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575B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575B1
KR102011575B1 KR1020170144440A KR20170144440A KR102011575B1 KR 102011575 B1 KR102011575 B1 KR 102011575B1 KR 1020170144440 A KR1020170144440 A KR 1020170144440A KR 20170144440 A KR20170144440 A KR 20170144440A KR 102011575 B1 KR102011575 B1 KR 10201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fundus image
fundus
patien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031A (ko
Inventor
남윤영
노승민
우스만 아크람 무함마드
마누프 타림
야시르 키야니 아남
샤히드 수니야
비비 쿠르솜
굴 카와자 사지드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5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6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including treatment, e.g., us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blating, ventil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에 구성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하되, 보다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환자의 망막에 대응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안저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Retinal Screen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에 구성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하되, 보다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환자의 망막에 대응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안저 영상을 자동 보정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안구, 홍채 및 망막을 포함하는 안저의 상태는 검사자의 직접적인 안구, 홍채 및 안저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구, 홍채 및 안저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안저영상 획득장치 및 검안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눈 검사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대도시 및 큰 병원의 안과에서는 안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안저영상 획득장치 및 망막을 검사하기 위한 검안장치들과 같은 다양하고 많은 종합적인 장치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 안저영상 획득장치 및 검안장치들은 최적의 결과, 즉 최적의 진단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만, 고해상도 및 고화질의 고가의 전용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매우 비싸다.
안저영상 획득장치 및 검안장치의 가격이 비싸므로 시골지역의 안과에서 고가의 안저영상 획득장치 및 검안장치들을 구비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으로 불리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영상 획득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영상 획득장치는 안과의사 등과 같은 검사자 및 환자가 직접 들고 눈을 촬영해야 하므로 해당 촬영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가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영상 획득장치는 촬영자를 매우 불편하고 힘들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영상 획득장치는 검사자가 손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들고 환자의 안저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검사자 및 환자 모두가 움직일 수 있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없으므로 선명한 안저영상을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0079호(2013.01.2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314호(2016.07.0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 구성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하되, 보다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환자의 망막에 대응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안저 영상을 자동 보정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은: 카메라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전송하는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 및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진단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공유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를 포함하는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은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는 안저 촬영지지 장치; 및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환자의 눈의 안저를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여 공유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환자에 대해 횡으로 왕복 이동하는 횡 이동 플레이트; 상기 환자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 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재; 및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방향의 끝 부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상기 환자 지지부재 방향으로 놓이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되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상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단말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는, 상기 환자의 눈의 안저를 확대 촬영하기 위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환자 지지부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렌즈의 초점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일치하도록 상기 렌즈를 배치하는 렌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상기 환자의 위치에 대해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 이동 가이드 홈; 및 상기 환자의 위치에 대해 끝부분에 형성되는 제1지지 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을 따라 횡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는, 상부에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횡 이동 베이스;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상기 횡 이동 베이스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횡 이동 베이스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횡 이동 가이드 바; 및 상기 횡 이동 베이스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를 종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종 이동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는 상기 종 이동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종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종 이동 플레이트; 상기 종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가 가변되는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 및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환자 지지부재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 바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 바; 상기 제1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 바; 및 상기 전체 길이의 조절 후 상기 제1높이 조절 바를 상기 제1지지 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종 이동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 바; 상기 제2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 바; 및 상기 전체 길이의 조절 후 상기 제2높이 조절 바를 상기 제2지지 바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양측 및 하부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단말기 삽입 프레임; 및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중 일부를 동시에 지지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단말기 삽입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측에서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렌즈 고정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고정 바의 전면에 결합되어 환자의 이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렌즈지지 바; 상기 렌즈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렌즈지지 바의 길이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렌즈 거리 조절 바; 및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환자의 눈 및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중심에 놓이도록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끝단부에서 상기 환자의 눈이 상기 렌즈의 앞에 놓이는 길이로 연장되고, 이마를 포함하는 머리를 지지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머리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중 카메라가 위치에서 아래 방향의 전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렌즈 고정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고정 바의 전면에 결합되어 환자의 이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렌즈지지 바; 상기 렌즈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렌즈지지 바의 길이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렌즈 거리 조절 바; 및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상 방향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눈 및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중심에 놓이도록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지지 바는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환자의 눈을 촬영하여 상기 안저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부; 및 안저 영상 획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안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안저 영상을 보정한 후 검시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안저 영상 획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안저 영상 획득부; 상기 