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976B1 -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976B1
KR102012976B1 KR1020190005540A KR20190005540A KR102012976B1 KR 102012976 B1 KR102012976 B1 KR 102012976B1 KR 1020190005540 A KR1020190005540 A KR 1020190005540A KR 20190005540 A KR20190005540 A KR 20190005540A KR 102012976 B1 KR102012976 B1 KR 102012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heat conduction
foam rubber
side part
spong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양수
Original Assignee
선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양수 filed Critical 선양수
Priority to KR1020190005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주방용 트렌치는, 기존 트렌치 또는 신규 트렌치의 사이드 파트(side part)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스폰지 발포고무; 및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둘러싸도록 상기 사이드 파트에 씌워져 열전도가 차단되게 하는 열전도 방지용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Sink trench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 트렌치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렌치는 원래 배수구에 설치되는 기구물이다. 예컨대, 물의 사용이 많은 식당, 학교, 공공시설의 급식시설 바닥에는 바닥에 버려지는 찌꺼기가 포함된 사용수를 신속히 집수하여 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트렌치가 설치된다.
통상의 트렌치는 실내 바닥 주위 둘레를 돌아가며 배치되거나 혹은 바닥 공간이 넓을 시에는 격자형태를 유지하며 바닥의 사용수를 신속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대개 종래 트렌치의 형태로는 바닥에 형성된 U자형태의 배수통로와 대응하는 U자형태의 단면을 갖는 트렌치 몸체를 배수통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그 개구된 상면에 물을 집수할 수 있게 배수홀이 형성된 트렌치 커버를 덮는 구조가 있다. 즉, 바닥에 형성된 배수통로에 트렌치 몸체를 연장하여 연결시킨 후, 배수통로와 트렌치 몸체 사이에 모르타르를 채워 트렌치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다수개의 트렌치 몸체를 연장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트렌치 몸체의 이음부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용접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이에, 도 1 및 도 2와 같은 트렌치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현장에서 구축되는 배수 트렌치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수 트렌치(1)의 구축은, 먼저 1차 바닥 콘크리트(BC1)를 타설할 때 거푸집을 사용하여 배수 트렌치(1)가 구축될 위치에 충분한 넓이의 트렌치설치홈(11)을 형성하고, 다음에 트렌치설치홈(11)의 양측 상부에 앵글(12)을 평행하게 지지한 후에 그 아래에 벽돌(13)을 쌓아서 막고, 이어서 상기 앵글(12) 위치까지 2차 바닥 콘크리트(BC2)를 배수로(11) 쪽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타설하고, 마지막으로 배수 트렌치(1)의 내면에 방수처리를 한 후 집수정 쪽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배수로(11)의 바닥에 구배를 주면서 모르타르(M)를 바른 후에 최종적으로 글레이팅(14)을 앵글(12) 위에 올려서 완성한다.
이와 같은 현장 구축방식의 배수 트렌치(1)는, 앵글(12)을 설치하는 작업, 벽돌(13)을 쌓는 작업, 전체 배수 트렌치(1)의 구배를 맞추는 작업 등 그 구축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작업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체 배수 트렌치(1)에 대해 모르타르(M)의 두께를 조절하여 집수정으로의 구배를 맞추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여기저기 역구배가 발생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차량이 통과할 때 앵글(12)에 글레이팅(14)이 부딪쳐 소음도 매우 심하다.
