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571B1 -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571B1
KR102013571B1 KR1020180002705A KR20180002705A KR102013571B1 KR 102013571 B1 KR102013571 B1 KR 102013571B1 KR 1020180002705 A KR1020180002705 A KR 1020180002705A KR 20180002705 A KR20180002705 A KR 20180002705A KR 102013571 B1 KR102013571 B1 KR 10201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matode
nematodes
composition
dimethyl decanam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673A (ko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Priority to KR102018000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5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0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는 소나무재선충 또는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충 활성이 우수하여 농경지, 삼림지, 저장물의 보호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속에서 유해 곤충 및 병충의 제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controlling nematodes comprising N,N-dimethyl decanamide as effective component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선충은 모든 흙 속에 존재하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식물 기생 선충의 경우 대부분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선충의 모양은 실같이 가늘고 마디가 없으며, 물이 없는 곳에서 뱀처럼 움직이며 살아간다. 식물 기생선충의 경우 식물의 꽃눈,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위에 기생하며, 특히 뿌리 부위에 발생하는 선충의 경우 작물의 생육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은 1850년대 영국에서 재배중인 오이 뿌리혹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90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다. 뿌리혹선충은 토양에 서식하면서 식물의 뿌리 내부에 기생하며 영양분을 흡수하고 혹(gall)을 형성함으로써, 식물의 수분과 양분의 흡수를 저해시켜 영양결핍 증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뿌리혹선충은 주로 노지나 시설재배지의 오이, 수박, 참외, 토마토, 멜론 등의 과채류와 당귀, 더덕, 인삼, 천궁과 같은 약용식물 등 넓은 범위의 경제작물에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등록된 2011년도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채소류의 재배면적(260,507 ha) 중 과채류의 재배면적은 54,012 ha로써, 그 중 약 80%를 차지하는 43,664 ha에서 시설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시설재배 면적이 증가하여 겨울에도 연작 재배를 함에 따라 아열대 지방에 적응하는 뿌리혹선충의 발생이 증가하여 그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1905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발생하여 일본의 소나무림 대부분을 고사시켰고,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부산에서 최초로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2017년 4월에는 109개 시군구에서 99만본의 소나무류가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로 고사되었다.
소나무재선충은 분류학상으로 후생동물아계(Metazoa), 진정후생동물(Eumetazoa), 좌우대칭동물(Bilateria), 의체강동물(Pseudocoelomata), 선충문(Nematoda, Nemata)에 속하는 동물로서 실모양을 하고 있다. 길이는 1 mm도 안되지만 번식력이 우수하여 한 쌍이 20일 만에 20만 마리로 늘어날 정도이다. 소나무재선충은 스스로 나무에 침입하거나 나무 사이를 이동할 수 없고 반드시 매개충을 통해야만 가능하다.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또는 북방솔수염하늘소(M. saltuarius)는 주로 병든 소나무나 잣나무를 선택하여 알을 낳는데, 매개충이 재선충에 감염된 나무에 알을 낳을 경우 봄에 알이 번데기로 될 때 알 주위에 소나무재선충이 모이게 되고, 매개충이 5월 중순~7월 하순 동안 우화(羽化)할 때 매개충의 몸에 붙어 있던 재선충도 함께 이동한다. 목질부를 탈출한 매개충은 건전한 나무의 새로 자란 가지(1~2년생 가지)를 주로 갉아 먹으며, 이 때 생긴 상처에 의해 소나무재선충이 감염될 수 있고 병든 소나무의 경우 잎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보통 1년 안에 말라죽게 된다.
