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815B1 -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815B1
KR102012815B1 KR1020190008888A KR20190008888A KR102012815B1 KR 102012815 B1 KR102012815 B1 KR 102012815B1 KR 1020190008888 A KR1020190008888 A KR 1020190008888A KR 20190008888 A KR20190008888 A KR 20190008888A KR 102012815 B1 KR102012815 B1 KR 10201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ynthetic resin
waste
drying chamber
waste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율
Original Assignee
이정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율 filed Critical 이정율
Priority to KR102019000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가 투입된 복수의 반응로(110); 상단에 반응로를 안착 수용하고, 일측에 설치된 메인버너(121)가 제공하는 열기로 반응로를 가열하는 연소로(120); 연소로(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반응로를 가열하고 남은 폐열을 수집 저장하고, 수집된 폐열을 통해 온수 또는 스팀을 생성하는 열교환기(130); 반응로(110)와 메인버너에 연결되며, 반응로(110) 내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발생한 가스를 응축시켜 생성된 재생 오일을 메인버너(121)의 열공급원으로 전달하는 응축기(140)로 구성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100) 및, 피건조물의 수용을 위한 밀폐공간을 갖는 건조실(210); 건조실(210)의 내부를 상층과 하층으로 경계를 구분하는 중층판넬(220); 건조실(210) 상층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의 열기를 발열하는 열공급부(230); 공급된 열기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환하도록 건조실(210)의 양측에 복수 개 설치되며, 센서 내지 설정시간에 따라 회전방향이 전환되어 순환 중인 열기를 정순환 또는 역순환으로 자동 전환시키는 열순환팬(240)으로 이루어진 건조장치(200)를 포함하며, 위 열교환기(130)는 열공급부(230)와 관에 의해 별도로 연결되어 위 열교환기(130)에 저장된 온수 또는 스팀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건조실(210)의 열기가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Waste cable melting fumace of circulation type And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사용되어진 열 에너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폐열의 재순환을 통해 또 다른 폐합성수지를 열분해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건조장치의 열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합성수지를 재생장치에서 사용된 폐열을 수집 저장하고, 저장된 폐열을 농수산물건조장치의 열 공급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와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모두 가동할 수 있어 열 공급원에 따른 적극적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버려진 폐합성수지는 자연분해되는데에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체로 버려진 폐합성수지는 일괄적으로 수집한 후, 열분해시켜 재활용품으로 재생산한다.
이러한 폐합성수지에는 사용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가금속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폐합성수지는 특수 단열재를 비롯한 폐전선 등이 있다.
한편, 폐합성수지 및 폐전선을 재생처리하는 장치의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909164호 "폐전선의 피복재 재활용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폐전선에 피복되어진 가교를 증발시키면서 일정한 점도를 갖도록 폴리에틸렌을 기계적으로 혼련하여 펠릿화 시킴으로써, 타제품으로의 사출이나 압출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재가공하는 기술이다. 다만, 위 기술은 피복재를 모두 연소하고 남은 폐열이 그대로 외부로 버려지고 있다.
한편, 갓 수확한 농산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 햇볕이 잘드는 공간에 농산물을 깔아놓고 농산물 자체의 수분이 완전 제거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미세먼지와 날씨 등 외부적 요인으로 자연건조가 꺼려지고 있고, 건조기술의 발전과 건조 품질의 향상이 요구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농산물 건조장치는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건조실과, 해당 공간에 열기를 공급하는 열공급부로 구성된다.
