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856B1 -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856B1
KR102011856B1 KR1020180067762A KR20180067762A KR102011856B1 KR 102011856 B1 KR102011856 B1 KR 102011856B1 KR 1020180067762 A KR1020180067762 A KR 1020180067762A KR 20180067762 A KR20180067762 A KR 20180067762A KR 102011856 B1 KR102011856 B1 KR 10201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manual
container
adhesive lay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철
Original Assignee
윤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철 filed Critical 윤영철
Priority to KR102018006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일면에 포장 용기에 부착하기 위해 설치된 접착층을 가지고, 타면에는 상표, 유통기한 기타 상품 기본 정보가 인쇄된 라벨과, 라벨의 타면에 부착되도록 주변부에 점착층을 가지는 설명서를 구비하며, 점착층이 밀착되는 라벨의 타면에는 점착층이 쉽게 이형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처리물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가 첨부된 용기 라벨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용기가 개시된다. 이때, 표면처리물질은 타면의 상품 정보와 함께 인쇄방식으로 타면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벨과 설명서의 일체화로 상품 설명서의 상품 포장 내의 첨부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함으로써 기계화된 자동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라벨의 제조 작업 및 포장 용기에 결합시키는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가 설명서를 일단 확인한 뒤에도 간단한 동작으로 라벨에 밀착을 유지시켜 원하는 때에 다시 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label for container having manual,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품 등의 포장용기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라벨, 그 제조 방법 및 이런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 설명 책자나 안내서 기타 설명서를 결합시킨 라벨, 그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은 내용물이 포장상자에 담긴 상태로 유통이 되는데, 해당 상품에 대한 사용과 취급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설명서가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의료 약품이나 농약과 같은 경우, 약품의 복용이나 사용이 복용자나 사용자의 인체나 업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약을 먹는 방법이나 약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효과나 주의할 점에 대한 상세하고 충분한 설명을 기재한 설명서가 필요하다.
특히, 근래에 시행되고 있는 제조물책임(PL, Product Liability)법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를 제조업자, 판매업자, 수입업자 등이 배상하도록 하는데, 이를 고려할 때 취급 제품에 대한 브랜드는 물론 제품의 효능, 제품의 사용설명서, 사용시 주의사항, 안전상 주의사항, 품질 표시, 바코드 등 모든 정보를 반드시 제품과 관련하여 표시해야 하고, 이러한 표시나 설명 의무를 태만히 하는 경우, 거액의 손해배상 책임을 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물책임법 시행으로 인한 책임에 대비하여 농약, 의약품, 화공약품, 정밀화학 등의 다수 업종은 상품과 관련하여 필요한 설명을 담은 설명서를 반드시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간단하게는 포장용기 자체나 포장용기에 부착하는 합성수지나 종이 등의 라벨에 인쇄를 통해 상표와 상품에 대한 간단한 요약정보 및 구체적인 정보, 주의사항 모두를 표현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간단한 제품을 제외하고 약품과 같은 상당 부분의 상품의 경우, 포장용기 표면에 이런 모든 정보를 담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정보의 많은 양을 차지하는 상세정보 및 주의사항을 포장용기나 라벨과 별도의 설명서에 표시하고, 이러한 설명서를 포장상자 내부에 포장용기와 별도로 담아 상품을 유통시키는 것이 통상적이 된다.
