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551B1 -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 Google Patents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551B1
KR102012551B1 KR1020170026110A KR20170026110A KR102012551B1 KR 102012551 B1 KR102012551 B1 KR 102012551B1 KR 1020170026110 A KR1020170026110 A KR 1020170026110A KR 20170026110 A KR20170026110 A KR 20170026110A KR 102012551 B1 KR102012551 B1 KR 102012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ity
oral
prosthesis
metal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101A (ko
Inventor
권지용
강민정
권지민
권지안
Original Assignee
권지용
강민정
권지민
권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용, 강민정, 권지민, 권지안 filed Critical 권지용
Priority to KR102017002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5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 A61B5/4277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saliva secre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8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inorganic compounds or pH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 내부에 구비되어 구강 내 산성도를 검출하는 구강 산성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는 구강 내 산성도를 측정하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산성도를 기반으로 외부 단말로 경고 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Dental prosthesis detecting oral acidity}
본 발명은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구강 산성도를 감지할 수 있게 설계된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충치는 가장 일반적으로 치과를 찾는 질환으로 인식되어 있다. 충치를 예방하는데에 있어서 이룬 진보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것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충치가 생기는 원리를 살펴보면,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고, 음식물이 구강 내에 잔존하게 되면 입 안의 세균이 음식물을 먹고 산을 배출한다. 그리고 이 산에 의해서 치아가 파괴되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일 섭취하는 식품의 경우는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특히 당분은 구강 내 세균의 대사원으로 치아의 우식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산의 의한 치아의 파괴는 크게 우식증과 침식증으로 나눌 수 있다. 우식증의 경우 임계 산성도 이상이 되면 치아의 용해가 일어나게 된다. 보통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음식물이 주된 요인이다. 그리고 침식증의 경우는 좀 더 강한 산성도에 노출되었을때 동반되는 질환이다. 대표적으로는 위산이 구강으로 역류하는 경우, 탄산음료 섭취 등이 있다.
이렇게 섭취한 음식과 음료에 의해 구강 내 산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상생활 동안 입 안의 산성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산에 의한 치아의 파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발명은 치아의 파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구강 내 산성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은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 내부에 구비되어 구강 내 산성도를 검출하는 구강 산성도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는, 구강 내 산성도를 측정하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산성도를 기반으로 외부 단말로 경고 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도 측정부는: 서로 다른 이온화 경향을 갖는 제1 및 제2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도 측정부는: 구강 내 전해질용액과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 간에 발생하는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에너지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은 관통홈을 갖도록 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금속은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및 제 2 금속은 구강내에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금속과 상기 제 2금속은 꺾은선 또는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평행한 상태로 구강 내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의 파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구강 내 산성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산성도 감지는 보철물을 통해 측정된 산성도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하여 구강 위생을 청결히 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을 이용하면, 구강 산성도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산성도 측정 보철물 및 치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산성도 측정 보철물 및 치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도 측정부의 제 1금속 및 제 2금속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도 측정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산성도 측정 보철물 및 치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치아에 사용되는 보철물은 레진이나 아말감 등 충전재나 전체를 덮어씌우는 크라운 등이 사용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도면 및 설명의 편의상 크라운을 일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은 크라운(10) 및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크라운(10)은 내부에 후술하는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장착되어 치아(3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운(10)과의 결합을 위하여 우식이 진행된 치아(30)는 특정 라인에 따라 삭제되고, 치아(30)의 삭제된 부분은 크라운(10)이 결합되어 수복될 수 있는데, 이때 치아(30)의 삭제된 부분에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전체적으로 삭제된 부분에 꽉차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삭제된 부분의 어느 한 공간의 일부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크라운(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일측이 치아(30)의 표면과 접촉된다.
