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531B1 -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 Google Patents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531B1
KR102009531B1 KR1020130084458A KR20130084458A KR102009531B1 KR 102009531 B1 KR102009531 B1 KR 102009531B1 KR 1020130084458 A KR1020130084458 A KR 1020130084458A KR 20130084458 A KR20130084458 A KR 20130084458A KR 102009531 B1 KR102009531 B1 KR 10200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feedback signal
antenna port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812A (ko
Inventor
김중관
박래혁
이태훈
조용찬
최종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 디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 디씨티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5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1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signal isolation, e.g. isolation by frequency or by antenna pattern, or by polar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포트와, 상기 송신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포트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에서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하는 제1 경로부와, 상기 제2 안테나 포트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상기 수신 신호를 전달하는 제2 경로부와, 상기 제1 경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 경로부의 일단과 접속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2 경로부로 전달하는 제1 결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제1 결합기를 통해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전달될 때 상기 제1 결합기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경로부로 전송되는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제1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중계기 및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Method for removing feed back signal in repeater and repe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기란 지상에서는 무전기 출력에 의하여 통화거리가 결정되어지나 지상과 지하구간의 통화에서는 지하구간의 음영지역 때문에 통화거리가 짧아져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현재는 지하구간에 누설 동축 케이블을 포설해서 지상에 무전기 접속 단자함을 설치해 지하구간과 서로 통화하는 방식을 많이 채택해서 사용하지만 이 방식의 문제점은 누설동축케이블의 손실이 많고 구간이 길어짐으로써 음영지역이 확대되고 통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송,수신을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시스템의 이득도 적고, 이득이 적기 때문에 지하에 구축될 시설물 등의 수량이 증가하며, 시스템이 불안정하여 빈번한 A/S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해 시스템 자체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제1996-0039686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칭함)에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1은 제1선로 및 제2선로로부터 송수신신호를 입력한 후 송신과 수신을 분리하여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도록 양방향으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선로 증폭기(10-1~10-N)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주파수 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저역통과여파기(13)와; 저역통과 수신신호를 수신경로로 연결하고, 송신경로로부터 입력된 송신신호를 제1저역통과여파기(13)로 연결하여 송수신을 분리하는 제1양방향성 결합기(14)와; 제1양방향성 결합기(14)의 출력을 입력하여 소정 주파수대만 통과시키는 제1대역통과여파기(15)와; 대역통과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수신증폭기(16)와; 수신증폭기의 출력을 대역통과시키는 제2대역통과여파기(17); 제2대역통과된 수신신호를 제2선로측으로 연결하고, 제2선로를 통해 입력된 송신신호를 송신경로로 연결하여 송수신을 분리하는 제2 양방향성 결합기(18)와; 송수신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 주파수 이하만 통과시키는 제2저역통과여파기(26)와; 송신신호대역만 통과시키는 제3대역통과여파기(19)와; 대역통과된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송신증폭기(20)와; 증폭된 송신신호대역만 통과시키는 제4대역통과여파기(21) 및 선로를 통해 입력된 직류전압을 안정화하여 증폭기에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술1의 경우 수신과 송신을 하나의 라인을 통해 송수신을 행하므로 지하의 라인 중계기를 통해 송신할 시에 이득이 적으며, 지하 케이블에 설치되는 접속 개소가 많기 때문에 정재파비(VSWR)가 불안전하여 발진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스퓨리어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득이 적으면 지하에 설치한 시스템의 설치비용에 비해 효율성이 저하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중계기를 사용하는데, 지하에 설치된 증폭기와 안테나를 통해 송신(RX신호)한다. 그리고 안테나를 통해 지하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기를 통해 지상의 중계기로 인가(TX신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RX신호와 TX신호가 인가될 시에 송, 수신을 완전하게 분리시키지 못하므로 신호가 선로 내에서 맴도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잡음이 발생하여 신호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업체에서 사용하는 방식들은 1라인을 이용하여 증폭하므로 소정 레벨 이상에서는 증폭도와 출력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누설 동축케이블이나 1라인 안테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전파 음영지역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는 방식들은 1라인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모두 행하기 때문에 이득이 적어서 지상의 건물 주위에서도 통화거리가 짧아 통신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되어 공개된 등록특허 제10-0807820호(이하 '종래기술2'이라 칭함)에서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기술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2는 지상에 위치한 무전기와 지하에 위치한 무전기가 통신하는 무전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측과 수신측이 하나의 케이스(500)에 내장된 메인리피터(100)가 지상에 구성되고, 지상의 무전기 신호와 지하에 위치한 무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를 갖는 송,수신 라인리피터(200, 200')가 지하에 구성되며, 지상 또는 지하로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수신이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송신용, 수신용 케이블(300)이 메인리피터(100)의 메인 송,수신부(110, 110')와 송,수신 라인리피터(200, 200')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즉, 종래기술2는 송, 수신이 각각 분리된 1 주파 2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송, 수신을 각각 분리시키는 경우, 송신라인과 수신라인 각각에 RF 케이블 및 안테나 등의 자재가 사용되는바, 1라인 안테나 중계기에 비해 많이 소요되어 제조 단가가 증가하며, 장비간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디지털 회로를 이용하는 디지털 ICS 중계기가 있다. 