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442B1 -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442B1
KR102011442B1 KR1020190048787A KR20190048787A KR102011442B1 KR 102011442 B1 KR102011442 B1 KR 102011442B1 KR 1020190048787 A KR1020190048787 A KR 1020190048787A KR 20190048787 A KR20190048787 A KR 20190048787A KR 102011442 B1 KR102011442 B1 KR 10201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horizontal
hole
eleva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4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바닥면 양측단에 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기립설치된 좌우측수직대와, 좌우측수직대의 상단에 이음고정되고 수평연장되어 양단이 베란다 양측 내측벽에 고정되는 상단수평대와, 좌우측수직대의 하부를 수평으로 이어주는 하부수평대와, 상단수평대와 하부수평대를 수직으로 이어주는 다수개의 수직이음관을 구비하는 건축물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좌우측수직대 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중심에는 평면이 "T" 형상으로 상하로 요부형성된 슬라이딩승강T홈을 갖고 슬라이딩승강T홈 상하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수직대 연장선상의 상단수평대와 상기 하부수평대 연장선상의 좌우측수직대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상하단고정홀을 각각 갖으며 정면 하단부 좌우측에는 작동공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축회동되어 돌출되는 좌우측하단탄성걸림돌기를 각각 갖고 배면 상하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수직돌출되고 중심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상부좌우측체결보스와 하부좌우측체결보스를 각각 갖으며 좌우측수직대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승강안내보강부가 형성되고, 승강안내보강부 상단에서 상기 상단수평대 상부로 수평연장되면서 동시에 베란다 내측벽과 맞닿게 수평연장되고 상단수평대와의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수평연장보강부가 형성되며, 수평연장보강부 선단에서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앵커공을 통해 앵커볼트로 배란다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보강부가 형성되는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의 승강안내보강부가 위치된 좌우측수직대 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사각판체로, 좌우측수직대와의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의 상하단고정홀 후방측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단수평대와 좌우측수직대의 볼트공 연장선상에 각각 통공형성된 상하부볼트공을 각각 갖으며 상하부볼트공에 각각 삽입체결되어 선단부가 승강안내보강부의 상하단고정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부고정장볼트를 각각 갖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의 상부좌우측체결보스의 나사공과 하부좌우측체결보스의 나사공 연장선상에 각각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후방측에서 볼트결합되는 상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와 하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가 각각 형성되는 난간배면보강고정틀; 및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의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승강T홈에서 승하강되는 사다리체로,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사각기둥으로 배면에는 평면이 "T"형상으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승강T홈에 삽입되며 전방측으로 걸림되고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T형돌부를 갖고 배면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상단고정홀 연장선상의 T형돌부에 상단나사공을 갖으며 상단나사공에서 시작하여 상단나사공보다 깊지 않게 직하부 하단고정홀까지 배면에서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레일홈을 갖는 사다리몸체가 형성되고, 사다리몸체 좌우측단에는 일정간격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결합되는 다수개의 좌우측발디딤바가 각각 형성되며, 사다리몸체 하단부 좌우측단에는 축공을 갖는 좌우측축바가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고 일단에 내측으로 좌우측축바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바에 의해 축결합되어 축회동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되는 좌우측회동발디딤바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회동발디딤바의 직하부 사다리몸체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좌우측회동발디딤바의 수평펼침시 수평을 유지시키는 좌우측수평유지받침돌부가 각각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상부고정장볼트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위치되다가 화재 등으로 인한 아래층으로의 대피시 상부고정장볼트를 풀어 상단나사공에서 레일홈을 거쳐 상단고정홀에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의 슬라이딩승강T홈상에서 하부로 하강되고 하단고정홀을 통해 돌출된 하부고정장볼트에 의해 걸림고정됨에 따라 좌우측발디딤바에 의해 아래층의 베란다로 대피할 수 있는 승하강사다리틀을 구비하는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간과 일체화되어 벽체 고정부위의 보강이 이루어져 설치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난간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난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아랫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어 응급구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Reinforcement facility of building railings}
