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057B1 -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057B1
KR102010057B1 KR1020170169643A KR20170169643A KR102010057B1 KR 102010057 B1 KR102010057 B1 KR 102010057B1 KR 1020170169643 A KR1020170169643 A KR 1020170169643A KR 20170169643 A KR20170169643 A KR 20170169643A KR 102010057 B1 KR102010057 B1 KR 10201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ooling fluid
edge
tube cover
cha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190A (ko
Inventor
권휘섭
강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0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수조정유닛은 상단부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유체를 하단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재 및 상기 배출관재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재의 상단부를 연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재의 상하로 이동하게 구비되는 관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상기 주수조정유닛 및 상기 주수조정유닛이 구비되고, 외부에서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관커버부재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가 형성되면 상기 주수조정유닛을 통하여 하부로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연강판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냉각장치는 강판을 냉각하게 된다. 이때 강판으로 냉각수를 분사하게 되며, 이렇게 분사된 냉각수는 강판의 측면을 통해 강판 상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이 경우, 강판의 에지 부분은 상기 냉각장치의 에지 부분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1차로 냉각되고, 상기 냉각장치의 센터 부분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강판 상을 빠져나가면서 2차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강판 상부의 양쪽 에지 부분의 과냉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장치의 양쪽 에지 부분 에지 마스킹 장치(Edge Masking Device: EMD)를 설치하게 된다. 이 에지 마스킹 장치는 일반적으로 물받이(basket)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헤더 상기 냉각장치의 에지 부분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를 물받이로 받아 강판 상에 떨어지지 않도록 측면으로 배출시켜 강판 에지 부분의 과냉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통상 에지 마스킹 장치로 사용되는 물받이의 폭 또는 너비는 각 열연공장에서 사용되는 제품에 맞게 약 100 ~ 150mm 사이의 고정 너비 값을 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폭이 고정된 물받이 구조의 에지 마스킹 장치를 사용하면 폭 가변이 불가능하여 에지 부분에서의 냉각 특성이 다른 고급강의 생산시 에지 부분의 과냉으로 재질편차 및 형상불량을 유발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냉각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2014-0091783호
본 발명은 냉각수에 의한 강판 등의 피냉각체의 냉각시에 피냉각체의 에지 부분의 과냉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피냉각체의 폭에 따른 과냉 방지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는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상단부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유체를 하단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재; 및 상기 배출관재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재의 상단부를 연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재의 상하로 이동하게 구비되는 관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주수조정유닛, 상기 주수조정유닛이 구비되고, 외부에서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관커버부재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가 형성되면 상기 주수조정유닛을 통하여 하부로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챔버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관커버부재에 연계되어 상기 관커버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커버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승강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앵커부재 및 상기 앵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앵커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에 상기 구동부재가 연계되어 각각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서 상기 주수조정유닛의 상기 관커버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냉각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승 이동되거나,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강 이동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배출관재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피냉각판재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피냉각판재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헤더부재 및 상기 헤더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헤더부재로 외부의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헤더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헤더부재에 형성된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보다 높게 형성된 외벽부 사이의 오버플로잉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오버플로잉 영역의 냉각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잉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관커버부재에 형성된 구 형상의 결합탭이 삽입되어 상기 관커버부재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게 구비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일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제1에지앵커,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타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제2에지앵커 및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가 핀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에지앵커가 핀결합되는 중앙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일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제1에지앵커 및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타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가 핀결합되는 제2에지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냉각수에 의한 강판 등의 피냉각체의 냉각시에 피냉각체의 에지 부분의 과냉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피냉각체의 폭에 따른 과냉 방지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피냉각체의 폭방향 재질편차가 저감되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피냉각체의 종류에 따른 미세 냉각이력제어가 가능하여 고강도강 등의 다양한 강판의 피냉각체의 재질편차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수조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 주수조정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U자형 배치로 주조조정유닛의 위치를 조정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V자형 배치로 주조조정유닛의 위치를 조정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 챔버유닛의 에지 부분에 배치된 커버승강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 챔버유닛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커버승강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수조정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수에 의한 강판 등의 피냉각체의 냉각시에 피냉각체의 에지 부분의 과냉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피냉각체의 폭에 따른 과냉 방지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냉각체의 폭방향 재질편차가 저감되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피냉각체의 종류에 따른 미세 냉각이력제어가 가능하여 고강도강 등의 다양한 강판의 피냉각체의 재질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주수조정유닛(10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수조정유닛(100)은 상단부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유체를 