이런 경우, 상품을 포장상자에 담은 다음 설명서를 포장상자에 끼워 주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포장 과정은 상품을 포장상자에 넣는 과정과 설명서를 끼워 넣는 2번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인 바, 특히 설명서를 끼워 넣을 때 상품이 들어 있는 상자의 좁은 공간에 설명서를 끼워 넣어야 하므로 기계화가 어려워 사람이 일일이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런 불편으로 인하여 설명서를 제품용기에 부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런 방식에서는 포장용기에 상품과 설명서를 따로 넣지 않고 한번에 넣어줌으로써 포장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설명서가 제품용기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므로 포장용기가 없는 경우에도 설명서를 상품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778호에는 "포장용기용 라벨"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기용 라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10) 표면에 인쇄스티커지(20)가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점착되어 있는데, 인쇄스티커지(20) 상면에는 투명스티커지(30)가 상품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는 속지(40)를 감싸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용기용 라벨은 이형지(10) 표면에 인쇄스티커지(20)를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점착하기 위해 인쇄스티커지(20) 저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이형지(10)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쇄스티커지(20), 즉 설명서를 이형지(10)에 부착하여 배열하기 위해서는 인쇄스티커지(20)지 저면에 미리 점착제를 도포하여야 하는바, 작은 크기의 인쇄스티커지(20)에 점착제를 도포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인쇄스티커지(20)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은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므로 취급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인쇄스티커지(20)에 도포된 점착제로 인쇄스티커지(20)를 제품용기에 점착하기 때문에 인쇄스티커지(20)를 한번 부착하면 쉽게 떼어내기가 어려워 설명서의 내용을 확인할 때에는 언제나 제품용기를 들고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4966호에는 설명서를 접어 제품용기에 부착하는 부착식 접지 설명서가 개시된다. 이 발명은 접지 설명서(300)와, 점착층을 구비하여 접지된 설명서에 부착되는 상부점착필름층(222c)과, 점착층을 구비하여 제품용기에 부착되는 하부점착필름층(222a)과, 상부점착필름층과 하부점착필름층 사이에 부착된 이형층(240)을 포함하되, 이형층은 이형제가 개재(介在)된 채 상부점착필름층 및 하부점착필름층을 합지(lamination , 合紙)하여 형성됨으로써 접착력을 상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이러한 부착식 접지 설명서가 용기에 부착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러나, 이런 기술에서는 접지 설명서(300)의 하면 중심쪽에 접착층 혹은 점착층이 설치되어 주변부가 라벨(100)에서 이격되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기 쉽다. 이런 경우, 접지 설명서를 라벨에 부착한 상태로 라벨을 용기에 부착하는 작업을 하기는 쉽지 않고, 라벨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접지 설명서의 전단과 후단이 그대로 돌출되어 작업 시나 작업 후에도 외부 물체와 부딪혀 접지 설명서가 라벨에서 이탈되고 망실되기 쉽다. 결국, 용기에 라벨과 함께 접지 설명서를 부착하는 작업을 기계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단 접지 설명서를 읽고 난 뒤에는 이를 다시 라벨 위에 부착시킬 경우, 이후에 접지 설명서가 상품을 상품용기에서 꺼내는 과정 등에서 손에 부딪히거나 다른 물건에 부딪혀 번거롭게 되고, 포장용기로부터 이탈되어 망실되거나, 쉽게 훼손되어 후에 필요할 때 접지 설명서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7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49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설명서를 포장 박스 내에 비치시키는 작업의 어려움, 특히 기계화된 자동작업의 어려움을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 설명서의 상품 포장 내의 첨부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함으로써 첨부 공정을 안정적이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기계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설명서가 첨부된 용기 라벨과, 그 제조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상품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명서가 첨부된 용기 라벨은 일면에 포장 용기에 부착하기 위해 설치된 접착층 혹은 점착층을 가지고, 타면에는 상표, 유통기한 기타 상품 기본 정보가 인쇄된 라벨과, 라벨의 타면에 부착되도록 주변부에 점착층을 가지는 설명서를 구비하며, 점착층이 밀착되는 라벨의 타면에는 점착층이 쉽게 이형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처리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표면처리물질은 타면의 상품 기본 정보와 함께 인쇄방식으로 타면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서의 주변부 일부는 점착층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고 절곡부가 형성되며 다른 부분에 비해 강도가 강화된 이형 보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라벨은 종이를 주재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종이가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서는 책자형으로 이루어져 앞표지장 개방단이 제본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주변부의 일부를 이루고 그 후면에 설명서용 점착층이 설치되며, 뒤표지장 후면의 제본단에도 설명서용 점착층이 설치되어 설명서를 라벨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앞표지장과 