이러한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1) 건전한 나무에 살선충약제의 예방적인 수간 주입, 2) 매개충 방제를 위한 합성 살충제 또는 길항 미생물의 항공 살포, 3) 감염목으로부터 재선충과 매개충을 방제하기 위한 감염목의 파쇄, 연소 및 훈증 등의 방법이 있다. 하지만 수간 주입법과 감염목 방제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높은 산악지대에 있는 소나무림에 대한 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 못한다. 합성 살충제의 경우 매개충이 주로 활동하는 5월~7월에 항공 살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는 하나, 합성 살충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도시 및 인근 지역에 살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길항 미생물의 살포에 의한 친환경적인 매개충 방제 방법도 있지만, 아직 합성 살충제에 비하여 효과가 떨어져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유기합성농약의 효과는 우수하지만 지속적인 사용과 남용으로 인한 유익충의 감소, 저항성 발달 및 인축에 대한 독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나무주사용 약제는 모란텔 타트레이트(Morantel tartrate), 아바멕틴(abamectin),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밀베멕틴(Milbemectin)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비교적 약제의 가격이 비싸 대면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어 대면적 방제를 목적으로 하는 저렴한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795781호에는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 효과를 가지는 혼합 균주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7-0092142호에는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N,N-디메틸 데칸아미드가 소나무재선충과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및 선충 증식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유효량을 식물부위, 식물이 식재된 토양 또는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N,N-디메틸 데칸아미드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또는 뿌리혹선충의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는 소나무재선충 또는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충 활성이 우수하므로, 작물의 성장을 분화시키고 수확을 감소시켜 작물을 고사하게 만드는 식물 병원성 선충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소나무재선충에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처리한 군(A)과 처리하지 않은 군(B)의 생장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8002547900-pat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천연 소재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분리하거나, 공지의 화학적 합성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시예를 통해 살선충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살선충 방제 조성물은 해충의 선충들에 대한 방제 효력을 나타내어 살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이 효과를 발휘하는 해충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자바니카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등의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속 선충,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감자썩이선충(Ditylelenchus destructor), 마늘줄기선충(Ditylelenchus dipsaci) 등의 줄기구근선충(Ditylelenchus)속 선충, 딸기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penetrans), 국화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fallax), 커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cffeae), 차나무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loosi), 사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vulnus) 등의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속 선충,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 rostochiensis), 감자흰시스트선충(Globodera pallida) 등의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속 선충, 콩시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사탕무시스트선충(Heterodera shachtoii) 등의 콩시스트선충(Heterodera)속 선충,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국화잎선충(Aphelenchoides ritzemabosi), 딸기잎선충(Aphelenchoides fragarieae) 등의 잎선충(Aphelenchoides)속 선충, 귀리둥근꼬리선충(Aphelenchus avenae) 등의 둥근꼬리선충(Aphelenchus)속 선충, 바나나뿌리썩이선충(Radopholus similis) 등의 뿌리썩이선충(Radopholus)속 선충, 귤나무선충(Tylenchulus semipenetrans) 등의 감귤선충(Tylenchulus)속 선충, 고구마선충(Rotylenchulus reniformis) 등의 고구마선충(Rotylenchulus)속 선충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뿌리혹선충 또는 소나무재선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선충 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그것은 임의의 기타 성분들의 첨가없이 화합물 자체 또는 염산이나 황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과 같은 유기산과의 농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기체 담체 또는 유인물과 혼합하거나, 염기성 물질, 예컨대 다공질 세라믹 플레이트 또는 부직포에 흡수시킨 후, 계면활성제 및 필요한 경우, 기타 보조제들을 첨가하여, 이를 각종 형태들, 예를 들어 오일 스프레이,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 증기화가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 제형물,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수지 제형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상기 각 제형물들은 통상 유효성분으로서 본 화합물을 0.01 내지 95 중량%까지 함유할 수 있다. 