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32B1 - 감쇠 밸브 및 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 밸브 및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32B1
KR102011232B1 KR1020187008309A KR20187008309A KR102011232B1 KR 102011232 B1 KR102011232 B1 KR 102011232B1 KR 1020187008309 A KR1020187008309 A KR 1020187008309A KR 20187008309 A KR20187008309 A KR 20187008309A KR 102011232 B1 KR102011232 B1 KR 10201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ressure control
valve sea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053A (ko
Inventor
요시후미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intended to affect valve bias or pre-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5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using servo control, the servo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flow of damping fluid, e.g. controlling pressure in a chamber downstream of a pilot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24Detecting or preventing malfunction, e.g. fail safe

Abstract

감쇠 밸브(V)는,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이격 착좌하는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이격 착좌하는 개폐 밸브체(6c)에 의해 파일럿 통로(18)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개폐하는 밸브체 부재(6)와, 단차(5g)와 밸브체 부재(6)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압력 제어 밸브체(6b)를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부터 이격시킴과 함께, 개폐 밸브체(6c)를 개폐 밸브 시트(50b)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밸브체 부재(6)를 가압하는 접시 스프링(60)과,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밸브체 부재(6)를 구동 가능한 솔레노이드(S)를 구비한다. 접시 스프링(60)이 자연 길이로 된 상태에 있어서,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감쇠 밸브 및 완충기
본 발명은, 감쇠 밸브 및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완충기의 감쇠력을 가변으로 제어하는 감쇠 밸브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JP2014-173714A에 기재된 감쇠 밸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기의 신축 시에 액체가 흐르는 포트(도시하지 않음)와, 포트의 출구를 개폐하는 주 밸브(도시하지 않음)와, 포트의 상류측의 압력을 주 밸브의 배압으로서 유도하는 파일럿 통로(180)와, 파일럿 통로(180)의 도중으로부터 분기되는 페일 통로(190)와, 파일럿 통로(180)의 도중에 설치되는 파일럿 밸브체(600)이며, 파일럿 통로(180)에 있어서의 페일 통로(190)의 분기 부분(191)보다 상류측을 개폐하는 착좌부(601)와, 파일럿 통로(180)에 있어서의 분기 부분(191)보다 하류측을 개폐하는 환상 돌기(602)를 갖는 파일럿 밸브체(600)와, 파일럿 통로(180)에 있어서의 분기 부분(191)보다 상류측을 개방하고, 하류측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파일럿 밸브체(600)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610)과,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파일럿 밸브체(600)에 추력을 부여하는 솔레노이드(S)와, 페일 통로(190)에 설치된 페일 밸브(192)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감쇠 밸브에 의하면, 솔레노이드(S)에의 통전량을 조절하여 파일럿 밸브체(600)에 부여되는 추력을 조절함으로써 주 밸브의 배압을 제어하고, 주 밸브의 개방압을 변경함으로써 완충기의 감쇠력을 가변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S)에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페일 시에는, 파일럿 밸브체(600)는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을 받아 파일럿 통로(180)에 있어서의 분기 부분(191)보다 하류측을 폐쇄한다. 그러나, 파일럿 통로(180) 내의 액체 압력이 상승하면, 페일 밸브(192)가 개방되므로, 액체는 페일 통로(190)를 유통한다. 따라서, 페일 밸브(192)의 개방압을 변경함으로써, 페일 시의 주 밸브의 개방압이 설정되고, 페일 시에 완충기가 발생하는 감쇠력 특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완충기의 피스톤 속도가 미저속인 경우,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완충기의 감쇠력은 최소로 설정된다(풀 소프트 제어). 풀 소프트 제어 시에는, 파일럿 밸브체(600)의 착좌부(601)와, 착좌부(601)가 이격 착좌하는 파일럿 밸브 시트(501) 사이에 초기 간극이 형성되고, 파일럿 통로(180)가 착좌부(601)에 있어서 차단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쇠 밸브에서는, 풀 소프트 제어 시라도 제품마다의 변동에 의해, 착좌부(601)가 파일럿 밸브 시트(501)에 착좌하여 초기 간극이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것은, 초기 간극의 개구량은, 솔레노이드(S)의 추력과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의 밸런스에 의해 결정되지만,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솔레노이드(S)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정하여 솔레노이드(S)의 추력을 억제하였다고 해도, 부품의 치수 공차나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의 변동, 솔레노이드(S)에의 공급 전류량의 변동 등이 존재함으로써, 착좌부(601)가 파일럿 밸브 시트(501)에 착좌되어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변동을 고려하여,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을 크게 하여, 초기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여기서, 파일럿 통로(180)에 있어서의 페일 통로(190)의 분기 부분(191)의 하류측을 파일럿 통로 하류부(181)로 하면, 파일럿 밸브체(600)는 환상 돌기(602)를 페일 밸브 시트 부재(500)에 설치된 환상의 플랜지(502)에 착좌시켜 파일럿 통로 하류부(181)의 연통을 차단한다. 종래의 감쇠 밸브에서는, 페일 시에는, 파일럿 밸브체(600)가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에 의해 플랜지(502)에 압박됨으로써 파일럿 통로 하류부(181)의 연통을 차단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을 크게 한 경우, 솔레노이드(S)의 추력이 작은 풀 소프트 제어 시에는, 솔레노이드(S)의 추력에 대해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이 크기 때문에, 파일럿 밸브체(600)가 상류측의 압력을 받아 후퇴하면, 환상 돌기(602)가 플랜지(502)에 부딪칠 때까지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610)의 가압력을 크게 하면, 풀 소프트 제어 중의 완충기의 감쇠 특성이 페일 시의 감쇠 특성과 동일해져, 원하는 감쇠 특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즉, 종래의 감쇠 밸브에서는, 착좌부(601)와 파일럿 밸브 시트(501) 사이에 초기 간극이 형성되는 것과, 파일럿 통로 하류부(181)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풀 소프트 제어 시에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압력 제어 밸브체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지 않는 것과, 개폐 밸브체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지 않는 것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감쇠 밸브 및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감쇠 밸브는, 압력 제어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압력 제어 밸브체와, 개폐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여 상기 유로의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보다 하류측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체를 갖는 밸브체 부재와, 스프링 슈와 상기 밸브체 부재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를 상기 압력 제어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시킴과 함께, 상기 개폐 밸브체를 상기 개폐 밸브 시트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를 상기 압력 제어 밸브 시트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 부재를 구동 가능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자연 길이로 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체와 상기 개폐 밸브 시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를 구비한 완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도 3과는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의 접시 스프링(탄성 부재)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의 접시 스프링(제2 탄성 부재)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가 적용된 완충기의 감쇠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페일 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의 밸브체 부재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페일 시에 있어서 밸브체 부재가 개폐 밸브 시트에 착좌하고, 페일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감쇠 밸브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몇 가지의 도면을 통해 첨부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이나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상하 좌우라 함은, 도면 중의 부호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V)는,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완충기(A)에 설치된다. 완충기(A)는, 실린더(1)와,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10)과, 일단부가 피스톤(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실린더(1)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11)와, 실린더(1)의 외주를 덮는 중간 통(12)과, 중간 통(12)의 외주를 덮는 외통(13)을 갖는 3중관 구조이다.