예컨대, 농산물 건조장치의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577호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실 및 건조실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히터 또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열풍을 건조실로 제공하는 공조부로 구성되는데, 특히 이 종래기술은 건조실의 온도에 따라 히터 또는 냉동사이클이 작동되어 고온의 열풍을 건조실로 공급하면서 건조과정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다시 수집하여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습되게 함으로써 에너지 및 건조비용을 절약되는 기술이다. 다만, 피건조물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제습하여 다시 열공급원으로 변환하기에는 그 양이 매우 미비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비용의 절감이 크다고 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폐합성수지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폐열을 이용하여 건조장치의 열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9164호 "폐전선의 피복재 재활용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577호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열분해유를 수집하고, 수집된 열분해유를 반응로의 열 공급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폐합성수지의 열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연료비를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별도의 연료 사용없이 폐합성수지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또한, 반응로는 배치식 구조를 갖게 하되, 열이 재순환할 수 있는 순확식 구조를 채택하여 예열 및 냉각시간을 절약하여 가동률을 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처리하고자 하는 폐합성수지의 양에 따라서 복수의 연소로 내지 반응로를 연장 또는 축소 설치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또한, 폐합성수지를 열분해시키기 위해 최초로 사용된 열 에너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폐열을 저장하였다가 별도로 마련된 농수산물 건조기나 고열량을 필요로 하는 시설 등의 열 공급원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또한, 하나의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로를 선택적으로 연장 또는 축소 설치가 가능하게 제공됨과 더불어, 각 반응로마다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가금속이 함유된 폐합성수지를 일괄적으로 열분해 처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온도 변화에 의한 손상없이 유가금속 등을 손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농수산물건조장치는 건조실의 내부 모든 영역에 균일한 온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열공급부를 설치하고, 해당 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모든 영역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열순환팬을 더 설치하되, 별도의 조작없이 열순환팬을 역회전시켜 순환 중인 열풍이 역순환되게 함으로써 모든 피건조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 카본 열선을 설치하여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폐합성수지를 처리하고 남은 폐열과 가스를 응축하여 재생산한 재생 오일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열풍과 함께 공급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고품질의 건조물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폐합성수지 재생장치(100)는 폐합성수지가 투입된 복수의 반응로(110); 상단에 반응로를 안착 수용하고, 일측에 설치된 메인버너(121)가 제공하는 열기로 반응로를 가열하는 연소로(120); 연소로(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반응로를 가열하고 남은 폐열을 수집 저장하고, 수집된 폐열을 통해 온수 또는 스팀을 생성하는 열교환기(130); 반응로(110)와 메인버너에 연결되며, 반응로(110) 내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발생한 가스를 응축시켜 생성된 재생 오일을 메인버너(121)의 열공급원으로 전달하는 응축기(140)로 구성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100) 및, 피건조물의 수용을 위한 밀폐공간을 갖는 건조실(210); 건조실(210)의 내부를 상층과 하층으로 경계를 구분하는 중층판넬(220); 건조실(210) 상층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의 열기를 발열하는 열공급부(230); 공급된 열기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환하도록 건조실(210)의 양측에 복수 개 설치되며, 센서 내지 설정시간에 따라 회전방향이 전환되어 순환 중인 열기를 정순환 또는 역순환으로 자동 전환시키는 열순환팬(240)으로 이루어진 건조장치(200)를 포함하며, 위 열교환기(130)는 열공급부(230)와 관에 의해 별도로 연결되어 위 열교환기(130)에 저장된 온수 또는 스팀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건조실(210)의 열기가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응축기(140)는 생산된 재생 오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너(143)와, 불순물이 제거된 재생 오일을 1차 저장하는 메인탱크(144) 및 메인탱크의 저장 한계치를 초과한 오일을 저장하는 보조탱크(145)를 포함하고, 위 메인탱크(144)는 메인버너(121) 및 별도로 마련된 오일저장탱크(A)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메인버너에 재생오일을 공급하거나 초과된 재생 오일을 오일저장탱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오일저장탱크(A)는 열교환기(130)와 연결되어 열교환기 내에 포집된 온수 또는 스팀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생 오일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열교환기(130)와 열공급부(230) 사이에는 유인송풍기(132)와 세정집진기(133)를 부가 설치하여 폐열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수차례 