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25B1 -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25B1
KR102011225B1 KR1020180138372A KR20180138372A KR102011225B1 KR 102011225 B1 KR102011225 B1 KR 102011225B1 KR 1020180138372 A KR1020180138372 A KR 1020180138372A KR 20180138372 A KR20180138372 A KR 20180138372A KR 102011225 B1 KR102011225 B1 KR 10201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rone
security
security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현
Original Assignee
장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현 filed Critical 장승현
Priority to KR102018013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B64C2201/042
    • B64C2201/066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시설물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객체 인식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보안 관리 시스템은 CCTV 카메라 또는 드론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거나, CCTV 카메라와 드론이 연동해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를 검지, 추출 및 인식한다. 보안 관리 서버는 인식된 객체가 보안 시설물의 출입을 인허받은 사람이나 차량이 아닌 경우,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판별하여 외부로 알림 정보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 얼굴 영상을 추출 및 인식하여,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를 처리함으로써, 보안 시설물의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을 단속할 수 있으며, 드론을 이용하여 대규모의 보안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동일한 시간 대비 효율적인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와 감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만, 공항, 연구소, 발전소, 가스 및 유류 저장소, 군 시설, 국가 보안 시설 등의 보안 시설물을 출입하는 사람과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드론을 객체가 검지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의 객체의 얼굴 또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보안 시설물에 출입 인허된 사람이나 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이벤트 발생 시,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하도록 조치하여 실시간으로 보안 시설물에 대한 보안을 관리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건물이나 시설물 예를 들어, 항만, 공항, 연구소, 발전소, 가스 및 유류 저장소, 군 시설, 국가 보안 시설 등의 중요 보안 시설물에는 출입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허용된 출입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 통제하거나, 보안 시설물의 상태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파악할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안 시설물에는 출입구나 보안이 취약한 장소에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감시 및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보안 시설물의 보안 상태를 관리한다.
최근 보안 시설물의 안전 유지를 위하여 감시 카메라와 각종 장비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를 적용하는 보안 시스템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감시를 하기 위해 핵심적 기술로서, 영상 획득, 화상 분석 및 카메라 제어 기술 등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고성능 카메라와 영상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많은 연구 및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전세계의 글로벌화, 생산 기지의 다국화, 급격한 경제 성장, 중국 신흥 시장 등의 영향으로 전세계의 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해상을 통한 물동량은 전체 물동량의 97 %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상을 통해 이동되는 화물은 선박에 선적되기 전 또는 선박에서 하역되어 내륙으로 운송되기 전에 항만의 야적장에 임시 보관되어 관리되고 있다. 그런데, 항만 시설은 길이만 수 킬로미터에 달할 정도로 광대한 영역이어서 감시를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CCTV 카메라의 설치 만으로는 광대한 정보량에 대해 관리 감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항만에는 다양한 용도의 시설들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 많은 사람과 차량들이 출입하게 된다. 항만의 주요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들을 적절히 통제할 필요가 있다. 항만은 보안 구역이자 보세 구역으로, 각종 국내외 법규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인의 통제와 차단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에는 경비원이나 보안 요원들이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에 탑승한 사람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사람이나 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인허된 사람이나 차량의 경우에만 출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항만 내부에 대해서는 CCTV와 경비원이나 보안 요원의 순찰 활동에 의지하여 모든 보안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실은 CCTV를 보면서도 놓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고, 항만의 광범위한 범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건, 사고를 확인하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각종 밀입국과 밀수 등의 사건 사고가 발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기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항만 시설에 야적된 컨테이너 화물을 포함한 각종 감시 대상물에 대해 의도적 침입, 훼손, 도난 등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보안 체계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항만 내외로 입출되는 컨테이너 화물, 사람, 차량 등에 대한 이동 현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워 보안 및 감시를 원할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59024호(공고일 2014년 12월 0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48508호(공고일 2011년 07월 11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53903호(공고일 2018년 05월 02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714호(공개일 2017년 10월 12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를 위하여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보안 시설물에 출입하는 사람과 차량을 인식하고, 이상 징후 발견 시,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와 드론을 연동시켜서 객체 인식 기술을 통해 보안 시설물의 출입을 인허받은 객체를 판별하고, 이벤트 발생 시 현장을 감시하여 인허받지 않은 객체나 범범 행위 발생을 예방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론을 활용한 영상 촬영과 실시간 위치 전송을 기반으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개인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보안 시설물의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 특히, 범법 행위자를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와 적어도 드론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여 