하단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재(110) 및 상기 배출관재(110)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연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하로 이동하게 구비되는 관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재(110)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어서, 일정한 수위로 냉각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통하여 냉각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배출관재(110)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에 상기 관커버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출관재(110)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동일한 수위로 상기 냉각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상기 관커버부재(120)가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연장하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서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배출관재(110)로 배출될 수도 있고, 배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관재(110)는 상단부로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면 하단부로 상기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상기 배출관재(110)는 후술한 냉각장치의 챔버유닛(200)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챔버유닛(200)으로 유입된 냉각유체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와 연계된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상단부보다 높게 유입되면 상기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배출관재(110)는 고정된 구성이나, 상기 관커버부재(120)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연장하는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어, 동일한 수위의 냉각유체가 상기 챔버유닛(200)으로 공급되더라도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냉각유체를 상기 배출관재(110)로 배출하거나 또는 배출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커버부재(120)는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상부로 연장시키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하단부가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에 연계되어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수조정유닛(100)의 상기 관커버부재(120)는,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냉각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승 이동되거나,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강 이동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하단부에 삽입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출관재(110) 및 상기 관커버부재(120)는 모두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직경은 상기 배출관재(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관커버부재(120)는 상하로 이동하게 구성되어, 상기 배출관재(110)의 상단부를 연장하는 길이를 조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출관재(110)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커버부재(120)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서, 후술할 냉각장치의 커버승강유닛(300)과 연계될 수 있는 결합탭(120a)이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탭(120a)은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측면 외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에 결합된 상기 커버승강유닛(300)이 상하로 이동되게 구성되어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상기 주수조정유닛(100) 및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이 구비되고, 외부에서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가 형성되면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을 통하여 하부로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챔버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주수조정유닛(10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챔버유닛(200)으로 유입된 냉각유체의 배출을 상기 챔버유닛(200)의 위치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챔버유닛(200) 내부는 냉각유체가 외부에서 공급되어 일정 수위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의 배출관재(110)의 상단부에 연결된 관커버부재(120)의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높게 이동하면 상기 배출관재(110)로 냉각유체가 배출되지 않게 조정되고,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의 배출관재(110)의 상단부에 연결된 관커버부재(120)의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낮게 이동하면 상기 배출관재(110)로 냉각유체가 배출되게 조정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챔버유닛(200)에 상기 배출관재(110)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부분에 결합된 배출관재(110)에서 냉각유체의 배출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챔버유닛(200)의 부분에 따라서 냉각유체의 배출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챔버유닛(200)은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이 결합되며,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일정 수위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헤더부재(210), 공급관재(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챔버유닛(200)은, 상기 배출관재(110)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피냉각판재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피냉각판재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헤더부재(210) 및 상기 헤더부재(210)와 결합되며, 상기 헤더부재(210)로 외부의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부재(210)는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의 배출관재(11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외부에서 냉각유체를 공급받아 일정 수위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더하여, 상기 헤더부재(210)에는 상기 배출관재(110)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헤더부재(210)의 길이 방향은 상기 헤더부재(210)의 하부에서 이동되게 제공되는 강판 등의 피냉각체의 폭 방향이다. 즉, 상기 배출관재(110)는 상기 피냉각체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더부재(2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유체에 의한 수위를 형성하며, 하면부에 상기 배출관재(110)가 결합된 내실과 일정 수위 이상의 냉각유체가 공급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내실을 감싸게 형성된 외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내실은 바닥면 상에 형성된 내벽부(211)에 의해서 형성되고, 외실은 바닥면 상에 형성된 외벽부(21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실에서 외실로 오버플로잉된 냉각유체는 상기 외실과 연통되는 오버플로잉관재(2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챔버유닛(200)은, 상기 헤더부재(210)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헤더부재(210)에 형성된 내벽부(211)와 상기 내벽부(211)보다 높게 형성된 외벽부(212) 사이의 오버플로잉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오버플로잉 영역의 냉각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잉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유체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상기 내실에 공급되면 이러한 냉각유체는 상기 외실로 오버플로잉되어 이동되게 되고, 이렇게 오버플로잉된 냉각유체는 상기 외실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관재(220)는 상기 헤더부재(210)로 냉각유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급관재(220)를 통하여 냉각유체가 상기 헤더부재(21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관재(220)는 상기 헤더부재(21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상기 챔버유닛(200)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관커버부재(120)에 연계되어 상기 관커버부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커버승강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승강유닛(300)은 상기 주수조정유닛(100)에 