안저 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저 프레임 영상들 중 최적의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하는 최적 프레임 추출부 및 상기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된 안저 영상에 검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석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하는 주석 입력부; 및 상기 주석정보 및 안저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검사정보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은, 주석정보 및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주석정보 및 안저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분석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된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의 입력 시 상기 안저 영상, 주석정보 및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분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분석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수신하는 분석부; 및 상기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사정보 등록부는, 상기 보고서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은: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여 고정되도록 배치된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눈을 촬영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전송하는 안저 영상 획득 과정; 및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가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공유하는 진단 정보 공유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영상 획득 과정은, 상기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결합시키고,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횡 이동 플레이트, 종 이동 플레이트,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안저 영상 획득 준비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환자의 눈을 촬영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송신하는 안저 영상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준비 단계는,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단말기 지지부재에 모바일 단말기를 결합시키는 단말기 결합 단계;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횡 이동 플레이트, 종 이동 플레이트,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단말기 배치 단계; 및 렌즈 부재의 렌즈 거리 조절 바를 조절하여 렌즈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영상 촬영 단계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부가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시 안저 영상 획득부를 통해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부를 통해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안저 영상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안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검사자에게 보여주고, 입력부를 통해 검시자로부터 주석을 입력받아 상기 안저 영상에 맵핑하여 주석정보를 저장하는 주석 획득 단계; 상기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진단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의 안저 영상 획득부는, 상기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최소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한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소 조건은, 자이로 센서에 의한 흔들림 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소조건은 상기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초과된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영상 촬영 단계는, 상기 안저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안저 영상을 보정하여 최적 안저 영상을 출력하는 안저 영상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저 영상 보정 단계는, 상기 안저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인 안저 프레임 영상들 중 선명도가 가장 높은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하는 최적 프레임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는 영상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환자의 눈에 대응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검사자가 보다 편안하게 안저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안저를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턱 및 머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므로 안저 촬영 시 환자를 보다 편하게 해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및 환자 둘 모두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기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므로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환자의 안저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선명한 안저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한 보다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다수의 안저 프레임 영상들로 이루어지는 안저영상으로부터 최적의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안저 프레임 영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가 최적이 되도록 보정하므로 보다 선명한 안저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막 검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의 구성 및 적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 및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단말기 결합부재 및 렌즈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단말기 결합 부재 및 렌즈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망막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은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10) 및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환자 단말부(30) 및 전문가 단말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10),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 환자 단말부(30) 및 전문가 단말부(4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50)에 접속한 장치 및 시스템들 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50)은 와아피아(WiFi)망, 근거리통신망(LAN) 및 광대역통신망(WAN)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G), 4세대(4G), 5세대(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결합된 망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10)은 카메라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안저 영상을 전송한다.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분석 서버(CDSS)(22)를 더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진단정보 또는 보고서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 간 진단정보 또는 보고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도 있으며, 둘 모두를 포함하는 서버부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관계자는 해당 병원의 안과의사, 간호사 등의 검사자, 다른 병원의 안과의사, 그리고 해당 진단정보의 환자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단정보는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며, 환자정보, 병력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고서는 상기 진단정보에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서버(22)는 임상 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으로 모바일 단말기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로부터 진단정보를 획득하고, 진단정보의 안저 영상을 자동 분석하여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환자 단말부(30)는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환자 컴퓨터 단말기(31) 및 환자 모바일 단말기(32)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에 접속하여 환자정보, 자신의 병력정보 등을 등록한다.
전문가 단말부(40)는 검시자 등과 같은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전문가 컴퓨터 단말기(41) 및 전문가 모바일 단말기(42)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에 접속하여 환자정보, 병력정보 등을 등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막 검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의 구성 및 적용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 및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10)은 안저 촬영 지지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상기 환자 단말부(30)의 환자 모바일 단말기(32)일 수도 있고, 전문가 단말부(40)의 전문가 모바일 단말기(42)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안저 촬영 지지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횡 이동 플레이트(120), 환자 지지부재(150), 단말기 지지부재(190) 및 렌즈 부재(2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안저 촬영 지지장치(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1), 상기 베이스(111)의 환자의 위치에 대해 횡으로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 이동 가이드 홈(112) 및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190)가 삽입 고정되는 제1지지 바 고정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바 고정부(113)는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190)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횡 이동 플레이트(120)는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112)의 길이보다 매우 짧은 폭으로 구성되는 횡 이동 베이스(121), 상기 횡 이동 베이스(121)의 상부에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112)에 대해 수직인 종으로 길게 형성되는 종 이동 가이드 홈(122) 및 상기 횡 이동 베이스(121)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횡 이동 가이드 바(123)를 포함한다.