제형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담체의 종류에는, 카올린 점토, 규조토, 합성 수화된 산화규소, 벤토나이트, 푸바사미 점토 및 산성 점토 등의 점토 물질의 미세 분말 또는 과립; 각종 탈크, 세라믹 및 기타 무기 물질, 예컨대 견운모, 석영, 황, 활성탄, 탄산칼슘 및 수화된 실리카; 및 화학적 비료, 예컨대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액체 담체에는, 물; 알콜, 예컨대 메탄올 및 에탄올; 케톤, 예컨대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및 메틸나프탈렌;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헥산, 시클로헥산, 케로신 및 라이트 오일;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니트릴,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및 이소부티르니트릴; 에테르, 예컨대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디옥산; 산 아미드,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및 사염화탄소; 디메틸 술폭시드; 및 식물성 오일, 예컨대 대두유 및 면실유가 포함될 수 있다. 기체 담체 또는 추진제에는, 부탄 가스, 액화석유 가스, 디메틸 에테르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독성 유인물에 사용되기 위한 유인물 물질로 그레인 분말, 식물성 오일, 슈거 및 결정성 셀룰로스; 산화방지제, 예컨대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노르디 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보존제, 예컨대 데히드로아세트산; 비식음 방지용 물질, 예컨대 고추 분말; 및 유인성 풍미, 예로 치즈 풍미 또는 양파 풍미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에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아릴 에테르 및 그것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및 당 알콜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에는, 카세인, 젤라틴; 다당류, 예컨대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스 유도체 및 알긴산;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슈거 및 합성 수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아크릴산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에는, 이소프로필 산 포스페이트,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tert-부틸-4-메톡시페놀 및 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지방산 및 그것의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선충 방제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적용량은 통상 10 에이커 당, 0.1 내지 100 g이다. 물로 희석한 후 사용되는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및 기타 유사 제형화물들의 경우, 그 적용 농도는 통상 1 내지 100,000 ppm의 범위이다. 과립, 더스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적용은, 희석하지 않은 제형물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행병 예방을 위한 선충 방제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그것들이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일 경우에는 0.1 내지 500 ppm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고, 그것들이 오일 스프레이, 에어로졸, 훈연제,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일 경우에는 그대로 적용한다. 상기 적용양 및 농도는, 제형물의 형태, 적용 시기, 장소 및 방법, 해충의 종류, 손해 정도 및 기타 요인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다른 살곤충제, 살유충제, 살진드기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시너지스트, 비료, 토양 컨디셔너 및 또는 동물 사료와 함께, 혹은 그것들과 별도로 하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선충 방제용 조성물의 유효량을 식물부위, 식물이 식재된 토양 또는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선충 방제 방법은 살선충제의 제형, 살충 대상체, 장소 및 방법 등의 다양한 요인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살충 방제 조성물을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선충 방제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식물부위, 식물이 식재된 토양, 종자, 선충 서식지 또는 선충 개체에 분무 또는 살포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효량'은 유익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선충을 방제하기 위해 방제용 조성물을 물로 균일하게 희석한 후 동력살포기와 같은 적절한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식물체 및 경작지에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또는 뿌리혹선충의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나무재선충 또는 뿌리혹선충의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식물이나 재배 토양에 선충이 나타나기 시작하거나, 나타나기 전 예방보호 조치로, 선충의 피해를 받는 오이 식물(예컨대, 오이, 서양호박, 멜론), 곡물(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쌀, 사탕수수 및 관련 작물), 사탕무(예컨대, 사탕무 및 사료 사탕무), 야채(예컨대, 시금치, 상추,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및 브라시카, 당근, 양파, 토마토, 감자), 감귤류(예컨대, 오렌지, 레몬, 자몽, 중국종 귤), 과일(예컨대, 사과, 배, 자두, 복숭아, 알몬드, 체리, 딸기, 라즈베리 및 블랙베리), 콩과 식물(예컨대, 알팔파, 강낭콩, 렌즈콩, 완두콩, 대두), 유성식물(예컨대, 평지씨, 겨자씨, 양귀비, 올리브, 해바라기씨, 코코넛, 카스터 오일식물, 코코아씨, 땅콩), 섬유 식물(예컨대, 면화, 아마, 대마, 황마), 라우라세(예컨대, 아보카도, 계피, 캄퍼), 낙엽성 나무와 침엽수(예컨대, 주목나무, 밤나무, 오리나무, 포플라, 자작나무, 전나무, 낙엽송, 소나무) 또는 식물(예컨대, 옥수수, 잔디식물, 담배, 견과, 커피, 사탕 수수, 차나무, 포도나무, 홉, 바나나 및 천연 고무나무) 등(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에 또는 이들 식물의 재배토양이나 종자에 전달 또는 살포하여 선충에 의한 피해를 억제하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식물부위, 토양, 종자 등에 선충 감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경우나 경작전 선충 제거를 통한 토양 정화가 필요한 곳에 본 발명의 살선충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또는 기타 항선충 활성을 갖는 혼합 미생물과 화학 살충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선충에 의한 피해를 억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선충 방제용 조성물'과 '살선충제'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분석