디지털 ICS 중계기는 향상된 격리도 특성 및 발진 특성을 갖지만, 디지털 칩을 사용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6-039686호, "선로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807820호,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궤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중계기 및 궤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포트와, 상기 송신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포트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에서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하는 제1 경로부와, 상기 제2 안테나 포트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상기 수신 신호를 전달하는 제2 경로부와, 상기 제1 경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 경로부의 일단과 접속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2 경로부로 전달하는 제1 결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제1 결합기를 통해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전달될 때 상기 제1 결합기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경로부로 전송되는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제1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서로 상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송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 변이시키는 제1 위상 변이기와,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1 궤환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만드는 제1 감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는, 상기 제1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 위상차가 나도록 변이시켜서 상기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는 제2 위상 변이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 변이기는 상기 제1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90°변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경로부의 타단과 접속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경로부로 전달하는 제2 결합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제2 결합기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전달될 때 상기 제2 결합기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경로부로 전송되는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제2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쇄 신호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서로 상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 변이시키는 제1 위상 변이기와,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만드는 제1 감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제1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 위상차가 나도록 변이시켜서 상기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는 제2 위상 변이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 변이기는 상기 제1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90°변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 변이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위상 변이기에 의해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신호를 분석 결과,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 감쇄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은,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포트와, 상기 송신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포트를 구비한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1차 변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위상이 1차 변이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크기가 조절된 신호의 위상을 2차 변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위상이 2차 변이된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위상 변이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로 변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위상 변이 단계는, 상기 크기가 조절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위상차가 나도록 변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궤환 신호 상쇄 단계는, 상기 2차 변이된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의 상쇄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궤환 신호를 완전히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2차 변이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궤환 신호 상쇄 단계는, 상기 2차 변이된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의 상쇄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궤환 신호를 완전히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1차 변이된 신호의 크기를 상기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 경로의 격리도를 증가시켜서 높은 이득의 증폭이 가능하며,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궤환 신호를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서 추출된 신호로 상쇄시킴으로써 발진 현상으로 인한 중계기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안테나로 송수신이 가능하고 디지털 칩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의 결합기 및 위상 변이기를 사용하므로 중계기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궤환 신호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통신 단말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경유하여 다른 무선통신 단말들과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00)는, 제1 안테나 포트(101), 제2 안테나 포트(102), 제1 경로부(110), 제2 경로부(120), 제1 결합기(130), 제2 결합기(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101)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수신된 송신 신호는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제1 경로부(110)는 하향링크 경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 포트(102)는 다른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는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제2 경로부(120)는 상향링크 경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안테나 포트(101)에서 수신된 송신 신호는 제2 결합기(140)를 거쳐 제1 경로부(110)인 제4 위상 변이기(113), 증폭기(114), 감쇄기(115), 증폭기(116), 제1 위상 변이기(111)로 전송되면서 신호 증폭과 감쇄가 이루어지며, 제1 결합기(130)에서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전송되어 제2 안테나 포트(102)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 포트(102)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제1 결합기(130)를 거쳐 제2 경로부(120)인 제2 위상 변이기(123), 