실린더(1) 내는, 피스톤(10)에 의해 로드(11)측의 로드측실(L1)과, 피스톤(10)측의 피스톤측실(L2)의 2개의 룸으로 구획된다. 로드측실(L1) 및 피스톤측실(L2)에는 작동유 등의 액체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와 중간 통(12) 사이의 통 형상의 공간은 배출 통로(14)이며, 액체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중간 통(12)과 외통(13) 사이의 통 형상의 공간은, 리저버(R)이며, 액체와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로드측실(L1)과 피스톤측실(L2)은, 피스톤(10)에 설치된 피스톤 통로(15)를 통해 연통되어 있고, 피스톤측실(L2)로부터 로드측실(L1)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이 허용되어 있다. 또한, 로드측실(L1)과 배출 통로(14)는, 실린더(1)에 형성된 연통 구멍(1a)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배출 통로(14)와 리저버(R)는, 감쇠 통로(16)를 통해 연통되어 있고, 감쇠 통로(16)의 도중에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감쇠 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저버(R)와 피스톤측실(L2)은, 흡입 통로(17)를 통해 연통되어 있고, 리저버(R)로부터 피스톤측실(L2)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이 허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완충기(A)에서는, 로드(11)가 실린더(1) 내에 진입하여 완충기(A)가 수축 작동하는 경우, 피스톤(10)이 도 1 중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측실(L2)이 압축되고, 피스톤측실(L2)의 액체는 피스톤 통로(15)를 통해 로드측실(L1)로 이동한다. 수축 작동 시에는, 실린더(1)에 진입한 로드 체적분의 액체가 실린더(1) 내에서 잉여가 된다. 이 잉여분의 액체는 연통 구멍(1a), 배출 통로(14), 감쇠 통로(16)를 이 순서로 통과하여 로드측실(L1)로부터 리저버(R)로 배출된다. 그리고, 감쇠 통로(16)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 감쇠 밸브(V)에 의해 저항이 부여되고, 실린더(1) 내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완충기(A)는 압축측 감쇠력을 발생한다.
한편, 로드(11)가 실린더(1)로부터 퇴출하여 완충기(A)가 신장 작동하는 경우, 피스톤(10)이 도 1 중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로드측실(L1)이 압축되고, 로드측실(L1)의 액체는 연통 구멍(1a), 배출 통로(14), 감쇠 통로(16)를 이 순서로 통과하여 리저버(R)로 이동한다. 신장 작동 시에는, 피스톤(10)이 도 1 중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측실(L2)의 용적이 확대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측실(L2)의 용적의 확대분에 상응한 액체가 흡입 통로(17)를 통해 리저버(R)로부터 피스톤측실(L2)로 이동한다. 그리고, 감쇠 통로(16)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 감쇠 밸브(V)에 의해 저항이 부여되고, 로드측실(L1) 내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완충기(A)는 신장측 감쇠력을 발생한다.
즉, 완충기(A)가 신축하면, 액체는, 피스톤측실(L2), 로드측실(L1), 리저버(R)를 이 순서로 일방 통행으로 순환한다. 그리고, 완충기(A)가 압축 작동과 신장 작동 중 어느 작동을 행하는 경우도, 액체는 감쇠 통로(16)를 통과하여 실린더(1) 내로부터 리저버(R)로 이동한다. 따라서, 감쇠 통로(16)를 흐르는 액체에 저항을 부여하는 하나의 감쇠 밸브(V)가 설치됨으로써, 완충기(A)는, 신장측 감쇠력 및 압축측 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다.
감쇠 밸브(V)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통(12)과 외통(13)에 형성된 가로 구멍(12a, 13a)에 마련된 슬리브(12b, 13b)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통(12)에 마련된 가로 구멍(12a)의 에지에는, 중간 통(12)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리브(12b)가 고정됨과 함께, 외통(13)에 마련된 가로 구멍(13a)의 에지에는, 외통(1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리브(13b)가 고정된다. 이들 슬리브(12b, 13b)는, 통 형상이며, 또한 동축 상에 설치된다. 외통(13)에 설치된 슬리브(13b)의 내경은 중간 통(12)에 설치된 슬리브(12b)의 외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슬리브(12b)의 도 2 중의 좌측 단부 개구는 배출 통로(14)에 대향하고, 도 2 중의 우측 단부 개구는 슬리브(13b)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슬리브(13b)의 도 2 중의 좌측 단부 개구의 중앙에는 슬리브(12b)가 위치하고, 도 2 중의 좌측 단부 개구의 외주측은 리저버(R)에 대향한다. 또한, 슬리브(13b)의 도 2 중의 우측 단부 개구는 감쇠 밸브(V)의 후술하는 솔레노이드(S)에 의해 폐색된다. 배출 통로(14)의 액체는, 가로 구멍(12a) 및 슬리브(12b)의 내측을 통과하여 슬리브(13b)의 내측으로 유도되고, 슬리브(13b)의 내측 및 가로 구멍(13a)을 통과하여 리저버(R)로 유도된다. 즉, 이들 가로 구멍(12a, 13a) 및 슬리브(12b, 13b)에 의해 감쇠 통로(16)(도 1)가 구성된다.
감쇠 밸브(V)는, 슬리브(12b)에 끼워 맞추어져 슬리브(13b)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설치 부재(2)와, 슬리브(12b)로부터 돌출된 설치 부재(2)의 외주에 장착되는 주 밸브체(3) 및 부 밸브체(30)와, 설치 부재(2)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하우징(4)과, 밸브 하우징(4)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40)과, 밸브 하우징(4)에 수용되는 제1 밸브 시트 부재(5)와, 제1 밸브 시트 부재(5)에 적층되는 제2 밸브 시트 부재(50)와, 제1 밸브 시트 부재(5)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50)에 이격 착좌하는 밸브체 부재(6)와, 밸브체 부재(6)를 도 2 중의 우측으로 가압하는 접시 스프링(60)과, 밸브체 부재(6)를 도 2 중의 좌측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S)와, 밸브 하우징(4)과 제1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에 설치된 페일 밸브체(7)를 구비한다.
설치 부재(2)는, 슬리브(12b)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삽입부(2a)와, 삽입부(2a)의 도 2 중의 우측에 연속되고, 외경이 삽입부(2a)의 외경보다 큰 밸브 시트부(2b)와, 밸브 시트부(2b)의 중앙부로부터 도 2 중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설치 축(2c)을 갖는다. 또한, 설치 부재(2)에는, 설치 부재(2)의 중심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2d)과, 일단부가 축 구멍(2d)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밸브 시트부(2b)의 도 2 중의 우측 단부이며, 설치 축(2c)의 외주측에 개구되는 복수의 포트(2e)가 형성된다. 축 구멍(2d)의 도중에는, 유로 단면적이 작게 설정된 오리피스(2f)가 마련되어 있고, 포트(2e)는 오리피스(2f)보다 도 2 중의 좌측에 있어서 축 구멍(2d)과 연통되어 있다.
삽입부(2a)와 슬리브(12b) 사이에는, 환상의 O링(20)이 설치된다. 삽입부(2a)와 슬리브(12b) 사이가 O링(20)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배출 통로(14)로부터 슬리브(12b) 내로 유입되는 액체는, 축 구멍(2d)을 통해 슬리브(13b)의 내측으로 이동한 후, 리저버(R)로 이동한다. 또한, 설치 축(2c)의 선단부 외주에는 밸브 하우징(4)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된다. 밸브 시트부(2b)와 밸브 하우징(4) 사이에는, 설치 축(2c)의 외주에 배치된 스페이서(21)가 끼움 지지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21)의 외주에는, 원판상의 주 밸브체(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주 밸브체(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스페이서(21)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설치 구멍이 형성된 환상 부재이다. 주 밸브체(3)는, 주 밸브체(3)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도 3 중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3a)와, 주 밸브체(3)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도 3 중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밸브 시트(3b)와, 일단부가 환상 돌기(3a)의 내주측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밸브 시트(3b)의 내주측에 개구되고, 주 밸브체(3)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한 통로(3c)를 갖는다. 환상 돌기(3a)는 밸브 시트부(2b)에 있어서의 포트(2e)의 개구보다 외주측으로 이격 착좌하기 때문에, 제한 통로(3c)는 포트(2e)와 항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주 밸브체(3)의 내주부의 축 방향 길이는 스페이서(21)의 축 방향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주 밸브체(3)는 스페이서(21)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주 밸브체(3)의 도 3 중의 우측에는, 부 밸브체(30)가 적층되어 있다. 부 밸브체(30)는, 리프 밸브가 복수 매 적층된 적층 리프 밸브이며, 중심에 설치 축(2c)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설치 구멍이 마련된다. 또한, 부 밸브체(30)는, 외주측의 휨이 허용된 상태에서 내주측이 스페이서(21)와 밸브 하우징(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부 밸브체(30)의 외주부는 밸브 시트(3b)에 이격 착좌 가능하다. 또한, 밸브 시트(3b)보다 내주측이며, 주 밸브체(3)와 부 밸브체(30) 사이에는, 환상의 밸브체간실(C)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밸브체(3)에 설치된 제한 통로(3c)는, 밸브 시트(3b)의 내주측에 개구되므로, 밸브체간실(C)은 제한 통로(3c)를 통해 포트(2e)와 항시 연통된다. 또한, 부 밸브체(30)를 구성하는 리프 밸브 중, 가장 주 밸브체(3)측의 리프 밸브의 외주에는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노치(30a)가 형성된다. 또한, 노치(30a)(오리피스)는 생략해도 된다.