본 발명에 사용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진주지역 소나무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 코씰, 서울)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트리톤(triton) X-100 0.01%와 혼합하여 농도별 희석액(×100, ×1,000, ×10,000, ×100,000)을 제조한 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마다 300 ㎕씩 처리하고 선충 200마리(200마리/0.02 ㎖)를 접종하였다. 무처리군에는 트리톤 X-100 0.01%만 처리하였고 상기 살선충 활성 실험을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반수치사농도(lethal concentration 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는 LC50과 LC90에서 각각 254.7 ppm, 2546 ppm이었으며(표 1),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1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30분, 1,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32분 및 10,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40분 경과 후 100% 살충효과를 나타냈으나, 100,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살선충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는 10,000배 희석한 저농도에서도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물질명 LC50, ppm LC90, ppm
N,N-디메틸 데칸아미드
(N,N-dimethyl decanamide)
257.4
(43.5~1289)
2546
(647.8~362482)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처리
희석
배수
처리후 시간 경과별 살선충율(%)
10분 30분 32분 40분
N,N-디메틸
데칸아미드
100 96.3±2.1 100 100 100
1,000 77.7±5.5 96.7±0.6 100 100
10,000 37.0±5.6 81.0±16.5 99.7±0.6 100
100,000 0 0 0 0
실시예 2. 소나무재선충의 증식 억제 효과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소나무재선충 증식 억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농도별 희석액(×2,000, ×4,000, ×6,000, ×10,000, ×20,000)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마다 300 ㎕씩 처리하고 선충 200마리(200마리/0.02 ㎖)를 접종하였다. 각 처리시간 경과 후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농도별 희석액에 처리된 선충 현탁액을 잿빛곰팡이균에 접종하고 7일 동안 배양한 다음 선충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페트리 디쉬에서 N,N-디메틸 데칸아미드 무처리군(도 1B)에 비해 N,N-디메틸 데칸아미드 처리군(도 1A)의 소나무재선충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2,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 1시간 경과 후 소나무재선충의 증식 억제율은 100%였고, 20,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도 99.5%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N,N-디메틸 데칸아미드는 저농도에서도 선충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소나무재선충 증식 억제수
처리
희석배수
(×)
처리시간 경과별 선충증식 수(평균, 마리/plate)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N,N-디메틸
데칸아미드
2,000 0 0 0 0 0
4,000 0~500
(166.7)
0~2
(1.7)
0 1~9
(6.0)
0~2
(1.0)
6,000 0~892
(297.3)
0~4
(1.3)
0~2
(1.3)
2~3
(2.7)
1
(1.0)
10,000 0~1
(0.3)
1~2
(1.7)
1~2
(1.3)
4~6
(5.0)
1~8
(3.7)
20,000 3~57
(24.7)
1~7
(3.7)
1
(1.0)
3~78
(33.7)
5~155
(58.7)
선충구 - 5,900~16,700
(11,333.3)
Figure 112018002547900-pat00002
실시예 3.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분석
본 발명에 사용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은 고구마뿌리혹선충이다.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농도별 희석액(×100, ×1,000, ×10,000, ×100,000)을 제조한 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마다 300 ㎕씩 처리하고 선충 200마리(200마리/0.02 ㎖)를 접종하였고 무처리군에는 트리톤 X-100 0.01%만 처리하였으며, 처리 24시간 경과후 뿌리혹선충의 치사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N,N-디메틸 데칸아미드 무처리군의 살선충 활성이 약 0.5%인 반면,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100배 및 1,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100%의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었고 10,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도 93%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보였으나, 100,000배 희석액을 처리한 군에서는 살선충 활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는 저농도에서도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화합물 희석배수별 살선충률 (평균 % ± 표준편차)
N,N-디메틸
데칸아미드
무처리 ×100 ×1,000 ×10,000 ×100,000
0.5±0.7 100 100 93.5±2.0 2.0±1.5
실시예 4. N,N-디메틸 데칸아미드가 오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농도별 희석액 100 ㎖에 오이(가시오이)를 각각 24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페트리 디쉬에 여과지 2매를 깔고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농도별 희석액을 각각 2 ㎖를 처리하였다. 상기 침지한 오이를 페트리 디쉬 1개당 10립씩 올려놓고 25℃ 항온기에 6일간 보관한 후 지상부의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N,N-디메틸 데칸아미드 무처리군의 지상부 길이는 19.7 mm인 반면, N,N-디메틸 데칸아미드의 8,000배 희석액 처리군의 지상부 길이는 33.0 mm로 무처리군에 비해 오이의 생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는 식물 병원성 토양 선충을 방제하여 작물의 생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N,N-디메틸 데칸아미드가 오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