증폭기(124), 감쇄기(125), 증폭기(126), 제3 위상 변이기(121)로 전송되면서 신호 증폭과 감쇄가 이루어지며, 제2 결합기(140)에서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전송되어 제1 안테나 포트(101)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결합기(130)는 제1 경로부(110)의 일단 및 제2 경로부(1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전달하고, 제2 안테나 포트(102)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제2 경로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2 안테나 포트(102)는 제1 결합기(130)를 통해 제1 경로부(110) 및 제2 경로부(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101)에서 수신된 송신 신호는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제1 결합기(130)로 전송되며, 제1 결합기(130)는 상기 송신 신호를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 포트(102)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제1 결합기(130)로 전송되며, 제1 결합기(130)는 상기 수신 신호를 제2 경로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송신 신호가 전송되고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수신 신호가 전송되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전송되지만, 하나의 제2 안테나 포트(102)로 통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별도의 안테나 포트로 송수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별도의 경로(제1 경로부(110) 및 제2 경로부(120))로 전송되지만, 제1 경로부(110) 및 제2 경로부(120)의 일단은 모두 제1 결합기(130)와 연결되는바, 송신 신호의 전송과정에서 제1 궤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경로부(110)의 일단은 제1 결합기(130)와 연결되며 제2 경로부(120)의 일단 역시 제1 결합부(130)와 연결되어 있는바,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는 제1 결합기(130)를 통해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전송될 뿐만 아니라 송신 신호의 일부는 제1 결합기(130)에서 반사되어 제2 경로부(120)로 궤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궤환 신호는 제2 경로부(120)로 전송되면서 발진 현상을 유발시키며 중계기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로부(110)는 상기 송신 신호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다. 즉, 제1 경로부(110)는 상기 추출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반대 위상을 갖는 제1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궤환 신호를 상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궤환 신호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경로부(110)는 제1 위상 변이기(111)와 제1 감쇄기(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경로부(120)는 제2 위상 변이기(1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위상 변이기(111)는 제1 경로부(110)을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S1)에서 일부 신호(S12)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위상 변이기(111)는 송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S12)를 추출하면서 상기 추출 신호(S12)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제1 위상 변이기(111)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로 변이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신호(S12)는 제1 위상 변이기(111)에서 제1 감쇄기(112)로 전송되며, 나머지 신호는 제1 결합기(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감쇄기(112)는 위상이 변이된 상기 추출된 신호(S12)의 크기를 상기 제1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1 궤환 신호(F1)는 송신 신호(S11)가 제1 결합기(130)를 지나면서 반사되는 신호로서 그 크기가 송신 신호(S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송신 신호(S1)에서 추출된 신호(S12) 역시 상대적으로 송신 신호에 비해 그 크기가 작지만, 상기 추출된 신호로 상기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추출된 신호와 제1 궤환 신호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야 하는바, 제1 감쇄기(112)는 상기 추출된 신호(S12)의 크기를 제1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제1 감쇄기(112)로부터 상기 추출된 신호(S13)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1 궤환 신호(F1)의 위상과의 차이가 180°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출된 신호(S13)는 제1 위상 변이기(111)를 거치면서 이미 송신 신호와는 90°위상차가 되도록 위상이 변이되었으나, 제1 궤환 신호(F1)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제1 궤환 신호(F1)와의 위상차가 180°가 되지 않으므로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상기 추출된 신호(S13)의 위상과 제1 궤환 신호(F1)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S13)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제1 궤환 신호(F1)가 송신 신호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경우,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제1 감쇄기(112)를 거친 상기 추출된 신호(S13)의 위상을 90° 더 변이시켜서 제1 궤환 신호(F1)와의 위상차가 18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궤환 신호(F1)가 송신 신호(S1)와 동일한 위상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상기 추출된 신호(S13)의 위상이 제1 궤환 신호(F1)의 위상과 180°차이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S13)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 신호(S1)에서 추출된 신호(S12)는 제1 위상 변이기(111), 제1 감쇄기(112), 및 제2 위상 변이기(123)를 거치면서 제1 궤환 신호(F1)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차는 180°가 되는 제1 상쇄 신호(S14)가 형성되며, 제1 결합기(130)에서 반사되는 제1 궤환 신호(F1)는 제2 위상 변이기(123)에서 제1 상쇄 신호(S14)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제2 결합기(140)는 제1 경로부(110)의 타단 및 제2 경로부(120)의 타단과 연결되며,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수신 신호를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전달하고, 제1 안테나 포트(101)에서 수신된 송신 신호를 제1 경로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1 안테나 포트(101)는 제2 결합기(140)를 통해 제1 경로부(110) 및 제2 경로부(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포트(102)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제2 결합기(140)로 전송되며, 제2 결합기(140)는 상기 수신 신호를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 포트(101)에서 수신된 송신 신호는 제2 결합기(140)로 전송되며, 제2 결합기(140)는 상기 송신 신호를 제1 경로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수신 신호가 전송되고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수신 신호가 전송되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전송되지만, 하나의 제2 안테나 포트(102)로 통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별도의 안테나 포트로 송수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별도의 경로(제1 경로부(110) 및 제2 경로부(120))로 전송되지만, 제1 경로부(110) 및 제2 경로부(120) 각각의 타단은 모두 제2 결합기(140)와 연결되는바, 수신 신호의 전송과정에서 제2 궤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2 경로부(120)의 타단은 제2 결합기(140)와 연결되며 제1 경로부(110)의 타단 역시 제2 결합부(140)와 연결되어 있는바,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는 제2 결합기(140)를 통해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전송될 뿐만 아니라 수신 신호의 일부는 제2 결합기(140)에서 반사되어 제1 경로부(110)로 궤환될 수 있다. 