또한, 주 밸브체(3)와 부 밸브체(30) 사이에는, 주 밸브체(3)를 밸브 시트부(2b)측으로 가압하는 접시 스프링(31)이 개재 장착된다. 접시 스프링(31)은, 스페이서(21)와 밸브 하우징(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환(31a)과, 원환(31a)의 외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아암(31b)을 갖고, 아암(31b)이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아암(31b)과 아암(31b)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밸브체간실(C)은 접시 스프링(31)에 의해 구획되지 않는다. 또한, 부 밸브체(30)의 도 3 중의 우측에는, 스페이서(32), 접시 스프링(33), 스페이서(34)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스페이서(34)의 도 3 중의 우측 단부가 밸브 하우징(4)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환상의 저부(4a)와, 저부(4a)의 외주부로부터 도 4 중의 우측으로 기립하는 통부(4b)와, 저부(4a)의 내주부로부터 도 4 중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돌출부(4c)를 갖는다. 저부(4a)의 내주와 통부(4b)의 외주에는, 각각 나사 홈이 형성된다. 돌출부(4c)에 삽입된 설치 부재(2)의 설치 축(2c)은, 저부(4a)의 내주에 나사 결합된다. 통부(4b)의 외주에는, 솔레노이드(S)가 나사 결합된다. 저부(4a)에는, 도 4 중의 좌측에 개구되는 공구의 삽입 구멍(4d)이 복수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4)과 솔레노이드(S)를 나사 결합할 때 등에 이용된다. 또한, 저부(4a)에는, 도 4 중의 우측부에 통부(4b)의 내주에 연속되는 유발 형상의 오목부(4e)가 형성된다. 또한, 저부(4a)에는, 오목부(4e)와 삽입 구멍(4d)에 개구되어 이것들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4f)이 형성된다. 저부(4a)의 외주에, 스풀(40)이 장착되어 있다.
스풀(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4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통 형상의 미끄럼 이동 통부(40a)와, 미끄럼 이동 통부(40a)의 도 3 중의 좌측 단부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플랜지(40b)와, 플랜지(40b)로부터 도 3 중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40c)를 갖는다. 플랜지(40b)의 도 3 중의 우측면에는, 접시 스프링(33)의 외주부가 맞닿아 있고, 스풀(40)은 접시 스프링(33)에 의해 부 밸브체(30)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플랜지(40b)에 설치된 환상 돌기(40c)는 부 밸브체(30)의 도 3 중의 우측면 외주에 압박된다. 또한, 스풀(40)의 내측이며, 접시 스프링(33)과 밸브 하우징(4) 사이의 공간은 배압실(P)로 된다. 배압실(P)은, 삽입 구멍(4d)과, 연통 구멍(4f)(도 4)을 통해 밸브 하우징(4)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4)의 내부에는, 설치 부재(2)의 축 구멍(2d)이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트(2e)의 상류측의 액체는, 축 구멍(2d), 밸브 하우징(4)의 내부, 연통 구멍(4f) 및 삽입 구멍(4d)을 통해 배압실(P)로 유도된다. 또한, 축 구멍(2d)의 도중에는 오리피스(2f)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포트(2e)의 상류측의 액체는, 오리피스(2f)에 의해 감압되어 배압실(P)로 도입된다. 배압실(P)로 유도된 액체의 압력은, 접시 스프링(33)의 가압력과 마찬가지로, 부 밸브체(30)를 주 밸브체(3)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주 밸브체(3)에는, 완충기(A)가 신축 작동할 때, 정면측으로부터는 포트(2e)를 통해 로드측실(L1) 내의 압력이 작용하고, 배면측으로부터는 부 밸브체(30)를 통해 배압실(P)의 내부 압력, 접시 스프링(33) 및 접시 스프링(31)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도 3에 도시한 스풀(40)의 미끄럼 이동 통부(40a)의 내경 단면적으로부터 스페이서(34)의 외경 단면적을 뺀 단면적에 배압실(P)의 압력을 곱한 힘이 부 밸브체(30)를 주 밸브체(3)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밸브 시트(3b)의 내경 단면적으로부터 스페이서(21)의 외경 단면적을 뺀 단면적에 밸브체간실(C)의 압력을 곱한 힘이 부 밸브체(30)를 주 밸브체(3)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배압실(P) 내의 압력에 대한 부 밸브체(30)의 밸브 개방압의 비가 부 밸브체(30)의 증압비가 된다. 그리고, 로드측실(L1) 내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간실(C) 내의 압력이 높아져, 부 밸브체(30)의 외주를 도 3 중의 우측으로 휘게 하려고 하는 힘이, 배압실(P)의 내부 압력과 접시 스프링(33)에 의한 가압력을 능가하면, 부 밸브체(30)가 휘어 밸브 시트(3b)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부 밸브체(30)와 밸브 시트(3b)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포트(2e)는 개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 돌기(3a)의 내경보다 밸브 시트(3b)의 내경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 주 밸브체(3)가 포트(2e)측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과, 주 밸브체(3)가 밸브체간실(C)측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에는 차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한 통로(3c)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이 주 밸브체(3)를 밸브 시트부(2b)로부터 이격시키는 밸브 개방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주 밸브체(3)는 환상 돌기(3a)를 밸브 시트부(2b)에 착좌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부 밸브체(30)가 휘어 밸브 개방되고, 밸브체간실(C)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제한 통로(3c)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이 주 밸브체(3)를 밸브 시트부(2b)로부터 이격시키는 밸브 개방압에 도달하면, 주 밸브체(3)도 밸브 시트부(2b)로부터 이격되어 포트(2e)를 개방한다. 여기서, 부 밸브체(30)의 증압비는, 밸브체간실(C)의 압력에 대한 주 밸브체(3)의 밸브 개방압의 비인 주 밸브체(3)의 증압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주 밸브체(3)가 밸브 개방될 때의 로드측실(L1) 내의 압력보다 부 밸브체(30)가 밸브 개방될 때의 로드측실(L1) 내의 압력이 낮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주 밸브체(3)의 밸브 개방압보다 부 밸브체(30)의 밸브 개방압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트(2e)는 주 밸브체(3) 및 부 밸브체(30)에 의해 2단계로 개방된다. 이들 주 밸브체(3)와 부 밸브체(30)에 의해 주 밸브(V1)가 구성된다.
