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18B1 -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618B1
KR102013618B1 KR1020190016764A KR20190016764A KR102013618B1 KR 102013618 B1 KR102013618 B1 KR 102013618B1 KR 1020190016764 A KR1020190016764 A KR 1020190016764A KR 20190016764 A KR20190016764 A KR 20190016764A KR 102013618 B1 KR102013618 B1 KR 10201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nting
handling
gripping portion
prin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현
Original Assignee
임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현 filed Critical 임병현
Priority to KR102019001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05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aiming at correctin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인쇄대상물이 위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투입부; 둘레방향 회전하는 소정 형상의 통형상 회전체로서 회전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투입부의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받아 배출하는 경유부; 및 다수의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경유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경유부를 경유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인쇄가공하기 위한 인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의 상기 거치부는 상방유동과 하방유동을 통해 상기 인쇄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인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쇄 대상물에 대한 인쇄 불량을 방지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 가공 전반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린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린팅 장치{PRINTING APPARATUS}
프린팅 장치(예 : 드럼형 잉크젯 프린팅 장치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대상물에 대한 인쇄 불량을 방지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 가공 전반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 대상물에 대한 인쇄기술들 중 예컨대 잉크젯 프린팅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고속 인쇄기술도 그 가운데 하나로서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고속인쇄 기술은 고속인쇄에 따른 인쇄품질의 저하현상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고속인쇄기술 외에도 다양한 인쇄기술들은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결국 인쇄 대상물에 대한 인쇄 가공 전반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부분은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어느 한 부분으로 치중되는 것이 아니라, 투입에서부터 배출에 이르는 인쇄가공 전반에서의 인쇄 가공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품질과 작업성 중 어느 하나에 치중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모두 만족시켜 품질과 작업성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4282호
본 발명은 인쇄 대상물에 대한 인쇄 불량을 방지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 가공 전반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린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인쇄대상물이 위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투입부; 회전체로서 회전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투입부의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받아 배출하는 경유부; 및 다수의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경유부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경유부를 경유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인쇄가공하기 위한 인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의 상기 거치부는 상방유동과 하방유동을 통해 상기 인쇄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인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대상물에 대한 인쇄 불량을 방지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 가공 전반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린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구성부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28은 도 1에 따른 프린팅 장?의 구성부들을 도시한 사진들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 1에 따른 구성부들 중 경유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도 1에 따른 인쇄대상물의 배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에 따른 구성부들 중 인쇄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구성부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28은 도 1에 따른 프린팅 장?의 구성부들을 도시한 사진들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 1에 따른 구성부들 중 경유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도 1에 따른 인쇄대상물의 배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에 따른 구성부들 중 인쇄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장치는, 투입부(110), 경유부(120), 인쇄부(130), 제1 취급부(140), 압축에어분사부(150), 제전부(160), 흡입부(165), 제2 취급부(170), 배출부(180), 승강보조부(191), 제1 모니터링부(192), 제2 모니터링부(193), 인쇄대상물감지부, 건조부(194)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110)는 거치부(111), 정렬부(112), 푸시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경유부(140)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는 제1 파지부(121), 제2 파지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지부(121)는 제1-1 파지부(121a), 제1-2 파지부(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파지부(122)는 제2-1 파지부(122a), 제2-2 파지부(1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파지부(141a)는 제1-1 몸체부(a11), 제1-1 락킹부(b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락킹부(b11)는 제1-1 돌출편(T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파지부(141b)는 제1-2 몸체부(a21), 제1-2 락킹부(b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락킹부(b21)는 제1-2 돌출편(T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1 파지부(142a)는 제2-1 몸체부(a21), 제2-1 락킹부(b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락킹부(b21)는 제2-1 돌출편(T21)울 포함한다. 상기 제2-2 파지부(142b)는 제2-2 몸체부(a22), 제2-2 락킹부(b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2 락킹부(b22)는 제2-2 돌출편(T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는 틸트부(140a), 픽업부(140b), 밀착가압부(143), 제2 틸트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110)는 인쇄대상물이 투입받는 곳으로서,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거치부(111)는 인쇄대상물이 투입을 위해 거치된다.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거치부(111)는 상방유동과 하방유동을 통해 상기 인쇄대상물의 초기 및 다음 후공정으로의 이동 가운데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거치부(111)는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이르도록 일정 높이까지 승강한다. 인쇄대상물은 상기 투입부(110)에서 정렬되어,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도달하는 것이다.