보안 시설물의 보안을 관리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영상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면, 보안 요원 등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을 통제하거나, 보안 시설물에서의 사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보안 시설물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 장소에 대한 제1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제1 영상에서 객체를 검지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CCTV 카메라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객체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보안 시설물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여 보안 시설물을 정찰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보안 시설물에 출입 인허된 객체들에 대한 객체 정보를 기등록하고,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객체가 포함된 제1 스틸 컷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틸 컷 영상을 전송한 상기 CCTV 카메라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CCTV 카메라들을 통해 상기 드론으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판별된 위치로 상기 드론이 이동되도록 원격 제어하고, 이동된 상기 드론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제2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한 제2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CCTV 카메라들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에서 객체를 분류, 인식 및 추출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가 발생된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알림 정보를 발생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CCTV 카메라들 중 현재 위치의 상기 드론과 통신 가능한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을 이동된 상기 드론과 통신 가능한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를 통해 전송받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재충전 가능하고 상기 드론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시설물에 적어도 하나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이 구비되고, 상기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에는 상기 전력 수신 모듈과 작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기를 유도하는 전력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무선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위성 항법 시스템(GPS)으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을 전송할 때, 상기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되,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현장으로 출동 및 조치하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복수 개의 CCTV 카메라를 연동시켜서 보안 시설물에 출입하는 차량이나 사람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 얼굴 영상을 추출 및 인식하여,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를 처리함으로써, 보안 시설물의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을 단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드론을 활용한 영상 촬영과 실시간 위치 전송을 기반으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개인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 예를 들어, 항만에서의 밀입국자, 밀수 등의 범법 행위자를 검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드론을 이용하여 대규모 면적을 갖는 보안 시설물들 예컨대, 항만 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동일한 시간 대비 효율적인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와 감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CTV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안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CTV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안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보안 시설물들 예를 들어, 항만, 공항, 연구소, 발전소, 가스 및 유류 저장소, 군 시설, 국가 보안 시설 등의 보안 시설물의 보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특히 대규모의 항만 시설이나 공항 시설 등의 보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객체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도 2의 306)가 탑재된 드론(300)을 운영하여 실시간, 주기적 또는 필요에 따라 보안 시설물을 정찰하여 영상을 획득하거나, 보안 시설물의 내부 영역 또는 외부 울타리 등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와 드론(300)을 연동시켜서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검지, 인식 및 추출하여 이를 통해 보안 시설물의 보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카메라(200) 및/또는 드론(300)을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보안 시설물에 출입하는 사람, 차량을 감시하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관리자 예를 들어, 경비원, 보안 요원 등이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거나 신속하게 조치하도록 하여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를 처리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예를 들어, 보안 시설물의 출입 허가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이 검지된 경우, 허가 받지 않은 장소에 불법 주정차한 차량이 검지된 경우, 특정 장소에 객체가 반복적으로 검지되는 경우, 현재 획득된 영상과 이전 영상과 비교한 결과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 적어도 하나의 드론(300) 및 보안 관리 서버(100)를 포함한다. 보안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CCTV 카메라(200)들, 드론(300), 관리자 단말기(400) 및 보안 관리 서버(100)들은 통신망(4)을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망(4)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전용 네트워크 등으로 구비되고, 이들 각각의 단일 통신망 또는 혼합된 복합 통신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망(4)은 CCTV 카메라(200), 드론(300), 관리자 단말기(400) 및 보안 관리 서버(100)들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CCTV 카메라(200)들과 보안 관리 서버(100)들 간에는 전용 네트워크 예컨대, 유선 통신망, 전용 통신망 등을 통해 연결되고, 드론(300)과 CCTV 카메라(200)들, 관리자 단말기(400)와 보안 관리 서버(100)들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또 관리자 단말기(400)와 보안 관리 서버(1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CCTV 카메라(200)는 지능형 감시 카메라로 예컨대, 고정형 카메라, 회전형 카메라 등으로 구비되어, 복수 개가 설치 장소의 일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보안 시설물의 서로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보안 시설물의 내부 및 외부 울타리 등에 설치되고, 보안 관리 서버(100)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 IP 등)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보안 시설물에서 각각의 설치 장소나 위치가 판별된다.