밸브 하우징(4)의 통부(4b) 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 중의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페일 밸브체(7)와 제1 밸브 시트 부재(5)가 수용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도 4 중의 우측에는, 제2 밸브 시트 부재(50)가 적층되어 있다. 제1 밸브 시트 부재(5)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50)에는, 포핏 밸브인 밸브체 부재(6)가 이격 착좌 가능하다. 밸브체 부재(6)는, 제1 밸브 시트 부재(5)에 지지되는 접시 스프링(60)에 의해 도 4 중의 우측으로 가압됨과 함께, 솔레노이드(S)에서 도 4 중의 좌측으로 구동된다. 페일 밸브체(7)는, 복수 매의 리프 밸브가 적층된 적층 리프 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하우징(4)의 통부(4b)의 내경은, 도 4 중의 우측의 쪽이 좌측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내경이 변화되는 부분의 경계에 환상의 단차(4g)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4g)의 내주부에는, 도 4 중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돌출부(4h)가 마련되어 있고, 돌출부(4h)에 의해 제1 밸브 시트 부재(5)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통부(4b)는, 외주에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i)과, 홈(4i)에 개구되고, 홈(4i)과 통부(4b)의 내측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4j)을 갖는다. 연통 구멍(4j)은, 통부(4b)에 있어서의 단차(4g)보다 도 4 중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5)는, 통부(4b)에 있어서의 단차(4g)보다 도 4 중의 좌측으로 삽입되어, 선단부가 오목부(4e) 내에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소직경부(5a)와, 소직경부(5a)의 개구측이 되는 도 4 중의 우측 단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플랜지부(5b)와, 플랜지부(5b)의 외주부로부터 도 4 중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지지부(5c)를 갖는다. 소직경부(5a)에는, 개구측 단부 내주에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환상 홈(5d)과, 환상 홈(5d)으로부터 소직경부(5a)의 측방으로 비스듬히 관통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5e)이 마련된다. 또한, 소직경부(5a)의 개구측 단부면의 내주연부는 환상의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 되어 있고,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는 밸브체 부재(6)의 후술하는 압력 제어 밸브체(6b)가 이격 착좌된다.
또한,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지지부(5c)의 내경은, 도 4 중의 우측 단부에 걸쳐 2단계로 직경 확장되어 있고, 내경이 바뀌는 부분의 경계에 각각 단차(5g, 5h)가 형성된다. 도 4 중의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1단째의 단차(5g)는, 스프링 슈로서 접시 스프링(60)을 지지하고, 2단째의 단차(5h)는 제2 밸브 시트 부재(50)를 지지한다.
또한, 플랜지부(5b)에는, 플랜지부(5b)의 내주부로부터 도 4 중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환상 돌기(5i)와, 플랜지부(5b)의 외주부로부터 도 4 중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페일 밸브 시트(5j)와, 환상 돌기(5i)와 페일 밸브 시트(5j) 사이로부터 단차(5h)에 걸쳐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통 구멍(5k)이 마련된다. 연통 구멍(5k)은, 도 4 중의 우측 단부가 제2 밸브 시트 부재(50)로 폐색되지 않도록, 지지부(5c)의 내주측에도 개구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4)의 돌출부(4h)와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환상 돌기(5i) 사이에는, 페일 밸브체(7)의 내주측이 끼워져 고정된다. 페일 밸브체(7)는, 돌출부(4h)의 외주에 생기는 환상의 공간에 의해 외주측의 휨이 허용되어 있고, 외주부를 페일 밸브 시트(5j)에 이격 착좌시켜 연통 구멍(5k)을 개폐한다.
제2 밸브 시트 부재(50)는,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지지부(5c)의 내주에 끼워져 단차(5h)에 맞닿는 환상의 끼워 맞춤부(50a)와, 끼워 맞춤부(50a)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개폐 밸브 시트(50b)와, 제2 밸브 시트 부재(50)의 도 4 중의 우측부에 내주 단부로부터 외주 단부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50c)과, 홈(50c)에 개구되어 개폐 밸브 시트(50b)의 도 4 중의 좌측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50d)를 갖는다. 개폐 밸브 시트(50b)에는 밸브체 부재(6)의 후술하는 개폐 밸브체(6c)가 이격 착좌된다.
밸브체 부재(6)는,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소직경부(5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미끄럼 이동 축부(6a)와, 소직경부(5a)로부터 돌출되는 미끄럼 이동 축부(6a)의 도 4 중의 우측 단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압력 제어 밸브체(6b)의 도 4 중의 우측으로 연속되어 압력 제어 밸브체(6b)보다 외경이 큰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체(6c)로부터 도 4 중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소켓(6d)을 갖는다. 미끄럼 이동 축부(6a)의 도 4 중의 우측 단부 외주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환상 홈(6e)이 형성된다. 환상 홈(6e)은, 밸브체 부재(6)가 제1 밸브 시트 부재(5)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50)에 대해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어서, 항시 연통 구멍(5e)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 부재(6)에 의해 연통 구멍(5e)이 폐색되는 일은 없다. 압력 제어 밸브체(6b)의 외주에는, 탄성 부재인 접시 스프링(60)이 장착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의 외주 환부(60a)와, 외주 환부(60a)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설부(60b)를 갖는다. 이들 설부(60b)가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60)의 외주 환부(60a)가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단차(5g)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부(60b)는, 도 4 중의 좌측으로 휘는 것이 허용된다.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개폐 밸브체(6c)의 경계 부분의 외주에는, 설부(60b)가 맞닿는 환상의 단차(6f)가 형성된다. 압력 제어 밸브체(6b)는 접시 스프링(60)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압력 제어 밸브체(6b)가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착좌하는 부분으로부터 개폐 밸브체(6c)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하는 부분까지의 밸브체 부재(6)의 축 방향 길이를 M으로 하고,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부터 개폐 밸브 시트(50b)까지의 축 방향 거리를 N으로 하면, M은 N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M<N). 또한, 접시 스프링(60)이 자연 길이(부하가 걸려 있지 않을 때의 접시 스프링(60)의 축 방향 길이)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주 환부(60a)가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단차(5g)에 맞닿고, 설부(60b)가 밸브체 부재(6)의 단차(6f)에 맞닿아 있을 때의 밸브체 부재(6)의 위치를 중립 위치로 하면,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 사이, 및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에는 각각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로부터 도 4 중의 좌측을 향해 전진하고, 압력 제어 밸브체(6b)가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맞닿으면(착좌),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와 압력 제어 밸브체(6b) 사이가 폐색된다. 이와 같이,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보다 전진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설부(60b)는 탄성 변형되어, 밸브체 부재(6)를 도 4 중의 우측으로 가압한다. 반대로,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로부터 도 4 중의 우측으로 후퇴하고, 개폐 밸브체(6c)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맞닿으면(착좌), 개폐 밸브 시트(50b)와 개폐 밸브체(6c) 사이가 폐색된다. 이와 같이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보다 후퇴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접시 스프링(60)은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와 동일하게 자연 길이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접시 스프링(60)에 의한 가압력은 밸브체 부재(6)에 작용하지 않는다.
