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252B1 -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252B1
KR102010252B1 KR1020160023913A KR20160023913A KR102010252B1 KR 102010252 B1 KR102010252 B1 KR 102010252B1 KR 1020160023913 A KR1020160023913 A KR 1020160023913A KR 20160023913 A KR20160023913 A KR 20160023913A KR 102010252 B1 KR102010252 B1 KR 10201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elect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084A (ko
Inventor
서영호
이성호
장윤섭
조준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25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4L29/06034
    • H04N5/23219
    • H04N5/232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상 및 상기 영상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아 선택 영상을 선정하는 영상 콘텐츠 제공부,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가 되도록 유도하는 이동 방향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지도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포토존 진입 유도부,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선택 영상과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영상을 정합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반 비마커 방식 실시간 증간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 현실은 이미지 내의 마커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가상 사물을 이미지와 정합하여 표시하는 마커 기반 증강 현실 방식과 GPS로 지도상의 나의 위치와 주변에 표시할 정보들을 알아내고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단말이 어떠한 방향으로 어떤 각도로 카메라를 비치고 있는지 계산하여 카메라 화면 위에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 기반형 증강 현실 기술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할 수 있는 참조영상 콘텐츠들을 조회하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해당 영상 콘텐츠가 촬영된 위치와 자세와 일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및 상기 영상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아 선택 영상을 선정하는 영상 콘텐츠 제공부;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가 되도록 유도하는 이동 방향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지도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포토존 진입 유도부;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선택 영상과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영상을 정합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해당 영상 콘텐츠가 촬영된 위치와 자세와 일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된 컴퓨터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상 콘텐츠 제공부(110),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 및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영상 콘텐츠 제공부(110)는 영상과 각 영상에 대응하는 촬영 지역, 랜드마크 및 촬영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영상을 위치 기반으로 저장한다. 이 때, 영상 콘텐츠 제공부(110)는 단말로부터 촬영 지역, 랜드 마트 또는 현재 단말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의 촬영 위치 및 자세를 표시한 지도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지도 정보를 확인하고, 검색된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이하, 선택된 영상을 선택 영상이라 지칭)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 영상에 대한 증강 현실 영상을 요청하는 증강 현실 영상 요청 신호를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로 전송한다.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는 단말로부터 증강 현실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 영상과 사용자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지도 상에 나타내고, 영상과 사용자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가 일치하기 위해 단말에 대한 이동 방향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지도를 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도를 확인하여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가 선택 영상의 촬영 위치 및 자세와 일치하도록 이동하여 포토존에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주기적으로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로 전송하고,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는 갱신된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통해 지도를 갱신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는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가 지정된 범위 내로 갱신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130)로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130)는 포토존 진입 유도부(120)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단말이 포토존 내로 진입한 경우), 단말이 촬영한 영상(이하, 단말 영상이라 지칭)을 요청하는 단말 영상 요청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단말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당해 단말 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생성한 단말 영상을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130)는 단말 영상과 선택 영상을 정합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130)는 단말로 증강 현실 영상을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5에서 증강 현실 장치는 영상과 각 영상에 대응하는 촬영 지역, 랜드마크 및 촬영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영상을 위치 기반으로 저장한다. 이 때, 증강 현실 장치는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과 각 영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및 메타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210에서 증강 현실 장치는 촬영 지역, 랜드마크, 단말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215에서 증강 현실 장치는 단계 205에서 저장된 영상 중 검색어에 대응하는 영상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장치는 촬영 지역, 랜드마크 및 촬영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동일한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증강 현실 장치는 검색된 영상에 대응하는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지도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225에서 증강 현실 장치는 단말로부터 선택 영상에 대한 증강 현실 영상을 요청하는 증강 현실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230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단말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35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 영상과 단말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단계 240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 영상과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가 되도록 유도하는 단말에 대한 이동 방향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단계 245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 영상과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지 판단한다.
단계 245에서 선택 영상과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계 230부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단계 245에서 선택 영상과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단계 250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 단말 영상을 요청한다.
단계 255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단말 영상을 수신하고, 단말 영상과 선택 영상을 정합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단계 260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저장된 영상의 촬영 위치와 자세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단말의 촬영 위치와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유도된 촬영 위치 및 자세의 단말로부터 단말 영상을 획득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 영상에 대해 정확히 매칭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된 컴퓨터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 내에,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저장부(3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3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3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버스(36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3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및/또는 저장소(33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324) 및 RAM(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영상 및 상기 영상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위치 기반 영상을 저장하고,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아 선택 영상을 선정하는 영상 콘텐츠 제공부;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가 되도록 유도하는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포토존 진입 유도부;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선택 영상과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영상을 정합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부는, 상기 선택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증강 현실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한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영상의 메타데이터를 표시한 지도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상은,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위치 기반 영상 중에서 선택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는,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표시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이동 방향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단말 영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위치 기반 영상에 대응하는 촬영 지역 정보 또는 랜드마크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10.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및 상기 영상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위치 기반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아 선택 영상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가 되도록 유도하는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영상과 상기 단말 간의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선택 영상과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영상을 정합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증강 현실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포토존 진입 유도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23913A 2016-02-29 2016-02-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1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13A KR102010252B1 (ko) 2016-02-29 2016-02-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13A KR102010252B1 (ko) 2016-02-29 2016-02-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084A KR20170102084A (ko) 2017-09-07
KR102010252B1 true KR102010252B1 (ko) 2019-08-14

Family

ID=5992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13A KR102010252B1 (ko) 2016-02-29 2016-02-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78B1 (ko) * 2020-12-17 2022-09-2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독도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388442B1 (ko) * 2021-11-03 2022-04-20 김병걸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166B1 (ko) * 2012-01-26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진 검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12B1 (ko) * 2008-04-04 2010-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검색방법
KR20120006312A (ko) * 2010-07-12 2012-01-18 피크네코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위치 기반 증강현실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166B1 (ko) * 2012-01-26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진 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084A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721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roduct identification and promotion
EP2625847B1 (en) Network-based real time registered augmented reality for mobile devices
JP5255595B2 (ja) 端末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端末位置特定方法
US100259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200442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KR101413011B1 (ko)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US20220076469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2006295827A (ja) 携帯端末装置
JP660798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102010252B1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4209680A (ja) 土地境界表示プログラム、方法、及び端末装置
JP2017194848A (ja) 画像認識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10094970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US9881028B2 (en) Photo-optic comparative geolocation system
KR101601726B1 (ko)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JP201613370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6208977B2 (ja) 情報処理装置、通信端末およびデータ取得方法
JP2018018086A (ja) 土地境界表示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CN117351306B (zh) 三维点云投影位姿求解器训练方法、确定方法及装置
JP6959305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JP7039535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KR101563656B1 (ko) 사물인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