환자 지지부재(1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지지 바 고정부(11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하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턱 받침 높이 조절 부재(130) 및 상기 턱 받침 높이 조절 부재(130)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어 환자 얼굴의 삽입 시 적어도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턱 받침 높이 조절 부재(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지지 바 고정부(1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지지 바(131), 상기 제1지지 바(131)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 바(132) 및 상기 제1높이 조절 바(132)의 높이 조절 후 상기 제1높이 조절 바(132)를 제1지지 바(131)에 고정하는 제1고정 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바(131) 및 제1높이 조절 바(132)는 동일하게 수평으로 자른 단면이 원형, 사각형 및 삼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고정 부재(133)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제1지지 바(13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 홀(134)에 삽입되어 제1지지 바(131) 내부로 삽입된 제1높이 조절 바(132)를 고정하는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턱 받침부(140)는 환자의 얼굴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이마를 받쳐주는 이마 받침부(14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기 지지부재(190)는 종 이동 플레이트(160),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170) 및 단말기 결합부재(180)를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기(300)를 지지하고,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가 턱 받침부(140)에 삽입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종 이동 플레이트(160)는 종 이동 베이스(161), 상기 종 이동 베이스(161)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120)의 종 이동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어 종 이동 가이드 홈(122)을 따라 환자(1) 기준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종 이동 가이드 바(162) 및 상기 이동 베이스(16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2지지 바 고정부(163)를 포함한다.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170)는 상기 종 이동 베이스(161)의 제2지지 바 고정부(16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지지 바(171), 상기 제2지지 바(171)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 바(172) 및 상기 제2높이 조절 바(162)의 높이 조절 후 상기 제2높이 조절 바(172)를 제2지지 바(171)에 고정하는 제2고정 부재(17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 바(171) 및 제2높이 조절 바(172)는 수평으로 자른 단면이 원형, 사각형 및 삼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고정 부재(173)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제2지지 바(17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 홀(174)에 삽입되어 제2지지 바(171) 내부로 삽입된 제2높이 조절 바(172)를 고정하는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기 결합부재(180)는 제2높이 조절 바(17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좌우 회전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기 결합부재(180)는 모바일 단말기(300)가 삽입되는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 및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에 삽입된 모바일 단말기(300)를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은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18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의 하부 프레임에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기(300)의 충전 및 데이터 포트에 삽입되는 단말기 접속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렌즈 부재(200)는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180)의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에서 환자의 얼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그 끝 부분에 렌즈가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에 삽입된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에 들어오는 환자의 눈을 보다 크고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렌즈 부재(200)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은 하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단말기 결합부재 및 렌즈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결합부재(180)는 상부가 개방된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의 상부에서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상기 렌즈 부재(20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렌즈 부재 제1고정 바(18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렌즈 부재 제1고정 바(185)는 렌즈 부재(200)를 좌우로 이동하여 렌즈 부재(200)의 렌즈가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에 배치시키기 위해 좌우 이동 가이드 홀(186) 및 상기 렌즈 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 부재 고정부(187)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재(200)는 렌즈 지지부재(210), 머리 받침부재(220) 및 렌즈(230)를 포함한다.
렌즈 지지부재(210)는 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렌즈 부재 제1고정 바(185)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렌즈지지 바(211), 상기 렌즈지지 바(211)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렌즈(230)와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 및 환자의 눈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렌즈 거리 조절 바(212)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 받침부재(220)는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212)의 끝 단부에서 연장되는 머리 받침 고정부(221) 및 상기 머리 받침 고정부(221)의 끝단에 형성되어 환자(1)의 이마에서 머리 상부 까지를 지지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머리 지지부(222)를 포함한다.
렌즈(230)는 렌즈 거리 조절 바(212) 또는 머리 받침 고정부(221)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단말기 결합부재 및 렌즈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합부재(180)는 단말기 삽입 프레임(181)의 양측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양측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양측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부재 제2고정 바(188)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렌즈 부재(200)는 상기 렌즈 부재 제2고정 바(188)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형성되는 렌즈 지지부재(210) 및 렌즈 지지부재(210)의 끝 부분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렌즈(230)를 포함한다.