본 발명은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과 일체화되어 설치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난간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난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아랫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어 응급구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할 수 있는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베란다는 외부에 개방된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있는바, 베란다에는 사람의 허리 높이 정도를 유지하는 철재 난간이 설치되어 사람들이 바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대 역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베란다의 난간은 빗물에 의해서 부식되어 쉽게 손상되는바,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난간을 새롭게 시설하던가 아니면, 기존의 난간을 강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난간 보강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런 난간 보강 시설물은 구조가 복잡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조잡하였으며, 설치 및 시공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베란다 양측단에 하단이 고정되어 기립설치된 수직대와, 수직대의 하부를 이어주는 하부수평대와, 수직대의 상단을 이어주는 상부수평대와, 상부수평대와 하부수평대를 이어주는 수직이음관을 구비하는 건축용 난간에 있어서; "X"자형상으로 상기 수직이음관의 전방측 중심에 기립설치되어 양단은 인접된 좌우측의 다른 수직이음관 상하부에 각각 위치되고, 중심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X자지지대와; "ㄷ"자형상으로, 상기 X자지지대가 설치된 수직이음관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중심측에는 후방측에서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양측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X자지지대의 중심측 양측단면과 밀착되는 삼각지지돌부가 형성되며, 삼각지지돌부 중심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체결핀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방고리체결구와; 상기 난간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개 후방고리체결구의 삼각지지돌부 체결핀이 삽입되는 핀공을 갖고 돌출된 삼각돌부가 고정되는 지지바가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연장선상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지지바가 각각 고정되는 분기지지대가 형성되며, 분기지지대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다시 그 선단에서 후방측에서 돌출되는 체결지지대가 형성
되고, 체결지지대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 나사봉이 형성된 전방분기체결구와; 난간의 하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 상면 전방측으로는 상기 체결지지대 하단이 안착지지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고정판 상면 후방측으로는 상부로 돌출되어 중심에는 나사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고정대가 형성되고, 삽입공을 관통한 나사봉의 선단을 고정대에 체결고정시키는 고정너트가 형성된 바닥고정구를 구비하는 건축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이 특허등록 제10-0716929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난간 보강 시설물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설치 후 외관이 미려하며, 설치 및 시공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반면에, 난간과 벽체와의 고정부위의 보강이 이루지지 않아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169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간과 일체화되어 벽체 고정부위의 보강이 이루어져 설치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난간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난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아랫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어 응급구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할 수 있는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란다 바닥면 양측단에 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기립설치된 좌우측수직대와, 좌우측수직대의 상단에 이음고정되고 수평연장되어 양단이 베란다 양측 내측벽에 고정되는 상단수평대와, 좌우측수직대의 하부를 수평으로 이어주는 하부수평대와, 상단수평대와 하부수평대를 수직으로 이어주는 다수개의 수직이음관을 구비하는 건축물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좌우측수직대 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중심에는 