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379B1 -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79B1
KR102009379B1 KR1020180091548A KR20180091548A KR102009379B1 KR 102009379 B1 KR102009379 B1 KR 102009379B1 KR 1020180091548 A KR1020180091548 A KR 1020180091548A KR 20180091548 A KR20180091548 A KR 20180091548A KR 102009379 B1 KR102009379 B1 KR 10200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and
type
inner hous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필
Original Assignee
이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필 filed Critical 이종필
Priority to KR102018009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밴드형 락카 키를 보관하고 있다가 대여하는 것은 물론이고 반납받을 수 있는 키-디스펜서를 셀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에 의하면; 전면부에는 사각의 개구창(111)이 형성되며, 상판에는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슬라이드홈(112)이 대향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판의 밑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 기어(113)가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를 개별로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키-포켓(121)이 형성되며, 키-포켓(121)의 바닥 전방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가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는 경우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상면이 전방을 향하면서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아랫부분이 수용 배치되도록 키 헤드-수용홈(122)이 함몰되어 있고, 키-포켓(121)의 바닥 중앙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의 탄력밴드(24)가 감싸면서 수납되도록 밴드 안착부(123)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후단의 상부 양측은 슬라이드홈(112)에 슬라이딩블록(124)을 통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면서 전방부가 개구창(111)을 통해 서랍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고, 후단부 상면에는 빛-차단막(125)이 돌출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내부 하우징(120)과;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래크 기어(113)와 이물림된 구동기어(131)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밴드형 락카 키(20)의 대여 또는 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 하우징(120)을 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거나, 구동기어(131)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내부 하우징(120)을 외부 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정역모터(130)와;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110)의 상면부에 고정 배치되며, 하부 전방측에는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가 외부 하우징(110)에서 최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빛-차단막(125)에 의해 빛 신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포토센서(141)가 실장되며, 하부 후방측에는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가 외부 하우징(110)의 최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빛-차단막(125)에 의해 빛 신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포토센서(142)가 실장된 상부회로기판(140)과;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내부 하우징(120)의 하면부에 장착되며, 상부 전방측에는 키 헤드-수용홈(122)을 사이에 두고 발광소자(151a)와 수광소자(151b)가 배치되어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밴드형 락카 키(20)가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정역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포토센서(151)가 실장된 하부회로기판(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KEY-DISPENSER FOR BAND KEY - SELF RENTAL AND RETURN MACHINE}
본 발명은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에 사용되는 키-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클럽이나 사우나(목욕탕) 등과 같은 업소에 적용되고 있는 무인 대여 반납기에서 밴드형 락카 키를 보관하고 있다가 손님들에게 자동으로 대여할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놀이 공원, 대중목욕탕, 헬스클럽, 찜질방 등과 같은 다중 접객업소에서는 프론트-데스크에서 관리자(또는 안내자)가 상주하면서 손님(이용자)들에게 각각 락카 키를 전달하고, 이용을 마친 손님들로부터 락카 키를 반납받는다. 따라서 종래 헬스클럽이나 대중목욕탕 등과 같은 시설을 경영하는 입장에서는 항상 관리하는 사람이 필요하여 상당한 고정 인건비를 지출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티켓이나 키를 무인기기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다중 접객업소의 무인 티켓발급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2954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82954호에 개시된 티켓, 영수증 및 열쇠를 무인으로 발급하는 무인 티켓발급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상측에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원하는 사항을 선택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정보를 변경 및 요금을 정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모니터(2)와, 이 모니터(2)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이용자가 해당하는 금액을 투입하기 위한 지폐투입구(3)와 동전투입구(4)를 갖추고 있다. 또한, 모니터(2)와 투입구(3,4) 사이에는 이용자가 방문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단(5)이 구비되고, 이 센서단(5)의 상부에는 기기 사용에 대한 안내멘트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폐투입구(3)의 측면 일측에는 이용자의 선택사항에 대한 사용 티켓과 영수증을 동시에 발행하는 티켓발행부(7)가 구비되고, 투입된 금액에 대한 잔액이나 환불 금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동전배출구(8) 및 지폐반환구(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무인 티켓발급기(1)의 측면 일측에는 별도의 열쇠보관함(10)이 구비되는데, 이 열쇠보관함(10)에는 무인 티켓발급기(1)의 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선택한 객실의 열쇠가 배출되는 열쇠배출구(1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설물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무인 티켓발급기(1)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티켓과 열쇠를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중 접객업소에서는 프론트 데스크에 관리자(종업원)를 항시 대기시킬 필요가 없어 유지 및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목욕탕(사우나)이나 찜질방, 놀이공원 등과 같은 다중 접객업소의 경우 통상적으로 RFID 태그가 내장된 밴드형 락카 키를 대여하고 반납받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밴드형 락카 키를 종래 무인티켓발급기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즉, 밴드형 락카 키의 경우 사용자 자신의 락카(사물함)를 열거나 시설 내에서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을 마친 후에는 시설내에서 사용된 비용을 지불하면서 반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282954호에 개시된 티켓, 영수증 및 열쇠를 무인으로 발급하는 무인 티켓발급기에서 밴드형 락카 키를 대여하는 경우, 프론트 데스크에는 밴드형 락카 키를 반납받기 위해 관리자가 추가로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형 락카 키를 보관하고 있다가 대여하는 것은 물론이고 반납받을 수 있는 키-디스펜서를 셀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 형태로 제작된 키-디스펜서를 통해 대여하고자 하는 락카 키 갯수를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어서 락카가 많은 시설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에 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RFID tag coil)과 알에프 아이디 IC 칩(RFID IC chip)이 내장되고 상기 헤드에 탄력밴드가 