밸브체 부재(6)의 중심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6g)이 마련된다. 축 구멍(6g)의 도중에는, 유로 단면적이 작게 설정된 오리피스(6h)가 마련된다. 미끄럼 이동 축부(6a)의 선단과 소직경부(5a)의 저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K)은, 축 구멍(6g)을 통해 밸브체 부재(6)의 외측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체 부재(6)가 제1 밸브 시트 부재(5) 및 제2 밸브 시트 부재(50)에 대해 도 4 중의 좌우로 이동할 때, 공간(K)이 대시포트로서 기능하여, 밸브체 부재(6)의 급준한 변위가 억제됨과 함께, 밸브체 부재(6)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부재(6)의 소켓(6d) 내에는, 제2 탄성 부재인 접시 스프링(61)이 유극을 갖고 끼움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 부재(6)는, 접시 스프링(61)을 통해 솔레노이드(S)의 추력을 받는다. 접시 스프링(6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의 외주 환부(61a)와, 외주 환부(61a)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설부(61b)를 갖는다. 이들 설부(61b)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6d)의 내주에는, 단차(6i)가 형성된다. 단차(6i)에 의해 접시 스프링(61)의 외주 환부(61a)가 지지됨으로써, 설부(61b)의 도 4 중의 좌측으로의 휨이 허용된다. 그리고, 접시 스프링(61)의 중심부에는, 솔레노이드(S)의 후술하는 샤프트(8)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소직경부(8a)가 유극을 갖고 삽입된다. 접시 스프링(61)의 설부(61b)는, 소직경부(8a)의 기단부에 형성되는 단차(8b)에 맞닿음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샤프트(8)가 도 4 중의 좌측으로 전진하여 단차(8b)가 접시 스프링(61)에 부딪치고, 접시 스프링(61)이 소켓(6d)의 단차(6i)에 부딪치면, 솔레노이드(S)의 추력이 접시 스프링(61)을 통해 밸브체 부재(6)에 전달된다. 반대로, 샤프트(8)가 도 4 중의 우측으로 후퇴하여, 단차(8b)가 접시 스프링(61)으로부터 이격되면, 접시 스프링(61)은 샤프트(8)에 대해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접시 스프링(61)이 샤프트(8)에 대해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라도, 접시 스프링(61)은 소직경부(8a) 및 소켓(6d)으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 또는 중립 위치보다 전진한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또한 샤프트(8)가 최대한으로 후퇴한 상태에 있어서, 샤프트(8)의 단차(8b)가 소켓(6d)의 개구 단부(도 4 중의 우측 단부)와 축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나, 그보다 도 4 중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솔레노이드(S)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79)이 권회되는 솔레노이드 보빈(70)과, 솔레노이드 보빈(70)의 주위를 덮는 몰드 수지(71)와, 솔레노이드 보빈(70)의 일단부측 내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정상이 있는 통 형상의 제1 고정 철심(72)과, 솔레노이드 보빈(70)의 타단부측 내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상의 끼워 맞춤부(73b)를 갖는 제2 고정 철심(73)과, 솔레노이드 보빈(70)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 제1 고정 철심(72)과 제2 고정 철심(73)의 끼워 맞춤부(73b)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비자성체의 필러 링(74)과, 제1 고정 철심(72)의 내측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가동 철심(80)과, 가동 철심(80)의 내주에 고정되는 샤프트(8)와, 끼워 맞춤부(73b)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상의 가이드(75)와, 제1 고정 철심(72)의 정상부와 가이드(75)의 내주에 각각 끼워 맞추어져 샤프트(8)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환상의 부시(76, 77)를 구비한다. 가동 철심(80)에는, 가동 철심(80)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0a)이 마련된다. 가동 철심(80)의 축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실이 관통 구멍(80a)을 통해 연통되므로, 가동 철심(80)은 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75)에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5a)이 마련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75)의 축 방향의 양측에서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솔레노이드(S)에서는, 자로가 제1 고정 철심(72), 가동 철심(80) 및 제2 고정 철심(73)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권선(79)이 여자되면, 제1 고정 철심(72) 부근에 배치되는 가동 철심(80)이 제2 고정 철심(73)의 끼워 맞춤부(73b)측에 흡인되어, 가동 철심(80)에 도 2 중의 좌측을 향하는 추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가동 철심(80)과 일체로 되어 이동하는 샤프트(8)는, 솔레노이드(S)의 여자 시에는, 밸브체 부재(6)에 도 2 중의 좌측을 향하는 방향의 추력을 부여한다.
제2 고정 철심(73)은, 외통(13)에 설치된 슬리브(13b)의 내주에 끼워지는 정상이 있는 통 형상의 캡부(73a)와, 캡부(73a)의 환상의 정상부의 내주부로부터 도 2 중의 우측으로 기립하여 솔레노이드 보빈(70)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상의 끼워 맞춤부(73b)와, 캡부(73a)의 정상부의 외주부로부터 도 2 중의 우측으로 기립하는 통 형상의 케이스부(73c)를 갖는다. 케이스부(73c) 내에 몰드 수지(71)로 덮인 권선(79)을 갖는 솔레노이드 보빈(70), 필러 링(74), 제1 고정 철심(72)이 삽입되고 나서 덮개(78)를 씌워 케이스부(73c)의 선단을 내주측에 코킹함으로써 이것들을 일체화할 수 있다. 제2 고정 철심(73)의 끼워 맞춤부(73b)에 부시(77)를 갖는 가이드(75)가 끼워진 상태에서 캡부(73a)는 밸브 하우징(4)의 통부(4b) 외주에 나사 결합되고, 슬리브(13b)의 외주에 설치된 너트(13c)가 제2 고정 철심(73)의 외주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13c)는 슬리브(13b)에 대해 빠짐 방지되어 있으므로 제2 고정 철심(73)을 슬리브(13b)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철심(73)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4)과, 밸브 하우징(4)에 나사 결합되는 설치 부재(2)를 슬리브(12b)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4)과 제2 고정 철심(73) 사이에는, 페일 밸브체(7), 제1 밸브 시트 부재(5), 제2 밸브 시트 부재(50) 및 가이드(75)가 끼움 지지 고정된다. 캡부(73a)와 슬리브(13b) 사이에는, 환상의 O링(부호로 나타내지 않음)이 설치된다. O링에 의해, 슬리브(13b) 내의 액체가 외기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75)와 제2 밸브 시트 부재(50) 사이에는, 제2 밸브 시트 부재(50)에 형성된 홈(50c)에 의해 간극이 형성된다. 제2 고정 철심(73)과 통부(4b) 사이에는, 통부(4b)에 형성된 홈(4i)에 의해 간극이 형성된다. 제1 밸브 시트 부재(5)와 제2 고정 철심(73)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설치 부재(2)의 축 구멍(2d), 밸브 하우징(4)의 내부,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연통 구멍(5e),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내부, 홈(50c)에 의해 가이드(75)와 제2 밸브 시트 부재(50) 사이에 생기는 간극, 제1 밸브 시트 부재(5)와 제2 고정 철심(73) 사이에 생기는 간극, 및 홈(4i)에 의해 제2 고정 철심(73)과 밸브 하우징(4)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의해 유로로서의 파일럿 통로(18)가 구성된다. 파일럿 통로(18)에 있어서의 밸브 하우징(4)의 내부는, 밸브 하우징(4)의 연통 구멍(4f) 및 삽입 구멍(4d)을 통해 배압실(P)에 연통된다.
밸브체 부재(6)의 압력 제어 밸브체(6b)는, 접시 스프링(60) 및 솔레노이드(S)와 함께 압력 제어 밸브(V2)를 구성하고, 압력 제어 밸브체(6b)를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이격 착좌시켜 파일럿 통로(18)를 개폐한다. 접시 스프링(60)은,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보다 전진한 위치에 있는 경우, 밸브체 부재(6)를 도 2 중의 우측으로 가압하므로, 접시 스프링(60)에 의한 가압력은 압력 제어 밸브(V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밸브체 부재(6)의 개폐 밸브체(6c)는, 접시 스프링(60)과 함께 개폐 밸브(V3)를 구성하고, 개폐 밸브체(6c)를 개폐 밸브 시트(50b)에 이격 착좌시켜 파일럿 통로(18)에 있어서의 압력 제어 밸브(V2)보다 하류측을 개폐한다. 즉, 감쇠 밸브(V)에서는, 파일럿 통로(18)의 도중에, 압력 제어 밸브(V2)를 상류측으로 하여 압력 제어 밸브(V2)와 개폐 밸브(V3)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쇠 밸브(V)에서는, 압력 제어 밸브(V2)의 밸브체인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개폐 밸브(V3)의 밸브체인 개폐 밸브체(6c)가 밸브체 부재(6)로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연통 구멍(5k)과, 밸브 하우징(4)과 제1 밸브 시트 부재(5) 사이이며 돌출부(4h)의 외주에 형성되는 간극과, 연통 구멍(4j)에 의해 페일 통로(19)가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5k)은,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이며, 지지부(5c)의 내주측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페일 통로(19)의 연통 구멍(4j)은, 홈(4i)에 의해 제2 고정 철심(73)과 밸브 하우징(4)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연통되어 있다. 즉, 페일 통로(19)는, 파일럿 통로(18)에 있어서의 압력 제어 밸브(V2)와 개폐 밸브(V3) 사이로부터 분기되고, 개폐 밸브(V3)를 우회하여 파일럿 통로(18)에 합류하고 있다. 페일 밸브(V4)는, 제1 밸브 시트 부재(5)와 밸브 하우징(4) 사이에 끼워지는 페일 밸브체(7)에 의해 구성되고, 페일 밸브(V4)는, 페일 밸브체(7)를 페일 밸브 시트(5j)에 이격 착좌시켜 페일 통로(19)를 개폐한다.