뒤표지장은 속지장에 비해 인장강도가 더 강한 다른 재질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품용기 라벨 제조방법은 라벨의 일면에 접착층 혹은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라벨의 타면에 상품 기본 정보가 인쇄되면서 표면처리물질을 인쇄 방식으로 함께 도포하는 단계, 라벨의 타면에서 표면처리물질이 도포된 영역이면서 설명서 주변부가 밀착될 부분에 설명서용 점착층을 설치하는 단계, 설명서의 주변부가 설명서용 점착층에 겹치도록 설명서를 라벨의 타면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라벨 일면에 접착층이나 점착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형지를 부착하여 취급하기 쉽도록 하는 단계가 통상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부착되는 라벨과 설명서의 일체적 설치를 통해 기존의 별도 설명서를 포장 박스 내에 비치시키는 작업의 어려움, 특히 기계화된 자동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라벨과 설명서의 일체화로 상품 설명서의 상품 포장 내의 첨부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함으로써 기계화된 자동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라벨의 제조 작업 및 포장 용기에 결합시키는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가 설명서를 일단 확인한 뒤에도 간단한 동작으로 라벨에 밀착을 유지시켜 원하는 때에 다시 볼 수 있고, 용기 사용시 설명서가 용기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하여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에서 설명서를 제외한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에서 책자형 설명서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6은 도5의 책자형 설명서 구성을 나타내는 투시적 정면도,
도7은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중요 단계들을 나타내는 공정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용기 라벨은 기존 라벨에 설명서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라벨 부분은 기존의 일반적 라벨과 비슷한 구성을 가진다. 기존의 포장용기 라벨지(410)과 같은 재질, 일 면의 점착층이나 접착층(420), 타면의 인쇄 형태를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라벨지(410)의 재질로 인쇄가 용이하고 인쇄된 잉크가 잘 벗겨지거나 제거되지 않는 종이를 사용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타면은 종이 재질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준비된다. 단, 타면의 일부 영역에는 접착층(420)의 이형이 용이하도록 종이 표면이 이형 물질(440a)로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는 타면에 대한 정보 사항 인쇄에 의한 인쇄층(440b) 형성과 동시에 이형 물질(440a)을 타면에 인쇄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인쇄 카트리지에는 기존에 가령 4색도 인쇄를 할 때 색도 별로 4개의 카트리지를 가지던 것을 인쇄 카트리지를 하나 더 준비하고, 이 인쇄 카트리지에서는 라벨 타면의 일정 영역에 이형 물질 분사를 실시하되, 이 이형 물질 분사를 다른 색도 잉크와 통합적으로 인쇄작업 속에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포장용기와 접하는 라벨지(410)의 일 면에는 접착층(420: 이하 점착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기로 한다)이 설치된다. 포장용기의 재질에 따라 그 접착도가 조절될 수 있다. 통상 이 접착층에는 비닐코팅 등으로 접착층 이형이 용이하도록 표면이 처리된 이형지(430)가 접착층(420) 설치 직후 단계부터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라벨지(410) 한 면에 접착층(420) 설치와 이형지(430) 설치를 하는 것과 라벨지 타 면에 인쇄층(440b) 및 이형 물질(440a)을 형성하는 것은 어느 것이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설명서(500)는 여기서 책자 형태로 이루어져 평면도 상에서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표지와 속지가 간단히 제본된 상태를 이룬다. 물론, 설명서는 다른 형태, 가열, 책자형 외에 한 장의 종이를 여러 방향으로 접어서 이루어진 접이 설명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지(510)는 속지(520)에 비해 질기고 잘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는 재질의 종이, 표면처리된 종이, 인장강도가 통상의 종이보다 더 강한 기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설명서(500)의 앞표지(510a)는 개방단이 속지 개방단보다 제본단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된 부분의 후면에는 설명서용 점착층(45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에서 볼 때(평면도에서 볼 때) 직사각형 설명서의 우측변의 일정 폭에 해당하는 개방단 측 앞표지(510a)의 후면은 라벨지(410)의 이형 물질(440a)로 처리된 일정 영역에 설명서용 점착층(450))을 개재시킨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설명서(500)의 뒤표지(510b) 후면의 제본단(직사각형 책자의 좌측변에 해당)에도 설명서용 점착층(450)이 일정 폭으로 설치되어 마찬가지로 설명서(500)를 라벨지(410)의 이형 물질로 처리된 일정 영역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앞표지(510a)의 연장된 부분인 연장부(510c)의 후면에는 모두 설명서용 점착층(450)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우측 상단의 일부, 인위적으로 잘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절곡선(510e) 외측 영역에 설명서용 점착층을 가지지 않는 이형보조부(510d)를 두고 있다. 이 부분은 물론 속지보다 질기고 강하며, 절곡선(510e)에 의해 잘 접혀서, 사용자가 설명서(500)를 보기 위해 라벨지(410)로부터 앞표지(510a)를 이격시키기 위해 잡아당기는 부분이 된다. 이 부분은 비교적 작은 부분이므로, 책자형 설명서 전체를 라벨지에 장착하거나 탈착시킬 때, 라벨지를 상품 용기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할 때, 손이나 외부 물체와 스치거나 충돌하여 설명서(500)가 라벨지(410)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문제는 거의 생기지 않게 된다.