이와 같은 현장 구축방식의 배수 트렌치(1)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사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미리 배수 트렌치 유닛을 기성품으로 제작하여 공사현장에서는 이를 조립하는 것으로 배수 트렌치를 구축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수 트렌치 유닛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수로 형틀(20)은 덮개받침부(21)와 삽입홈(22)을 구비한 2개의 측면부재(40)와 삽입돌조(51)를 구비한 바닥부재(50)를 조립하여 다수의 피스(61)를 이용하여 형틀지지부재(30)로 바닥에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수로 형틀(20)은 비록 공사현장에서 직접 배수 트렌치를 구축해야 하는 것에 따른 불편은 제거하였지만, 그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수가 복잡하여 여전히 많은 작업시간을 요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된 배수로 형틀(20)과 바닥 콘크리트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배수로 형틀(20)이 바닥에서 들뜨게 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상기 배수로 형틀(20)은 실제로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잡한 전통적인 현장 구축방식의 배수 트렌치(1)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위에서 기술한 구조는 통상의 배수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인데, 같은 개념으로서 주방의 배수로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위에서 기술한 도 1 및 도 2의 구조, 혹은 이와 유사한 기존 구조로 시공할 경우, 예컨대 주방에서 뜨거운 물을 배수시키면 열에 의해 팽창되면서 그 위쪽에 부착된 타일 등의 구조물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트렌치는 금속이라 열전도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기존 트렌치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주방기구의 스팀 열, 대형 국솥의 열, 또는 온수로 인해 팽창되면서 벌어질 우려가 상당히 높으며, 이로 인해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주방용 트렌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1594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069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034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80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트렌치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존 트렌치 또는 신규 트렌치의 사이드 파트(side part)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스폰지 발포고무; 및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둘러싸도록 상기 사이드 파트에 씌워져 열전도가 차단되게 하는 열전도 방지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트렌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열전도 방지용 캡의 내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스폰지 발포고무를 마련하는 스폰지 발포고무 마련단계; 기존 트렌치 또는 신규 트렌치의 사이드 파트(side part)의 상단부에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부착시키는 스폰지 발포고무 부착단계; 및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둘러싸도록 상기 사이드 파트에 열전도 방지용 캡을 씌워 열전도가 차단되게 하는 열전도 방지용 캡 씌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트렌치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열전도 방지용 캡 씌움단계에서, 상기 열전도 방지용 캡의 내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트렌치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현장에서 구축되는 배수 트렌치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배수 트렌치 유닛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를 시공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최종 시공구조에서 열의 흐름 및 팽창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주방용 트렌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주방용 트렌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를 시공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최종 시공구조에서 열의 흐름 및 팽창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주방용 트렌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존 트렌치(110) 혹은 신규 트렌치(미도시)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주방용 트렌치는 스폰지 발포고무(130)와, 열전도 방지용 캡(1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폰지 발포고무(130)는 스폰지 재질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된 블록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스폰지 발포고무(130)는 본 실시예에서 기존 트렌치(110)의 사이드 파트(120, side part)의 상단부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존 트렌치(110)가 적용되고 있으나 기존 트렌치(110)가 아닌 신규로 설치되는 트렌치(미도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신규로 설치되는 트렌치(미도시)의 사이드 파트(미도시)의 상단부에 동일한 형태로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부착시키면 된다.
스폰지 발포고무(130)의 두께는 3~10mm이고, 폭은 3~5mm이다. 열전도 방지용 캡(140)의 두께는 1~5mm 범위를 갖는다. 기존 트렌치(110)와 열전도 방지용 캡(140) 사이의 간격은 3~20mm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열전도 방지용 캡(140)의 깊이가 20~200mm 범위를 갖도록 한다.
열전도 방지용 캡(140)은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둘러싸도록 사이드 파트(120)에 씌워져 열전도가 차단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열전도 방지용 캡(140)의 내측면(141)은 사이드 파트(120)에 밀착되고 외측면(142)은 사이드 파트(12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는 열에 의해 팽창되는 방향을 고려해서 설계한 것이다.
이처럼 사이드 파트(120)에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개재한 상태로 열전도 방지용 캡(140)을 씌워 열전도를 차단해줌으로써 초기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때문에 기존 트렌치(110) 주변의 이음매 부분이 들뜨거나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음매 부분은 도 6에 점선원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 주방용 트렌치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마련한다(S10). 이는 공장 제작형으로 구매하면 된다. 그리고는 기존 트렌치(110)의 사이드 파트(120)의 상단부에 미리 준비된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부착시킨다(S20).
그런 다음,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둘러싸도록 사이드 파트(120)에 열전도 방지용 캡(140)을 씌워 열전도가 차단되게 한다(S30). 이때는 열전도 방지용 캡(140)의 내측면(141)이 사이드 파트(120)에 밀착되고 외측면(142)은 사이드 파트(12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하면 된다.