평면이 "T" 형상으로 상하로 요부형성된 슬라이딩승강T홈을 갖고 슬라이딩승강T홈 상하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수직대 연장선상의 상단수평대와 상기 하부수평대 연장선상의 좌우측수직대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상하단고정홀을 각각 갖으며 정면 하단부 좌우측에는 작동공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축회동되어 돌출되는 좌우측하단탄성걸림돌기를 각각 갖고 배면 상하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수직돌출되고 중심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상부좌우측체결보스와 하부좌우측체결보스를 각각 갖으며 좌우측수직대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승강안내보강부가 형성되고, 승강안내보강부 상단에서 상기 상단수평대 상부로 수평연장되면서 동시에 베란다 내측벽과 맞닿게 수평연장되고 상단수평대와의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수평연장보강부가 형성되며, 수평연장보강부 선단에서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앵커공을 통해 앵커볼트로 배란다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보강부가 형성되는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의 승강안내보강부가 위치된 좌우측수직대 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사각판체로, 좌우측수직대와의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의 상하단고정홀 후방측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단수평대와 좌우측수직대의 볼트공 연장선상에 각각 통공형성된 상하부볼트공을 각각 갖으며 상하부볼트공에 각각 삽입체결되어 선단부가 승강안내보강부의 상하단고정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부고정장볼트를 각각 갖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의 상부좌우측체결보스의 나사공과 하부좌우측체결보스의 나사공 연장선상에 각각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후방측에서 볼트결합되는 상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와 하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가 각각 형성되는 난간배면보강고정틀; 및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의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승강T홈에서 승하강되는 사다리체로,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사각기둥으로 배면에는 평면이 "T"형상으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승강T홈에 삽입되며 전방측으로 걸림되고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T형돌부를 갖고 배면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상단고정홀 연장선상의 T형돌부에 상단나사공을 갖으며 상단나사공에서 시작하여 상단나사공보다 깊지 않게 직하부 하단고정홀까지 배면에서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레일홈을 갖는 사다리몸체가 형성되고, 사다리몸체 좌우측단에는 일정간격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결합되는 다수개의 좌우측발디딤바가 각각 형성되며, 사다리몸체 하단부 좌우측단에는 축공을 갖는 좌우측축바가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고 일단에 내측으로 좌우측축바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바에 의해 축결합되어 축회동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되는 좌우측회동발디딤바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회동발디딤바의 직하부 사다리몸체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좌우측회동발디딤바의 수평펼침시 수평을 유지시키는 좌우측수평유지받침돌부가 각각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상부고정장볼트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위치되다가 화재 등으로 인한 아래층으로의 대피시 상부고정장볼트를 풀어 상단나사공에서 레일홈을 거쳐 상단고정홀에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의 슬라이딩승강T홈상에서 하부로 하강되고 하단고정홀을 통해 돌출된 하부고정장볼트에 의해 걸림고정됨에 따라 좌우측발디딤바에 의해 아래층의 베란다로 대피할 수 있는 승하강사다리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난간과 일체화되어 벽체 고정부위의 보강이 이루어져 설치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난간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난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아랫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어 응급구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의 시공후 승하강사다리틀의 사용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1)은, 베란다(50) 바닥면(51) 양측단에 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기립설치된 좌우측수직대(41,41a)와 좌우측수직대(41,41a)의 상단에 이음고정되고 수평연장되어 양단이 베란다(50) 좌우측 내측벽(52,52a)에 고정되는 상단수평대(42)와 좌우측수직대(41,41a)의 하부를 수평으로 이어주는 하부수평대(43)와 상단수평대(42)와 하부수평대(43)를 수직으로 이어주는 다수개의 수직이음관(44)으로 구성된 난간(40)을 보강하는 시설물로, 난간(40)의 좌우측단에 고정설치되어 보강하는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10)과, 난간(40)을 사이에 두고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10)과 후방에서 체결고정되는 난간배면보강고정틀(20)과,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10)의 정면에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위급시 아래층으로 긴급대피하는 사다리로 사용되는 승하강사다리틀(30)로 구성된다.