검사자는 상기 렌즈 부재 제2고정 바(188)를 상하로 이동시켜 렌즈(230)를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환자 모바일 단말기(32), 전문가 모바일 단말기(42) 및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상술한 단말기 지지부재(180)에 결합되어 렌즈 부재(200)의 렌즈(230)를 통해 환자 지지부재(150)에 기대어진 환자 얼굴의 눈동자를 촬영하고, 눈동자의 안저에 대한 안저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안저 영상을 최적의 상태의 영상으로 보정한 후 보정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으로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3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제어부(310), 저장부(330), 디스플레이부(340), 입력부(350), 무선통신부(360) 및 카메라부(37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른 구성들을 먼저 설명한 후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330)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촬영된 환자정보, 환자의 병력정보, 안저 영상, 추출 및 보정된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모바일 단말기(3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한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아이콘, 그래픽, 영상 등으로 표시한다.
입력부(350)는 복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제어부(310)로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복수의 기능 및 문자를 입력할 있도록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한 키신호를 상기 제어부(310)로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34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360)는 인접한 모바일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361) 및 유무선 데이터통신망(5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통신망(50)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접속한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362)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361)는 NFC, 블루투스, 지그비, 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 UWB) 등 중 하나의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된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362)는 와이파이(WiFi), 및 3세대, 4세대 및 5세대 이동통신 등 중 하나 이상의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된 통신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부(37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구동되어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들어오는 광경을 촬영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렌즈(230)를 통해 비춰지는 안저를 포함하는 환자 눈을 촬영하고, 촬영된 안저 영상을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제어부(310)는 안저 영상 획득부(311), 주석 입력부(312), 보정부(314) 및 검사정보 등록부(316)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환자 등록부(317), 병력 입력부(318) 분석부(319) 및 보고서 생성부(320)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저 영상 획득부(311)는 디스플레이부(340) 및 입력부(350)를 통해 안저 영상 획득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카메라부(370)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부(370)를 통해 안저 촬영지지 장치(1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환자의 눈을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안저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부(33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한다.
주석 입력부(312)는 상기 안저 영상의 저장 및 표시 후 입력부(350)를 통해 검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석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주석에 대한 주석정보를 해당 안저 영상에 맵핑하여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보정부(313)는 상기 안저 영상 획득부(311)를 통해 획득된 안저 영상을 선명하게 보정한다.
보정부(313)는 상기 안저 영상 획득부(311)로부터 획득된 안저 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저 프레임 영상들 중 선명도가 최적인 프레임 영상(이하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이라 함)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최적 프레임 추출부(314) 및 추출된 상기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도록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부(3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는 후술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검사정보 등록부(316)는 주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무선통신부(360)의 원거리 무선통신부(362)를 통해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보정 후 보정된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분석부(319)는 안저 영상의 보정 후, 보정된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무선통신부(360)를 통해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의 분석 서버(22)로 전송하고, 분석 서버(22)로부터 상기 안저 영상에 대한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보고서 생성부(320)로 출력한다.
보고서 생성부(320)는 상기 안저 영상 분석정보 및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검사정보 등록부(316)로 출력한다.
그러면 검사정보 등록부(316)는 상기 보고서를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0)에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공유할 것이다.
상기 환자 등록부(317)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환자 정보 입력 수단을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하고, 상기 환자 정보 입력 수단 및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하고,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에 등록한다.
병력 입력부(318)는 환자의 병력을 입력할 수 있는 환자 병력 입력 수단을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하고, 상기 환자 병력 입력 수단 및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병력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에 등록한다.
상기 한자 등록부(317) 및 병력 입력부(318)는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20)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에 구성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가 웹 페이지 등을 통해 환자 정보 입력 수단 및 환자 병력 입력 수단을 환자 단말부(30) 및 전문가 단말부(40)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환자정보 및 병력정보를 해당 단말부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은, 환자의 눈의 안저에 대한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과정과 획득된 안저 영상을 관계자들과 공유하는 공유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저 영상 획득 과정은 안저 촬영 지지장치(100)에 환자의 얼굴을 지지시키고,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를 배치시키는 안저 영상 획득 준비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환자의 눈을 촬영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안저 영상을 송신하는 안저 영상촬영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영상 획득 과정 및 공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가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환자 또는 전문가(검사자)는 각자의 컴퓨터 단말기(31 or 41) 또는 모바일 단말기(300)를 통해 환자의 환자정보 및 병력정보를 입력받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S111, S113).
