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184B1 - 접이식 쇼핑카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쇼핑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184B1
KR102012184B1 KR1020190007319A KR20190007319A KR102012184B1 KR 102012184 B1 KR102012184 B1 KR 102012184B1 KR 1020190007319 A KR1020190007319 A KR 1020190007319A KR 20190007319 A KR20190007319 A KR 20190007319A KR 102012184 B1 KR102012184 B1 KR 10201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hopping cart
vehicle
folding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관
Original Assignee
홍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관 filed Critical 홍성관
Priority to KR102019000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184B1/ko
Priority to PCT/KR2019/000869 priority patent/WO202015350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물건이 실려있는 쇼핑카트를 차량의 트렁크에 밀어 넣으면서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 회동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에 물건을 옮겨 담는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접이식 쇼핑카트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는 물건이 실리는 바스켓(120)과, 상기 바스켓(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차륜 프레임(140)을 구비한 접이식 쇼핑카트(100)로서, 바스켓(120)을 지지하고, 차륜 프레임(140)과 결합되며, 상기 바스켓(120)의 하단 양 측부에 위치한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동하는 회동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110)와 상기 바스켓(120)을 연결하면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을 지원하는 접이 장치(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쇼핑카트{Folding Shopping car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재 가능한 접이식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쇼핑카트에 물건이 실려있는 상태에서 카트를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회동부를 구성한 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보편화 되면서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 짐, 장비 등을 차량을 통해 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중량 혹은 다량의 물건, 짐, 장비 등을 특정 장소에서 차량 안으로 이동시키거나 차량에서 특정 장소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쇼핑카트는 대형 할인점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다량의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는 운반장치의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다량으로 구매할 때, 쇼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은 쇼핑카트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바스켓과, 바스켓의 후방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 핸들 및 바스켓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스켓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하부의 차륜으로 구성된다.
쇼핑카트는, 주로 대형 할인점에 비치되며, 사용자가 핸들을 밀고 다니면서 대형 할인점 내부를 이동하다가 구매할 물건을 선택한 후, 그 선택된 물품을 적재함에 적재하고 계산대에 가서 정산하게 된다.
다만, 종래의 쇼핑카트는 정산을 마치고 난 후에는 정산한 물건을 다시 쇼핑카트에 넣은 후 쇼핑카트를 차량이 주차된 곳으로 이동하고, 다시 카트에서 물건을 빼서 차량에 싣고, 차량을 운전하여 최종목적지 인근까지 이동한 후 물건을 또다시 차량에서 빼낸 후 카트 없이 짐을 직접 들어서 옮기거나 별도의 카트 등과 같은 적재수단을 이용하여 최종목적지까지 옮겨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용 접이식 카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개인용 접이식 카트의 경우 소형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많은 짐이나 부피가 큰 물건을 실을 수 없었다.
특히, 무거운 짐을 여러 개 실었을 경우 힘이 약한 사용자는 카트에 짐을 탑재한 상태에서 차량 내부로 카트를 들어 올려서 실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차량 근처로 접이식 카트를 운반한 후, 접이식 카트에서 물건을 하나씩 빼서 차량에 싣고 접이식 카트도 따로 접어 차량에 실어야 했다. 또한, 최종목적지에 도착해서는 다시 접이식 카트를 다시 어렵게 펼치고 물건을 차량에서 꺼내 카트에 다시 적재한 후 최종목적지로 이동해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0515호