인쇄대상물은 기본적으로 상기 거치부(111)는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이르도록 일정 높이까지 승강하는 중에 상기 투입부(110)에 의하여 상기 인쇄대상물이 정렬된다.
인쇄대상물은 상기 거치부(111)에 초기 거치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상기 거치부(111)의 승강에 이르는 과정 중에서 일회 정렬되거나, 다수 반복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인쇄대상물의 정렬은 상기 정렬부(112), 상기 푸시부(1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정렬부(112)는 상기 인쇄대상물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푸시부(113)는 상기 각 정렬부(112)를 푸시(push)하여 상기 정렬부(112)가 상기 인쇄대상물을 정렬시키도록 한다.
상기 경유부(120)는 둘레방향 회전하는 소정 형상의 통형상(예: 드럼형 등) 회전체로서 회전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거치부(111)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받아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유부(120)의 상기 파지부는 유입된 인쇄대상물을 파지한다.
상기 인쇄부(130)는 상기 인쇄 인쇄대상물을 인쇄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경유부(120)를 경유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인쇄가공하도록 상기 경유부(120)와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인쇄부(130)는 상기 경유부(120)를 기준으로 측면에서 상기 경유부(120)측으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부(130)는 상기 경유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부영역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영역에는 인쇄수단(예 : 헤드 등)이 구비된다. 하부영역은 측면으로부터 일정 위치까지의 진퇴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인쇄부(130)의 외측으로 대향한 채, 인쇄부(130)에 거치되는 인쇄대상물과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인쇄가공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는 인쇄대상물(예: 투입방향 전단부 등)을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유부(120)는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 받는다.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틸트부(140a)는 수평방향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픽업부(140b)는 인쇄대상물과 대항하는 상기 틸트부(140a)의 길이방향 영역에 구비되어, 하부의 상기 인쇄대상물을 흡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거치부(111)는 인쇄대상물이 다층으로 적재되어 있으며, 인쇄대상물들 중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이르도록 일정 높이까지 승강한다.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는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을 흡착하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틸트부(140a)는 상기 경유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틸트된다.
상기 틸트부(14)의 틸트를 통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가 상기 경유부(120)측으로 유동되어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경유부(120)로 이송되어진다.
상기 거치부(111)의 인쇄대상물들 중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은 상면부가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도달하면, 상기 픽업부(140b)에 의하여 흡착된다.
상기 압축에어분사부(150)는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픽업부(140b)에 흡착되면, 최상단 인쇄대상물과 나머지 인쇄대상물 중 적어도 일부와의 부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최상단 인쇄대상물을 향하여 압축 에어를 분사한다. 상기 제전부(160) 는 상기 거치부(111)와 상기 경유부(1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대상물에 대한 정전기를 제거시킨다.
상기 제1 취급부(140)는 상기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도달하여 상기 픽업부(140b)에 의하여 상면부가 흡착된 상태에서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틸트부(140a)는 상기 제1 취급부(140)의 하강 이후에 상기 경유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틸트된다.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는 상기 틸트부(140a)의 틸트에 기반하여 상기 경유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픽업부(140b)에 의하여 인쇄대상물의 전단부가 상기 경유부(120)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경유부(120)는 상기 파지부를 통해 인쇄대상물이 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밀착가압부(143)는 상기 픽업부(140b)에 의하여 상기 경유부(120)측으로 유입되는 인쇄대상물을 상기 파지부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제2 틸트부(144)는 상기 밀착가압부(143)을 틸트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경유부(120)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밀착가압부(143)를 통해 상기 인쇄대대상물이 밀착되면, 상기 인쇄대상물을 파지한다.