CCTV 카메라(200)는 설치 장소들 각각을 촬영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한다. CCTV 카메라(200)는 예컨대, 4K 고화질의 CCTV 카메라로 구비되어, 기존의 방범, 감시 또는 보안 시스템에 적용되는 저해상도의 CCTV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예를 들어, 약 2M 픽셀의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예를 들어, 12 M 픽셀의 영상)을 획득한다.
CCTV 카메라(200)는 내부에 구비되는 엔코더, 압축 코덱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을 서로 다른 압축률로 압축시켜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저해상도 영상은 예컨대, H.264 압축 코덱 기준으로 2 M 픽셀의 영상으로 제공되고, 고해상도 영상은 예컨대, 12 M 픽셀의 영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CCTV 카메라(200)는 유저(user)의 용도별에 따라 서로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CCTV 카메라(200)는 평상 시에는 통신망(4)을 통해 저해상도 영상을 보안 관리 서버(100)로 제공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 예를 들어, 사람, 차량 등이 검지되면, 고해상도 영상을 보안 관리 서버(100)로 제공한다.
또 CCTV 카메라(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드론(300)과 연결된다. CCTV 카메라(200)는 드론(300)으로부터 획득되거나 추출되는 영상과 드론(30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서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보안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때, CCTV 카메라(200)는 드론(300)과 보안 관리 서버(1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기로서 작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CCTV 카메라(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2), 제어부(204), 카메라(206), 객체 검지부(208) 및 저장부(210)를 포함한다.
통신부(202)는 예컨대, 유무선 통신 모듈, 통신 중계 모듈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드론(300)과 보안 관리 서버(100)들 각각과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즉, 통신부(202)는 통신망(4)을 통하여 보안 관리 서버(100)로 획득된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과,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객체가 포함된 스틸 컷(Still Cut) 영상 및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또 통신부(202)는 통신망(4)을 통하여 보안 관리 서버(1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서 드론(300)으로 중계하고, 드론(30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객체가 포함된 스틸 컷 영상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서 보안 관리 서버(100)로 중계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 신호는 보안 관리 서버(100)가 드론(3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가 발생된 장소로 드론(300)을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이다.
카메라(206)는 예컨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 모듈로 구비되어, 설치 장소에 대한 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객체 검지부(208)는 카메라(206)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의 유무를 검지한다. 객체 검지부(208)는 검지된 객체가 포함된 영상 즉,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한다.
저장부(210)는 식별 정보와, 카메라(206)로부터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과, 객체 검지부(208)로부터 추출된 스틸 컷 영상 및 제어부(204)에 의해 압축된 저해상도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04)는 CCTV 카메라(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4)는 통신부(202), 카메라(206), 객체 검지부(208) 및 저장부(210)들 각각이 해당 기능을 상호 연동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부(204)는 내부에 엔코더, 압축 코덱 등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206)로부터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을 서로 다른 압축률로 압축시켜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21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드론(300)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미도시됨)를 구비하고, 프로그래밍에 의해 보안 시설물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무인 비행체로서, 객체를 인식 가능한 카메라(306)가 구비된다. 물론 드론(300)은 주행 경로를 보안 관리 서버(100),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 RC)(미도시됨) 등에 의해 원격 조종될 수도 있다.
드론(300)은 자율 주행 중 카메라(306)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 즉, 사람이나 차량이 검지되면, 검지된 객체에 인접하게 이동하여 객체에 대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차량 번호판에 대한 영상 즉,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한다. 드론(300)은 추출된 영상을 통신망(4)을 통해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이 때, 드론(30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함께 해당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또 드론(300)은 CCTV 카메라(200)를 통해 보안 관리 서버(1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응답해서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객체에 대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차량 번호판에 대한 영상 즉,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한다. 즉, 드론(300)은 자율 주행 중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2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서 보안 관리 서버(100)로부터 원격 제어된 위치로 이동하고, 해당 위치에서 카메라(306)을 통해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얼굴, 차량 번호판을 인식 및 추출한 스틸 컷 영상을 해당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식별 정보를 갖는 하나의 CCTV 카메라(200)가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를 검지하여 보안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면, 보안 관리 서버(100)는 객체를 인식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되면, 보안 관리 서버(100)는 해당 CCTV 카메라(20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해당 CCTV 카메라(200)는 자신과 통신 가능한 위치의 드론(300)으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위치로 드론(300)을 이동 주행하도록 한다. 이에 드론(300)은 해당 위치의 객체에 접근하여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 및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과 자신의 위치 정보를 해당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해당 CCTV 카메라(200)로부터 드론(300)에서 추출된 객체의 영상과 드론(200)의 위치 정보 및 해당 CCTV 카메라(200)의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객체와 위치를 판별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관리자 단말기(400)로 알려준다.