정화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조실(210)의 열기가 지원되도록 건조실(210)에 별도로 연결되는 에너지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에너지 공급원은 각각 전기, 석유, 또는 가스에 의해 작동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전기열풍기, 석유열풍기, 및 가스열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폐합성수지의 처리량에 따라 연소로의 확장 설치가 가능하고, 확장된 영역마다 복수의 반응로가 개재되어 하나의 폐합성수지 재생장치로 다량의 폐합성수지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지는 폐합성수지의 성질에 따라 각각의 반응로에 투입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폐합성수지가 각개 투입된 반응로마다 개별적인 온도제어가 가능하여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유가금속(구리, 알루미늄 등)을 고온의 열에 의한 손상없이 일괄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소로의 확장 설치 및 확장된 영역마다 복수의 반응로를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고, 순환식 반응로의 방식에 의하여 예열 내지 냉각시간을 적극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최초 사용된 열 에너지를 수집한 후 수집된 폐열을 별도로 마련된 농수산물 건조기 또는 고온의 열을 필요로 하는 시설의 열공급원으로 지원함에로서 시설의 연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열공급부 및 열공급부가 제공하는 열기의 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열기에 흐름을 부여하는 열순환팬에 의해 1차적으로 건조실의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센서 내지 시간설정에 따라 위 열순환팬이 역회전하여 열기의 흐름이 역순환됨에 따라 2차적으로 건조실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까지 균일한 온도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공급부 이외에 폐합성수지 재생장치로부터 수집 저장된 폐열을 이용하는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 또는 스팀을 제공받는 라지에이터가 더 구비됨에 따라 건조작업에 사용되는 전력 내지 열공급원을 최소화하여 작업 비용을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공급부는 카본 열선으로 이루어져 원적외선이 방출됨에 따라 고품질의 건조물을 획득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반응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연소로의 단면도.
도 5는 분할된 연소로의 확장 내지 축소 설치가 가능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농수산물건조장치의 작업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사용되어진 열 에너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폐열의 재순환을 통해 또 다른 폐합성수지를 열분해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건조장치의 열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폐합성수지를 재생장치에서 사용된 폐열을 수집 저장하고, 저장된 폐열을 농수산물건조장치의 열 공급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와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모두 가동할 수 있어 열 공급원에 따른 적극적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합성수지 재생장치(100)는 폐합성수지를 수용하고, 수용된 폐합성수지가 가열됨에 따라 열분해된 가스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용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반응로(110);와, 메인버너(121)의 열공급에 의해 내부에 고온의 열기를 수용하여 반응로의 내부에 수반된 폐합성수지를 가열하게 하는 연소로(120);와, 반응로를 가열하고 남은 폐열의 수집 저장 및 반응로가 가열되면서 발생한 환경오염 물질을 처리하는 열교환기(130);와, 반응로가 가열되면서 발생한 가스를 집약시켜 냉각수로 응축함으로써 재생 오일을 생산하는 응축기(140);로 구성된다.
위 반응로(110)는 폐합성수지가 투입되어 열분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111)와, 몸체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부(112)로 구성된다.
예컨대, 반응로(110)는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는 과정에서 몸체부(111)의 내부 공기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고압이 발생하면서 원치않게 커버부(112)가 개방됨에 따라 열의 유출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몸체부와 커버부는 복수의 볼트로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연소로(12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이 내통되는 중공의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에는 반응로(110)를 내부공간까지 삽입 안착시키고, 내통된 측면의 일측에는 메인버너(121)를 설치함으로써 메인버너가 제공하는 열기를 반응로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연소로(120)는 길이방향으로 반응로(110)의 안착을 유도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반응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하나의 메인버너(121)가 제공하는 화력으로 연소로에 안착된 모든 반응로에 열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일측에 설치된 메인버너(121)와 이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의 일렬로 배치된 반응로(110)는 메인버너에서 근접한 반응로와 메인버너에서 이격된 반응로가 전달받는 화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소로(120)의 측면에는 반응로가 설치된 영역마다 보조버너(122)를 더 추가 설치하여 화력이 부족한 반응로에 추가적인 열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위 열교환기(130)는 메인버너(121)가 설치된 연소로(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메인버너로부터 공급된 열기가 복수의 반응로를 가열한 후 남은 폐열을 수집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열교환기에 의해 수집 저장된 폐열은 필요에 따라 연소로에 재방출하거나 건조장치(200)에 공급하여 각각의 장치에 구동비를 절감시킨다.