검사자는 환자에게 안저 촬영 지지장치(100)의 턱 받침부(140)에 턱을 댈 것을 요청하여 환자가 턱을 턱 받침부(140)에 가져다 대면, 모바일 단말기(300)는 상기 검사자에 의해 단말기 결합부재(180)에 결합된 후, 횡 이동 플레이트(120)를 통한 좌우 조절, 단말기 지지부재(190)를 통한 전후 조절 및 높이 조절되어 모바일 단말기(300)의 카메라 및 렌즈 부재(200)의 렌즈(230)가 환자의 눈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것이다(S114).
상기와 같이 안저 영상 획득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300)의 제어부(310)는 영상 촬영 이벤트(명령)가 발생되는 모니터링하고(S115), 영상 촬영 이벤트가 발생되면 안저 영상 획득부(311)를 통해 카메라부(370)를 구동한 후, 환자의 눈을 촬영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한다(S117). 상기 안저 영상 획득부(311)는 상기 영상 촬영 이벤트의 발생 후 움직임 최소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고, 움직임 최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촬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움직임 최소 조건은 모바일 단말기(300)에 포함되어 있는 자이로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모바일 단말기(300)의 움직임 값(자이로 센서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조건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영상 촬영 이벤트 후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저 영상이 획득되면 제어부(310)는 검사정보 등록부(316)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전송한다(S119).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는 안저 영상이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안저 영상으로부터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하고(S121), 추출된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들 각각에 대해 밝기 및 콘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영상 보정을 수행한다(S123).
상기 보정의 완료 후 보정된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주석 입력 요청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25).
그러면 검사자는 모바일 단말기(300)를 통해 주석을 입력받고(S127), 보정된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로 전송한다(S129).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는 진단정보가 수신되면 저장하고(S131), 분석서버(21)로 상기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안저 영상 분석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S133), 그에 응답하여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수신받아(S135) 저장한다.
안저 영상 분석정보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저장한(S137) 후 모바일 단말기(300)로 분석 완료 통지 정보를 전송한다(S139). 상기 분석 완료 통지 정보는 상기 보고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는 보정 및 보고서 생성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에서 수행하고 안저 영상 분석 요청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가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보정 및 보고서 생성을 수행하고, 모바일 단말기(300)가 분석 서버(21)로 안저 영상 보석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분석 서버(21)로부터 직접 수신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망막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로서, 모바일 단말기(300)에서 안저 영상의 보정, 진단 및 보고서를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10)는 환자 등록부(317) 및 병력 입력부(318)를 통해 환자정보를 입력받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에 저장하는 환자 등록(S211) 및 환자의 병력정보를 입력받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2)에 저장하는 병력 등록을 수행한다(S213).
환자 등록 및 병력 등록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안저 영상 획득부(311)를 통해 카메라부(370)를 구동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한다(S215).
안저 영상이 획득되면 제어부(310)는 보정부(313)의 최적 프레임 추출부(314)를 통해 안저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영상들 중 최적의 선명도를 가지는 프레임 영상인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한다(S217).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이 추출되면 제어부(310)는 보정부(313)의 영상 보정부(315)를 통해 각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이 최대 밝기 및 콘트라스트가 되도록 보정한다(S219).