이 실시예에서 드론(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302), 제어부(304), 카메라(306), 구동부(308), GPS 모듈(310), 배터리(312), 배터리 충전부(314) 및 전력 수신 모듈(316)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302)는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으로 구비되어, 통신망(4) 즉, 무선 통신망을 통해 CCTV 카메라(200)들과 연결된다. 이 때, 드론(300)은 자율 주행 중에 CCTV 카메라(200)들 중 자신과 통신 가능한 CCTV 카메라(200)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200)와 연결된다. 무선 통신부(302)는 카메라(306)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된 영상 즉,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하여 CCTV 카메라(200)로 GPS 모듈(310)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302)는 CCTV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되는 보안 관리 서버(10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다.
카메라(306)는 예컨대, 객체 인식이 가능한 고해상도 카메라로 구비되어,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식별 가능한 영상 즉,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한다.
구동부(308)는 제어부(304)의 제어를 받아서 드론(300)의 자율 주행 또는 원격 제어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을 구동시킨다.
GPS 모듈(310)은 위성 항법 시스템(GPS)으로부터 드론(3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배터리(312)는 재충전 가능한 2 차 전지로 구비되고, 드론(3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312)는 무선 충전된다. 이를 위해 보안 시설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이 구비된다.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에는 무선 충전 패드(500)와, 무선 충전 패드(5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510)이 구비된다. 무선 충전 패드(500)는 드론(300)의 전력 수신 모듈(316)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전력 송신 모듈(502)이 구비된다.
전력 수신 모듈(316)은 드론(300)이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에 구비된 무선 충전 패드(500)에 안착되면, 무선 충전 패드(500)의 전력 송신 모듈(502)과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유도한다. 유도된 전력은 배터리 충전부(314)를 통해 배터리(312)를 충전한다.
배터리 충전부(314)는 전력 수신 모듈(316)에서 유도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12)를 충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4)는 드론(3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무선 통신부(302), 카메라(306), 구동부(308), GPS 모듈(310), 배터리(312), 배터리 충전부(314) 및 전력 수신 모듈(316)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드론(300)은 실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시간에 자율 주행으로 보안 시설물을 정찰하여 촬영하고 이전의 영상 및 보안 관리 서버(100)에 기등록된 객체에 대한 영상과 비교하여 보안 시설물들에 이상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또 드론(300)은 보안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 울타리 등에 기설치되어 있는 CCTV 카메라(200)에서 객체가 인식되면, 인식된 객체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객체의 동선을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이 때 인식된 객체 즉, 사람이나 차량이 반복적으로 특정 구역을 배회할 경우, 차량이 불필요한 장소에 주정차한 경우,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제 센터나 상황실에 경보를 발생시켜서 해당 장소에 위치하는 CCTV 카메라(200)들로 하여금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도록 하여 예의 주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드론(300)은 이벤트 발생 시, 인가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 발견 시, 밀입국자, 범법자 등의 출현과 같은 갑작스런 돌발 상황시, 원격 제어에 의한 주행으로 현장에 출동하여 밀입국자나 범법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검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론(300)과 CCTV 카메라(200)가 연동해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 자료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예를 들어, 보안 시설물의 관리자, 경비원, 보안 요원 등이 구비하는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고, 보안 관리 서버(100)로부터 통신망(4)을 통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알림 정보에는 이벤트 발생 내용, 위치,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100)에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관리자, 경비원, 보안 요원 등이 알림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장소로 출동하여 발생된 이벤트를 신속하게 조치하거나, 이벤트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 관리 서버(100)는 CCTV 카메라(200), 드론(300) 그리고 CCTV 카메라(200)와 드론(300)을 연동시켜서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리를 모니터링 및 처리한다. 즉, 보안 관리 서버(100)는 CCTV 카메라(200)들, 드론(300)으로부터 획득된 각각의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거나, CCTV 카메라(200)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드론(300)을 검지된 객체에 접근하도록 이동시켜서 객체를 인식하여 획득된 영상(즉, 스틸 컷 영상)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여 보안 시설물에 대한 보안 관리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보안 관리 서버(100)는 보안 시설물에 출입 허가된 객체들 즉, 사람, 차량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기등록하여 저장, 관리한다. 보안 관리 서버(100)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를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를 기등록된 객체의 정보와 비교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한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이 검지되는 경우, 차량이 허가받지 않은 장소에 불법 주정차한 경우, 이전 영상과 비교한 결과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보안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시간에 보안 시설물을 자율 주행하는 드론(300)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를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를 기등록된 객체의 정보와 비교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한다. 이 때, 보안 관리 서버(100)는 드론(300)과 통신 가능한 위치의 CCTV 카메라(200)를 통해 드론(300)에서 획득한 영상과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다.
