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22A -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22A
KR20230120922A KR1020220017776A KR20220017776A KR20230120922A KR 20230120922 A KR20230120922 A KR 20230120922A KR 1020220017776 A KR1020220017776 A KR 1020220017776A KR 20220017776 A KR20220017776 A KR 20220017776A KR 20230120922 A KR20230120922 A KR 2023012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control computer
surveillance
intrud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고윤우
김세훈
진성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고윤우
김세훈
진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고윤우, 김세훈, 진성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22001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922A/ko
Publication of KR2023012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Terrestrial scenes taken from planes or by dr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7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 G08B13/1965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the vehicle being a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구비되어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촬영부;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건물 내부로 침입한 침입자의 유무를 식별하여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관제컴퓨터; 및 상기 관제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드론 이동 명령에 따라 침입자를 촬영한 촬영부에 해당되는 감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드론(drone)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SYSTEM FOR INDOOR SECURITY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UAV(무인항공기) 상업적 상용화 선언과 더불어 국토교통부는 2026년 드론 시장 규모를 90조원으로 성장할 것을 전망한다.
이러한 드론시장의 성장은 드론 제어 기술, 스트리밍 영상 처리 기술 등 여러 가지 드론의 핵심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실내 방범 시스템과 관련하여 삼성동 코엑스나 고양시 킨텍스 같이 규모가 큰 실내에서 운영시간이 아닌 시간에 입구 CCTV를 감시하던 관리자가 외부의 무단 출입자를 발견했을 때 출동하여 수색 후 무단 출입자를 색출해내는 기존의 비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에서 무인 방범 시스템으로 전환이 되어 이전보다 고도화된 보안 서비스를 실현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자동 목표물 추적 인공지능 시스템을 탑재한 드론과 서비스 구현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10-2011225 (공고일 : 2019년08월16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은 건물 보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은 촬영부, 드론, 관제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물 내부에 구비되어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촬영부;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건물 내부로 침입한 침입자의 유무를 식별하여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관제컴퓨터; 및 상기 관제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드론 이동 명령에 따라 침입자를 촬영한 촬영부에 해당되는 감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드론(drone)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부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감시 섹터로 이루어진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관제컴퓨터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촬영부로부터 감시 영상과 더불어 상기 감시 섹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감시 섹터별로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침입자가 있는 감시 섹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 이동 명령을 상기 드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건물 내부의 맵 데이터(map data)가 상기 드론이 아닌 상기 관제컴퓨터에 저장되고, 상기 드론은 건물 내부에 구비된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하여 상기 관제컴퓨터와 통신하고, 상기 감시 위치에 도달한 드론이 침입자에 대한 추적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관제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컴퓨터는 상기 추적 영상을 상기 맵 데이터에 따라 분석하여 침입자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따라 드론 이동 명령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은 촬영부의 감시 영상을 관제컴퓨터가 자동으로 분석하여 침입자의 여부를 도출하고, 드론의 침입자 추적을 수행함으로써 건물 보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된 와이파이 공유기를 사용함으로써 촬영부, 드론, 관제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보안 식별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복수의 감시 섹터로 이루어진 감시 영역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관제컴퓨터에 저장된 건물 내부의 맵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이하, 실내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보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촬영부(110), 관제컴퓨터(130) 및 드론(15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촬영부(110)는 건물 내부에 구비되어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촬영부(110)는 감시 영상과 더불어 감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관제컴퓨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감시 위치는 촬영부(110)가 설치된 위치일 수도 있고, 촬영부(110)가 촬영하는 감시 영역의 위치일 수도 있다.