다시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의 경우, 기존 트렌치(110)의 날개 부분 윗면, 즉 사이드 파트(120)의 상단부에 열전도를 막는 스폰지 발포고무(130)를 부착시킨 후, 열전도 방지용 캡(140)을 씌움으로써 소정의 여유공간(S)이 생기도록 한다.
이로 인해, 기존 트렌치(110)에 수축,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숨겨져 있는 기존 트렌치(110)만 영향을 받아 콘트리트와 열전도 방지용 캡(140)의 이음매 부분은 구조적으로 열전도가 차단되어 이음매의 틈이 벌어지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해줄 수 있다. 설사, 이음매가 다소 벌어지더라도 열전도 방지용 캡(140)이 둘러싸는 형태라서 음식찌꺼기가 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을 하게 되면 간단한 시공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존 트렌치(110) 혹은 신규 트렌치(미도시)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주방기구의 스팀 열, 대형 국솥의 열, 또는 온수로 인해 팽창되면서 벌어질 우려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즉 기존 트렌치(110)의 상부 영역에서 기존 트렌치(110) 쪽으로 전달되는 열을 열전도 방지용 캡(140)이 차단하기 때문에 기존 트렌치(110)와 기존 트렌치(110)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벌어질 우려가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트렌치(110)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 역시, 기존 트렌치(110)의 사이드 파트(120)에 스폰지 발포고무(230)를 개재한 상태로 열전도 방지용 캡(240)을 씌워 열전도를 차단해줌으로써 초기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폰지 발포고무(230)와 열전도 방지용 캡(240)이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폰지 발포고무(230)에 끼움부(23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럴 경우, 끼움부(231)를 사이드 파트(120)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스폰지 발포고무(230)와 열전도 방지용 캡(140)를 한 번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열전도 방지용 캡(140)가 스폰지 발포고무(230)가 일체형이라서 서로 들뜨지 않아 열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 트렌치(110)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 역시, 기존 트렌치(110)의 사이드 파트(120)에 스폰지 발포고무(230)를 개재한 상태로 열전도 방지용 캡(340)을 씌워 열전도를 차단해줌으로써 초기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스폰지 발포고무(230)와 열전도 방지용 캡(340)이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폰지 발포고무(230)에 끼움부(23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열전도 방지용 캡(340)의 상면은 경사진 경사면(340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 트렌치(110)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의 요부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주방용 트렌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트렌치 역시, 기존 트렌치(110)의 사이드 파트(120)에 스폰지 발포고무(230)를 개재한 상태로 열전도 방지용 캡(440)을 씌워 열전도를 차단해줌으로써 초기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스폰지 발포고무(230)와 열전도 방지용 캡(440)이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폰지 발포고무(230)에 끼움부(23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열전도 방지용 캡(440)의 상면은 경사진 경사면(4340a)을 형성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열전도 방지용 캡(440)의 상면에는 내부 관찰을 위한 윈도우(4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열전도 방지용 캡(440)의 내측에는 오염 감지센서(450)가 내장된다.
오염 감지센서(450)는 별도의 컨트롤러(460)와 연결되고, 컨트롤러(460)는 오염이 심한 경우, 알림부(470)를 가동시키게 컨트롤한다. 알림부(470)는 주방에 설치되는 무선 램프 혹은 무선 부저일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460)는 중앙처리장치(461, CPU), 메모리(4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4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461)는 본 실시예에서 오염 감지센서(4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부(47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4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461)와 연결된다. 메모리(4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4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4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4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60)는 오염 감지센서(4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알림부(4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4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4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 트렌치(110) 혹은 신규 트렌치 시공 시 콘크리트 및 트렌치의 이음매 부분이 열에 의해 팽창되어 벌어짐에 따라 이곳에 음식찌꺼기가 끼어서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기존 트렌치 120 : 사이드 파트
130 : 스폰지 발포고무 140 : 열전도 방지용 캡
141 : 내측면 142 : 외측면

Claims (4)

  1. 기존 트렌치 또는 신규 트렌치의 사이드 파트(side part)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스폰지 발포고무; 및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둘러싸도록 상기 사이드 파트에 씌워져 열전도가 차단되게 하는 열전도 방지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트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방지용 캡의 내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트렌치.