상기 제1 파지부(141)의 상기 제1-1 파지부(141a)는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일단을 파지하며, 상기 제1-2 파지부(141b)는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후단을 파지한다.
상기 제2 파지부(142)의 상기 제2-1 파지부(142a)는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일단을 파지하며, 상기 제2 파지부(142)의 상기 제2-2 파지부(142b)는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후단을 파지한다.
상기 제1-2 파지부(141b)와 상기 제2-1 파지부(142a)는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1-1 파지부(141a)와 상기 제2-2 파지부(142b)는 상호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1 파지부(141a)와 상기 제2-1 파지부(142a)는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2 파지부(141b)와 상기 제2-2 파지부(142b)는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경유부(120)의 외주면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1 파지부(141a)와 상기 제1-2 파지부(141b)에 의하여 인쇄대상물이 거치된다.
상기 경유부(120)의 외주면 둘레부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1 파지부(142a)와 상기 제2-2 파지부(142b)에 의하여 추가 투입된 제2 인쇄대상물이 거치된다. 인쇄대상물과 제2 인쇄대상물은 상기 경유부(120)에 순차적으로 거치되어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 취급부(170)는 상기 인쇄부(130)를 통하여 인쇄가공을 거친 인쇄대상물을 상기 경유부(120)로부터 탈거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취급부(170)는 상기 경유부(120)의 회전을 통해 상기 경유부(120)의 상기 제1-1 파지부(141a)가 배출되는 측으로 이르도록 이동한다.
상기 경유부(120)의 상기 제1-1 파지부(141a)가 배출되는 측으로 이동된 제2 취급부는 상기 제1-1 파지부(141a)가 릴리즈되면, 상기 경유부(120)로부터 인쇄대상물을 픽업하여 배출 목적지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1 락킹부(b11)는 상기 제1-1 몸체부(a11)로부터 일정하게 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1-1 락킹부(b11)는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1 인쇄대상물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1-1 몸체부(a11)측으로 안착되면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제1-1 몸체부(a11)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1-1 락킹부(b11)는 제1-1 돌출편(T11)으로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한다. 상기 제1-1 락킹부(b11)는 상기 제1-1 몸체부(a11)의 상방에서 상기 제1-1 몸체부(a11)의 외부측으로 열려져 개방되며 상기 제1-1 돌출편(T11)은 하부측을 향하는 상태인 제1-1 개방상태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1-1 몸체부(a11)의 내부측으로 닫혀져 수용되며 상기 제1-1 돌출편(T11)은 상기 제1-1 몸체부(a11)의 외측에 접하는 상태인 제1-1 폐쇄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1-1 개방상태의 상기 제1-1 돌출편(T11)에 의하여 내부측으로 일정하게 가이드되어 외부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1-1 돌출편(T11)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제1-1 돌출편(T11)과 상기 제1-1 몸체부(a11)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1-1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출편(T11)에 의하여 상기 제1-1 몸체부(a11)로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제1-2 락킹부(b21)의 상기 제1-2 돌출편(T12)은 는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한다. 상기 제1-2 락킹부(b21)는 상기 제1-2 몸체부(a21)의 상방에서 상기 제1-2 몸체부(a21)의 외부측으로 열려져 개방되며 상기 제1-2 돌출편(T12)은 하부측을 향하는 상태인 제1-2 개방상태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1-2 몸체부(a21)의 내부측으로 닫혀져 수용되며 상기 제1-2 돌출편(T12)은 상기 제1-2 몸체부(a21)의 외측에 접하는 상태인 제1-2 폐쇄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1-2 개방상태의 상기 제1-2 돌출편(T12)에 의하여 내부측으로 일정하게 가이드되어 외부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1-2 돌출편(T1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제1-2 돌출편(T12)과 상기 제1-2 몸체부(a21)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1-2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출편(T12)에 의하여 상기 제1-2 몸체부(a21)로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제2-1 파지부(142a)의 제2-1 락킹부(b21)는 상기 제2-1 몸체부(a21)로부터 일정하게 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2-1 락킹부(b21)는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2-1 몸체부(a21)측으로 안착되면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제2-1 몸체부(a21)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2-1 락킹부(b21)의 상기 제2-1 돌출편(T21)은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한다. 