또 보안 관리 서버(100)는 CCTV 카메라(200)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드론(300)을 검지된 객체에 접근하도록 이동시켜서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한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를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를 기등록된 객체의 정보와 비교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한다.
이러한 보안 관리 서버(100)는 CCTV 카메라(200)와 드론(300)에서 획득된 영상과 함께 CCTV 카메라(200)의 식별 정보, 드론(30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벤트 발생 여부와 이벤트 발생 위치를 판별한다.
이 실시예의 보안 관리 서버(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20), 객체 분류부(130), 객체 정보 입력부(180), 이벤트 스토리지(14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 보안 관리 서버(100)는 영상 녹화부(150), 영상 저장부(160) 및 영상 표시부(17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예컨대, 유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인터페이스 모듈 등을 포함하여 통신망(4)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와 관리자 단말기(4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통신부(120)는 평소에 CCTV 카메라(200)들 각각으로부터 저해상도 영상을 전송받고, 객체 검지부(208)에 의해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고해상도 영상을 전송받는다. 이 때, 통신부는 CCTV 카메라(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받는다. 통신부(120)는 드론(3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또 통신부(120)는 CCTV 카메라(200)를 경유하여 드론(300)으로부터 영상이 전송되는 경우, 드론(30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받는다.
객체 분류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CCTV 카메라(200)로부터 고해상도의 스틸 컷 영상을 전송받아서 스틸 컷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를 형상, 크기 등의 특징을 이용하여 객체 종류를 판별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한다. 여기서 검지된 객체는 사람의 얼굴, 차량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객체 분류부(130)는 분류된 객체들 각각에 대한 객체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이동 또는 움직임 가능한 대상물들로, 예컨대 사람, 차량, 이륜차 등 객체의 종류별로 분류된다. 객체 속성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객체의 종류, 크기, 색상, 속도, 위치, 이동 방향 및 움직임 경로 등에 대한 정보와,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객체에 대한 영상 획득 시각, 영상 내의 객체 위치(좌표), 객체가 포함된 영상 구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객체 속성 정보에는 객체가 사람인 경우, 사람에 대한 식별 정보(남, 여, 노, 소 등)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이나 이륜차인 경우에는 차량 번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객체 분류부(130)는 분류된 객체에 대한 영상을 해당 CCTV 카메라(200)로부터 고해상도의 영상을 요청하고, 해당 CCTV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된 고해상도 영상과 객체가 포함된 스틸 컷 영상을 이벤트 스토리지(140)로 제공한다.
이벤트 스토리지(140)는 객체 분류부(130)에서 분류되고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에 대한 객체 속성 정보와, 이벤트가 발생된 고해상도 영상 및 스틸 컷 영상을 받아서 카테고리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객체 속성 정보에는 영상 및 얼굴 영상을 획득한 시간과 위치(장소), CCTV 카메라(200)의 식별 정보, 파일명, 해상도, 크기, 읽기와 수정 등의 권한, 태그, 객체의 유무, 객체의 위치(화면 좌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벤트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영상들은 객체 속성 정보를 통해 제어부(110)가 검색, 추출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이벤트 스토리지(14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객체 정보 입력부(180)는 보안 시설물의 출입 허가를 받은 사람이나 차량에 대한 객체 정보를 입력한다. 객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사람의 경우, 이름, 나이, 성별, 사진, 담당 업무, 출입 목적 등이 포함되고, 차량의 경우, 차종, 차량 번호, 차량 번호판 이미지, 출입 목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녹화부(150)는 예컨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VR)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부(120)를 통해 복수 개의 채널별로 CCTV 카메라(200)들과 연결된다. 영상 녹화부(150)는 드론(300), CCTV 카메라(200들 각각에서 획득된 저해상도 영상을 전달받아서 녹화한다.