이하, 상기 구성의 감쇠 밸브(V)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A)가 신축하여 로드측실(L1)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이 압력은 배출 통로(14) 및 포트(2e)를 통해 주 밸브체(3)에 작용함과 함께, 주 밸브체(3)의 제한 통로(3c) 및 밸브체간실(C)을 통해 부 밸브체(30)에 작용한다. 피스톤 속도가 낮아, 주 밸브체(3) 및 부 밸브체(30)가 밸브 개방되지 않는 경우, 액체는 부 밸브체(30)의 노치(30a)에 의해 형성되는 오리피스를 통해 리저버(R)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 밸브체(30)의 증압비를 주 밸브체(3)의 증압비보다 작게 함으로써, 부 밸브체(30)의 밸브 개방압은, 주 밸브체(3)의 밸브 개방압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가 상승하면, 먼저 부 밸브체(30)가 밸브 개방되고, 계속해서 주 밸브체(3)가 밸브 개방된다. 부 밸브체(30)만이 밸브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2 중의 우측으로 휜 부 밸브체(30)의 외주부와 주 밸브체(3)의 밸브 시트(3b)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을 통해 액체는 리저버(R)로 이동한다. 또한, 주 밸브체(3)도 밸브 개방되면, 주 밸브체(3)의 환상 돌기(3a)와 밸브 시트부(2b)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을 통해 액체는 리저버(R)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 밸브(V1)가 포트(2e)를 단계적(2단계)으로 개방하고, 포트(2e)와 리저버(R)를 연통하는 유로의 유로 면적은 단계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완충기(A)의 감쇠 특성(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도 7 중의 실선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감쇠 계수(실선 X의 기울기)가 부 밸브체(30)와 주 밸브체(3)의 개방 밸브를 경계로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특성이 된다.
부 밸브체(30)가 포트(2e)를 개방하는 밸브 개방압은, 부 밸브체(30)의 배면에 작용하는 배압실(P)의 내부 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배압실(P)의 내부 압력은, 솔레노이드(S)에의 통전량을 조절하고, 압력 제어 밸브(V2)의 밸브 개방압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S)에의 통전량을 변경함으로써 완충기(A)가 발생하는 감쇠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S)에 전류를 공급하여 밸브체 부재(6)에 추력을 작용시키면, 밸브체 부재(6)의 압력 제어 밸브체(6b)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압박되어, 착좌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파일럿 통로(18)를 통해 밸브체 부재(6)에 작용하는 로드측실(L1)의 압력이 압력 제어 밸브체(6b)를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부터 이격시키는 힘과,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의 합력이 솔레노이드(S)의 추력을 상회하면, 압력 제어 밸브(V2)가 개방되어, 파일럿 통로(18)는 개방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S)에 공급되는 전류량의 크기를 조절하여, 솔레노이드(S)의 추력을 조절함으로써, 압력 제어 밸브(V2)의 개방압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제어 밸브(V2)가 개방되면, 파일럿 통로(18)의 압력 제어 밸브(V2)보다 상류측의 압력이 압력 제어 밸브(V2)의 개방압과 동등해진다. 즉, 파일럿 통로(18)의 압력 제어 밸브(V2)로부터 상류측의 압력이 도입되는 배압실(P)의 내부 압력도 압력 제어 밸브(V2)의 개방압과 동등해진다. 배압실(P)의 내부 압력을 낮게 하면, 부 밸브체(30) 및 주 밸브체(3)의 밸브 개방압도 저하되기 때문에, 감쇠력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배압실(P)의 내부 압력을 높게 하면, 부 밸브체(30) 및 주 밸브체(3)의 밸브 개방압도 상승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쇠력을 최소로 하는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있어서는, 피스톤 속도가 0일 때라도 압력 제어 밸브(V2)가 폐쇄되지 않고,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와 압력 제어 밸브체(6b) 사이에 초기 간극이 생길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가 극저속 영역에 있는 경우, 액체는 비교적 저항 없이 압력 제어 밸브(V2)를 통과하기 때문에, 배압실(P)의 내부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있어서의 극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감쇠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풀 소프트 제어 시는 솔레노이드(S)의 추력이 작으므로, 밸브체 부재(6)가 후퇴하기 쉬운 상태(도 2 중의 우측으로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러나,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접시 스프링(60)은 자연 길이가 되고,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로부터 후퇴해도, 접시 스프링(60)은 자연 길이 그대로이므로, 밸브체 부재(6)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을 받는 일은 없다. 즉, 밸브체 부재(6)는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착좌한 위치로부터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하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지만, 후퇴하는 밸브체 부재(6)에 대해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은 도중까지밖에 작용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가 큰 접시 스프링(60)을 사용하거나 하여, 밸브체 부재(6)를 도 4 중의 우측으로 가압하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을 크게 하였다고 해도, 밸브체 부재(6)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한 상태에서는, 밸브체 부재(6)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높아져, 로드측실(L1)의 압력이 압력 제어 밸브체(6b)를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부터 이격시키는 힘과,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의 합력이 커졌다고 해도, 밸브체 부재(6)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하여, 개폐 밸브(V3)가 파일럿 통로(18)에 있어서의 압력 제어 밸브(V2)의 하류측을 폐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S)의 비여자 시에는, 솔레노이드(S)에 의한 추력이 상실된다. 이 때문에,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 부재(6)는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부터 이격되어, 압력 제어 밸브(V2)는 개방된다. 중립 위치보다 전진한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까지 후퇴하는 과정에서는, 밸브체 부재(6)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을 받아 후퇴하지만,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에 도달하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60)이 자연 길이로 된다. 그리고, 피스톤 속도가 극저속 영역에 있어 파일럿 통로(18)를 흐르는 액체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밸브체 부재(6)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할 때까지 후퇴하는 일은 없으므로, 액체는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에 생기는 간극과 오리피스(50d)를 통해 리저버(R)로 이동한다.
이에 비해, 피스톤 속도가 상승하여 파일럿 통로(18)를 흐르는 액체의 유량이 많아지면, 파일럿 통로(18)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V3)보다 상류측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러면, 이 압력을 받아 밸브체 부재(6)가 후퇴하고, 개폐 밸브체(6c)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한다. 이와 같이 개폐 밸브(V3)가 파일럿 통로(18)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페일 밸브(V4)가 개방될 때까지의 동안, 액체는 제2 밸브 시트 부재(50)의 오리피스(50d)를 통해 리저버(R)로 이동한다. 그리고, 파일럿 통로(18)의 압력이 페일 밸브(V4)의 개방압에 도달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일 밸브체(7)의 외주부가 도 2 중의 좌측으로 휘어 페일 밸브 시트(5j)로부터 이격되고, 액체가 페일 밸브체(7)와 페일 밸브 시트(5j) 사이에 생긴 간극을 통해 리저버(R)로 이동한다.