보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주석 입력부(312)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40)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주석 입력 수단을 표시하고, 상기 주석 입력 수단을 통해 주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30)에 저장한다(S221). 상기 주석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주석이 입력 및 저장되면 제어부(310)는 분석부(319)를 통해 주석을 포함하는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에 의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에 의해 생성된 진단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S223).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석은 분석 서버(22)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분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310)는 보고서 생성부(320)를 통해 상기 진단정보 및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한(S225) 후 검사정보 등록부(316)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21)에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정보를 공유한다(S227).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 20: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
21: 분석 서버 22: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
30: 환자 단말부 31: 환자 컴퓨터 단말기
32: 환자 모바일 단말기 40: 전문가 단말부
41: 전문가 컴퓨터 단말기 42: 전문가 모바일 단말기
50: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100: 안저 촬영 지지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베이스
112: 횡 이동 가이드 홈 113: 제1지지 바 고정부
120: 횡 이동 플레이트 121: 횡 이동 베이스
122: 종 이동 가이드 홈 123: 횡 이동 가이드 바
130: 턱 받침 높이 조절부재 131: 제1지지 바
132: 제1높이 조절 바 133: 제1고정 부재
134: 제1고정 홀 140: 턱 받침 부재
141: 이마 받침부 150: 환자 지지부재
160: 종 이동 플레이트 161: 종 이동 베이스
162 종 이동 가이드 바 163: 제2지지 바 고정부
170: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 171: 제2지지 바
172: 제2높이 조절 바 173: 제2고정 부재
180: 단말기 결합부재 181: 단말기 삽입 프레임
182: 단말기 고정부재 183: 단말기 접속부
185: 렌즈 부재 제1고정 바 186: 좌우 이동 가이드 홈
187: 렌즈 부재 고정부 188: 렌즈 부재 제2고정 바
190: 단말기 지지부재 200: 렌즈 부재
210: 렌즈 지지부재 211: 렌즈지지 바
212: 렌즈 거리 조절 바 220: 머리 받침부재
221: 머리 받침 고정부 222: 머리 지지부
230: 렌즈
300: 모바일 단말기 310: 제어부
311: 안저 영상 획득부 312: 주석 입력부
313: 환자 등록부 314: 병력 입력부
315: 최적 프레임 추출부 316: 영상 보정부
317: 분석부 318: 보고서 생성부
319: 보고서 등록부 330: 저장부
340: 디스플레이부 350: 입력부
360: 무선통신부 361: 근거리 무선통신부
362: 원거리 무선통신부 370: 카메라부

Claims (26)

  1. 카메라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전송하는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 및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진단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공유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를 포함하는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은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는 안저 촬영지지 장치; 및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환자의 눈의 안저를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여 공유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환자에 대해 횡으로 왕복 이동하는 횡 이동 플레이트;
    상기 환자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 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재; 및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방향의 끝 부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상기 환자 지지부재 방향으로 놓이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되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상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단말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는,
    상기 환자의 눈의 안저를 확대 촬영하기 위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환자 지지부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렌즈의 초점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일치하도록 상기 렌즈를 배치하는 렌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상기 환자의 위치에 대해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 이동 가이드 홈; 및
    상기 환자의 위치에 대해 끝부분에 형성되는 제1지지 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을 따라 횡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 이동 플레이트는,
    상부에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횡 이동 베이스;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상기 횡 이동 베이스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횡 이동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횡 이동 베이스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횡 이동 가이드 바; 및
    상기 횡 이동 베이스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를 종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종 이동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지부재는
    상기 종 이동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종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종 이동 플레이트;
    상기 종 이동 플레이트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가 가변되는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 및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환자 지지부재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 바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 바;
    상기 제1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 바; 및
    상기 전체 길이의 조절 후 상기 제1높이 조절 바를 상기 제1지지 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종 이동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 바;
    상기 제2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 바; 및
    상기 전체 길이의 조절 후 상기 제2높이 조절 바를 상기 제2지지 바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양측 및 하부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단말기 삽입 프레임; 및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중 일부를 동시에 지지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단말기 삽입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측에서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렌즈 고정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고정 바의 전면에 결합되어 환자의 이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렌즈지지 바;
    상기 렌즈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렌즈지지 바의 길이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렌즈 거리 조절 바; 및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환자의 눈 및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중심에 놓이도록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끝단부에서 상기 환자의 눈이 상기 렌즈의 앞에 놓이는 길이로 연장되고, 이마를 포함하는 머리를 지지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는 머리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결합부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중 카메라가 위치에서 아래 방향의 전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렌즈 고정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고정 바의 전면에 결합되어 환자의 이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렌즈지지 바;
    상기 렌즈지지 바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렌즈지지 바의 길이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렌즈 거리 조절 바; 및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의 상 방향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눈 및 상기 카메라의 초점이 중심에 놓이도록 상기 렌즈 거리 조절 바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 바는
    상기 단말기 삽입 프레임의 양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5. 카메라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전송하는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 및