영상 저장부(160)는 적어도 영상 녹화부(150)에서 녹화된 저해상도 영상을 저장한다.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된 저해상도 영상은 제어부(110)에 의해 영상 관리된다.
영상 표시부(170)는 예를 들어, 모니터, 멀티 비젼, 멀티 스크린 등의 영상 표시 장치로 구비되고,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서 영상 녹화부(150)와 이벤트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보안 관리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객체 분류부(130), 객체 정보 입력부(180), 이벤트 스토리지(140), 영상 녹화부(150), 영상 저장부(160) 및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드론(300) 및/또는 CCTV 카메라(2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를 인식 및 추출하고, 기등록된 객체 정보와 비교하여 보안 시설물의 출입 인허된 객체인지를 판별하고, 이를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의 제어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영상 등록부(111), 차량 정보 등록부(112), 객체 인식부(113), 이벤트 판별부(114), 드론 처리부(115), 정보 관리부(116) 및 영상 관리부(117)를 포함한다.
얼굴 영상 등록부(111)는 객체 정보 입력부(180)로부터 입력된 사람 즉, 출입 인허된 사람에 대한 객체 정보 중 얼굴 영상을 등록, 관리한다. 얼굴 영상 등록부(111)는 얼굴 영상을 사람에 대한 객체 정보에 매칭시켜서 저장, 관리한다.
차량 정보 등록부(112)는 객체 정보 입력부(180)로부터 입력되고 출입 인허된 차량에 대한 객체 정보 중 차량 번호를 등록, 관리한다. 차량 정보 등록부(112)는 차량 번호를 차량에 대한 객체 정보에 매칭시켜서 저장, 관리한다.
객체 인식부(113)는 객체 분류부(130)에 의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객체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
이벤트 판별부(114)는 객체 인식부(113)에 의해 인식된 얼굴, 차량 번호를 얼굴 영상 등록부(111), 차량 정보 등록부(112)에 기등록된 것과 비교하여, 출입 인허된 사람, 차량인지를 판별한다. 또 이벤트 판별부(114)는 영상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불법 주정차, 불필요한 객체 이동 등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드론 처리부(115)는 CCTV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드론(300)을 객체가 검지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로 제공한다. 이 때, 드론 처리부(115)는 드론(300)의 위치 정보, CCTV 카메라(200)의 식별 번호 등을 이용하여 드론(300)이 이동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116)는 이벤트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객체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영상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 저장 및 관리한다. 정보 관리부(116)는 관리자 단말기(400)가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는 경우, 메타데이터를 통해 해당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에는 CCTV 카메라(200)의 위치, 객체의 종류, 객체의 위치,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움직임 경로 등에 대한 정보와, 이벤트 발생 시간, 이벤트 내용, 객체에 대한 영상 획득 시각, 영상 내의 객체 위치(좌표), 객체가 포함된 영상 구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관리부(117)는 영상 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 VMS)으로 구비되어, 영상 녹화부(150), 영상 저장부(160), 이벤트 스토리지(140) 및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하여 영상을 녹화, 저장, 출력 및 관리하도록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CCTV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보안 시설물의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해당 위치로 카메라(306)가 구비된 드론(300)을 이동시켜서 객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관리자 단말기(400)로 알려줘서 신속한 현장 출동 및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또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객체 인식 가능한 카메라(306)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300)을 자율 주행시키고, 주행 중 보안 시설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객체를 검지하고, 이를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CCTV 카메라(200)와 드론(300)을 연동시켜서 보안 시설물의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해당 위치로 카메라(306)가 구비된 드론(300)을 이동시켜서 객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CCTV 카메라(200)와 드론(300)이 연동 처리되는 경우에 의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안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60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에 출입 허가받은 사람, 차량에 대한 객체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한다. 이 때, 객체 정보에는 적어도 사람의 얼굴 영상, 차량의 차량 번호가 포함된다.
단계 S610에서 CCTV 카메라(200)는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단계 S620에서 획득된 영상에 객체가 검지되는지를 판별한다. 이 때, CCTV 카메라(200)는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여 내부에 구비된 객체 검지부(208)에 의해 객체 유무를 검지한다. CCTV 카메라(200)는 객체가 검지되면, 고해상도 영상에서 객체가 포함된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하여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보안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그러나 CCTV 카메라(200)는 객체가 검지되지 않으면, 고해상도 영상을 저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여 보안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단계 S63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객체 분류부(130)를 통해 CCTV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된 고해상도의 스틸 컷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형상, 크기 등의 특징을 이용하여 객체의 종류를 판별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들 각각에 대한 객체 속성 정보를 생성, 저장한다. 여기서 추출된 객체는 사람의 얼굴, 차량 번호 등이 포함된다.