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10)은, 상기 난간(50)의 좌우측수직대(41,41a) 전방측에 각각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중심에는 평면이 "T" 형상으로 상하로 요부형성된 슬라이딩승강T홈(12)을 갖고 슬라이딩승강T홈(12) 상하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수직대(41,41a) 연장선상의 상단수평대(42)와 상기 하부수평대(43) 연장선상의 좌우측수직대(41,41a)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42a)(41b,41c)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상하단고정홀(13,13a)을 각각 갖으며 정면 하단부 좌우측에는 작동공(14b)에서 스프링(14c)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축회동되어 돌출되는 좌우측하단탄성걸림돌기(14,14a)를 각각 갖고 배면 상하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수직돌출되고 중심부에 나사공(15b,16b)이 각각 형성된 상부좌우측체결보스(15,15a)와 하부좌우측체결보스(16,16a)를 각각 갖으며 좌우측수직대(41,41a) 사이에 탄성판(11a)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승강안내보강부(11)가 형성되고, 승강안내보강부(11) 상단에서 상기 상단수평대(42) 상부로 수평연장되면서 동시에 베란다(50) 좌우측내측벽(52,52a)과 맞닿게 수평연장되고 상단수평대(42)와의 사이에 탄성판(17a)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수평연장보강부(17)가 형성되며, 수평연장보강부(17) 선단에서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앵커공(18a)을 통해 앵커볼트(18b)로 배란다(50) 좌우측내측면(52,52a)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보강부(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난간배면보강고정틀(20)은,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10)의 승강안내보강부(11)가 위치된 좌우측수직대(41,41a) 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사각판체로, 좌우측수직대(41,41a)와의 사이에 탄성판(25)이 위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11)의 상하단고정홀(13,13a) 후방측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단수평대(42)와 좌우측수직대(41,41a)의 볼트공(42a,41b,41c) 연장선상에 각각 통공형성된 상하부볼트공(23,24)을 각각 갖으며 상하부볼트공(23,24)에 각각 삽입체결되어 선단부가 승강안내보강부(11)의 상하단고정홀(13,13a)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부고정장볼트(23a,24a)를 각각 갖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11)의 상부좌우측체결보스(15,15a)의 나사공(15b)과 하부좌우측체결보스(16,16a)의 나사공(16b) 연장선상에 각각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후방측에서 볼트결합되는 상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21,21a)와 하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22,22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사다리틀(30)은,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10)의 승강안내보강부(11) 정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승강T홈(12)에서 승하강되는 사다리체로, 승강안내보강부(11) 정면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사각기둥으로 배면에는 평면이 "T"형상으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승강T홈(12)에 삽입되며 전방측으로 걸림되고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T형돌부(32)를 갖고 배면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상단고정홀(13) 연장선상의 T형돌부(32)에 상단나사공(33)을 갖으며 상단나사공(33)에서 시작하여 상단나사공(33)보다 깊지 않게 직하부 하단고정홀(13a)까지 배면에서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레일홈(34)을 갖는 사다리몸체(31)가 형성되고, 사다리몸체(31) 좌우측단에는 일정간격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결합되는 다수개의 좌우측발디딤바(35,35a)가 각각 형성되며, 사다리몸체(31) 하단부 좌우측단에는 축공(37b)을 갖는 좌우측축바(37,37a)가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고 일단에 내측으로 좌우측축바(37,37a)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바(36c)에 의해 축결합되어 축회동되는 축삽입공(36b)이 형성되는 좌우측회동발디딤바(36,36a)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회동발디딤바(36,36a)의 직하부 사다리몸체(31)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좌우측회동발디딤바(36,36a)의 수평펼침시 수평을 유지시키는 좌우측수평유지받침돌부(38,38a)가 각각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상부고정장볼트(23a)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11) 정면에 위치되다가, 화재 등으로 인한 아래층으로의 대피시, 좌우측하단탄성걸림돌기(14,14a0를 눌러 사다리몸체(31) 최하단의 좌우측회동발디딤바(36,36a)를 수평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부고정장볼트(23a)를 풀어 상단나사공(13)에서 레일홈(34)을 거쳐 상단고정홀(13)에 