    상기 진단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진단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공유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를 포함하는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시스템은
    환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하는 안저 촬영지지 장치; 및
    상기 안저 촬영지지 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환자의 눈의 안저를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여 공유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환자의 눈을 촬영하여 상기 안저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부; 및
    안저 영상 획득 이벤트의 발생 시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안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안저 영상을 보정한 후 검시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저 영상 획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안저 영상 획득부;
    상기 안저 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저 프레임 영상들 중 최적의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하는 최적 프레임 추출부 및 상기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된 안저 영상에 검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석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하는 주석 입력부; 및
    상기 주석정보 및 안저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검사정보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은,
    주석정보 및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주석정보 및 안저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분석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된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의 입력 시 상기 안저 영상, 주석정보 및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분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분석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수신하는 분석부; 및
    상기 안저 영상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사정보 등록부는, 상기 보고서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18.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여 고정되도록 배치된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눈을 촬영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전송하는 안저 영상 획득 과정; 및
    망막 정보 관리 시스템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가 상기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계자들과 공유하는 진단 정보 공유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안저 영상 획득 과정은,
    상기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결합시키고,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횡 이동 플레이트, 종 이동 플레이트,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안저 영상 획득 준비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환자의 눈을 촬영하여 안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안저 영상을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송신하는 안저 영상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저 영상 획득 준비 단계는,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단말기 지지부재에 모바일 단말기를 결합시키는 단말기 결합 단계;
    안저 촬영 지지장치의 횡 이동 플레이트, 종 이동 플레이트, 단말기 높이 조절 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가 안저 촬영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환자 얼굴의 눈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단말기 배치 단계; 및
    렌즈 부재의 렌즈 거리 조절 바를 조절하여 렌즈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저 영상 촬영 단계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부가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시 안저 영상 획득부를 통해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부를 통해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안저 영상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안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검사자에게 보여주고, 입력부를 통해 검시자로부터 주석을 입력받아 상기 안저 영상에 맵핑하여 주석정보를 저장하는 주석 획득 단계;
    상기 안저 영상 및 주석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는 진단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안저 영상 획득부는,
    상기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생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 최소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한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조건은, 자이로 센서에 의한 흔들림 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조건은 상기 안저 촬영 이벤트의 발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초과된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저 영상 촬영 단계는,
    상기 안저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안저 영상을 보정하여 최적 안저 영상을 출력하는 안저 영상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저 영상 보정 단계는,
    상기 안저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인 안저 프레임 영상들 중 선명도가 가장 높은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을 추출하는 최적 프레임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최적 안저 프레임 영상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는 영상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방법.
KR1020170144440A 2017-11-01 2017-11-0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40A KR102011575B1 (ko) 2017-11-01 2017-11-0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40A KR102011575B1 (ko) 2017-11-01 2017-11-0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31A KR20190049031A (ko) 2019-05-09
KR102011575B1 true KR102011575B1 (ko) 2019-10-21

Family

ID=6654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40A KR102011575B1 (ko) 2017-11-01 2017-11-0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5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516A (ja) * 2010-10-25 2013-12-26 バードナー,スティーブン アルツハイマー病、外傷性脳損傷、黄斑変性症、複数の神経変性障害および眼疾患の診断、進行および病気経過予想における網膜内のアミロイドの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6118477B1 (ja) * 2017-02-09 2017-04-19 直史 北 検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93874C (en) 2010-03-23 2018-09-04 Steven Verdooner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n eye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516A (ja) * 2010-10-25 2013-12-26 バードナー,スティーブン アルツハイマー病、外傷性脳損傷、黄斑変性症、複数の神経変性障害および眼疾患の診断、進行および病気経過予想における網膜内のアミロイドの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6118477B1 (ja) * 2017-02-09 2017-04-19 直史 北 検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31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948B2 (en) Self operatable ophthalmic device
JP6518044B2 (ja) 視機能検査装置および視機能検査システム
US95219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n eye
EP29993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 patient user's body part
JP6518054B2 (ja) 眼科装置
US10413179B2 (en) Infrared fundus imaging system
KR101998595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CN111885954B (zh) 图像处理方法、存储介质及眼科装置
US20210153740A1 (en) Slit lamp microscope and ophthalmic system
CN111867446B (zh) 裂隙灯显微镜及眼科系统
JP2021502873A (ja) 人の眼球光学系の光学式走査を自己管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7345594B2 (ja) スリットランプ顕微鏡及び眼科システム
KR102011575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374295B1 (ko) 안과용 장치
JP4494075B2 (ja) 検眼装置
KR102263830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한 안저 영상 촬영 장치
JPWO2019050048A1 (ja) 眼科機器、管理装置、及び眼科機器の管理方法
JP7345610B2 (ja) スリットランプ顕微鏡
JP2022083328A (ja) 身体状態の推定装置、身体状態の推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00063480A (ko) 휴대용 안진기 및 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