접촉된 상기 일측이 치아(30)의 표면 또는 크라운(10)의 표면에서 산화환원반응을 검출하고, 산화환원반응이 검출되면 구강 내 산성도의 변화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현된 산성도 측정 장치(20)는 크라운(10) 내부에 장착되어 크라운(10)이 치아(30)와 결합할 때 크라운(10)과 치아(30)의 밀착도를 높여주며, 상기 크라운(10)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 내부에 포함된 모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는 치아(30)의 충치가 먹은 공간(25)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공간(25)은 코어(core)로 전부 채워지는 대신 일부 또는 전부가 산성도 측정 장치(20)로 채워질 수 있다.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크라운(10) 내부에 장착되어 치아(30)와 결합할 때 밀착도에 문제가 없고, 상기 크라운(10)에서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 내부에 포함된 모듈들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를 단단한(rigid) 소재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위치는 크라운(10) 내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외부 표면에도 위치하도록 설계변경 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크기는 크라운(10) 내부 또는 외부표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크라운(1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크라운(10)에 결합되는 치아(30)의 상부 표면의 면적보다 작은 크기인 것이 적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라운(10)과 치아(30)의 결합에 방해되지 않는 크기라면 어떠한 면적이라도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형태는 원형인 것이 적당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라면 사각, 타원 및 마름모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부에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구비된 크라운(10)은 치아(30)의 표면과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밀착되어 결합되어야 크라운(10)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고, 크라운(10)과 치아(30)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며, 결합 가능 기간도 늘어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도 검출부의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이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도 측정부(100)를 나타낸 도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20)는 구강 내 산성도를 측정하는 산성도 측정부(100), 측정된 산성도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00) 및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는 상기 크라운(10)의 내부에서 치아(30)의 표면과 접촉되며, 접촉된 상기 일측이 상기 치아(30)의 표면 또는 상기 크라운(10)의 표면에서 산화환원반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는 치아(30)의 표면 또는 크라운(10)의 표면에서 접촉 할 수 있으며,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의 접촉면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산화환원반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산화환원반응은 반응물 간의 전자 이동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산화와 환원이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을 산화되었다고 하고 전자를 얻은 쪽을 환원되었다고 한다. 이때, 잃은 전자수와 얻은 전자수는 항상 같다.
구체적으로, 반응성이 다른 두 금속을 전해질 용액에 담그고 두 금속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흐른다. 이를 화학전지라하며, 화학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은 반응성 큰 금속이 이온화되어 전해질용액에 녹고, 이 때 발생하는 전자가 이동하여 전류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화학전지는 산화환원반응의 가장 대표적인 반응이다.
화학전지는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은 (+)극,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극이 되고, 전지를 구성하는 두 금속간의 이온화 경향의 차가 클수록 전류의 세기는 커진다. 또한, (+)극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며 (-)극에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며, 전자는 (-)극에서 (+)극 쪽으로 이동하고 전류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환원전극인 (+)극에서는 수소가스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성도 측정부(100)는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이온화 경향을 갖는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을 포함한다. 인체에 무해하고, 이온화 경향이 달라 산화화원반응의 (+)극 또는 (-)극이 될 수 있는 금속들이라면 어떠한 금속이라도 상기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이 될 수 있다.
또한, 산성도 측정부(100)에 포함된 이온화 경향이 다른 상기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은 크라운(10) 내부에 위치하되 구강내 산성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크라운(1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의 일부는 크라운(10) 외부로 노출되고, 구강 내의 전해질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설계변경에 따라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의 일부는 치아(30)의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의 접촉면에 배치된 이온화 경향이 다른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이 우식이 발생하여 생기는 산에 해당하는 전해질용액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게 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은 치아(3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산성도 측정부(100)에 포함된 이온화 경향이 다른 상기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은 도면부호 510에서 보는 것처럼 각각 두 개의 링(ring)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을 링 형태로 배치하는 것은 전해질 용액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 2금속(114)은 링 형태의 상기 제 1금속(112) 내부의 관통홈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금속(114)은 상기 관통홈에 삽입된 상태라면 그 형태가 링 형태 이외의 다른 형태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부호 520에서 보는 것처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전해질 용액과의 접촉가능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구형파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20)의 하부에 상기 제 1금속(112) 및 제 2금속(114)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정현파, 절곡, 무정형, 지그재그, 곡선 또는 꺾은선 형태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이 서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된다. 산성도 측정부(100)에 상기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이 겹쳐지지 않게 배치되지 않는 이유는 만일 상기 제 1및 제 2금속(112, 114)이 겹쳐지게 배치되면 상기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의 접촉면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전자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산화환원반응이 감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산성도 측정부(100)에 포함된 이온화 경향이 다른 상기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배치라면 어떠한 배치라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전류센서, 전위차 센서 또는 수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면, 전자는 (-)극에서 (+)극 쪽으로 이동하고 전류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00)에 포함된 전류센서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의 결과로 발생하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면, 환원전극인 (+)극에서는 수소가스가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에 포함된 수소센서가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생성된 수소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난 것을 감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전기에너지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300)는 구강 내 산성도의 변화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통신부(3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말(미도시)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공지의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미도시)은 스마트폰이나 치과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부(300)가 출력한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단말(미도시)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르면, 통신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또한, 단말(미도시)은 통신부(300)에서 출력한 신호를 더 잘 수신하기 위하여 구강에서 사용하거나 크라운(10)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안테나 또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라운(10)의 내부에는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20)가 있고, 산성도 측정부(100)는 구강내 산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크라운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게 위치하며, 또한 산성도 측정부(100)의 일측은 치아(30)에 맞닿을 수 있다.