상기 제2 궤환 신호는 제1 경로부(110)로 전송되면서 발진 현상을 유발시키며 중계기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경로부(120)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다. 즉, 제2 경로부(120)는 상기 추출된 신호로부터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반대 위상을 제2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궤환 신호를 상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경로부(120)는 제3 위상 변이기(121)와 제2 감쇄기(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경로부(110)는 제4 위상 변이기(1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위상 변이기(121)는 제2 경로부(120)을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제3 위상 변이기(121)는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면서 상기 추출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제3 위상 변이기(121)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로 변이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신호는 제3 위상 변이기(121)에서 제2 감쇄기(122)로 전송되며, 나머지 신호는 제2 결합기(14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감쇄기(122)는 위상이 변이된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2 궤환 신호는 수신 신호가 제2 결합기(140)를 지나면서 반사되는 신호로서 그 크기가 수신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수신 신호에서 추출된 신호 역시 상대적으로 수신 신호에 비해 그 크기가 작지만, 상기 추출된 신호로 상기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추출된 신호와 제2 궤환 신호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야 하는바, 제2 감쇄기(122)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4 위상 변이기(113)는 제2 감쇄기(122)로부터 상기 추출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위상 차이가 180°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출된 신호는 제3 위상 변이기(121)를 거치면서 이미 수신 신호와는 90°위상차가 되도록 위상이 변이되었으나,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제2 궤환 신호와 반대 위상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4 위상 변이기(113)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과 제2 궤환 신호의 위상차가 180°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제2 궤환 신호가 수신 신호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경우, 제4 위상 변이기(113)는 제2 감쇄기(122)를 거친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 더 변이시켜서 제2 궤환 신호와의 위상차가 18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궤환 신호가 수신 신호와 동일한 위상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제4 위상 변이기(113)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이 제2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차이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에서 추출된 신호는 제3 위상 변이기(121), 제2 감쇄기(122), 및 제4 위상 변이기(113)를 거치면서 제2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차는 180°가 되는 제2 상쇄 신호가 형성되며, 제2 결합기(140)에서 반사되는 제2 궤환 신호는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제2 상쇄 신호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검출부(160)는 제2 위상 변이기(123) 및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출력된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검출부(160)는 제2 경로부(120)에서 제2 위상 변이기(123)와 제3 위상 변이기(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위상 변이기(123)를 통과한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제1 궤환 신호(F1)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서로 반대가 되는 제1 상쇄 신호(S14)를 생성하여 제1 궤환 신호(F1)를 상쇄시킬 수 있으나, 제1 궤환 신호(F1)가 제1 상쇄 신호(S14)에 의해 완전히 상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쇄되지 않은 제1 궤환 신호가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검출부(160)는 제2 위상 변이기(123)와 제3 위상 변이기(121) 사이에 배치되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60)는 제1 경로부(110)에서 제4 위상 변이기(113)와 제1 위상 변이기(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완전히 상쇄되지 않은 제2 궤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검출부는 제1 결합기(130)와 제2 위상 변이기(123) 사이, 또는 제2 결합기(140)와 제4 위상 변이기(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검출부(160)에서 신호가 검출된 경우, 검출부(160)는 이를 제어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출부(160)에서 검출된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분석하고, 제2 위상 변이기(123) 또는 제4 위상 변이기(113)에 의해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제2 위상 변이기(123) 또는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제1 궤환 신호 또는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었다면, 검출부(160)에서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위상 변이기(123) 또는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제1 궤환 신호 또는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았다면, 검출부(160)에서는 신호가 검출되며, 제어부(150)는 이를 분석하여 제1 궤환 신호 또는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검출부(160)에서 검출된 상기 신호를 분석 결과,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1 감쇄기(112) 또는 제2 감쇄기(12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제2 위상 변이기(123) 또는 제4 위상 변이기(113)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2 결합기(130, 140)와 제1, 2, 3, 4 위상 변이기(111, 123, 121, 113)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하여, 이들을 디지털 칩으로 사용하는 중계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계기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안테나 포트(101) 또는 제2 안테나 포트(102)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제1 안테나 포트(101)에서 수신되는 송신 신호는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제2 안테나 포트(102)로 전송되며, 제2 안테나 포트(102)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는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제1 안테나 포트(101)로 전송될 수 있다(S102).