단계 S64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CCTV 카메라(200)의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CCTV 카메라(200)의 위치 즉, 설치 장소를 판별한다.
단계 S65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판별된 위치로 드론(300)을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를 해당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이에 CCTV 카메라(200)는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서 드론(300)으로 중계한다. 이 때, 드론(300)은 CCTV 카메라(200)와 통신 가능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드론(300)은 원격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CCTV 카메라(200)에 의해 검지된 객체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단계 S660에서 드론(300)은 객체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306)를 통해 객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GPS 모듈(310)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영상과 위치 정보를 해당 CCTV 카메라(200)로 전송한다. 이에 해당 CCTV 카메라(200)는 드론(300)에서 전송된 영상과 위치 정보를 보안 관리 서버(10)로 중계한다. 이 때, CCTV 카메라(20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단계 S67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CCTV 카메라(200)로부터 중계된 영상에서 객체를 분류, 인식 및 추출하고, 기등록된 객체 정보와 비교한다. 여기서 추출된 객체는 사람의 얼굴, 차량 번호판 등이 포함된다. 즉, 보안 관리 서버(100)는 드론(300)에서 인식된 사람의 얼굴이나 차량 번호를 기설정된 객체 정보의 얼굴 영상, 차량 번호와 비교한다.
단계 S68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추출된 객체와 기등록된 객체 정보와 비교 결과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보안 관리 서버(100)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단계 S690으로 진행하여 보안 시설물의 보안 관제 센터, 상황실 등에 알람을 발생하거나, 관리자 단말기(400)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현장 출동 및 조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해당 객체가 보안 시설물의 출입을 인허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인 경우, 불법 주정차한 차량인 경우, 이동 중인 객체가 불필요하게 배회하는 사람이나 차량인 경우 등이 포함된다. 이어서 단계 S700에서 보안 관리 서버(10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고해상도 영상과 객체 속성 정보 등을 이벤트 스토리지(140)에 저장한다.
그러나 보안 관리 서버(100)는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이 수순은 단계 S61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S610 ~ S680)들을 반복 처리한다. 여기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해당 객체가 보안 시설물의 출입을 인허받은 사람이나 차량인 경우, 정당한 주정차인 차량의 경우, 이동 중인 객체가 정상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 보안 관리 시스템 4 : 통신망
100 : 보안 관리 서버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객체 분류부
140 : 이벤트 스토리지 150 : 영상 녹화부
160 : 영상 저장부 170 : 영상 표시부
180 : 객체 정보 입력부 200 : 카메라
208 : 객체 검지부 300 : 드론
306 : 카메라 316 : 전력 수신 모듈
400 : 관리자 단말기 500 : 무선 충전 패드
502 : 전력 송신 모듈

Claims (4)

  1.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보안 시설물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 장소에 대한 제1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제1 영상에서 객체를 검지하여 객체가 검지되면, 객체가 포함된 제1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CCTV 카메라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객체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보안 시설물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여 보안 시설물을 정찰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제2 영상에서 객체가 포함된 제2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보안 시설물에 출입 인허된 객체들에 대한 객체 정보를 기등록하고,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스틸 컷 영상와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틸 컷 영상을 전송한 상기 CCTV 카메라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CCTV 카메라들을 통해 상기 드론으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판별된 위치로 상기 드론이 이동되도록 원격 제어하고, 이동된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과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CCTV 카메라들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에서 객체를 분류, 인식 및 추출하여 기등록된 상기 객체 정보와 비교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현장으로 출동하여 이벤트 상황을 확인 및 조치하도록 보안 시설물의 관리자가 구비한 관리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은,
    재충전 가능하고 상기 드론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 수신 모듈; 및
    위성 항법 시스템(GPS)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시설물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에 상기 드론이 안착되면, 상기 전력 수신 모듈과 작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유도하는 전력 송신 모듈이 구비되는 무선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CCTV 카메라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들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여 평소에 상기 CCTV 카메라들 각각으로부터 저해상도의 상기 제1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제1 영상에서 객체가 검지되면 고해상도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고, 동시에 상기 CCTV 카메라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받으며,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CCTV 카메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고해상도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특징을 이용하여 객체의 종류를 판별하여 카테고리별로 객체를 분류하는 객체 분류부;
    보안 시설물의 출입 허가를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입력하는 객체 정보 입력부;