한편, 위 열교환기(130)는 연소로(120)의 폐열을 수집 저장하여 적재적소에 배분하는 저장부(131)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유인송풍기(132)와, 저장된 폐열과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집진기(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응축기(140)는 일단부가 반응로(110)의 커버부(112)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메인버너(121)에 결합된다. 위 응축기(140)는 복수의 응축부(141)와 냉각수저장부(142)가 교번 배열되며, 몸체부(111)로부터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발생한 가스를 인계받아 응축부와 냉각수저장부를 수차례 경유시킴으로써 재생산된 재생 오일을 메인버너(121)의 열 공급원으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응축기(140)는 별도로 마련된 냉각탑과 연결하여 냉각수를 지원받으면서 수집된 고온 가스를 냉각수로 응축시켜 재생 오일을 생산하는 방식의 수랭식 응축기이다.
하지만, 위 수랭식 응축기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고온가스를 재생 오일로 변환시키는 연구 결과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는 판단하에 채택한 것으로, 수랭식 응축기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응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부(111)는 제1몸체부(111a)와 제2몸체부(111b)로 구분되고, 제1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제2몸체부가 삽입 수용되는 2겹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위 제1몸체부(111a)는 연소로(120)의 상면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위 제2몸체부(111b)는 제1몸체부(111a)에 탈거 가능하게 안착된다.
여기에서 제1몸체부(111a)는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살(111a-1)이 더 형성되고, 위 보강살로 하여금 제1몸체부(111a)가 고온의 열에 의해 뒤틀리는 등의 형태 변형을 적극 방지한다. 그리고 복수의 보강살(111a-1)은 열이 가해질 수 있는 면적을 확장시킴과 아울러, 보강살과 보강살 사이의 공간마다 열의 회류 순환을 일으켜 가열의 기능을 향상시켰다.
위와 같이 제1몸체부(111a)와 제2몸체부(111b)의 2겹 적층 구조를 채택한 이유는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분해에 의해 제2몸체부(111b)에서 추출된 유가금속 또는 잔재를 처리하기 위해 연소로(120)에서 반응로(110)를 탈거할 때, 제2몸체부와 커버부(112)만 탈거되고, 반응로가 탈거되면서 형성될 수 있는 빈공간을 제1몸체부(111a)가 차폐함에 따라 연소로의 내부공간에 포집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소로의 내부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열 유실이 방지되어 생산비가 절감됨과 더불어 열기가 치솟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로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폐합성수지의 처리량에 따른 연소로의 확장 및 축소 설치가 가능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로(120)는 반응로(110)와 반응로 사이마다 절개함으로써 1개소의 반응로와 1개소의 보조버너(122)가 탑재된 연소로로 구성되고, 이렇게 분할된 연소로의 절개면마다 플랜지 타입으로 형성하여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예컨대, 각 분할된 연소로(120)는 내부공간에 포집된 열기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밀접한 상태로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 원치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으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각 분할된 연소로(120)마다 응축기(140)가 부가 설치된다.
예컨대, 각 분할된 연소로(120)마다 설치되는 응축기(140)는 일단부가 반응로(110)의 커버부(112)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보조버너(122)에 결합된다. 위 응축기(140)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응축부(141)와 냉각수저장부(142)가 교번 배열되며, 각 몸체부(111)로부터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발생한 가스를 인계받아 응축부와 냉각수저장부를 수차례 경유시킴으로써 재생산된 재생 오일을 보조버너(122)의 열 공급원으로 전달한다.
한편, 위 응축기(140)는 복수의 응축부(141) 중 어느 하나에서 배관이 연장설치되어 생산된 재생 오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너(143) 및 스트레너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재생 오일을 1차 저장하는 메인탱크(144)와, 메인탱크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메인탱크의 저장 한계치를 초과한 오일을 저장하는 보조탱크(145)로 구성된다.
그리고 위 메인탱크(144)는 메인버너(121) 및 별도로 마련된 오일저장탱크(A)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메인버너에 재생오일을 공급하거나 초과된 재생 오일을 오일저장탱크로 전달한다.