본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카트를 펼쳤을 경우 무거운 짐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짐이 실려있는 카트를 차량 트렁크에 상차했을 때 바스켓과 거의 유사한 공간만을 차지하여 트렁크에 보관이 용이한 카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건이 실리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차륜 프레임을 구비한 접이식 쇼핑카트로서, 상기 바스켓을 지지하고, 상기 차륜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바스켓의 하단 양 측부에 위치한 메인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쇼핑카트는, 상기 쇼핑카트를 차량의 트렁크 후방에서 상기 차량의 내부로 상차시 접이 장치를 통해 상기 회동부가 상기 쇼핑카트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쇼핑카트가 차량에 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쇼핑카트는, 상기 회동부와 상기 바스켓을 연결하는 접이 장치를 포함한다. 접이 장치는 가스스프링, 크랭크암, 접이보조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이 장치는 쇼핑카트를 트렁크에 상차하는 과정에서 회동부의 회전을 보조하거나 장치의 작동을 통해 회동부를 직접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쇼핑카트에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차륜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바스켓의 하단 양 측부와 메인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메인힌지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스켓의 전단부에는 차량의 트렁크에 쉽게 진입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 차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에 의하면, 물건이 실려있는 채로 쇼핑카트를 차량의 트렁크에 상차 할 수 있어서, 물건을 카트에서 차량으로 옮겨 담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에 의하면, 쇼핑카트가 차량에 상차해 접히는 경우 쇼핑카트의 부피가 바스켓의 부피와 차이가 없어져서 차량의 트렁크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보조바가 포함된 쇼핑카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스스프링이 포함된 쇼핑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크랭크암이 포함된 쇼핑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카트가 차량에 실리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카트가 차량에 실릴 때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카트가 차량에 실린 이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스스프링이 포함된 쇼핑카트가 차량에 실리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에서의 회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은 주로 SUV나 픽업트럭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쇼핑카트를 이용가능한 모든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쇼핑카트(100)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바스켓(120) 및 바스켓(120)을 지지하면서 접힐 수 있는 회동부(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스켓(120)은 다수의 물품을 적재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트렁크의 높이보다 소폭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스켓(120)은 상기 바스켓(12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핸들(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스켓(120) 저면부에는 바스켓(120)이 트렁크에 쉽게 진입하기 위한 보조캐스터(115)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캐스터(115)는 차량의 트렁크 내측으로 쇼핑카트(100)가 진입할 시 수월하게 바스켓(120)이 트렁크의 바닥과 슬라이딩 되어 진입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쇼핑카트(100)의 진행 방향, 즉 전륜이 위치한 부분을 쇼핑카트(100)의 전방, 핸들(130)이 위치한 부분을 쇼핑카트(100)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핸들(130)의 위치는 바스켓(120)의 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스켓(1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핸들이 없거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110)는 바스켓(120) 양쪽 측부 하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차량 트렁크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부(110)는 서포트 프레임(113)과 차륜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프레임(113)은 수평 프레임(1131)과 수직 프레임(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13)은 바스켓(120) 양쪽 측부 하단에 구비되며 메인힌지(114)를 포함하여, 메인힌지(114)를 통해 바스켓(120)과 연결될 수 있고,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부는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형상들이 도 8에 도시된다. 수평 프레임(1131)은 쇼핑카트(100)가 펼쳐졌을 때 바스켓(120)의 양쪽 하단 측부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바스켓(120)을 지지하며, 수직 프레임(1132)은 수평 프레임(1131)의 후방부에서 연결되어 바닥으로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차륜프레임(140)과 결합될 수 있다.
차륜프레임(140)은 쇼핑카트(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141)과 후륜(14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바퀴의 수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카트(100)를 차량(200)의 트렁크 후방에서 차량(200)의 내부로 상차하는 과정에서 회동부(110)의 회전을 보조하거나 장치의 작동을 통해 회동부(110)를 직접 회전시키는 접이장치(111)가 쇼핑카트(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접이장치(111)는 가스스프링, 크랭크암, 접이보조바 등을 활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이장치(111)로서 가스스프링, 크랭크암, 접이보조바 각각이 이용되는 경우를 서술하겠다.