상기 제2-1 락킹부(b21)는 상기 제2-1 몸체부(a21)의 상방에서 상기 제2-1 몸체부(a21)의 외부측으로 열려져 개방되며 상기 제2-1 돌출편(T21)은 하부측을 향하는 상태인 제2-1 개방상태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2-1 몸체부(a21)의 내부측으로 닫혀져 수용되며 상기 제2-1 돌출편(T21)은 상기 제1-1 몸체부(a11)의 외측에 접하는 상태인 제2 폐쇄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2-1 개방상태의 상기 제2-1 돌출편(T21)에 의하여 내부측으로 일정하게 가이드되어 외부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2-1 돌출편(T21)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제2-1 돌출편(T21)과 상기 제2-1 몸체부(a21)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2-1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출편(T21)에 의하여 상기 제2-1 몸체부(a21)로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제2-2 파지부(142b)의 상기 제2-2 락킹부(b22)는 상기 제2-2 몸체부(a22)로부터 일정하게 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2-2 몸체부(a22)측으로 안착되면, 상기 제2-2 락킹부(b22)는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제2-2 몸체부(a22)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2-2 락킹부(b22)의 상기 제2-2 돌출편(T22)은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한다. 상기 제2-2 락킹부(b22)는 상기 제2-2 몸체부(a22)의 상방에서 상기 제2-2 몸체부(a22)의 외부측으로 열려져 개방되며 상기 제2-2 돌출편(T22)은 하부측을 향하는 상태인 제2-2 개방상태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2-2 몸체부(a22)의 내부측으로 닫혀져 수용되며 상기 제2-2 돌출편(T22)은 상기 제2-2 몸체부(a22)의 외측에 접하는 상태인 제2-2 폐쇄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된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2-2 개방상태의 상기 제2-2 돌출편(T22)에 의하여 내부측으로 일정하게 가이드되어 외부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2 돌출편(T2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제2-2 돌출편(T22)과 상기 제2-2 몸체부(a22)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은 상기 제2-2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출편(T22)에 의하여 상기 제2-2 몸체부(a22)로 가압 고정된다.
상기 배출부(180)는 상기 제2 취급부(170)에 의하여 배출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부(180)는 상기 경유부(120)로부터 상기 제2 취급부(170)에 의하여 픽업된 상기 인쇄대상물이 거치된다.
상기 배출부(180)는 거치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목적지로 이송시키며, 이송목적지에 대응하여 승강과 하강을 통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모니터링부(192)는 상기 경유부(120)에서 상기 제1 인쇄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 각각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인쇄대상물감지센서는 상기 경유부(120)에 상기 제1 인쇄대상물과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거치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2 모니터링부(193)는 상기 경유부(120)에서 상기 인쇄대상물 적어도 일부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거치부(111)의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의 상면부가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0b)에 도달하여 상기 픽업부(140b)에 의하여 흡착되면, 최상단 인쇄대상물과 나머지 인쇄대상물 중 적어도 일부와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최상단 인쇄대상물을 향하여 압축 에어를 분사한다.
상기 제전부(160)는 상기 거치부(111)와 상기 경유부(1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대상물에 대한 정전기를 제거를 수행한다. 상기 흡입부(165)는 상기 경유부(120)에 거치되어 인쇄가공이 수행된 상기 인쇄대상물에 잔존하는 잔여 대상물을 제거한다.