위 오일저장탱크(A)는 메인탱크(144)와 재생오일을 상호 교류하며, 메인탱크에서 오일이 부족할 경우 오일저장탱크에서 일부 지원한다. 그리고 위 오일저장탱크(A)는 열교환기(130)의 저장부(131)와 배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열교환기의 열 공급원으로 재생오일을 지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수산물건조장치(200)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실(210);과, 건조실의 상층과 하층을 구분하는 중층판넬(220);과, 건조실에 일정한 온도의 열기를 제공하는 열공급부(230);와, 건조실에 공급된 열에 흐름을 부여하여 열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열순환팬(240);으로 구성된다.
위 건조실(210)은 여러 층으로 적층 적재된 복수의 피건조물을 대량 수용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와 같은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적재부(211)와, 적재부에 형성된 습기 내지 필요이상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배출부(212)와, 적재부의 일측벽면에 설치되어 열순환팬을 구동하거나 순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213)와, 피건조물이 건조되면서 유실되는 수분 및 열순환에 의해 적재부 내부에 형성되는 습기를 포집하여 배출되게 하는 배수로(214)와, 작업자의 출입을 허용하는 도어부(215)로 구성된다.
위 건조실(210)은 보온과 단열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되어 적재부에 형성된 열기가 장시간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위 건조실(210)은 적재부(211)에 조성된 열기가 원치않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습기배출부(212)와 배수로(214) 및 도어부(215)를 상시 차폐하여 밀폐된 환경을 조성하고, 필요에 의해서만 습기배출부와 도어부의 개방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 습기배출부(212)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흡배기용 팬이 더 설치되어 일정량의 공기가 강제 공급되거나 외부의 불필요한 열기 내지 습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실(210)은 중층판넬(220)에 의해 상층과 하층으로 경계가 구분되며, 하층은 복수의 피건조물을 대량 수용하는 적재부(211)를 형성하고, 상층은 열공급부(230)를 설치하여 상층에 밀집된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온을 조성한다.
위 중층판넬(220)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적재부(211)의 상층과 하층을 완전하게 구획하되, 적재부의 양측에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여 상층의 공기가 해당하는 이격된 공간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 열공급부(230)는 중층판넬(220)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며, 중층판넬을 기점으로 건조실의 천장에 이르는 높이로 구성되는 것이 건조실 상층의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위 열공급부(230)는 카본 열선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원적외선을 방출되게 하는 원적외선 히터(231)가 중층판넬(220)의 상면 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마다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히터(231)를 가동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고자 건조실(2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폐열공급관(216)과 연결되어 열교환기(130)가 제공하는 온수 또는 스팀을 지속적으로 방출되게 하는 라디에이터(232)를 원적외선 히터의 이격된 사이공간마다 더 설치하였다.
위 라디에이터(232)는 건조실(2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마련된 폐열공급관(216)을 통해 온수 또는 스팀을 공급받으며, 온수 또는 스팀이 라디에이터를 이루는 관을 순환하면서 관 자체를 발열시켜 그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이 통공되어 순환 중인 폐열이 홀을 통해 방출되어 그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위 라디에이터(232)는 열교환기(130)와 순차 연결된 유인송풍기(132)와 세정집진기(133)를 거쳐 오염물질을 수회 거친 폐열을 공급받기 때문에 건조실의 열기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위 열순환팬(240)은 적재부(211)의 양측 벽면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열순환팬은 동일한 위치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배치하여 균일한 풍력을 제공되며, 특히 열순환팬(2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체적으로 열기가 정방향으로 순환하거나 역방향으로 순환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부(211)의 좌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24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기를 우측으로 밀어내고, 적재부의 우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이 밀어낸 열기를 오히려 흡입한다.
그리고 위 적재부(211)의 우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240)이 흡입한 열기는 벽면을 타고 이동하여 적재부의 상층을 경유하며 다시 좌측벽면에 설치된 열순환팬으로 이동하고, 한 차례 순환된 열기는 좌측벽면에 설치된 열순환팬에 의해 우측벽면에 설치된 열순환팬으로 다시 밀려나가는 등 열기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인 열 순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재부(211)의 좌측벽면이나 우측벽면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나 타이머를 설치하고, 이를 건조실(21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213)와 연동하여 온도의 변화 또는 설정된 시간조건에 따라 제어부의 열순환팬(240)의 회전 방향을 지시한다.
