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61B1 -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661B1
KR102013661B1 KR1020180068448A KR20180068448A KR102013661B1 KR 102013661 B1 KR102013661 B1 KR 102013661B1 KR 1020180068448 A KR1020180068448 A KR 1020180068448A KR 20180068448 A KR20180068448 A KR 20180068448A KR 102013661 B1 KR102013661 B1 KR 10201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yarn
roller
suture ya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형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에스티(주) filed Critical 에이치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8006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매선실을 가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선실의 주 소재인 봉합원사의 외주면에 대한 가공작업을 종전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설비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합원사가 감겨진 보빈이 장착되는 공급부 및 봉합원사의 외주면을 성형하기 위한 가공부를 포함하여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부는 허브와, 장구롤러와, 텐션롤러와, 아세탈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부는 프레스기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과, 조절유닛과, 회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유닛은 베이스와, 테이블과,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유닛은 제1에어척 및 제2에어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부는 피딩롤러 및 누름롤러와, 아세탈롤러와, 텐션롤러와, 장구롤러와, 권취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Manufacturing system for Medical Suture}
본 발명은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매선실을 가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선실의 주 소재인 봉합원사의 외주면에 대한 가공작업을 종전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설비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 노화나 피부탄력의 감소, 외상 등으로 인해 생기는 조직이나 피부의 처짐,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성형시술을 행하는 경우에 다양한 종류의 매선실(통상, 봉합사, 매선로프 혹은 리프팅실이라고도 불리움)이 사용된다.
리프팅 시술은 바늘과 매선실을 이용하여 얼굴이나 턱, 목, 복부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끌어 올리거나 당겨주는 의료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예들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리프팅 시술은 의료용 니들(N)의 구멍으로 매선실(A)을 끼운 후 환자의 피부 조직(S)에 침투시켜 니들(N)의 끝단을 피부 개선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주름(W)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 후, 시술자가 표피 근처를 손가락으로 눌러 피부 조직(S)의 내부에 위치하는 니들(N)의 구멍을 통해 배출된 매선실(A)을 가압 고정한 상태에서 니들(N)을 피부 조직(S)에서 배출시킴에 따라 니들(S)에 삽입되어 있던 매선실(A)만이 피부 조직(S)의 내부에 남게 된다.
이렇게 피부 조직(S) 내에 남은 매선실(A)은 체 내에 시술된 후에 수 개월이 경과하게 되면 녹아서 체 내로 흡수된다.
이 때, 매선실(A)이 피부 조직(S) 내에서 상처 자극을 유발하는 인자가 되어 상처를 치유하는 엘라스틴이나 콜라겐과 같은 면역물질의 생성과 같은 세포활동을 촉진함으로써 매선실(A)이 경유한 신체 조직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매선실(A)의 주위에서 생성된 면역물질에 의해 볼륨감이 생겨 피부조직을 당겨주는 리프팅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늘어진 피부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주름을 펴고, 탄력성을 개선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의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을 개선하고,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상, 의료용 매선실의 외주 표면에는 매듭 또는 리프팅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매선실의 표면을 가공할 경우에는 제조과정에서 별도의 절개공정 혹은 절단공정을 필요로 하며, 매선실을 원하는 두께나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압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의료용 매선실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581865호 및 제1742658호 등에는 배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미늘 형태의 돌기를 갖거나 또는 봉합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시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봉합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779922호에는 원사를 3방향 이상으로 압착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 압축유닛을 포함하는 가압 성형부가 구비된 제조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806150호에는 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원사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예열부 및 원사에 장력을 발생시켜 꼬임을 제거하는 꼬임 방지부를 포함한 제조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813509호에는 승,하강하는 커터부재를 이용하여 매선실의 외주면을 일정 깊이로 제거할 수 있는 제조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매선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나 홈을 컷팅작업을 통하여 성형함에 따라 제작 시간 및 효율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매선실의 강도가 떨어져 돌기가 파손되거나 성형과정에서 형상의 불균일성 및 끊어짐 등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인체에 실제 적용하는 경우 피부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작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장력 저하로 인해 리프팅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581865호(2015.12.24 등록), 발명의 명칭: 의료용 봉합사 제조장치 및 봉합사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742658호(2017.05.26 등록), 발명의 명칭: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779922호(2017.09.13 등록), 발명의 명칭: 의료용 봉합사 제조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806150호(2017.12.01 등록), 발명의 명칭: 의료용 봉합사 제조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813509호(2017.12.22 등록), 발명의 명칭: 의료용 매선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선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합원사의 외주 표면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여러 형태의 매선실을 제조하던 