우선,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접이보조바를 접이장치(111)로서 적용시, 접이보조바의 일단은 바스켓(120) 양측부 중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바스켓(120)과 회동부(110) 사이로 연장되어 바닥으로 향하며, 수직프레임(1132) 앞쪽에 구속되지 않는 형태로 접이보조바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접이보조바의 앞쪽면을 전면이라 하고 뒤쪽면을 후면이라고 설명하기로 한다. 접이보조바의 전면은 쇼핑카트(100)가 트렁크에 진입시 최초 범퍼와 접촉하고 이후 트렁크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쇼핑카트(100)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접이보조바가 회전하면 접이보조바의 후면은 회동부(110)의 수직프레임(1132)에 접촉하며 카트 후면쪽으로 접촉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접촉외력은 수직프레임(1132)에서 처음 발생하고 수직프레임(1132) 중간에 결합된 보조부재(1133)를 따라 차륜프레임(140) 전방까지 발생하게 된다. 결국, 접이보조바는 회동부(110)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이보조바와 회동부의 매끄러운 접촉을 위해 접이보조바 끝부분에 롤러를 설치 할 수 있다. 접이보조바의 형상은 'I'형 'L' 형, 'C'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굽은 형태인 'L'형의 접이보조바를 예시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스스프링이 포함된 쇼핑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와 같이, 가스스프링이 접이장치(111)로서 적용시 가스스프링의 일단은 바스켓(120)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프레임(1131) 전방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회동부(110)에는 회동부(11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쇼핑카트(100)가 차량(200) 내부로 진입한 후 고정장치를 해제하고 손잡이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바스켓 양쪽에 설치된 가스스프링의 반발력으로 가스스프링이 전개되면서 회동부(110)가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접히게 될 수 있다.
상기 가스스프링이 작동하는 원리는 트렁크 문을 여는 원리와 비슷하다. 트렁크 개폐손잡이를 열고 트렁크문을 들면 트렁크문과 자동차 본체 사이에 연결된 가스스프링이 전개되면서 트렁크 문을 위로 들어올려지는 원리와 유사하다. 가스스프링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가스스프링의 설치 개수와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크랭크암이 포함된 쇼핑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크랭크암(111-1)을 접이장치(111)로서 적용시 바스켓(120)에는 크랭크암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일 예로 리니어 액츄에이터(111-2)를 크랭크암 회전장치로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11-2)와 함께 액츄에이터 조작부, 컨트롤러 등 부속장치가 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카트 양측부 메인힌지(114)는 하나의 회전축(111-3)으로 연결되어 회전축(111-3)이 회전시 회동부(11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1-3)에는 크랭크암(111-1)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측면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도 3에서의 상기 회전축(111-3)은 메인힌지(114)와 겹쳐지게 나타날 것이다.
크랭크암(111-1) 회전장치인 리니어 액츄에이터(111-2) 일단은 바스켓(120) 후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크랭크암(111-1)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쇼핑카트(100)가 차량(200) 내부로 진입한 후 고정장치를 해제하고 조작부를 작동시키면 리니어 액츄에이터(111-2)의 샤프트가 전진한다. 상기 샤프트가 전진함에 따라 샤프트에 힌지 결합된 크랭크암(111-1)은 회전운동을 한다. 이때 회전축(111-3)에 연결된 회동부(110)도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전하여 접히게 된다. 샤프트의 구동길이는 크랭크암(111-1)이 일정각도 회전할 때까지로 제한할 수 있다.
크랭크암 회전장치로는 리니어 액츄에이터(111-2), 크랭크암 회전바, 체인방식 등 크랭크암(11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통상적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회동부(110)의 무게와 작동방식에 따라 상기 크랭크암(111-1)의 설치 개수와 위치는 달라 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100)를 차량(200)의 트렁크 후방에서 상기 차량(200)의 내부로 상차시 접이 장치(111)를 통해 회동부(110)가 약 90° 회동되면서 쇼핑카트(100)가 차량(200)에 실리게 된다. 이때 약 90°는 수직에 가까운 범위로서 80° 내지 100°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수단이 바스켓(120) 측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쇼핑카트(100)가 차량에 실리기 전의 접이장치(111)의 상태를 그대로 고정하고 회동부(110)의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가이드와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고정가이드는 회동부(110)의 회전을 직접 제한하고, 탄성부재는 쇼핑카트(100)가 상하차시 회동부(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바스켓(120) 내측으로 고정가이드를 해제시키거나, 고정가이드를 제자리로 복귀시킬 수 있다.