처리 희석배수 지상부 길이 생장량 (mm)
N,N-디메틸 데칸아미드
2,000 26.1
4,000 30.3
8,000 33.0
무처리 - 19.7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방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75019961-pat00003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방제용 조성물의 유효량을 식물부위, 식물이 식재된 토양 또는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방제 방법.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N-디메틸 데칸아미드(N,N-dimethyl decanamide)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의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75019961-pat00004
KR1020180002705A 2018-01-09 2018-01-09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1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05A KR102013571B1 (ko) 2018-01-09 2018-01-09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05A KR102013571B1 (ko) 2018-01-09 2018-01-09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73A KR20190084673A (ko) 2019-07-17
KR102013571B1 true KR102013571B1 (ko) 2019-08-23

Family

ID=6751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05A KR102013571B1 (ko) 2018-01-09 2018-01-09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849B1 (ko) * 2020-04-28 2022-02-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자일렌을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987A (en) * 1975-11-12 1977-07-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Control of nematodes and other helminths
KR101764279B1 (ko) * 2014-12-04 2017-08-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초산 및 젖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73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28715T3 (es) Combinaciones sinérgicas de principios activos fungicidas
Bangarwa et al. Glucosinolate and isothiocyanate production from Brassicaceae cover crops in a plasticulture production system
Khan et al. Management of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graminicola infesting rice in the nursery and crop field by integrating seed priming and soil application treatments of pesticides
EA012604B1 (ru) Инсектициды на основе неоникотиноидов и защитных веществ
Malik et al. Use of wild radish (Raphanus raphanistrum) and rye cover crops for weed suppression in sweet corn
CN105638701B (zh) 一种杀线虫组合物及其用途
KR20090060360A (ko) 기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Tesfu et al. Evaluation of Parthenium hysterophorus L. powder against Callosobruchus chinensis L.(Coleoptera: Bruchidae) on chickpe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R102033104B1 (ko)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JP7076343B2 (ja) 有害生物の防除方法
KR102013571B1 (ko)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Ogbonna et al. Carica papaya seed oil extract in the management of insect pest of cabbage plant both in the laboratory and field
ES2223021T3 (es) Composiciones fungicidas que contienen r-metalaxilo.
PL200927B1 (pl) Synergistyczna kompozycja owadobójcza i sposób zwalczania owadów
Buxton et al. Insecticidal activities of pellitorine isolated from Zanthoxylum zanthoxyloides roots against Sitophilus oryzae L.(Coleoptera: Curculionidae)
CN112493237A (zh) 一种含肉桂醛的农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Osman et al. Effect of bio-rational insecticides on some biological aspects of the Egyptian cotton leafworm Spodoptera littoralis (Boisd.)(Lepidoptera: Noctuidae)
UA126474C2 (uk) Спосіб контролю популяції дорослих комах-шкідників
WO2023141925A1 (zh) 一种杀线虫组合物
Dutta et a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neonicotinoids, green nanoparticles and botanicals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on cabbage
US20220400670A1 (en) Protopanaxatriol (ppt)-type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in insecticide products
KR101957249B1 (ko) 고삼으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유충제 및 이의 용도
KR20180015938A (ko) 사상자로부터 분리한 토릴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방제방법
Ahmed et al. Field Evaluation of Some Insecticides on some Cowpea Pests and Their Side Effect on Associated Predator (Chrysoperla carnea, steph.).
Shintre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modules for management of major insect pests in watermelon,(Citrullus lanatus Thun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