  3. 스폰지 발포고무를 마련하는 스폰지 발포고무 마련단계;
    기존 트렌치 또는 신규 트렌치의 사이드 파트(side part)의 상단부에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부착시키는 스폰지 발포고무 부착단계; 및
    상기 스폰지 발포고무를 둘러싸도록 상기 사이드 파트에 열전도 방지용 캡을 씌워 열전도가 차단되게 하는 열전도 방지용 캡 씌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트렌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방지용 캡 씌움단계에서,
    상기 열전도 방지용 캡의 내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파트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트렌치 시공방법.
KR1020190005540A 2019-01-16 2019-01-16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12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40A KR102012976B1 (ko) 2019-01-16 2019-01-16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40A KR102012976B1 (ko) 2019-01-16 2019-01-16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976B1 true KR102012976B1 (ko) 2019-08-21

Family

ID=6780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40A KR102012976B1 (ko) 2019-01-16 2019-01-16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2176A (zh) * 2021-04-07 2021-08-03 中安龙山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的排水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941A (ko) 2000-04-08 2001-03-05 이규영 웹 사이트 접속을 위한 관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6299617A (ja) * 2005-04-20 2006-11-02 Okagrate:Kk 集排水溝ブロック
EP2383397A1 (en) * 2010-04-29 2011-11-02 Easy Sanitairy Solutions B.V. Combination of a cut-out sheet of breakable and / or deformable material and a drain
JP5199858B2 (ja) * 2008-12-24 2013-05-15 下田エコテック株式会社 床埋設構造物の目地形成材および床埋設構造体
KR20160006961A (ko) 2014-07-10 2016-01-20 우일씨앤텍(주) 마스크팩 접는방법
KR20170003491A (ko) 2016-12-01 2017-01-09 (주) 엔디에프코리아 항균성 공기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941A (ko) 2000-04-08 2001-03-05 이규영 웹 사이트 접속을 위한 관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6299617A (ja) * 2005-04-20 2006-11-02 Okagrate:Kk 集排水溝ブロック
JP5199858B2 (ja) * 2008-12-24 2013-05-15 下田エコテック株式会社 床埋設構造物の目地形成材および床埋設構造体
EP2383397A1 (en) * 2010-04-29 2011-11-02 Easy Sanitairy Solutions B.V. Combination of a cut-out sheet of breakable and / or deformable material and a drain
KR20160006961A (ko) 2014-07-10 2016-01-20 우일씨앤텍(주) 마스크팩 접는방법
KR20170003491A (ko) 2016-12-01 2017-01-09 (주) 엔디에프코리아 항균성 공기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2176A (zh) * 2021-04-07 2021-08-03 中安龙山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的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976B1 (ko) 주방용 트렌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29899B1 (ko) 화장실 바닥 방수체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US20150026879A1 (en) Under mud shower pan
US9772051B2 (en) Waterproofing water combinations
KR102028838B1 (ko)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JP5613886B2 (ja) 槽体の配管構造
KR200417433Y1 (ko) 배수 트랜치의 매립구조
KR101004319B1 (ko) 실내 바닥 배수용 트렌치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JP5382641B2 (ja) 洗い場パン
JP2013028947A (ja) 浴室ユニットの洗い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5041819B2 (ja) 排水路体構造および排水路体
KR100732909B1 (ko) 배수 트렌치
KR20120050831A (ko) 배수트렌치 구조
JP2006342667A (ja) 衛陶設備の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801714B1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배수로 구조물
US9756987B2 (en) Under mud shower pan with seat
CN203296126U (zh) 一种用于卫生间的排水管预埋件
JP4441596B2 (ja) 排水継手
CA2970487C (en) Under mud shower pan with seat
KR200374256Y1 (ko) 온수배관용 매트
AU2013204010B2 (en) Waterproofing Water Combinations
JPH047257Y2 (ko)
KR200385878Y1 (ko) 봉수구조를 갖는 배수트랩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