제1 경로부(110)는 송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S103). 즉, 제1 경로부(110)는 제1 위상 변이기(1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위상 변이기(111)는 제1 경로부(110)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경로부(120)는 수신 신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S103). 즉, 제2 경로부(120)는 제3 위상 변이기(1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3 위상 변이기(131)는 제2 경로부(120)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위상 변이기(111)는 추출된 상기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S104). 제1 위상 변이기(111)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로 변이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위상 변이기(121)는 추출된 상기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S104). 제3 위상 변이기(131)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로 변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신호는 제1 위상 변이기(111)에서 제1 감쇄기(112)로 전송되며, 제1 감쇄기(112)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S105). 즉, 제1 감쇄기(112)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가 송신 신호가 제1 결합기(130)를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제1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감쇄기(122)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가 수신 신호가 제2 결합기(140)를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크기가 조절된 상기 추출 신호는 제2 위상 변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S106). 즉,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제1 감쇄기(112)로부터 상기 추출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1 궤환 신호의 위상과의 차이가 180°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신호는 제1 위상 변이기(111)를 거치면서 이미 송신 신호와는 90°위상차가 되도록 위상이 변이되었으나,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제1 궤환 신호와의 위상차가 180°가 되지 않으므로 제2 위상 변이기(123)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과 제1 궤환 신호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위상 변이기(113)는 제2 감쇄기(122)로부터 상기 추출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위상 차이가 180°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출된 신호는 제3 위상 변이기(121)를 거치면서 이미 수신 신호와는 90°위상차가 되도록 위상이 변이되었으나,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제2 궤환 신호와 반대 위상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4 위상 변이기(113)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과 제2 궤환 신호의 위상차가 180°가 되도록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변이시킬 수 있다.
송신 신호에서 추출된 신호는 제1 위상 변이기(111), 제1 감쇄기(112), 및 제2 위상 변이기(123)를 거치면서 제1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차는 180°가 되는 제1 상쇄 신호가 형성되며, 제1 결합기(130)에서 반사되는 제1 궤환 신호는 제2 위상 변이기(123)에서 제1 상쇄 신호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S107).
또한, 수신 신호에서 추출된 신호는 제3 위상 변이기(121), 제2 감쇄기(122), 및 제4 위상 변이기(113)를 거치면서 제2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차는 180°가 되는 제2 상쇄 신호가 형성되며, 제2 결합기(140)에서 반사되는 제2 궤환 신호는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제2 상쇄 신호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검출부(160)는 제2 위상 변이기(123) 또는 제4 위상 변이기(113)를 통해 제1 또는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1 또는 제2 궤환 신호가 완전히 상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검출부(160)는 제1 경로부(110)에서 제4 위상 변이기(113)와 제1 위상 변이기(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위상 변이기(113)에서 완전히 상쇄되지 않은 제2 궤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1 감쇄기(112) 또는 제2 감쇄기(12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제2 위상 변이기(123) 또는 제4 위상 변이기(113)를 제어할 수 있다(S10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중계기 101: 제1 안테나 포트
102: 제2 안테나 포트 110: 제1 경로부
111: 제1 위상 변이기 112: 제1 감쇄기
113: 제4 위상 변이기 120: 제2 경로부
121: 제3 위상 변이기 122: 제2 감쇄기
123: 제2 위상 변이기 130: 제1 결합기
140: 제2 결합기 150: 제어부
160: 검출부

Claims (18)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포트;
    상기 송신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포트;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에서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하는 제1 경로부;
    상기 제2 안테나 포트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상기 수신 신호를 전달하는 제2 경로부; 및
    상기 제1 경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 경로부의 일단과 접속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2 경로부로 전달하는 제1 결합기;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송신 신호가 상기 제1 결합기를 통해 상기 제2 안테나 포트로 전달될 때 상기 제1 결합기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 경로부로 전송되는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제1 상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무전기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송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 변이시키는 제1 위상 변이기; 및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1 궤환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만드는 제1 감쇄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는,
    상기 제1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1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위상차가 나도록 변이시켜서 상기 제1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는 제2 위상 변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 변이기는 상기 제1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90°변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경로부의 타단과 접속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경로부로 전달하는 제2 결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제2 결합기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 포트로 전달될 때 상기 제2 결합기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경로부로 전송되는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제2 상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쇄 신호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 변이시키는 제3 위상 변이기; 및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2 궤환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만드는 제2 감쇄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는,