선단을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11)의 슬라이딩승강T홈(12) 상에서 하부로 하강되고 하단고정홀(13a)을 통해 레일홈(34)으로 돌출된 하부고정장볼트(24a)에 의해 레일홈(34) 상단에 걸림고정됨에 따라 윗층의 대피자는 다수개 좌우측발디딤바(35,35a)와 최하단의 좌우측회동발디딤바(36,36a)에 의해 아래층의 베란다(50)로 긴급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난간의 보강시설물(1)은, 건축물 난간(40)과 일체화되어 난간(40)의 좌우측 내측벽(52,52a) 고정부위의 보강이 이루어져 설치됨에 따라서, 평상시에는 난간(4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흔들림 등의 구조적 불안을 해결하고 난간(40)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아랫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어 응급구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바, 비상시의 안전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보강시설물
10 :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 11 : 승강안내보강부
11a : 탄성판 12 : 슬라이딩승강T홈
13,13a : 상하단고정홀 14,14a : 좌우측하단탄성걸림돌기
14b : 작동공 14c : 스프링
15,15a : 상부좌우측체결보스 15b : 나사공
16,16a : 하부좌우측체결보스 16b : 나사공
17 : 수평연장보강부 17a : 탄성판
18 : 측면고정보강부 18a : 앵커공
18b : 앵커볼트
20 : 난간배면보강고정틀 21,21a : 상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
22,22a : 하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
23,24 : 상하부볼트공 25 : 탄성판
30 : 승하강사다리틀 31 : 사다리몸체
32 : T형돌부 33 : 상단나사공
34 : 레일홈 35,35a : 좌우측발디딤바
36,36a : 좌우측회동발디딤바 36b : 축삽입공
36c : 회동바 37,37a : 좌우측축바
37b : 축공 38,38a : 좌우측수평유지받침돌부
40 : 난간 41,41a : 좌우측수직대
42 : 상단수평대 43 : 하부수평대
44 : 수직이음관
50 : 베란다 51 : 바닥면
52,52a : 좌우측내측면

Claims (1)

  1. 베란다 바닥면 양측단에 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기립설치된 좌우측수직대와, 좌우측수직대의 상단에 이음고정되고 수평연장되어 양단이 베란다 양측 내측벽에 고정되는 상단수평대와, 좌우측수직대의 하부를 수평으로 이어주는 하부수평대와, 상단수평대와 하부수평대를 수직으로 이어주는 다수개의 수직이음관을 구비하는 건축물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좌우측수직대 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중심에는 평면이 "T" 형상으로 상하로 요부형성된 슬라이딩승강T홈을 갖고 슬라이딩승강T홈 상하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수직대 연장선상의 상단수평대와 상기 하부수평대 연장선상의 좌우측수직대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 연장선상에 통공형성된 상하단고정홀을 각각 갖으며 정면 하단부 좌우측에는 작동공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축회동되어 돌출되는 좌우측하단탄성걸림돌기를 각각 갖고 배면 상하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수직돌출되고 중심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상부좌우측체결보스와 하부좌우측체결보스를 각각 갖으며 좌우측수직대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승강안내보강부가 형성되고, 승강안내보강부 상단에서 상기 상단수평대 상부로 수평연장되면서 동시에 베란다 내측벽과 맞닿게 수평연장되고 상단수평대와의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는 수평연장보강부가 형성되며, 수평연장보강부 선단에서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앵커공을 통해 앵커볼트로 배란다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보강부가 형성되는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의 승강안내보강부가 위치된 좌우측수직대 후방측에 수직기립되는 사각판체로, 좌우측수직대와의 사이에 탄성판이 위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의 상하단고정홀 후방측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단수평대와 좌우측수직대의 볼트공 연장선상에 각각 통공형성된 상하부볼트공을 각각 갖으며 상하부볼트공에 각각 삽입체결되어 선단부가 승강안내보강부의 상하단고정홀 외부로 돌출되는 상하부고정장볼트를 각각 갖고, 상기 승강안내보강부의 상부좌우측체결보스의 나사공과 하부좌우측체결보스의 나사공 연장선상에 각각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후방측에서 볼트결합되는 상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와 하부좌우측 공회전고정볼트가 각각 형성되는 난간배면보강고정틀; 및
    상기 난간정면보강안내지지틀의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승강T홈에서 승하강되는 사다리체로,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수직으로 기립되는 사각기둥으로 배면에는 평면이 "T"형상으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승강T홈에 삽입되며 전방측으로 걸림되고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T형돌부를 갖고 배면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상단고정홀 연장선상의 T형돌부에 상단나사공을 갖으며 상단나사공에서 시작하여 상단나사공보다 깊지 않게 직하부 하단고정홀까지 배면에서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레일홈을 갖는 사다리몸체가 형성되고, 사다리몸체 좌우측단에는 일정간격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결합되는 다수개의 좌우측발디딤바가 각각 형성되며, 사다리몸체 하단부 좌우측단에는 축공을 갖는 좌우측축바가 각각 좌우측으로 돌출되고 일단에 내측으로 