상기 승강보조부(191)는 상방 유동과 하방 유동에 따른 높이조절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취급부(140)에 픽업되어 상기 경유부(120)로 경유되는 인쇄대상물의 전진단을 가이드한다. 상기 건조부(194)는 상기 경유부(120)에서 상기 인쇄부(130)를 통해 인쇄가공된 상기 인쇄대상물에 대하여 조명을 조사하여 상기 인쇄대상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카메라부(CM1)와, 상기 제2 카메라부(CM2)는 인쇄대상물(예 : 용지 등)의 서단 모서리를 측정하여 정렬상태를 체크한다. 이를 이후 공정전반에 활용하여 응용동작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투입부 120 : 경유부
130 : 인쇄부 140 : 제1 취급부
150 : 압축에어분사부 160 : 제전부
165 : 흡입부 170 : 제2 취급부
180 : 배출부 190 : 배출 목적지
TB : 벨트부 TM : 틸트모터
US : 상한확인센서 SH : 인쇄 잉크 배출받이
IH : 잉크헤드 SN : 회전엔코더
PL : 진공 배관라인 LM : 모터(조명장치 이송용)
GR :용지 배출 가이드 롤 I : 용지 투입측
O : 용지 배출측 ISP : 인장 스프링
DM :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드럼 회전용)

Claims (10)

  1.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인쇄대상물이 위치되는 거치부(111)를 포함하는 투입부(110);
    둘레방향 회전하는 소정 형상의 통형상 회전체로서 회전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거치부(111)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받아 배출하는 경유부(120);
    다수의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경유부(120)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경유부(120)를 경유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인쇄가공하기 위한 인쇄부(130); 및
    상기 인쇄대상물의 투입방향측 전단부를 픽업하기 위한 제1 취급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거치부(111)는 상방유동과 하방유동을 통해 상기 인쇄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경유부(120)는 상기 제1 취급부(140)를 통하여 픽업되는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받으며,
    상기 제1 취급부(140)는,
    수평방향으로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부(141)와,
    상기 인쇄대상물과 대항하는 상기 틸트부(141)의 길이방향 영역에 구비되어, 하부의 상기 인쇄대상물을 흡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픽업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11)는 인쇄대상물이 다층으로 적재되어 있으며,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2)에 이르도록 일정 높이까지 승강하며,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2)는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을 흡착하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틸트부(141)는 상기 경유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2)가 상기 경유부(120)측으로 유동되어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경유부(120)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취급부(140)는 상기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2)에 도달하여 상기 픽업부(142)에 의하여 상면부가 흡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틸트부(141)는 상기 제1 취급부(140)의 하강 이후에 상기 경유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틸트되며,
    상기 경유부(120)는 유입된 인쇄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2)는 상기 틸트부(141)의 틸트에 기반하여 상기 경유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픽업부(142)에 의하여 인쇄대상물의 전단부가 상기 경유부(120)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경유부(120)는 상기 파지부를 통해 인쇄대상물이 거치되도록 하며,
    상기 경유부(120)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인쇄대상물 중 제1 인쇄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힌 제1 파지부(141)와,
    상기 인쇄대상물 중 제2 인쇄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141)는,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일단을 파지하는 제1-1 파지부(141a)와, 상기 제1 인쇄대상물의 후단을 파지하는 제1-2 파지부(141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지부(142)는,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일단을 파지하는 제2-1 파지부(142a)와, 상기 제2 인쇄대상물의 후단을 파지하는 제2-2 파지부(14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파지부(141b)와 상기 제2-1 파지부(142a)는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1-1 파지부(141a)와 상기 제2-2 파지부(142b)는 상호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1 파지부(141a)와 상기 제2-1 파지부(142a)는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파지부(141b)와 상기 제2-2 파지부(142b)는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쇄부(130)를 통하여 인쇄가공을 거친 인쇄대상물을 상기 경유부(120)로부터 탈거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취급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취급부(170)는,