이는 적재부(211)의 좌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240)은 온도감지센서 내지 시간조건에 의한 제어부(213)의 지시로 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이 시작되고, 반면 우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이 시작된다.
위와 같이 좌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240)과, 우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에 의해 열기는 우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이 좌측벽면 쪽으로 밀어내고, 밀려난 열기는 좌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에 의해 흡입되어 좌측벽면을 타고 적재부(211)의 상층을 경유하여 우측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열순환팬으로 이동한다.
위와 같은 행위가 반복적으로 실행되면서 열기는 자연스럽게 역순환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는 폐합성수지의 처리량에 따라 연소로의 확장 설치가 가능하고, 확장된 영역마다 복수의 반응로가 개재되어 하나의 폐합성수지 재생장치로 다량의 폐합성수지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지는 폐합성수지의 성질에 따라 각각의 반응로에 투입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폐합성수지가 각개 투입된 반응로마다 개별적인 온도제어가 가능하여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유가금속(구리, 알루미늄 등)을 고온의 열에 의한 손상없이 일괄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연소로의 확장 설치 및 확장된 영역마다 복수의 반응로를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고, 순환식 반응로의 방식에 의하여 예열 내지 냉각시간을 적극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최초 사용된 열 에너지를 수집한 후 수집된 폐열을 별도로 마련된 농수산물 건조기 또는 고온의 열을 필요로 하는 시설의 열공급원으로 지원함으로서 시설의 연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건조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열공급부 및 열공급부가 제공하는 열기의 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열기에 흐름을 부여하는 열순환팬에 의해 1차적으로 건조실의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센서 내지 시간설정에 따라 위 열순환팬이 역회전하여 열기의 흐름이 역순환됨에 따라 2차적으로 건조실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까지 균일한 온도가 형성된다.
그리고 열공급부 이외에 폐합성수지 재생장치로부터 수집 저장된 폐열을 이용하는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 또는 스팀을 제공받는 라지에이터가 더 구비됨에 따라 건조작업에 사용되는 전력 내지 열공급원을 최소화하여 작업 비용을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위 열공급부는 카본 열선으로 이루어져 원적외선이 방출됨에 따라 고품질의 건조물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 외에 건조실(210)의 열기가 지원되도록 건조실(210)에 별도로 연결되는 에너지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위 에너지 공급원은 각각 전기, 석유, 또는 가스에 의해 작동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전기열풍기, 석유열풍기, 및 가스열풍기를 포함한다.
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이 부족하거나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의 고장 또는 수리로 인해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의 폐열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건조실(210)에 별도로 연결되는 에너지 공급원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실(210) 내의 피건조물에 대한 열풍 건조 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110. 반응로
120. 연소로 130. 열교환기
140. 응축기 200. 건조장치
210. 건조실 220. 중층판넬
230. 열공급부 240. 열순환팬

Claims (5)

  1. 삭제
  2. 폐합성수지가 투입된 복수의 반응로(110); 상단에 반응로를 안착 수용하고, 일측에 설치된 메인버너(121)가 제공하는 열기로 반응로를 가열하는 연소로(120); 연소로(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반응로를 가열하고 남은 폐열을 수집 저장하고, 수집된 폐열을 통해 온수 또는 스팀을 생성하는 열교환기(130); 반응로(110)와 메인버너에 연결되며, 반응로(110) 내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되면서 발생한 가스를 응축시켜 생성된 재생 오일을 메인버너(121)의 열공급원으로 전달하는 응축기(140)로 구성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100) 및,
    피건조물의 수용을 위한 밀폐공간을 갖는 건조실(210); 건조실(210)의 내부를 상층과 하층으로 경계를 구분하는 중층판넬(220); 건조실(210) 상층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의 열기를 발열하는 열공급부(230); 공급된 열기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환하도록 건조실(210)의 양측에 복수 개 설치되며, 센서 내지 설정시간에 따라 회전방향이 전환되어 순환 중인 열기를 정순환 또는 역순환으로 자동 전환시키는 열순환팬(240)으로 이루어진 건조장치(200)를 포함하며,
    위 열교환기(130)는 열공급부(230)와 관에 의해 별도로 연결되어 위 열교환기(130)에 저장된 온수 또는 스팀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건조실(210)의 열기가 지원되고,