종전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일시에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봉합원사의 외주 표면에 형성되는 홈이나 돌기를 암,수 금형에 의한 몰딩이나 프레스 혹은 컷팅 방식으로 선택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 방식의 매선실 제조기술에 비해 원가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과정에서의 불량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싼 값으로 제품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합원사가 감겨진 보빈이 장착되는 공급부 및 봉합원사의 외주면을 성형하기 위한 가공부를 포함하여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부는 봉합원사가 감겨진 보빈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판 상에 장착된 허브와,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되는 봉합원사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는 장구롤러와, 이송되는 봉합원사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롤러와, 이 텐션롤러로부터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아세탈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부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프레스기와, 이 프레스기의 하부 선단에 장착되는 상부 금형 및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하부 금형과,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절유닛과, 봉합원사를 꼬아주기 위한 회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유닛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 상에서 조절핸들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에 고정된 평판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봉합원사를 유지하는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유닛은 봉합원사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1에어척 및 이 제1에어척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봉합원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에어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부는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정해진 길이만큼 단계적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피딩롤러 및 누름롤러와, 이들로부터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아세탈롤러와, 이송되는 봉합원사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롤러와, 이 텐션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봉합원사를 일정 경로로 유도하기 위한 장구롤러와, 이 장구롤러로부터 봉합원사를 회수하기 위한 권취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에어척은 정,역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풀리 및 제2에어척에 장착된 풀리를 벨트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권취유닛은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감기 위한 보빈 및 이 보빈을 저속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이들 보빈 및 모터가 장착된 하우징이 스크류축에 장착되어 정,역모터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봉합원사의 공급 및 최종 회수까지의 전 과정을 자동화 설비에 의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봉합원사의 외주 표면을 수작업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탈피함으로써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봉합원사의 외주 표면에 형성되는 홈이나 돌기를 암,수 금형에 의한 몰딩이나 프레스 혹은 컷팅방식으로 선택하여 가공할 수 있으므로 금형 자체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형상의 매선실을 생산할 수 있다.
또, 종전의 봉합원사를 제조하는 기술에 비해 원가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생산과정에서의 불량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보다 싼 값으로 매선실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리프팅 시술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을 정면에서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3a, 도 3b는 이송되는 봉합원사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봉합원사를 가공하기 위한 프레스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a, 도 5b는 봉합원사의 중심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절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a, 도 6b는 봉합원사의 중심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절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a, 도 7b는 가공전 봉합원사를 꼬아주기 위한 회전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a, 도 8b는 가공된 봉합원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구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9a, 도 9b는 가공된 봉합원사를 회수하기 위한 권취유닛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인체의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매선실은, PDO(Polydioxanone), PCL(Polycaprolactone), PLLA(Poly-L-Lactic Acid) 등과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체 내에서 자연스럽게 녹아 흡수되는 봉합원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폴리카프로락톤(Poly carprolactone)의 코폴리머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봉합원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봉합원사는 체 내에 투입된 후 제거하지 않아도 되며, 시술 후에는 피부에 상처가 남지 않고 약간의 홍반만 존재할 뿐이어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고, 다양한 치료 효과와 더불어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피부과, 성형외과 등에서 성형 및 치료 목적으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봉합원사는 생체 비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즉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및 이들의 혼합물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 시스템은, 크게 봉합원사를 제공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 봉합원사의 외주면을 단계적으로 정해진 길이에 따라 성형하기 위한 가공부 및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부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가공이 행해지기 전의 봉합원사(P)는 보빈(10)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공급부를 구성하는 고정판(11) 상의 허브(12)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10)에 감겨진 봉합원사(P)는 장구롤러(13)를 거쳐 다시 텐션롤러(14) 및 아세탈롤러(15a,15b)에 감겨져 이송된다.