다만, 고정수단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스켓(120)을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1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들은 바스켓(120)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구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되는 차륜 프레임(140) 간을 연결하며, 쇼핑카트(100)의 견고한 지지 및 이동을 위한 차륜 프레임 연결봉(143)이 차륜 프레임(14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쇼핑카트(100)에 접이식 프레임(회동부)와 접이장치(111)를 설치하여 쇼핑카트(100)에 물건이 실린 상태에서 쇼핑카트(100)를 차량의 트렁크에 상차하는 과정에서 회동부(110)를 접을 수 있게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쇼핑카트(100)가 차량(200) 트렁크 내부로 진입한 후 회동부가 차량 범퍼에 맞닿을 때 고정수단을 해제하고 접이장치(111)를 작동을 시켜 회동부(110)가 접히면서 차륜 프레임(140)이 핸들(130)측으로 회동되면서 차량(200)의 트렁크에 실리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쇼핑카트(1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쇼핑카트(100)가 차량에 실릴 때 변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는 쇼핑카트(100)가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기 전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접이장치(111)를 사용하여 쇼핑카트(100)의 회동부(110)가 회동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회동부(110)가 핸들(130) 측으로 완전히 회동되어 트렁크에 적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접이장치(111)로서 접이보조바를 상정하여 나타낸 도면에 해당한다.
또한, 도 7에서는 접이장치(111)로서 가스스프링을 상정하여 쇼핑카트(100)가 차량에 실리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이장치(111)만 상이할 뿐 도 4 내지 도 6과 동일한 과정에 해당할 것이다.
우선 쇼핑을 마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카트(100)를 차량(200)의 후방까지 이동한 후 트렁크의 문을 개방하게 된다.
사용자가 쇼핑카트(100)를 계속하여 차량 내부로 미는 경우, 바스켓(120)은 트렁크보다 소폭 높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회동부(110)의 수직 프레임(1132)이 트렁크의 범퍼와 접촉하기 전까지 바스켓(120)은 회동부(110)가 펼쳐진 상태로 차량 트렁크 내부로 이송되며, 최종적으로 쇼핑카트(100)의 회동부(110)의 수직 프레임(1132)이 범퍼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쇼핑카트(100)의 회동부(110)의 수직 프레임(1132)은 짐이 적재된 바스켓(120)의 무게중심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스켓(120)의 무게중심이 트렁크 내부로 이송된 후에 회동부(110)의 접철이 시작될 수 있게 함이다. 이는 바스켓(120)이 트렁크에 상차 중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그 목적인데 바스켓(120)의 무게중심이 차량 트렁크 내측으로 이송되기 이전에 쇼핑카트(100)의 회동부가 회전하게 되면 트렁크 외측에 있는 바스켓(120)의 무게중심으로 인해 바스켓(120)의 수평이 무너지고 쇼핑카트(100)가 뒤로 전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고자 바스켓(120)의 무게중심이 회동부(110)의 수직 프레임(1132)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동부(110)의 수직 프레임(1132)이 트렁크의 범퍼와 접촉하는 시점에 고정수단을 해제하게 되면 회동부(110) 구속이 해제되고 회동부(110)의 회전이 가능하다. 쇼핑카트(100)에는 트렁크에서 바스켓(120)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캐스터(115) 가 바스켓(120) 저면부에 구비되는데, 회동부(110)의 회전이 시작함과 동시에 차량 트렁크 바닥과 접촉하여 바스켓(120)을 지지하고 바스켓(120)의 수평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고정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접이장치(111)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동부(110)가 회전하게 된다. 접이장치(111)는 가스스프링, 크랭크암(111-1), 접이보조바 등을 활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가스스프링의 경우 회동부(110)에 부착된 손잡이를 회동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압축된 가스스프링이 전개되면서 가스스프링 피스톤 로드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가스스프링에 힌지 결합된 수평프레임은 메인힌지를 축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즉 회동부(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크랭크암(111-1)의 경우 크랭크암 회전장치를 작동시키면 일 예로 리니어 액츄에이터(111-2)를 회전장치로 적용시 액츄에이터의 조작부를 작동시키면 액츄에이터의 샤프트가 전진한다. 즉 액츄에이터 내부에 있던 샤프트의 길이가 전방으로 늘어나게 된다. 샤프트가 전진하면서 샤프트에 링크 결합된 크랭크암(111-1)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암(111-1)과 연결된 회전축(111-3)도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회전축(111-3)에 연결된 회동부(110)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접이보조바의 경우 쇼핑카트(100)를 트렁크에 상차하는 과정에서 접이보조바가 범퍼와 트렁크 바닥면과 접촉하며 카트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접이보조바가 회전하면서 회동부의 수직프레임(1132)에 접촉하고 외력을 발생시킨다. 접촉외력이 회동부(110)를 바스켓(120)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접이보조바는 회동부(110)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스켓(120)이 트렁크에 완전히 상차 되었을때 회동부(110)는 바스켓(120) 후방 방향으로 약 90° 회전하게 되어 바스켓(120) 측면에 접철되게 된다. 