의해서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승강유닛(300)은 상기 관커버부재(120)에 결합되어 상기 관커버부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승강유닛(300)은 앵커부재(310), 구동부재(32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 주수조정유닛(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U자형 배치로 주조조정유닛의 위치를 조정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 챔버유닛(200)의 에지 부분에 배치된 커버승강유닛(3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 챔버유닛(2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커버승강유닛(3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커버승강유닛(300)은,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120)에 결합되는 앵커부재(310) 및 상기 앵커부재(310)와 연결되어 상기 앵커부재(3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승강유닛(300)은 상기 관커버부재(120)에 결합되어 상기 관커버부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승강유닛(300)은 앵커부재(310), 구동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앵커부재(310)는 상기 관커버부재(120)와 결합되는 구성이고, 상기 구동부재(320)의 상하 구동력을 상기 관커버부재(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앵커부재(310)는 상기 관커부재와 상기 구동부재(320) 사이에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앵커부재(310)에는 복수 개의 관커버부재(120)가 결합되고, 또한 상기 구동부재(320)도 복수 개가 결합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상하 이동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앵커부재(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커버부재(120)가 결합되고, 상기 앵커부재(3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동부재(320)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앵커부재(310)의 일단부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부재(310)의 타단부는 상승 이동하면, 상기 앵커부재(3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관커버부재(120)들은 점차적으로 상승 이동된 간격이 커지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310)는, 상기 관커버부재(120)에 형성된 구 형상의 결합탭(120a)이 삽입되어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게 구비되는 결합홈(3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앵커부재(310)에 복수 개의 관커버부재(12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결합탭(120a)이 구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앵커부재(310)와의 상대적 배치위치가 상하 직선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결합탭(120a)을 기준으로 상기 앵커부재(31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재적 회전 이동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310)는,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120)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에 상기 구동부재(320)가 연계되어 각각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부재(310)에는 복수 개의 관커버부재(120)가 결합되고, 이러한 앵커부재(310)를 복수 개 제공하여 각각의 앵커부재(310)마다 상기 구동부재(320)에 의해서 배치된 위치를 서로 다르게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앵커부재(310)에 결합된 복수의 관커버부재(120)의 배치 위치도 더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310)는,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120)와 연결되고 제1에지앵커(311),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타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120)와 연결되고 제2에지앵커(312) 및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120)와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311)가 핀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에지앵커(312)가 핀결합되는 중앙앵커(3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311), 제2에지앵커(312)를 배치시키고, 그 사이의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 센터부에 상기 중앙앵커(313)를 배치함으로써,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관커버부재(120)의 상하 위치 이동 부분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가운데 부분의 중앙앵커(313)에 결합된 관커버부재(120)의 배치 높이를 가장 낮게 설정하여 이와 연결된 배출관재(110)로는 냉각유체를 배출하게 구성하고, 양측 에지 부분의 제1에지앵커(311) 및 제2에지앵커(312)는 배치 위치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결합된 관커버부재(120)의 배치 높이를 에지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이와 연결된 배출관재(110)로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정도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재(320)는 상기 앵커부재(3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동부재(320)는 상기 앵커부재(310)와 결합되는 에지실린더(321), 중앙실린더(3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지실린더(321)는 상기 앵커부재(310) 중에서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에지 부분에 위치하는 앵커부재(310)의 단부와 연결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고, 상기 중앙실린더(322)는 상기 앵커부재(310) 중에서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앵커부재(310)의 단부와 연결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다.
이러한 에지실린더(321), 중앙실린더(322)는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구동됨으로써, 상기 앵커부재(310)의 배치를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고, 상기 챔버유닛(200)의 에지 부분 또는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앵커부재(310)마다 서로 다른 높이로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부재(310) 중에서 상기 챔버유닛(200)의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에 결합되는 에지실린더(321)는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의 최외측 단부와 커넥팅앵커(314)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에지실린더(321)에 연결된 커넥팅앵커(314)는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의 최외측 단부 형성된 에지슬릿홀(310b)에 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에지슬릿홀(310b)은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의 간극을 보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부재(310) 중에서 상기 챔버유닛(2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중앙앵커(313)의 양단부 또는 상기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의 최내측 단부 결합되는 중앙실린더(322)는 상기 중앙앵커(313),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와 또 다른 커넥팅앵커(314)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실린더(322)에 연결된 커넥팅앵커(314)는 상기 중앙앵커(313), 제1에지앵커(311) 또는 제2에지앵커(312)의 단부에 핀 결합된 힌지앵커(315)를 매개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앵커(313)의 일단부와 제1에지앵커(311)의 최내측 단부 또는 상기 중앙앵커(313)의 타단부와 제2에지앵커(312)의 최내측 단부를 상기 힌지앵커(315)가 연결하면 이러한 힌지앵커(315)가 상기 커넥팅앵커(314)와 핀결합되고, 또한 상기 커넥팅앵커(314)는 상기 중앙실린더(322)와 결합되는 것이다. 이는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V자형 배치로 주조조정유닛의 위치를 조정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상기 앵커부재(310)는,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120)와 연결되고 제1에지앵커(311) 및 상기 챔버유닛(200)의 길이 방향의 타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120)와 연결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311)가 핀결합되는 제2에지앵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중앙앵커(313)를 제거하고, 상기 제1에지앵커(311)와 제2에지앵커(312)를 직접 연결하게 구성한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중앙실린더(322)는 상기 상기 제1에지앵커(311)와 제2에지앵커(312)의 최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앵커(315) 및 커넥팅앵커(314)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게 된다.