상기 장구롤러(13)의 경우, 보통 보빈(10)에 봉합원사(P)가 일정하게 감겨있지 않기 때문에 장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롤러의 경사면을 따라 봉합원사(P)가 안쪽으로 밀려들면서 일정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또, 상기 텐션롤러(14)에는 봉합원사(P)가 감겨진 상태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항상 하측방향으로 눌러주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봉합원사의 이송시에 일정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텐션롤러(14)는 고정판(16)에 장착된 수직 가이드바(17)에 조립된 하우징(18)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성을 갖게 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바(17)의 상,하측에 고정편(19a,19b)이 설치되어 텐션롤러(14)의 승,하강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인 오류로 인해 봉합원사(P)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센서(Sensor)의 감지를 통해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자동화 기기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여러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가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봉합원사(P)는 아세탈롤러(15a,15b)에 감겨져 이송되는데, 이 때 아세탈롤러(15a,15b)에는 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봉합원사(P)의 이송시에 중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중앙 위치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봉합원사(P)를 성형하기 위한 가공부는,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프레스기(20)와, 이 프레스기(20)의 하부 선단에 장착된 척(21)에 탈,부착되는 상부 금형(22A) 및 프레임(23) 상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 금형(22B)과, 상기 프레임(23)의 양측에 배치되어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절유닛(30A,30B)과, 상기 봉합원사(P)를 꼬아준 상태에서 가공하기 행한 회전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스기(20)는, 도시하지 않은 서보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척(21)이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작동하게 되고, 봉합원사(P)의 외주면을 상,하부 금형(22A,22B)이 합형(合型)되는 과정에서 표면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즉 1조의 암,수 금형(22A,22B)에 의한 몰딩이나 프레스방식 혹은 컷팅방식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봉합원사(P)의 외주면에 홈, 돌기, 가시 형상 등을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3)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조절유닛(30A,30B)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31)와, 이 베이스(31) 상에서 조절핸들(32)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테이블(33)과, 이 테이블(33)에 고정된 평판체(34)의 일측에 장착되어 봉합원사(P)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우측 조절유닛(30B)의 일측에는 고정블록(36)이 마련됨과 동시에 이 고정블록(36)의 상단부 중앙에 안내홈(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공해야 할 봉합원사(P)의 굵기에 따라 상,하부 금형(22A,22B)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도 7a,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40)은 상,하부 금형(22A,22B)의 합형에 의한 봉합원사(P)의 가공 전에 봉합원사(P)를 회전시켜 꼬아주기 위해 설치된다. 이 회동유닛(40)은 봉합원사(P)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1에어척(41a) 및 이 제1에어척(41a)에 의해 고정된 봉합원사(P)를 타측을 잡고 회전시키기 위한 제2에어척(41b)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1에어척(41a)은 일측 조절유닛(30A)을 구성하는 베이스(31) 상에 설치되어 에어 공급에 의해 죠오가 신축함에 따라 봉합원사(P)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제2에어척(41b)은 타측 조절유닛(30B)에 인접 배치되어 봉합원사(P)를 파지하게 된다.
이 제2에어척(41b)의 경우, 정,역회전하는 모터(42)를 포함하여 이 모터(42)의 회전축에 장착된 풀리(43b) 및 제2에어척(41b)에 장착된 풀리(43a)가 벨트(44)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봉합원사(P)의 한쪽을 잡고 다른 쪽을 회전시킴으로써 봉합원사(P)는 2∼3회 꼬아진 형태을 유지하게 되고, 이 때 상부 금형(22A)이 하강하여 하부 금형(22B)에 합형되는 과정에서 봉합원사(P)의 외주면에 대한 가공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제1 및 제2에어척(41a,41b)이 봉합원사(P)를 파지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봉합원사(P)를 회수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에어척(41a,41b)은 압축된 에어를 이용하여 척을 여닫아 공작물을 부착하거나 제거하는 장치로서, 이미 여러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설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이나 작용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가공부의 저면에는 상,하부 금형(22A,22B)에 의해 봉합원사(P)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스크랩(Scrap)을 처리하기 위한 블로어(2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블로어(24)의 가동에 의해 스크랩을 흡인하여 별도로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외주면에 가공이 행해진 봉합원사(P)는 회수부 측으로 이송된다. 이 회수부는 상,하부 금형(22A,22B)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P)를 정해진 길이만큼 단계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즉,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서보모터(50)에 의해 설정된 값만큼 회전하도록 고정판(51) 상에 피딩롤러(52A)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피딩롤러(52A)의 상측에는 실린더(53)의 작동시에 승,하강하는 누름롤러(52B)가 브라켓(54)을 개재하여 동일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P)는 피딩롤러(52A)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실린더(53)의 작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누름롤러(52B)에 의해 압착되고, 이 피딩롤러(52A)가 서보모터(50)의 설정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봉합원사(P)를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피딩롤러(52)의 인접 위치에는 아세탈롤러(55a,55b,55c) 및 봉합원사(P)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롤러(56)와, 이 텐션롤러(56)를 통해 이송되는 봉합원사(P)를 일정 경로로 유도하기 위한 장구롤러(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텐션롤러(56)의 경우, 봉합원사(P)가 공급되는 쪽에 설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고정판(51)에 장착된 수직 가이드바(58a)에 하우징(58b)이 조립됨과 동시에 이 하우징(58b)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성을 갖게 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바(58a)의 상,하측에 고정편(59a,59b)이 설치되어 텐션롤러(56)의 승,하강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계적인 오류로 인해 봉합원사(P)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의 감지를 통해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P)는 피딩롤러(52A)로부터 각각의 아세탈롤러(55a,55b,55c) 및 텐션롤러(56)와 장구롤러(57)를 거쳐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권취유닛(60) 측으로 이송된다.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권취유닛(60)은 봉합원사(P)가 감겨지는 보빈(61) 및 이 보빈(61)을 저속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보빈(61) 및 모터(62)는 하우징(63a)에 장착됨과 동시에 정,역 모터(64)의 가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65a)에 결속되어 있다.