    위 응축기(140)는 생산된 재생 오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너(143)와, 불순물이 제거된 재생 오일을 1차 저장하는 메인탱크(144) 및 메인탱크의 저장 한계치를 초과한 오일을 저장하는 보조탱크(145)를 포함하고,
    위 메인탱크(144)는 메인버너(121) 및 별도로 마련된 오일저장탱크(A)와 연결되어 메인버너에 재생오일을 공급하거나 초과된 재생 오일을 오일저장탱크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위 오일저장탱크(A)는 열교환기(130)와 연결되어 열교환기 내에 포집된 온수 또는 스팀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생 오일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건조실(210)의 열기가 지원되도록 건조실(210)에 별도로 연결되는 에너지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위 에너지 공급원은 각각 전기, 석유, 또는 가스에 의해 작동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전기열풍기, 석유열풍기, 및 가스열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KR1020190008888A 2019-01-23 2019-01-23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KR10201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88A KR102012815B1 (ko) 2019-01-23 2019-01-23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88A KR102012815B1 (ko) 2019-01-23 2019-01-23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815B1 true KR102012815B1 (ko) 2019-08-21

Family

ID=6780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888A KR102012815B1 (ko) 2019-01-23 2019-01-23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577A (ko) 2010-04-19 2011-10-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밸브구동장치
KR101726132B1 (ko) * 2016-03-24 2017-04-12 윤환석 폐케이블을 이용한 정수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KR101841447B1 (ko) * 2016-06-14 2018-03-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열회수 및 신선공기유입형 내부온도 균일화 농산물 건조장치
KR101909164B1 (ko) 2018-06-12 2018-10-18 주식회사 이엑스알 폐전선의 피복재 재활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577A (ko) 2010-04-19 2011-10-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밸브구동장치
KR101726132B1 (ko) * 2016-03-24 2017-04-12 윤환석 폐케이블을 이용한 정수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KR101841447B1 (ko) * 2016-06-14 2018-03-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열회수 및 신선공기유입형 내부온도 균일화 농산물 건조장치
KR101909164B1 (ko) 2018-06-12 2018-10-18 주식회사 이엑스알 폐전선의 피복재 재활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746B1 (ko) 폐기물 열분해용 오일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KR101271018B1 (ko)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WO1990009967A1 (en) A device for the dehydration of sewage sludge
KR102022456B1 (ko) 풍향제어를 통한 열풍의 순환과 역순환이 이루어지는 농수산물건조장치
CN1214223C (zh) 太阳热利用系统
KR102012815B1 (ko)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에서 수집된 폐열을 이용한 농수산물건조장치
KR101697355B1 (ko) 마이크로파와 폐열 회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N1568418A (zh) 有机物的处理
CZ318692A3 (en) Process of working-up porous, lumpy objects, particularly shaped bodies from cellular concrete within an autoclave
KR20100136230A (ko) 처리물의 처리 및 고효율 폐열회수 장치
US10836652B2 (en) Continuous flow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human waste
JP2007181759A (ja) 含水汚泥の熱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262101B1 (ko)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WO2022239236A1 (ja) 人工漁礁、人工漁礁の形成方法および人工漁礁形成システム
KR102426311B1 (ko) 열풍 에너지를 복사파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사파 조사 장치
KR102427902B1 (ko) 고속건조장치
KR102012813B1 (ko)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JP6791577B2 (ja) 有機物の炭化処理装置及び炭化処理方法
JP2016519276A (ja) 熱分解の機能を有する乾燥装置
KR102623303B1 (ko) 저온 촉매방식 탄화기
KR100554309B1 (ko) 사이징기용 열풍건조챔버의 건조장치
KR100320363B1 (ko) 부패성유기물의 고속발효건조장치
KR102547205B1 (ko) 고분자 폐기물의 초음파 열분해 이동장치
KR200294897Y1 (ko) 간접 열처리 방식에 의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0437265B1 (ko) 폐 합성수지의 열 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