즉, 감쇠 밸브(V)에서는, 솔레노이드(S)에의 전류 공급이 끊어지는 페일 시라도, 피스톤 속도가 극저속인 경우에는, 개폐 밸브(V3)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개폐 밸브(V3)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유로의 유로 면적을 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일 시에 있어서의 극저속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페일 시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고속이 되면, 개폐 밸브(V3)가 폐쇄됨과 함께 페일 밸브(V4)가 개방되므로, 페일 밸브(V4)가 액체의 흐름에 대해 저항이 된다. 따라서, 완충기(A)는 페일 시에 있어서, 패시브한 완충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밸브체 부재(6)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크기, 오리피스(50d)의 단면적 및 페일 밸브(V4)의 밸브 개방압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페일 시에 있어서의 완충기(A)의 감쇠 특성을 미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밸브(V) 및 감쇠 밸브(V)를 구비하는 완충기(A)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완충기(A)는, 실린더(1)와,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린더(1) 내를 로드측실(2개의 룸 중 한쪽)(L1)과 피스톤측실(2개의 룸 중 다른 쪽)(L2)로 구획하는 피스톤(10)과, 감쇠 밸브(V)를 구비한다. 감쇠 밸브(V)는, 피스톤(10)의 미끄럼 이동 시에 로드측실(한쪽 룸)(L1)로부터 피스톤(10)에 의해 압출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상술한 감쇠 밸브(V)를 구비하는 완충기(A)에 의하면,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압력 제어 밸브(V2)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고,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와 압력 제어 밸브체(6b) 사이에 초기 간극이 마련되므로,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있어서의 미저속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풀 소프트 제어 시에는, 페일 시와 같이 개폐 밸브(V3)가 폐쇄되는 일이 없으므로, 완충기(A)는 원하는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A)에 의하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기(A)의 구성은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감쇠 밸브(V)는, 차량에 탑재되는 완충기(A) 이외의 완충기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쇠 밸브(V)는, 포트(2e)와, 포트(2e)를 개폐하는 주 밸브(V1)를 구비한다. 파일럿 통로(18)는, 포트(2e)의 주 밸브(V1)보다 상류측의 압력을 주 밸브(V1)의 배압으로서 유도한다. 이 배압은, 압력 제어 밸브체(6b)의 개폐 정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즉, 압력 제어 밸브체(6b)의 개폐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배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개폐 정도라 함은, 압력 제어 밸브(V2)의 개방압, 초기 간극 등, 압력 제어 밸브(V2)의 미리 개방된 상태도 포함하는 개방 용이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포트(2e)의 상류측의 압력을 이용하여 주 밸브(V1)의 개방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 밸브(V1)의 배압, 즉, 배압실(P)의 내부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주 밸브(V1)의 개방압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파일럿 통로(18)를 흐르는 유량에 의존하지 않고 주 밸브(V1)의 배압의 크기를 목표대로 조절함으로써, 감쇠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통로(18)의 도중에는 오리피스(2f)가 형성되어 있고, 포트(2e)의 상류측의 압력은 배압실(P)에 감압하여 유도되고 있다. 그러나, 포트(2e)의 상류측의 압력을 감압하여 배압실(P)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오리피스(2f)에 한정되지 않고, 초크 등의 다른 밸브여도 된다. 또한, 주 밸브(V1)는, 주 밸브체(3)와 부 밸브체(30)를 구비하고, 포트(2e)를 2단계로 개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있어서의 감쇠력을 작게 하여, 감쇠력의 가변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주 밸브(V1)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럿 통로(18) 이외의 유로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S)는, 선단부에 소직경부(8a)가 형성된 샤프트(8)를 갖고, 밸브체 부재(6)는 단부에 소켓(6d)을 갖는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감쇠 밸브(V)는, 내주(일단부)가 소직경부(8a)의 외주에 끼워짐과 함께, 외주(타단부)가 소켓(6d)의 내주에 끼워지는 접시 스프링(61)(제2 탄성 부재)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 부재(6)가 접시 스프링(60)(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받지 않고, 또한 솔레노이드(S)의 추력도 받지 않는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접시 스프링(61)이 밸브체 부재(6)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61)이며, 외주 환부(61a)와 설부(61b)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것 이외의 접시 스프링이어도 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 이외의 스프링(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 또는 고무여도 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구성은, 소켓(6d) 및 소직경부(8a)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상의 접시 스프링(61)은, 소켓(6d)의 단차(6i)와 샤프트(8)의 단차(8b)의 양쪽에 대해 이격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장착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밸브체 부재(6)와 샤프트(8) 중 한쪽에 제2 탄성 부재를 걸리게 하여, 밸브체 부재(6)와 샤프트(8) 중 한쪽과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변경은, 파일럿 통로(18) 이외의 유로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쇠 밸브(V)는, 일단부가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에 개구되고, 파일럿 통로(18)(유로)로부터 분기되는 페일 통로(19)와, 페일 통로(19)에 설치된 페일 밸브(V4)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S)에의 전류 공급이 끊어진 경우, 완충기(A)는 패시브한 완충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감쇠 밸브(V)에서는, 솔레노이드(S)에의 전류 공급이 끊어졌을 때, 접시 스프링(60)에 의해 밸브체 부재(6)가 개폐 밸브 시트(50b)측으로 되밀렸다고 해도, 개폐 밸브체(6c)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하는 일은 없고, 밸브체 부재(6)는, 접시 스프링(60)을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후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일 시의 미저속 영역에 있어서, 액체는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완충기(A)가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 차량의 제어에 따라서는, 차속이 낮을 때에 완충기(A)에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는 제어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라도 비통전 시에 있어서의 미저속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작게 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페일 밸브(V4)는, 적층 리프 밸브인 페일 밸브체(7)를 구비하고 있지만, 페일 밸브(V4)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쇠 밸브(V)는,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에 이격 착좌하여 파일럿 통로(18)(유로)를 개폐하는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이격 착좌하여 파일럿 통로(18)의 압력 제어 밸브체(6b)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보다 하류측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체(6c)를 갖는 밸브체 부재(6)와, 단차(5g)(스프링 슈)와 밸브체 부재(6)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압력 제어 밸브체(6b)를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부터 이격시킴과 함께, 개폐 밸브체(6c)를 개폐 밸브 시트(50b)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밸브체 부재(6)를 가압하는 접시 스프링(60)(탄성 부재)과,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력 제어 밸브체(6b)를 압력 제어 밸브 시트(5f)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밸브체 부재(6)를 구동 가능한 솔레노이드(S)를 구비한다. 그리고, 접시 스프링(60)이 자연 길이로 된 상태에 있어서, 개폐 밸브체(6c)와 개폐 밸브 시트(50b)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솔레노이드(S), 압력 제어 밸브체(6b) 및 접시 스프링(60)에 의해 압력 제어 밸브(V2)가 구성되고, 솔레노이드(S)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정함으로써 압력 제어 밸브(V2)의 초기 간극 및 밸브 개방압(개폐 정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체(6c)와 접시 스프링(60)에 의해 개폐 밸브(V3)가 구성되고, 파일럿 통로(18)에 있어서의 압력 제어 밸브(V2)의 하류측은 개폐 밸브(V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압력 제어 밸브(V2)의 밸브체인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개폐 밸브(V3)의 밸브체인 개폐 밸브체(6c)가 밸브체 부재(6)로서 일체화되어 있고, 압력 제어 밸브(V2)와 개폐 밸브(V3)는 접시 스프링(60)을 공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파일럿 통로(18)에 압력 제어 밸브(V2)와 개폐 밸브(V3)가 직렬로 설치되는 경우라도,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감쇠 밸브(V)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폐 밸브체(6c)가 개폐 밸브 시트(50b)에 착좌한 상태, 즉, 개폐 밸브(V3)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이 개폐 밸브체(6c)에 작용하지 않고, 개폐 밸브체(6c)는 접시 스프링(60)을 탄성 변형시키는 일 없이 후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품마다의 변동을 고려하고, 풀 소프트 제어 시에 있어서 압력 제어 밸브(V2)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접시 스프링(60)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하였다고 해도, 개폐 밸브(V3)의 폐쇄 밸브에는 접시 스프링(60)의 가압력이 관여하지 않으므로, 개폐 밸브체(6c)가 파일럿 통로(18)를 폐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감쇠 밸브(V)에 의하면, 압력 제어 밸브체(6b)와 개폐 밸브체(6c)를 갖는 밸브체 부재(6)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풀 소프트 제어 시에 파일럿 통로(18)가 압력 제어 밸브체(6b)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것과, 풀 소프트 제어 시에 파일럿 통로(18)가 개폐 밸브체(6c)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것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접시 스프링(60)의 스프링 상수를 낮추는 만큼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시 스프링(60)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60)이며, 외주 환부(60a)와 설부(60b)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파일럿 통로(18)를 차단하지 않는 형상이면, 이것 이외의 접시 스프링이어도 된다. 