즉, 하우징(63a)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63b)가 스크류축(65a) 및 이 스크류축(65a)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바(65b)에 결속됨에 따라 정,역 모터(64)의 가동시에 스크류축(65a)이 회전하면서 하우징(63a) 및 몸체(63b)를 안정적으로 전,후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빈(61)은 정,역 모터(64)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63a)이 전,후로 서서히 왕복 이동함으로써 봉합원사(P)를 보빈(61)의 전체 면에 걸쳐 골고루 감겨지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에 의하면, 봉합원사의 공급 및 최종 회수과정을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봉합원사의 외주 표면을 수작업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봉합원사의 외주 표면에 형성되는 홈이나 돌기를 암,수 금형에 의한 몰딩이나 프레스 혹은 컷팅방식으로 선택하여 가공할 수 있으므로 금형 자체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형상의 매선실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 종전의 매선실 제조기술에 비해 원가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생산과정에서의 불량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싼 값으로 매선실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보빈 11: 고정판
12: 허브 13: 장구롤러
14: 텐션롤러 15a,15b: 아세탈롤러
16: 고정판 17: 수직 가이드바
18: 하우징 19a,19b: 고정편
20: 프레스기 21: 척
22A: 상부 금형 22B: 하부 금형
23: 프레임 24: 블로어
30A,30B: 조절유닛 31: 베이스
32: 조절핸들 33: 테이블
34: 평판체 35: 가이드롤러
36: 고정블록 37a: 안내홈
40: 회전유닛 41a: 제1에어척
41b: 제2에어척 42: 모터
43a,43b: 풀리 44: 벨트
50: 서보모터 51: 고정판
52A: 피딩롤러 52B: 누름롤러
53: 실린더 54: 브라켓
55a,55b,55c: 아세탈롤러 56: 텐션롤러
57: 장구롤러 58a: 수직 가이드바
58b: 하우징 59a,59b: 고정편
60: 권취유닛 61: 보빈
62: 모터 63a: 하우징
63b: 몸체 64: 정,역 모터
65a: 스크류축 65b: 수평 가이드바

Claims (3)

  1. 봉합원사가 감겨진 보빈이 장착되는 공급부 및 봉합원사의 외주면을 성형하기 위한 가공부를 포함하여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권취하기 위한 회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부는, 봉합원사가 감겨진 보빈(10)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판(11) 상에 장착된 허브(12)와,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되는 봉합원사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는 장구롤러(13)와, 이송되는 봉합원사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롤러(14)와, 이 텐션롤러로부터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아세탈롤러(15a,15b)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부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프레스기(20)와, 이 프레스기의 하부 선단에 장착되는 상부 금형(22A) 및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하부 금형(22B)과, 프레임(23)의 양측에 배치되어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절유닛(30A,30B)과, 봉합원사를 꼬아주기 위한 회전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유닛(30A,30B)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31)와, 이 베이스 상에서 조절핸들(32)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테이블(33)과, 이 테이블에 고정된 평판체(34)의 일측에 장착되어 봉합원사를 유지하는 가이드롤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유닛(40)은 봉합원사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1에어척(41a) 및 이 제1에어척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봉합원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에어척(4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부는,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정해진 길이만큼 단계적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피딩롤러(52A) 및 누름롤러(52B)와, 이들로부터 봉합원사의 이송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아세탈롤러(55a∼55c)와, 이송되는 봉합원사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롤러(56)와, 이 텐션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봉합원사를 일정 경로로 유도하기 위한 장구롤러(57)와, 이 장구롤러로부터 봉합원사를 회수하기 위한 권취유닛(6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척(41b)은 정,역회전하는 모터(42)를 포함하여 이 모터(42)의 회전축에 장착된 풀리(43b) 및 제2에어척(41b)에 장착된 풀리(43a)를 벨트(44)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유닛(60)은 가공이 완료된 봉합원사를 감기 위한 보빈(61) 및 이 보빈을 저속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2)를 포함하여 이들 보빈 및 모터가 장착된 하우징(63a)이 스크류축(65a)에 장착되어 정,역모터(64)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KR1020180068448A 2018-06-14 2018-06-14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KR10201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448A KR102013661B1 (ko) 2018-06-14 2018-06-14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448A KR102013661B1 (ko) 2018-06-14 2018-06-14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661B1 true KR102013661B1 (ko) 2019-08-23