이때에는 챔버유닛(200)의 정중앙에 배치되는 관커버부재(120)와 연계된 배출관재(1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의 에지 부분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관커버부재(120)에 의해서 냉각유체의 배출이 조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주수조정유닛 110: 배출관재
120: 관커버부재 200: 챔버유닛
210: 헤더부재 211: 내벽부
212: 외벽부 220: 공급관재
230: 오버플로우관재 300: 커버승강유닛
310: 앵커부재 311: 제1에지앵커
312: 제2에지앵커 313: 중앙앵커
314: 커넥팅앵커 315: 힌지앵커
320: 구동부재 321: 에지실린더
322: 중앙실린더

Claims (11)

  1. 상단부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유체를 하단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재; 및 상기 배출관재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재의 상단부를 연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재의 상하로 이동하게 구비되는 관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주수조정유닛;
    상기 주수조정유닛이 구비되고, 외부에서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관커버부재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가 형성되면 상기 주수조정유닛을 통하여 하부로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챔버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관커버부재에 연계되어 상기 관커버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커버승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승강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앵커부재; 및
    상기 앵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앵커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상기 관커버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에 상기 구동부재가 연계되어 각각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커버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냉각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승 이동되거나, 상단부가 상기 냉각유체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하강 이동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배출관재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피냉각판재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피냉각판재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헤더부재; 및
    상기 헤더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헤더부재로 외부의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재;
    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헤더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헤더부재에 형성된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보다 높게 형성된 외벽부 사이의 오버플로잉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오버플로잉 영역의 냉각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잉관재;
    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관커버부재에 형성된 구 형상의 결합탭이 삽입되어 상기 관커버부재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게 구비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일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제1에지앵커;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타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제2에지앵커; 및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가 핀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에지앵커가 핀결합되는 중앙앵커;
    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일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제1에지앵커; 및
    상기 챔버유닛의 길이 방향의 타측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커버부재와 연결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에지앵커가 핀결합되는 제2에지앵커;
    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KR1020170169643A 2017-12-11 2017-12-11 냉각장치 KR10201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43A KR102010057B1 (ko) 2017-12-11 2017-12-11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43A KR102010057B1 (ko) 2017-12-11 2017-12-11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90A KR20190069190A (ko) 2019-06-19
KR102010057B1 true KR102010057B1 (ko) 2019-08-12

Family

ID=6710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43A KR102010057B1 (ko) 2017-12-11 2017-12-11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0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763B1 (ko) * 2015-12-17 2017-04-13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969839T4 (fi) 2005-12-29 2023-08-31 Useita laitteita sisältävä interaktiivinen medianohjausjärjestelmä
KR101008071B1 (ko) * 2008-05-29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라인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763B1 (ko) * 2015-12-17 2017-04-13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90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2083B (zh) 热轧钢带的冷却装置和方法
KR101266736B1 (ko) 강판의 냉각 장치 및 강판의 냉각 방법
CN101437631B (zh) 热轧钢带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KR101667674B1 (ko) 스토퍼
KR102010057B1 (ko) 냉각장치
CN205797995U (zh) 轧机分段冷却装置
RU27311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дложки
US8397794B2 (en) Twin roll caster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US11413670B2 (en) Cooling device and cool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heet
KR101720088B1 (ko) 소재 냉각장치
US88072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casting of a metal band
US20180036794A1 (en) Mold for continuous casting
JP4337157B2 (ja) 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46710B1 (ko) 냉각대의 강판 평탄화 장치
CN110168117A (zh) 用于金属带材处理的连续生产线的快速冷却方法和部分
US11959698B2 (en) Liquid nitrogen dispensing head
EP3495515A1 (en) Cooling apparatus
JP6460071B2 (ja) 鋼板の上面冷却装置及び上面冷却方法
JP4682669B2 (ja) H形鋼の冷却設備及び冷却方法
KR101353630B1 (ko) 고온소재 냉각장치
JP5597916B2 (ja) 鋼材の冷却設備
WO2018056164A1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KR102495678B1 (ko) 열연강판의 균일 냉각 장치
JPH11285723A (ja) 薄鋼板の均一冷却方法
KR102518940B1 (ko) 열연강판의 균일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