촬영부(110)는 CCTV와 같이 건물 내부의 감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 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MOS)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촬영부(110)가 건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110)는 감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10)와 드론(150)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와아파이 공유기(17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와이파이 공유기(170)는 건물 내부에 미리 구비된 통신 설비일 수 있으며, 촬영부(110)와 드론(150)은 기설치된 통신 설비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하나 이상의 촬영부(110)로부터 전송받은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건물 내부로 침입한 침입자의 유무를 식별하여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관제컴퓨터(130)는 촬영부(110) 및 드론(150)과 서버-클라이언트(server-clien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론 이동 명령에는 앞서 설명된 감시 위치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관제컴퓨터(130)가 건물 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동작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DPU(Data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라스베리 파이(Raspberry Pi)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제컴퓨터(130)는 감시 영상의 분석을 위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학습은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또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제컴퓨터(130)는 기계 학습을 통한 감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설정된 감시 시간 동안에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사람의 유무를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드론(150)은 관제컴퓨터(130)로부터 전송된 드론 이동 명령에 따라 침입자를 촬영한 촬영부(110)에 해당되는 감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드론 이동 명령은 드론(150)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및 이동 고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감시 위치에 대한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드론(150)은 조종사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서 그것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드론(150)은 침입자의 확인 및 추적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도 있고, 가시광을 센싱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론(150)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추적 영상은 와이파이망을 통하여 관제컴퓨터(130)로 전송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추적 영상을 보안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190)(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 글라스,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로 전송함으로써 보안 관리자가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침입자에 대한 추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드론(150)은 건물 내부에서 침입자를 추적하므로 GPS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15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통신을 통한 드론 이동 명령에 따라 감시 위치로 이동하므로 GPS 신호가 없이도 침입자의 확인 및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가 감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침입자의 발생을 도출할 경우, 드론(150)은 관제컴퓨터(130)로부터 드론 이동 명령을 수신한 드론(150)은 무선 충전 스테이션(station)(210)으로부터 이륙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스테이션(210)은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한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드론(150) 역시 무선 충전 스테인션으로부터 전송된 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침입자에 대한 추적이 완료된 후 드론(150)은 무선 충전 스테이션(210)으로 복귀하여 드론(15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론(150)의 복귀는 관제컴퓨터(130)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고, 드론(150) 자체에 저장된 복귀 제어 정보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보안 시스템은 촬영부(110)의 감시 영상을 관제컴퓨터(130)가 자동으로 분석하여 침입자의 여부를 도출하고, 드론(150)의 침입자 추적을 수행함으로써 건물 보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보안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된 와이파이 공유기(170)를 사용함으로써 촬영부(110), 드론(150), 관제컴퓨터(130) 사이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관제컴퓨터(130)는 감시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람의 유무만을 도출할 뿐 그 사람이 침입자인지 보안 관리자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관리자의 모자나 옷에는 관제컴퓨터(130)가 식별가능한 형상이나 색상의 보안 식별자가 부착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보안 식별자가 확인될 경우 침입자가 아닌 보안 관리자로 판단하여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론(150)이 침입자 및 보안 관리자의 구분을 위하여 상기 보안 식별자 내부에는 RFID 태그(tag)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드론(15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나 블루투스 모듈과의 통신을 통하여 보안 관리자로 확인되지 않은 사람을 도출하여 이를 관제컴퓨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드론(150)에는 보안 식별자의 RFID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RFID 리더기나 태그의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촬영부(110)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감시 섹터로 이루어진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촬영부(110)는 촬영 방향을 변경하여 섹터 a 내지 섹터 c를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촬영부(110)는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촬영부(110)로부터 감시 영상과 더불어 감시 섹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컴퓨터(130)는 촬영부(110)로부터 감시 섹터 a 내지 감시 섹터 c 각각에 대한 감시 영상과 더불어 감시 섹터 a 내지 감시 섹터 c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감시 섹터별로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침입자가 있는 감시 섹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드론 이동 명령을 드론(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컴퓨터(130)가 감시 섹터 b에 대한 감시 영상 분석 중 침입자의 발생을 도출할 경우, 관제컴퓨터(130)는 감시 섹터 b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드론 이동 명령을 드론(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드론 이동 명령은 전송받은 드론(150)은 무선 충전 스테이션(210)으로부터 이륙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건물 내부의 맵 데이터(map data)가 드론(150)이 아닌 관제컴퓨터(130)에 저장될 수 있다. 맵 데이터가 드론(150)이 아닌 관제컴퓨터(130)에 저장된 이유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드론(150)은 건물 내부에 구비된 와이파이 공유기(170)를 통하여 상기 관제컴퓨터(130)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관제컴퓨터(130)가 드론(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다르게 맵 데이터가 드론(150)에 설치될 경우 대용량 맵 데이터에 따른 드론(150)의 메모리 용량 증가 및 드론(150)에 구비된 프로세서의 처리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드론(150)의 메모리 용량 증가 및 데이터 처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감시 위치에 도달한 드론(150)이 침입자에 대한 추적 영상을 촬영하여 관제컴퓨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보안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190)로 추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안 관리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90)를 통하여 침입자에 대한 추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추적 영상을 맵 데이터에 따라 분석하여 침입자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고, 현재 위치에 따라 드론 이동 명령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건물 내부에 해당되는 맵 데이터가 관제컴퓨터(130)에 저장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감시 영상으로부터 침입자를 확인하면, 드론(150)으로 감시 위치 정보와 함께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드론(150)은 감시 위치 정보 및 드론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침입자가 건물 내부를 이동함에 따라 드론(150)은 침입자를 추적하여 침입자에 대한 추적 영상을 촬영하여 관제컴퓨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드론(150)이 촬영한 추적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제컴퓨터(130)는 건물 내부의 특징에 대한 이미지의 기계 학습을 수행하여 추적 영상이 촬영된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위치를 