    상기 경유부(12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1 파지부(141a)가 배출 목적지 방향에 이르러 상기 제1-1 파지부(141a)가 릴리즈되면, 상기 경유부(120)로부터 인쇄대상물을 픽업하여 배출 목적지로 이송시키는 것인 프린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는,
    상기 인쇄대상물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한쌍의 정렬부(112)와, 상기 각 정렬부(112)를 푸시(push)하여 상기 정렬부(112)가 상기 인쇄대상물을 정렬시키도록 하기 위한 푸시부(1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11)는 제1 취급부(140)의 픽업부(142)에 이르도록 일정 높이까지 승강하는 중에 상기 투입부(110)에 의하여 상기 인쇄대상물이 정렬되어, 최상단의 인쇄대상물이 상기 제1 취급부(140)의 상기 픽업부(142)에 도달하는 것인 프린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푸시부(113)는 상기 정렬부(112)가 개별 유동되도록 개별적으로 푸시하거나 상기 정렬부(112)들 상호간이 함께 유동되도록 동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인쇄대상물을 취급하는 것인 프린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취급부(170)는,
    상기 경유부(12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1 파지부(142a)가 배출 목적지 방향에 이르러 상기 제2-1 파지부(142a)가 릴리즈되면, 상기 경유부(120)로부터 제2 인쇄대상물을 픽업하여 배출 목적지로 이송시키는 것인 프린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6764A 2019-02-13 2019-02-13 프린팅 장치 KR10201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64A KR102013618B1 (ko) 2019-02-13 2019-02-13 프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64A KR102013618B1 (ko) 2019-02-13 2019-02-13 프린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618B1 true KR102013618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64A KR102013618B1 (ko) 2019-02-13 2019-02-13 프린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763A1 (en) * 2004-02-18 2005-08-18 Mccarthy Robert Media handling
KR100644282B1 (ko) 2005-01-11 2006-11-10 정영환 잉크젯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JP2013022867A (ja) * 2011-07-22 2013-02-04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20170132668A (ko) * 2016-05-24 2017-12-04 정환섭 양면 인쇄가 가능한 시트 인쇄 장치를 이용한 양면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763A1 (en) * 2004-02-18 2005-08-18 Mccarthy Robert Media handling
KR100644282B1 (ko) 2005-01-11 2006-11-10 정영환 잉크젯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JP2013022867A (ja) * 2011-07-22 2013-02-04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20170132668A (ko) * 2016-05-24 2017-12-04 정환섭 양면 인쇄가 가능한 시트 인쇄 장치를 이용한 양면 인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220B2 (ja)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67589A (ja) 版給排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刷版作成装置
EP2551122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1615869B1 (ko) 반송 장치
US20150378301A1 (en) Image forming device
KR102013618B1 (ko) 프린팅 장치
JP2014181130A (ja) 画像形成装置
WO2014136512A1 (ja) 画像形成装置
JP4676070B2 (ja) 枚葉印刷機
JP5980622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7087B2 (ja) シート状物排出装置
JP2010221092A (ja) 葉状農作物選別装置
JP4722211B2 (ja) 不良品排紙装置
JP6400493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カード搬送装置、及び印刷方法
JP2000292368A (ja) 品質検査装置
JP3615976B2 (ja) 枚葉印刷機の印刷品質検査システム及び印刷品質制御装置
JP4187344B2 (ja) 印刷画像検査装置
JP2007098761A (ja) 枚葉紙搬送ベルトコンベヤ及び枚葉紙搬送方法、並びにコンベヤ式uv乾燥装置
JP6016591B2 (ja) 画像形成装置
CN115319300B (zh) 基板打标设备
WO2022254968A1 (ja) バキューム搬送装置及びワーク選別装置
JP6324917B2 (ja) 液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216200A (ja) 枚葉紙集積機構および枚葉印刷機
JPH06255863A (ja) 厚紙分別収納方法とその装置
JPWO2014136631A1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