    상기 객체 분류부에서 분류되고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에 대한 객체 속성 정보와, 이벤트가 발생된 고해상도의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을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이벤트 스토리지; 및
    상기 보안 관리 서버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상기 통신부, 상기 객체 분류부, 상기 객체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이벤트 스토리지를 제어하여, 상기 CCTV 카메라 및 상기 드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를 인식 및 추출하고, 기등록된 객체 정보와 비교하여 보안 시설물의 출입 인허된 객체인지를 판별하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하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CCTV 카메라들 중 현재 위치의 상기 드론과 통신 가능한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스틸 컷 영상을 이동된 상기 드론과 통신 가능한 가장 인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를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8372A 2018-11-12 2018-11-12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72A KR102011225B1 (ko) 2018-11-12 2018-11-12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72A KR102011225B1 (ko) 2018-11-12 2018-11-12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225B1 true KR102011225B1 (ko) 2019-08-16

Family

ID=6780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72A KR102011225B1 (ko) 2018-11-12 2018-11-12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22A (ko) 2022-02-10 2023-08-17 정진우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08B1 (ko) 2011-04-11 2011-07-11 (주)에디넷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항만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9024B1 (ko) 2013-04-09 2014-12-04 퍼스텍주식회사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KR20150060626A (ko) * 2015-04-24 2015-06-03 롯데건설 주식회사 능동형 무인 경비 시스템
KR20170006210A (ko) * 2015-07-07 2017-01-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방법
KR101708037B1 (ko) * 2015-11-16 2017-02-27 주식회사 앤다스 드론 연결형 cctv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상 촬영 방법
KR20170112714A (ko) 2016-04-01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행 촬영 유닛을 통한 분산된 구역 자동 감시 시스템
KR101795502B1 (ko) * 2016-11-22 2017-1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와 연동되는 스마트 펜스
KR20180040439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에스에이티 고성능 광역 감시 시스템
KR101853903B1 (ko) 2017-08-07 2018-05-02 김은주 Cctv, 드론 및 광펜스를 포함한 침입 감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08B1 (ko) 2011-04-11 2011-07-11 (주)에디넷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항만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9024B1 (ko) 2013-04-09 2014-12-04 퍼스텍주식회사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KR20150060626A (ko) * 2015-04-24 2015-06-03 롯데건설 주식회사 능동형 무인 경비 시스템
KR20170006210A (ko) * 2015-07-07 2017-01-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방법
KR101708037B1 (ko) * 2015-11-16 2017-02-27 주식회사 앤다스 드론 연결형 cctv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상 촬영 방법
KR20170112714A (ko) 2016-04-01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행 촬영 유닛을 통한 분산된 구역 자동 감시 시스템
KR20180040439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에스에이티 고성능 광역 감시 시스템
KR101795502B1 (ko) * 2016-11-22 2017-1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와 연동되는 스마트 펜스
KR101853903B1 (ko) 2017-08-07 2018-05-02 김은주 Cctv, 드론 및 광펜스를 포함한 침입 감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22A (ko) 2022-02-10 2023-08-17 정진우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4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te monitoring during departure or arrival of an autonomous vehicle
KR101949525B1 (ko)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EP28153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KR101895811B1 (ko) 고성능 광역 감시 시스템
KR102192797B1 (ko) 비상 경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
KR102039277B1 (ko) 보행자 얼굴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Trivedi et al. Distributed interactive video arrays for event capture and enhanced situational awareness
US20210201269A1 (en) Methods and System for Employee Monitoring and Business Rule and Quorum Compliance Monitoring
KR101981900B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9024B1 (ko)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KR101036947B1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KR102039279B1 (ko) 영상 인식을 이용한 경찰 업무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0626A (ko) 능동형 무인 경비 시스템
JP2007128390A (ja) 監視システム
KR101462855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011226B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9410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877141A (zh) 安全区域监控系统及方法
CN212112606U (zh) 一种新型的船载安全管控系统
CN111753780B (zh) 变电站违章检测系统及违章检测方法
KR20220058297A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KR101326707B1 (ko) 방범 및 차량번호인식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
JP5106225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
KR102011225B1 (ko)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