쇼핑카트(100)가 펼쳐졌을 때 바스켓(120) 측면하부에서 바스켓(120)을 지지하고 있던 회동부(110)는 쇼핑카트(100)의 트렁크 상차시 바스켓(120)의 전후너비 방향에 상응하거나 크게 벗어나지 않고 바스켓(120)의 측면에서 바스켓(120)의 전후 너비 방향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차량 트렁크의 한정된 공간내에 쇼핑카트(100)를 적재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착하여 다시 쇼핑카트(100)를 트렁크로부터 꺼내기 위해서는 상차 방법의 역순의 과정을 통해 카트를 하차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 4의 순으로 쇼핑카트(100)는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는 쇼핑카트(100)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밀고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출발지에서 물건을 쇼핑카트(100)에 싣고 쇼핑카트(100)를 주차된 차량의 트렁크에 그대로 적재하고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에서 물건이 실린 쇼핑카트(100)를 빼내어 최종목적지까지 이동을 쉽게 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8의 좌측 도면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쇼핑카트(100)에서의 회동부(110)의 다른 실시예2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8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회동부(110)에서 서포트 프레임(113)의 형상이 T형을 가지는 접이식 쇼핑카트(100)가 도시된다. 서포트 프레임(113)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131)과 이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1132)이 T자 형태를 이룬 경우이다.
도 8의 가운데 도면, 우측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쇼핑카트(100)에서의 회동부(110)의 다른 실시예3, 다른 실시예4를 각각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8의 가운데 도면을 참조하면, 회동부(110)에서 서포트 프레임(113)의 형상이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접이식 쇼핑카트(100)가 도시된다. 서포트 프레임(113)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131)과 이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1132)이 도 1의 'ㄱ'형상이나 도 8의 좌측 도면의 'T'형상과 달리, 기울어진 형태의 특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이 'ㅅ'형상의 특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는 수직 프레임(1132)과 수평 프레임(1131)을 포함하는 서포트 프레임(113)의 형상, 차륜 프레임(140)의 형상이 본 명세서의 도면에 제시된 예 외에도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쇼핑카트
110 : 회동부
111 : 접이 장치
113 : 서포트 프레임
1131 : 수평 프레임
1132 : 수직 프레임
1133 : 보조부재
115 : 보조캐스터
120 : 바스켓
130 : 핸들
140 : 차륜 프레임
141 : 전륜
142 : 후륜
143 : 차륜 프레임 연결봉
200 : 차량

Claims (8)

  1. 물건이 실리는 바스켓(120)과, 상기 바스켓(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차륜 프레임(140)을 구비한 접이식 쇼핑카트(100)로서,
    상기 바스켓(120)을 지지하고, 상기 차륜 프레임(140)과 결합되며, 상기 바스켓(120)의 하단 양 측부에 위치한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동하는 회동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110)와 상기 바스켓(120)을 연결하면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을 지원하는 접이 장치(111)를 포함하고,
    상기 쇼핑카트(100)가 차량(200)의 트렁크 후방에서 상기 차량(200)의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접이 장치(111)가 수평 프레임(1131)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동부(11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동부(110)는 상기 차량(200)에 실리기 전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체로 상기 차량(200) 내부의 반대편으로 회동되며, 상기 차량(200)에 실린 상태의 회동부(110)는 상기 바스켓(120)과 포개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110)는 상기 차륜 프레임(140)과 결합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1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113)의 일 단부는 상기 바스켓(120)의 하단 양 측부와 메인힌지(114)에 의해 결합되어,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동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113)은 상기 바스켓(120)의 하단 양측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바스켓(120)을 지지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1131) 및 상기 수평 프레임(1131)에서 연장되고 상기 차륜 프레임(140)과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1132)을 포함하는, 접이식 쇼핑카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카트(100)를 차량(200)의 트렁크 후방에서 상기 차량(200)의 내부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접이 장치(111)를 통해 상기 차량(200) 내부의 반대편으로 회동되어 상기 쇼핑카트(100)가 차량(200)에 실리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쇼핑카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을 지원하는 상기 접이 장치(111)는 가스스프링이며,
    상기 가스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바스켓(120)의 하단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가스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1131)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쇼핑카트(100)가 차량(200)의 트렁크에 실리면서 상기 회동부(110)에 설치된 양쪽 손잡이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바스켓(120)의 양쪽에 설치된 가스스프링이 반발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동부(110)가 상기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지원하는, 접이식 쇼핑카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120)의 하단 양 측부에 위치한 메인힌지(114)가 회전축(111-3)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111-3)에 크랭크암(111-1)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을 지원하는 상기 접이 장치(111)는 크랭크암(111-1)이며,
    상기 크랭크암(111-1)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111-3)과 연결되고, 상기 크랭크 암(111-1)의 타단은 크랭크암 회전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쇼핑카트(100)가 차량(200)의 트렁크에 실리면서 상기 크랭크암 회전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크랭크암 회전장치와 결합된 상기 크랭크암(111-1)을 회전운동을 시켜 상기 회동부(110)가 상기 메인힌지(114)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지원하는, 접이식 쇼핑카트.