용기에 라벨을 부착하는 작업은 대개 라벨지(410)의 길이방향인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직사각형의 책자형 설명서(500)의 양 측단은 설명서용 점착층(450)에 의해 거의 빈틈없이 라벨지(410)에 밀착되므로, 비록 라벨지 표면에 설명서(500)가 부착되어도 라벨지를 용기에 부착하는 작업은 설명서의 존재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설명서용 점착제(450)가 위치하는 영역은 라벨의 이형이 용이하게 이형 물질(440a)로 표면처리된 영역 범위 내로 한정되므로 설명서(500)를 보기 위해 책자형 설명서의 앞표지(510a)를 라벨지에서 뗄 때 쉽게 이격시킬 수 있고, 반대로 다시 붙이면 쉽게 부착될 수 있어서 설명서(500)를 읽기 편하게 되고, 쉽게 영구적으로 라벨지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으며, 설명서(500)를 라벨지(410)에 계속 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기도 용이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책자를 가진 용기 라벨의 일 실시예를 만드는 제조 과정의 중요 단계들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라벨지(410)를 준비한다. 라벨지는 기존의 라벨지와 비슷한 구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즉, 용기와 부착되는 일 면에 접착층(420)과 이형지(430)가 설치되고, 외측으로 보이는 타 면에는 상품에 대한 정보 사항의 인쇄가 이루어진다. 단, 인쇄에 의한 인쇄층(440b)와 함께 타 면의 설명서(500)가 부착될 영역 일부에 점착층(450) 이형을 쉽게 한 이형 물질(440a) 도포를 통해 표면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이형 물질(440a) 도포 영역이면서 향후 설명서(500)가 부착될 영역 위에 별도 공정을 통해 설명서용 점착층(450)이 설치된다. 이 설명서용 점착층(450)은 단순한 도포 작업이나 별도의 인쇄와 유사한 점착제 분사 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라벨지(410)와 별도로 책자형 설명서(500)가 준비된다. 책자형 설명서(500)도 기존의 설명서용 소책자와 비슷한 구성을 가지나, 앞표지와 뒤표지가 속지보다 더 강인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앞표지의 우측 단부에 해당하는 개방단은 속지 우측 단부보다 제본단으로부터 일정 폭 더 연장되어 연장부를 이룬다.
이렇게 형성된 라벨지(410)의 타면에 책자형 설명서(500)를 밀착시킨다. 이때, 책자형 설명서의 앞표지 연장부와 뒤표지의 제본단의 일정 폭은 이미 형성된 라벨 본체의 타 면에 설치된 설명서용 점착층(450)과 정확히 겹치도록 정렬하며 밀착을 위해 롤러 내로 통과으로 가압을 실시할 수 있다. 설명서용 점착층(450)은 라벨지(410)의 표면처리부와의 결합력이 설명서(500)의 대응 부분(연장부 및 제본단 일정 폭 영역)과의 결합력보다 약하므로 점착층(450)은 설명서의 대응 부분으로 전이되어 결합되면서, 책자형 설명서도 점착층으로 인해 라벨지와 좌우단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설명서를 가진 라벨이 만들어지고, 이 라벨은 향후 작업을 통해 상품의 포장 용기 외면에 부착된다. 이런 부착 작업은 수작업이나 자동화된 기계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계화 작업을 위해 라벨은 다수가 연속된 띠 형태를 이루며 롤에 감긴 상태로 작업용 기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작업용 기계에서는 라벨 일 면에서 이형지를 제거하고, 개개의 라벨을 이 기계에 별도 경로로 공급된 포장 용기 외면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410: 라벨지 420: 접착층
430: 이형지 440a: 이형 물질
440b: 인쇄층 450: 점착층
500: 설명서 510: 표지
510a: 앞표지 510b: 뒤표지
510c: 연장부 510d: 이형보조부
510e: 절곡선 520: 속지

Claims (6)

  1. 일면에 포장 용기에 부착하기 위해 설치된 접착층(광의의 개념임)을 가지고, 타면에는 상품 정보가 인쇄된 라벨과,
    주변부에 설명서용 점착층을 가져 상기 라벨의 타면에 부착되는 설명서를 구비하며,
    상기 설명서용 점착층이 밀착되는 상기 라벨의 타면에는 상기 설명서용 점착층이 쉽게 이형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처리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표면처리물질은 상기 라벨의 타면의 상품 정보와 함께 인쇄방식으로 도포된 것이며,
    상기 설명서는 앞표지와 뒤표지와 속지를 구비하는 책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앞표지는 상기 속지에 비해 인장강도가 더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표지의 개방단은 상기 속지 및 상기 뒤표지의 개방단보다 제본단으로부터 더 연장된 연장부를 이루고,
    상기 설명서용 점착층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의 후면과 상기 뒤표지의 제본단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설명서 전체의 개방단과 제본단을 상기 라벨에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가 첨부된 용기 라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종이를 주재로 이루어져 상기 타면은 종이가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연장부의 일부에는 상기 설명서용 점착층이 설치되지 않고 절곡선에 의해 상기 연장부의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이형보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가 첨부된 용기 라벨.