    상기 제2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 위상차가 나도록 변이시켜서 상기 제2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는 제4 위상 변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상 변이기는 상기 제2 감쇄기에서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90°변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 변이기 또는 상기 제4 위상 변이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위상 변이기 또는 상기 제4 위상 변이기에 의해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신호를 분석 결과,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궤환 신호 또는 상기 제2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 감쇄기 또는 상기 제2 감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
  14.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포트와, 상기 송신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포트를 구비한 무전기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 일부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1차 변이시키는 단계;
    상기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위상이 1차 변이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크기가 조절된 신호의 위상을 2차 변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위상이 2차 변이된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를 상쇄시키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위상 변이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신호의 위상을 90°로 변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위상 변이 단계는, 상기 크기가 조절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과 180° 위상차가 나도록 변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궤환 신호 상쇄 단계는, 상기 2차 변이된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의 상쇄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궤환 신호를 완전히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2차 변이된 신호의 위상을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궤환 신호 상쇄 단계는, 상기 2차 변이된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의 상쇄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궤환 신호가 상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궤환 신호를 완전히 상쇄할 수 있도록 상기 1차 변이된 신호의 크기를 상기 궤환 신호의 크기와 동일하게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KR1020130084458A 2013-07-18 2013-07-18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KR10200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58A KR102009531B1 (ko) 2013-07-18 2013-07-18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58A KR102009531B1 (ko) 2013-07-18 2013-07-18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812A KR20150010812A (ko) 2015-01-29
KR102009531B1 true KR102009531B1 (ko) 2019-08-12

Family

ID=5248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58A KR102009531B1 (ko) 2013-07-18 2013-07-18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81B1 (ko) * 2021-08-25 2022-02-23 주식회사 소스텔 역위상 제거 기법을 이용한 반이중송수신기 중계증폭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455B2 (en) * 2015-04-10 2017-01-03 Wilson Electronics, Llc Multiplex detector signal boos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571B1 (ko) * 2000-06-14 2002-04-06 윤종용 90도 위상 전이기를 구비하는 직교 클락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642B1 (ko) 1995-04-21 1998-11-02 이재영 선로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시스템
KR20010026470A (ko) * 1999-09-07 2001-04-06 김종수 자동이득제어용 감쇄장치
KR20050010663A (ko) * 2003-07-22 2005-01-28 이노에이스(주) 주파수 합성부를 이용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무선 중계장치 및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KR100807820B1 (ko) 2006-09-19 2008-03-03 신동준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571B1 (ko) * 2000-06-14 2002-04-06 윤종용 90도 위상 전이기를 구비하는 직교 클락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81B1 (ko) * 2021-08-25 2022-02-23 주식회사 소스텔 역위상 제거 기법을 이용한 반이중송수신기 중계증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812A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5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JP2006148904A (ja) 双方向無線通信のための光ネットワーク
CN101453228A (zh) 共站址干扰消除系统和方法
CN102355296A (zh) 一种用于同频中继器的干扰抵消系统及方法
US20180331704A1 (en) Radio-frequency circuit with multiple antennas nd radio-frequency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30157720A1 (en) Tower mount amplifier and a method of using thereof
KR100807820B1 (ko)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
KR102009531B1 (ko)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CN101527956A (zh) 一种信号放大装置及基站系统
CN105530039B (zh) 合路器、合路装置和信号合路系统
KR20170058511A (ko) S 대역 트랜스폰더에 리던던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rf 전치단 구조
CN110365369B (zh) 一种支持长距离传输的电力载波通信系统
KR20110032229A (ko)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rf 중계기
CN101359955A (zh) 一种直放站及其干扰信号消除方法
KR20010006780A (ko) 무선통신망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JP2009182367A (ja) 無線通信装置
KR100903207B1 (ko) 트리플 밴드 통합형 중계기 시스템
KR100664440B1 (ko)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상향링크를 위한 저잡음 전력증폭장치
KR100544227B1 (ko) 송신 궤환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100560129B1 (ko) 송수신용 전력 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20090053268A (ko) Rf 음영지역의 통화품질 개선을 위한 중계 시스템.
KR10197366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pim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CN219227597U (zh) 塔顶放大器
KR100601779B1 (ko) 양방향 무전 및 fm 신호 중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