  8. 삭제
KR1020190007319A 2019-01-21 2019-01-21 접이식 쇼핑카트 KR10201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19A KR102012184B1 (ko) 2019-01-21 2019-01-21 접이식 쇼핑카트
PCT/KR2019/000869 WO2020153509A1 (ko) 2019-01-21 2019-01-22 접이식 쇼핑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19A KR102012184B1 (ko) 2019-01-21 2019-01-21 접이식 쇼핑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184B1 true KR102012184B1 (ko) 2019-10-21

Family

ID=6846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319A KR102012184B1 (ko) 2019-01-21 2019-01-21 접이식 쇼핑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2184B1 (ko)
WO (1) WO202015350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651A (ja) * 2000-12-30 2002-07-23 Tsuneshige Kobayashi ランラン台車
US9573610B1 (en) * 2015-04-03 2017-02-21 Trunkfit, Llc. Collapsible trunk-accessible carts
WO2017037702A1 (en) * 2015-09-01 2017-03-09 Geffen Yuval Collapsible locomotion platform and ca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58A (ko) * 2002-04-26 2003-11-01 (주)테놉스 휴대용 쇼핑 카트
KR20160052132A (ko) * 2014-11-04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형 스마트 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651A (ja) * 2000-12-30 2002-07-23 Tsuneshige Kobayashi ランラン台車
US9573610B1 (en) * 2015-04-03 2017-02-21 Trunkfit, Llc. Collapsible trunk-accessible carts
WO2017037702A1 (en) * 2015-09-01 2017-03-09 Geffen Yuval Collapsible locomotion platform and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509A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314B1 (en) Foldable cart system and method
US7188847B1 (en) Collapsible cart
US6889998B2 (en) Foldable utility cart with lift mechanism
US9221486B2 (en) Cart
US20070096437A1 (en) Trolley
US10864932B2 (en) Foldable cart with deployable wheels
US20080061531A1 (en) Transporting apparatus
US20090315301A1 (en) Scooter luggage
JP2000512530A (ja) コンテナー又はカートのローラ機構
JP2005537168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US20060045677A1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JP2007519557A (ja) 折り畳み式の手押一輪車及びハンドカート
US5326116A (en) Foldable hand trolley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2012184B1 (ko) 접이식 쇼핑카트
JPH0421291Y2 (ko)
RU168969U1 (ru) Тележка складная
RU161747U1 (ru) Тележка складная
KR20200134936A (ko) 회동부를 구비한 카트장치
KR102277911B1 (ko) 바스켓 탈부착 가능한 슬라이딩 접이식 쇼핑카트
RU2646019C1 (ru) Ручная тележка и погрузоразгрузочный механизм
US20230365178A1 (en) Collapsible cart
EP2184205B1 (fr) Chariot de courses pouvant être chargé plein dans un coffre de véhicule automobile
RU217408U1 (ru) Тележка складная
US11603123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KR20230075616A (ko) 차량 연계형 스마트 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