맵 데이터에 연관시켜 매핑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매핑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와이파이 공유기(170)로 액세스하도록 드론(150)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공유기(170)의 통신 커버리지는 한정되어 있고 건물 내부의 구조에 따라 와이파이 신호가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150)이 침입자의 이동에 따라 비행할 경우 드론(150)은 관제컴퓨터(130)의 명령에 따라 하나의 와이파이 공유기(170)에서 다른 와이파이 공유기(170)로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방법 외에 다른 방법으로 와이파이 공유기(170)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드론(150)이 주변 와이파이 공유기(170)의 신호 세기를 체크하고, 가장 신호 세기가 강한 와이파이 공유기(170)로 연결을 변경한 후 와이파이 공유기(170) 변경 결과를 관제컴퓨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일정 시간동안 드론 이동 명령을 변경전 와이파이 공유기(170) 및 변경 후 와이파이 공유기(170)로 전송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 변경 후 와이파이 공유기(170)로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공유기(170)의 변경시 드론 이동 명령이 드론(150)에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아 드론(150)의 추락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론(150)은 드론 이동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정지 비행을 설정 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 드론(150)이 설정 시간 이후에도 드론 이동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지받지 못할 경우 드론(150)은 무선 충전 스테이션(210)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관제컴퓨터(130)는 추적 영상이 촬영된 위치를 담당하는 촬영부(110)로부터 침입자에 대한 감시 영상을 전송받아 분석함으로써 추적 영상이 촬영된 위치가 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드론(150)의 순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컴퓨터(130)는 1시간 또는 2시간마다 드론(150)으로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여 드론(150)이 건물 내부를 순찰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관제컴퓨터(130)는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드론(150)이 순찰할 경로에 대한 정보를 드론(15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론(150)은 설정된 순찰 경로를 따라 순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건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침입자는 하나의 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침입자를 추적하는 드론(150)이 층간 이동을 해야 하므로 드론의 비행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층마다 드론(150)이 구비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는 하나의 드론(150)이 촬영한 추적 영상을 분석하여 침입자가 하나의 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컴퓨터(130)는 건물의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미지를 기계 학습함으로써 침입자의 층간 이동을 도출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가 침입자의 층간 이동을 도출할 경우, 관제컴퓨터(130)는 하나의 드론(150)의 추적을 중지시키고, 다른 층에 설치된 촬영부(110)의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층간 이동한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관제컴퓨터(130)가 층간 이동한 침입자를 확인하면, 관제컴퓨터(130)는 침입자가 있는 층의 드론(150)에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드론(150)이 침입자를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촬영부(110)
관제컴퓨터(130)
드론(150)
와아파이 공유기(170)
모바일 단말기(190)
무선 충전 스테이션(210)

Claims (3)

  1. 건물 내부에 구비되어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촬영부;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건물 내부로 침입한 침입자의 유무를 식별하여 드론 이동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관제컴퓨터; 및
    상기 관제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드론 이동 명령에 따라 침입자를 촬영한 촬영부에 해당되는 감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드론(drone)
    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촬영부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감시 섹터로 이루어진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관제컴퓨터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촬영부로부터 감시 영상과 더불어 상기 감시 섹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감시 섹터별로 감시 영상을 분석하여 침입자가 있는 감시 섹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 이동 명령을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맵 데이터(map data)가 상기 드론이 아닌 상기 관제컴퓨터에 저장되고,
    상기 드론은 건물 내부에 구비된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하여 상기 관제컴퓨터와 통신하고,
    상기 감시 위치에 도달한 드론이 침입자에 대한 추적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관제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컴퓨터는 상기 추적 영상을 상기 맵 데이터에 따라 분석하여 침입자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따라 드론 이동 명령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KR1020220017776A 2022-02-10 2022-02-10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KR20230120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76A KR20230120922A (ko) 2022-02-10 2022-02-10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76A KR20230120922A (ko) 2022-02-10 2022-02-10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22A true KR20230120922A (ko) 2023-08-17

Family

ID=8780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76A KR20230120922A (ko) 2022-02-10 2022-02-10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9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225B1 (ko) 2018-11-12 2019-08-16 장승현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225B1 (ko) 2018-11-12 2019-08-16 장승현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955B2 (en) Commercial drone detection
JP7047374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
US9237267B2 (en) Imaging systems, moving bodies, and imaging control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a moving target
US20170287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av-based digital escort drones in visitor management and 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s
US202202928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moving platform to determine data associated with a target person or object
KR101853903B1 (ko) Cctv, 드론 및 광펜스를 포함한 침입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459024B1 (ko)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CN108702203A (zh) 控制无人机接入网络的方法和装置
US20230005270A1 (en) Uncrewed aerial vehicle shared environment privacy and security
KR101827249B1 (ko) Vpn망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지능형 객체 인식 드론 시스템 및 지능형 객체 추적 방법
US202001258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flying objects
KR102203292B1 (ko) Cctv 겸용 드론을 이용한 cctv 감시 시스템
KR20210041337A (ko) 순찰 출동 관제 시스템과 관제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AU2020102304A4 (en) I-Drone: INTELLIGENT DRONE TO DETECT THE HUMAN AND PROVIDE HELP
US112109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ew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497814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통행자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267764B1 (ko) 군집 드론 기반 광대역 정찰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대역 정찰 감시 방법
KR20230120922A (ko) 드론을 이용한 실내 보안 시스템
KR20190087058A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주차 단속 시스템 및 이의 단속 방법
KR102286417B1 (ko)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27864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객체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05274A1 (en) Security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2011225B1 (ko) 드론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9883B1 (ko) 네트워크 장치
KR100877227B1 (ko) 다중이동물체 자동추적용 지그비 다중카메라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