Family

ID=6776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448A KR102013661B1 (ko) 2018-06-14 2018-06-14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719A (zh) * 2021-10-28 2022-01-07 嵊州市马牌机械有限公司 一种自吸式纱线磨毛机
CN115559028A (zh) * 2022-09-28 2023-01-03 南京普立蒙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更小针线直径比值的上针缝合线的设备及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577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두창 가발용 고내열사의 제조방법
KR101550103B1 (ko) * 2013-11-07 2015-09-03 김춘동 수술용 실의 돌기 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581865B1 (ko) 2014-12-26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봉합사 제조 방법
KR101742658B1 (ko) 2016-02-24 2017-06-01 조승현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779922B1 (ko) 2017-01-04 2017-09-19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101806150B1 (ko) 2017-01-04 2017-12-07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101813509B1 (ko) 2016-12-08 2017-12-29 정의택 의료용 매선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선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577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두창 가발용 고내열사의 제조방법
KR101550103B1 (ko) * 2013-11-07 2015-09-03 김춘동 수술용 실의 돌기 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581865B1 (ko) 2014-12-26 2015-12-3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봉합사 제조 방법
KR101742658B1 (ko) 2016-02-24 2017-06-01 조승현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813509B1 (ko) 2016-12-08 2017-12-29 정의택 의료용 매선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선실
KR101779922B1 (ko) 2017-01-04 2017-09-19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101806150B1 (ko) 2017-01-04 2017-12-07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719A (zh) * 2021-10-28 2022-01-07 嵊州市马牌机械有限公司 一种自吸式纱线磨毛机
CN115559028A (zh) * 2022-09-28 2023-01-03 南京普立蒙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更小针线直径比值的上针缝合线的设备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661B1 (ko) 의료용 매선실의 가공 시스템
US9949736B2 (en) Apparatus for forming cogs on surgical thread and method therefor
CN104178940B (zh) 一种全自动取送料缝纫机的拿取布料装置
KR101870110B1 (ko) 의료용 매선실의 제조설비
KR20200000816A (ko)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CN108374235A (zh) 一种用于经编机的卷筒固定装置
KR100880679B1 (ko) 주름살 제거용 특수사 제조장치
KR101903336B1 (ko) 주름진 피부 리프팅 시술용 봉합사 제조방법 및 주름진 리프팅 시술용 봉합사
KR20200012544A (ko) 백토를 이용한 합성수지 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123160B1 (ko) 의료용 매선실 제조설비에 있어서의 몰딩프레스 금형가공장치
KR101781268B1 (ko) 돌기를 가진 매선로프 제조장치
KR101908386B1 (ko) 의료용 매선실 제조설비에 있어서의 매선실 성형유닛
KR20160044339A (ko) 형상 기억 생체 흡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의료용 매선로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와 그 제품
KR101796480B1 (ko) 흡수성 봉합사 제조 장치
CN205671471U (zh) 一种香烟生产专用切丝机
CN215976190U (zh) 一种多轴高速同步植针机
CN213896248U (zh) 一种超细纤维合成革缝合装置
CN205774983U (zh) 一种塑料编织袋原料高效破碎装置
CN211112580U (zh) 缝纫机的条带松紧度调节机构
CN114533158A (zh) 一种整形手术使用的切口缝合技术装置
CN111588445A (zh) 一种带有缝合功能的黏膜下悬雍垂腭咽成形术刀具
KR101950232B1 (ko)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11125386A (ja) ミシン
CN219951534U (zh) 一种有机棉毛巾加工用原料裁剪设备
KR102418274B1 (ko) 누점 플러그용 봉합사 자동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