  5. 제 1 항의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을 만드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라벨의 일면에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타면에 상품 정보를 인쇄하면서 표면처리물질을 인쇄 방식으로 함께 도포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타면에서 상기 표면처리물질이 도포된 영역이면서 상기 설명서의 상기 주변부가 밀착될 부분에 설명서용 점착층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변부가 상기 설명서용 점착층에 겹치도록 상기 설명서를 상기 라벨의 타면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방법.
  6. 제 1 항의 설명서가 첨부된 용기 라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용기,
KR1020180067762A 2018-06-12 2018-06-12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KR10201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62A KR102011856B1 (ko) 2018-06-12 2018-06-12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62A KR102011856B1 (ko) 2018-06-12 2018-06-12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856B1 true KR102011856B1 (ko) 2019-08-19

Family

ID=6780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762A KR102011856B1 (ko) 2018-06-12 2018-06-12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628A (ko) *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대웅제약 용기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0637A (en) * 1996-08-08 2000-09-19 Inprint Systems, Inc. Self-adhesive labels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422778Y1 (ko) 2006-04-27 2006-08-01 이경도 포장용기용 라벨
KR101334966B1 (ko) 2012-08-13 2013-12-16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부착식 접지 설명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0637A (en) * 1996-08-08 2000-09-19 Inprint Systems, Inc. Self-adhesive labels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422778Y1 (ko) 2006-04-27 2006-08-01 이경도 포장용기용 라벨
KR101334966B1 (ko) 2012-08-13 2013-12-16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부착식 접지 설명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628A (ko) *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대웅제약 용기 어셈블리
KR102172524B1 (ko) 2019-04-08 2020-10-30 주식회사 대웅제약 용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743A (en) Package label
US5439721A (en) Label for packaged products
EP1399906B1 (en) Self-laminating strip label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5207746A (en) Package label
CA1231526A (en) Label
RU2176413C2 (ru) Самоклеящаяся этикетка
US5800893A (en) Double-blind label and method for double-blind labelling
CA2274920C (en) Label for labelling preferably cylindrical containers and a container with a label of this type
CZ41999A3 (cs) Samolepivá etiketa
US20090183410A1 (en) Customizable, double-sided adhesive information label
US20140068982A1 (en) Specialized Dosage Label with Shutter Window and Easy Open Strip
BR112020009180B1 (pt) Conjunto de pilha de etiquetas, configuração de cilindro de base para produzir referido conjunto e método
US20080067802A1 (en) Self-laminating label for a wristband
KR102011856B1 (ko)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 라벨, 제조 방법 및 그 라벨을 구비한 포장용기
JP4606241B2 (ja) 収納ラベル、及び収納ラベル連続体
US7179514B2 (en) Laminar label as well a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US4438950A (en) Composite label web, price tag and re-price label combination, and method of price and re-price marking
US3215328A (en) Container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102005056037B4 (de) Rundumetikett am Mantel eines im Querschnitt runden oder eckigen Gebindes für flüssige, pastöse oder pulverförmige Stoffe
US20050022434A1 (en) Label with pocket for card insert
KR102645632B1 (ko) 라벨
JPH0810819Y2 (ja) 多機能型ラベル
EP2654032A1 (en) Self-adhesive label for a receptacle with a cap and a receptacle provided with such a label.
JP6819137B2 (ja) 配送伝票
DE202005021430U1 (de) Rundumetikett am Mantel eines im Querschnitt runden oder eckigen Gebindes für flüssige, pastöse oder pulverförmige Stof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