산성도 측정부(100)에 포함되어 표면에 접촉되는 면에 배치된 이온화 경향이 다른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이 구강내의 전해질 용액과 접촉하는 경우 산성도 측정부(100)에 포함된 상기 제 1 및 제 2금속(112, 114)을 통해 산화환원반응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도 측정부(100)에서 산화환원반응이 발생하면 전류센서, 전위차센서 또는 수소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200)가 산화환원반응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0)가 산화환원반응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300)는 구강 내 산성도의 변화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듯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내 산성도, PH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 임계치, 예컨대 PH 5.5 이하가 되는 경우에 상기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의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와 연동된 단말로 경고 알림을 보낼 수 있어, 사용자는 이를 인식해 치아를 닦거나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크라운
20: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
30: 치아
100: 산성도 측정부
112: 제 1금속
114: 제 2금속
200: 제어부
300: 통신부

Claims (9)

  1.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에 있어서,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 내부에 구비되어 구강 내 산성도를 검출하는 구강 산성도 측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강 산성도 측정 장치는,
    서로 다른 이온화 경향을 갖는 제1 및 제2 금속을 포함하여 구강 내 산성도를 측정하는 산성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산성도를 기반으로 외부의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 경고 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경고 신호를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성도 측정부는:
    구강 내 전해질용액과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 간에 발생하는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금속은 관통홈을 갖도록 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금속과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은 구강 내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에너지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성도 측정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과 상기 제 2금속은 꺾은선 또는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평행한 상태로 구강 내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는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KR1020170026110A 2017-02-28 2017-02-28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KR102012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10A KR102012551B1 (ko) 2017-02-28 2017-02-28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10A KR102012551B1 (ko) 2017-02-28 2017-02-28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01A KR20180099101A (ko) 2018-09-05
KR102012551B1 true KR102012551B1 (ko) 2019-08-20

Family

ID=6359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110A KR102012551B1 (ko) 2017-02-28 2017-02-28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3208D0 (en) * 2019-09-12 2019-10-30 King S College Londo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pathological tooth ero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766A (ja) * 2002-12-27 2004-07-29 Nikkiso Co Ltd 義歯型糖濃度測定装置
JP2005192938A (ja) * 2004-01-09 2005-07-21 Horiba Ltd 口腔内健康状態分析方法および口腔内健康状態分析システム
JP2015192717A (ja) * 2014-03-31 2015-11-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生体情報取得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766A (ja) * 2002-12-27 2004-07-29 Nikkiso Co Ltd 義歯型糖濃度測定装置
JP2005192938A (ja) * 2004-01-09 2005-07-21 Horiba Ltd 口腔内健康状態分析方法および口腔内健康状態分析システム
JP2015192717A (ja) * 2014-03-31 2015-11-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生体情報取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01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6124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partial power source
CN104903738B (zh) 具有安全系统的低功耗电池组
EP2465415B1 (en) Single-use biomedical sensors
CN102986057B (zh) 电池包及带有可拆卸电池包的电气设备
US20160313270A1 (en) Moisture Detection System for External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s Therefor
CN105869357B (zh) 浸水告警装置和浸水告警系统
CN205913540U (zh) 具有远程服药提醒及监控功能的智能药盒
MX2015004954A (es) Aparato, sistema, y metodo para optimizar adaptativamente la disipacion de energia y la energia de difusion en una fuente de energia para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EP3214609A1 (en) Sensor device, sensor system
JP2006187610A (ja) 患者の監視のための装置
KR102012551B1 (ko) 구강 산성도 감지 보철물
EP3904850A1 (en) Intraoral organism monitoring device
CN209883836U (zh) 一种饮水机监控装置及智能饮水机
JP2013132518A (ja) 液体検知システム
JPWO2011090003A1 (ja) 測定装置、測定システム、電力供給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CN105283123A (zh) 带有植入式部件的ecg监测器
WO2023026918A1 (ja) 酸素センサ、水質測定装置及び酸素測定方法
JP6361411B2 (ja) 携帯端末
JP2008235022A (ja) 電池アダプタおよび組付けフレーム
JP2004208766A (ja) 義歯型糖濃度測定装置
CN104799843A (zh) 一种便携式可远程定位预警和气体报警的心电监护仪
CN211239911U (zh) 一种手机保护壳
US20190351245A1 (en) Communications module for use with a defibrillator
CN217138061U (zh) 血糖监测电路及医疗设备
CN201752412U (zh) 无干扰电生理检测用电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