좌우측축바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바에 의해 축결합되어 축회동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되는 좌우측회동발디딤바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회동발디딤바의 직하부 사다리몸체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좌우측회동발디딤바의 수평펼침시 수평을 유지시키는 좌우측수평유지받침돌부가 각각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상부고정장볼트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 정면에 위치되다가 화재 등으로 인한 아래층으로의 대피시 상부고정장볼트를 풀어 상단나사공에서 레일홈을 거쳐 상단고정홀에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승강안내보강부의 슬라이딩승강T홈상에서 하부로 하강되고 하단고정홀을 통해 돌출된 하부고정장볼트에 의해 걸림고정됨에 따라 좌우측발디딤바에 의해 아래층의 베란다로 대피할 수 있는 승하강사다리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1020190048787A 2019-04-25 2019-04-25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10201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87A KR102011442B1 (ko) 2019-04-25 2019-04-25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87A KR102011442B1 (ko) 2019-04-25 2019-04-25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442B1 true KR102011442B1 (ko) 2019-08-16

Family

ID=6780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87A KR102011442B1 (ko) 2019-04-25 2019-04-25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4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557A (zh) * 2020-12-31 2021-05-18 张少华 高层建筑消防人梯
KR102521011B1 (ko) * 2022-09-02 2023-04-13 (주)디아이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흙막이 콘크리트 블록 부착용 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68Y1 (ko) * 2004-04-09 2004-08-02 배종식 피난용 난간
KR100714070B1 (ko) * 2007-02-22 2007-05-02 (주)건축사사무소 수목 21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0716019B1 (ko) * 2006-08-31 2007-05-08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물
KR100716929B1 (ko) 2006-11-30 2007-05-1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건축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100950095B1 (ko) * 2009-10-22 2010-03-31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68Y1 (ko) * 2004-04-09 2004-08-02 배종식 피난용 난간
KR100716019B1 (ko) * 2006-08-31 2007-05-08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물
KR100716929B1 (ko) 2006-11-30 2007-05-1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건축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100714070B1 (ko) * 2007-02-22 2007-05-02 (주)건축사사무소 수목 21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100950095B1 (ko) * 2009-10-22 2010-03-31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557A (zh) * 2020-12-31 2021-05-18 张少华 高层建筑消防人梯
KR102521011B1 (ko) * 2022-09-02 2023-04-13 (주)디아이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흙막이 콘크리트 블록 부착용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0320A1 (en) Safety rail system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102011442B1 (ko)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US20020139614A1 (en) Hanging scaffold support
KR200418543Y1 (ko) 고소작업 리프트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US8869935B2 (en) Ladder usage
GB2426029A (en) Adjustable staircase
JP2020007792A (ja) 簡易足場兼用脚立
JP4958861B2 (ja) 工事用足場
CN208122245U (zh) 适用于高大空间施工的桁架操作平台
KR101006364B1 (ko) 리프트용 보조발판
US20080230316A1 (en) Self-adjusting ladder leveling device
KR102658727B1 (ko)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KR100761472B1 (ko) 건축물 쓰레기 하역용 가설 발코니
KR101621868B1 (ko) 건축 작업용 작업대
GB2224300A (en) Demountable scaffold platform assembly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JPH11107517A (ja) 足場ユニット、足場ユニットを用いた足場構造及び建て枠
KR200418410Y1 (ko) 건축용 호이스트 안전발판
CN210002827U (zh) 一种连接塔吊的爬架过桥
KR20140046237A (ko)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CA2590484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CN207079889U (zh) 一种天棚施工用的组装式移动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