또한,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 이외의 스프링(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 또는 고무여도 된다. 또한, 접시 스프링(60)은, 밸브체 부재(6)의 단차(6f)와 제1 밸브 시트 부재(5)의 단차(5g)의 양쪽에 대해 이격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장착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밸브체 부재(6)와 스프링 슈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탄성 부재를 걸리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변경은, 탄성 부재의 빠짐 방지를 하기 위한 구성에 의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변경은, 파일럿 통로(18) 이외의 유로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또는 페일 밸브(V4)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감쇠 밸브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라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5년 9월 14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80349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6)

  1. 감쇠 밸브이며,
    압력 제어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압력 제어 밸브체와, 개폐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여 상기 유로의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보다 하류측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체를 갖는 밸브체 부재와,
    스프링 슈와 상기 밸브체 부재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를 상기 압력 제어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시킴과 함께, 상기 개폐 밸브체를 상기 개폐 밸브 시트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를 상기 압력 제어 밸브 시트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 부재를 구동 가능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자연 길이로 되어 상기 밸브체 부재에 탄성적인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 밸브체와 상기 개폐 밸브 시트 사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는, 감쇠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에만 의해 상기 개폐 밸브체를 상기 개폐 밸브 시트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감쇠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압력 제어 밸브 시트와 상기 개폐 밸브 시트 사이에 개구되고, 상기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페일 통로와,
    상기 페일 통로에 설치된 페일 밸브를 더 구비하는, 감쇠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선단에 소직경부가 형성된 샤프트를 갖고,
    상기 밸브체 부재는, 단부에 소켓을 갖고,
    상기 감쇠 밸브는,
    일단부가 상기 소직경부의 외주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소켓의 내주에 끼워지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감쇠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포트와,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주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포트의 상기 주 밸브보다 상류측의 압력을 상기 주 밸브의 배압으로서 유도하는 파일럿 통로이고,
    상기 배압은, 상기 압력 제어 밸브체의 개폐 정도에 따라서 변화되는, 감쇠 밸브.
  6. 제1항에 기재된 감쇠 밸브를 구비한 완충기이며,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2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감쇠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 밸브는,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 시에 한쪽의 상기 룸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에 의해 압출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완충기.
KR1020187008309A 2015-09-14 2016-09-08 감쇠 밸브 및 완충기 KR102011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0349A JP6588778B2 (ja) 2015-09-14 2015-09-14 減衰弁及び緩衝器
JPJP-P-2015-180349 2015-09-14
PCT/JP2016/076490 WO2017047499A1 (ja) 2015-09-14 2016-09-08 減衰弁及び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053A KR20180038053A (ko) 2018-04-13
KR102011232B1 true KR102011232B1 (ko) 2019-08-14

Family

ID=5828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309A KR102011232B1 (ko) 2015-09-14 2016-09-08 감쇠 밸브 및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8509B2 (ko)
EP (1) EP3351837A4 (ko)
JP (1) JP6588778B2 (ko)
KR (1) KR102011232B1 (ko)
CN (1) CN108027077B (ko)
WO (1) WO2017047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7756B2 (ja) * 2018-12-25 2023-02-03 日立Astemo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
JP7128759B2 (ja) * 2019-02-27 2022-08-31 Kyb株式会社 圧力制御弁
JP7132874B2 (ja) * 2019-02-27 2022-09-07 Kyb株式会社 圧力制御弁
DE102019105708B4 (de) 2019-03-06 2022-05-05 Kendrion (Villingen) Gmbh Druckregelventil und 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Druckregelventil zum Steuern oder Regeln eines Drucks eines Druckfluids in einem Pilotdruckraum
JP7261347B2 (ja) 2020-02-14 2023-04-19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US11927187B2 (en) * 2021-06-18 2024-03-12 Copeland Lp Compressor having a bushing assembly
US20230107524A1 (en) * 2021-10-01 2023-04-06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Solenoid assembly
CN115182951A (zh) * 2022-06-14 2022-10-14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阻尼控制电磁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16B1 (ko) * 2010-07-29 2014-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기기 모뎀을 위한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인코더 및 그것의 인코딩 방법
EP2492534A1 (en) * 2011-02-25 2012-08-29 Öhlins Racing Ab Valve device
JP5924979B2 (ja) * 2011-05-31 2016-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WO2013100076A1 (ja) * 2011-12-27 2013-07-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及び緩衝器の製造方法
DE102012201963C5 (de) * 2012-02-09 2022-04-21 Thyssenkrupp Ag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Dämpferventil, insbesondere für Stoßdämpfer von Fahrzeugen, mit einstellbarer Dämpfungskraft
JP5952760B2 (ja) * 2013-03-13 2016-07-13 Kyb株式会社 減衰弁
JP6108912B2 (ja) * 2013-03-29 2017-04-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101179B2 (ja) * 2013-09-17 2017-03-22 Kyb株式会社 減衰弁
JP6114667B2 (ja) * 2013-09-17 2017-04-12 Kyb株式会社 減衰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499A1 (ja) 2017-03-23
EP3351837A4 (en) 2019-06-12
CN108027077B (zh) 2020-02-07
JP2017057864A (ja) 2017-03-23
CN108027077A (zh) 2018-05-11
EP3351837A1 (en) 2018-07-25
US10458509B2 (en) 2019-10-29
JP6588778B2 (ja) 2019-10-09
KR20180038053A (ko) 2018-04-13
US20180259031A1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232B1 (ko) 감쇠 밸브 및 완충기
KR101769148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1779307B1 (ko) 감쇠 밸브
EP3225875B1 (en) Damping valve and shock absorber
JP5843842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0835488B1 (ko) 유압식 완충기
KR101326935B1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KR10175401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7438164B2 (en) Solenoid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servo valve for adjusting damping in shock absorbers and struts
KR101673106B1 (ko) 감쇠 밸브
KR101756569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5308352B (zh) 阀装置
US11614140B2 (en) Damping valve and shock absorber
CN105531498B (zh) 阻尼阀
JP2014173714A (ja) 減衰弁
KR101672155B1 (ko) 감쇠 밸브
US20190107169A1 (en) Damping valve and shock absorber provided with damping valve
KR20200128099A (ko) 완충기
CN102979846B (zh) 衰减力调节式缓冲器
WO2022070642A1 (ja) 減衰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7128759B2 (ja) 圧力制御弁
US20190128360A1 (en) Damping force-adjusting valve and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