
162 : 감지센서
164 : 회전체
164a : 회전체 날개
170 : 물 분사장치

Claims (6)

  1.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송풍하우징;
    상기 흡입구 타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임펠러는,
    상기 송풍하우징의 중심에서 상측과 토출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편심되도록 배치되되, 토출구 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편심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토출구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토출구의 상부 면적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임펠러의 편심비율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토출구부터 그 타측인 송풍하우징 끝단까지의 전체길이 100 대비, 토출구 측에서 42 내지 45 비율에 위치하며, 송풍하우징 하단부터 상단까지의 전체길이 100 대비 송풍하우징 상측에서 46 내지 49의 비율에 위치하고,
    상기 폐쇄부의 페쇄비율은,
    토출구 높이 100 대비, 41 내지 44 비율로 높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일단부가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위에서 타단까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방향의 공기를 임펠러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관은,
    상기 폐쇄부 하단에서 상기 송풍하우징 외측으로 설치되며, 끝단이 송풍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의 상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상기 토출구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되어 폐쇄면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토출구 양측면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 및
    상기 레일 길이를 따라 상기 토출구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상응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정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 분사장치와 연동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하우징 내측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물 분사장치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KR1020180146745A 2018-11-23 2018-11-23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KR10201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45A KR102013673B1 (ko) 2018-11-23 2018-11-23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45A KR102013673B1 (ko) 2018-11-23 2018-11-23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201A Division KR101938303B1 (ko) 2017-10-25 2017-10-25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08A KR20190046708A (ko) 2019-05-07
KR102013673B1 true KR102013673B1 (ko) 2019-08-23

Family

ID=6665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745A KR102013673B1 (ko) 2018-11-23 2018-11-23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6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795A (ja) * 1999-11-16 2001-05-22 Denso Corp 遠心式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0805239B1 (ko) * 2006-11-1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672A (ko) * 1996-12-31 1998-10-07 신영주 송풍기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795A (ja) * 1999-11-16 2001-05-22 Denso Corp 遠心式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0805239B1 (ko) * 2006-11-1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08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3157B (zh) 吊顶式空调的室内单元
TWM529758U (zh) 風扇(二)
CN103629744B (zh) 空调室内机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240654A (zh) 一种双进风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KR102013673B1 (ko)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CN103459934A (zh) 空调室内机
KR102264454B1 (ko) 가습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CN106247454A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10250922A (zh) 一种加热效果好的空气炸锅
CN103459935A (zh) 空调室内机
KR101938303B1 (ko) 폐쇄부를 구비한 송풍장치
CN105202625B (zh) 立式空调器室内机
CN110939577A (zh) 一种自吸泵的气液分离装置
KR1016722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N208186464U (zh) 烟道导流罩和具有其的烟道系统
CN203718956U (zh) 空调器
CN106152460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25080A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9237569A (zh) 抽油烟系统、油烟机及抽油烟系统的控制方法
KR100960100B1 (ko) 버너용 혼합가스의 비례제어 장치
KR100473820B1 (ko) 공기조화기
KR100895074B1 (ko) 공기조화기
CN111771087B (zh) 液体微细化装置及使用该液体微细化装置的空气净化器
CN208205146U (zh) 侧吸式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