결합되어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를 개별적으로 보관하고 있다고 대여하고 이용을 마친 후 반납받을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키-디스펜서가; 전면부에는 사각의 개구창이 형성되며, 상판에는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슬라이드홈이 대향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밑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 기어가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외부 하우징과; 내부에는 상기 밴드형 락카 키를 개별로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키-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키-포켓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밴드형 락카 키가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는 경우 상기 밴드형 락카 키의 헤드 상면이 전방을 향하면서 상기 밴드형 락카 키의 헤드 아랫부분이 수용 배치되도록 키 헤드-수용홈이 함몰되어 있고, 상기 키-포켓의 바닥 중앙부에는 상기 밴드형 락카 키의 탄력밴드가 감싸면서 수납되도록 밴드 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후단의 상부 양측은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블록을 통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면서 전방부가 상기 개구창을 통해 서랍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고, 후단부 상면에는 빛-차단막이 돌출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와 이물림된 구동기어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밴드형 락카 키의 대여 또는 반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을 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거나, 상기 구동기어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기 외부 하우징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정역모터와;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면부에 고정 배치되며, 하부 전방측에는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구동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단부가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 최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빛-차단막에 의해 빛 신호 입력이 차단되면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포토센서가 실장되며, 하부 후방측에는 상기 정역모터의 역방향 구동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단부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최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빛-차단막에 의해 빛 신호 입력이 차단되면 상기 정역모터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포토센서가 실장된 상부회로기판과;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면부에 장착되며, 상부 전방측에는 상기 키 헤드-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배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의 키-포켓에 상기 밴드형 락카 키가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포토센서가 실장된 하부회로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포켓에 상기 밴드형 락카 키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형 락카 키의 헤드에 내장된 상기 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을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상기 밴드형 락카 키가 상기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에서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밴드형 락카 키의 헤드에 내장된 상기 알에프 아이디 IC 칩을 인코딩할 수 있는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 최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상기 제3포토센서를 통해 상기 밴드형 락카 키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밴드 안착부의 투광창을 통해 적색 빛을 발산하는 적색 엘이디와,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 최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상기 제3포토센서를 통해 상기 밴드형 락카 키가 수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밴드 안착부의 투광창을 통해 녹색 빛을 발산하는 녹색 엘이디가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에 의하면; 내부 하우징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따라 밴드형 락카 키를 보관하고 있다가 대여하고 반납받을 수 있는 키-디스펜서가 셀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됨으로써,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밴드형 락카 키를 개별로 보관하는 키-디스펜서가 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키-디스펜서를 통해 대여하고자 하는 락카 키 갯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락카 갯수가 많은 시설에서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에 의하면; 내부 하우징의 전면부에 배치된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를 통해 키-포켓에 수납된 밴드형 락카 키가 해당하는 무인 대여ㆍ반납기에서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와, 밴드형 락카 키의 헤드에 내장된 알에프 아이디 IC 칩을 인코딩하여 현금결재 또는 카드결재를 통해 판매된 밴드형 락카 키 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에 의하면; 하부회로기판의 적색 엘이디와 녹색 엘이디를 제어하여 밴드형 락카 키를 반듯하게 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282954호에 개시된 다중 접객업소의 무인 티켓발급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밴드형 락카 키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 - Ⅵ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를 통한 밴드형 락카 키 대여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를 통한 밴드형 락카 키 반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를 통한 밴드형 락카 키 대여 및 반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는 물놀이 공원, 대중목욕탕, 헬스클럽, 찜질방 등과 같은 시설에서 이용자 락카(사물함)을 열거나 시설내에서의 추가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밴드형 락카 키를 무인으로 대여하고 반납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대여ㆍ반납기에 사용되는 밴드형 락카 키(20)는 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22;RFID tag coil)과 알에프 아이디 IC 칩(23;RFID IC chip)이 내장된 헤드(21)와, 이 헤드(21)에 결합되어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원형 탄력밴드(24)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21)에 내장된 알에프 아이디 IC 칩(23)은 외부의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를 통해 인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의 구성 설명>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30)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밴드형 락카 키(20)를 보관하고 있다가 대여하거나 반납받기 위한 키-디스펜서(100)들이 칸칸이 배치된 본체(31)와; 시설 이용자가 비용을 직접 결재할 수 있도록 본체(31)를 이루는 전면 패널에 마련된 지폐투입구(32) 및 카드투입구(33)와; 거스름돈을 내주기 위한 지폐배출구(34)와; 이용자가 터치 동작으로 밴드형 락카 키(20)를 대여하거나 반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35) 등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본체(31) 내부에는 지폐식별기(미도시)와, 각종 전기적인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미도시)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디스펜서(100)는 셀 형태로 제작되어 칸칸으로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본체(31) 하부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100)는 디스플레이부(35)를 통해 선택되어 결재가 이루어지면 보관하고 있던 밴드형 락카 키(20)를 대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개별적으로 밴드형 락카 키(20)를 보관하고 있고 이용을 마친 후에는 반납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전면부가 개방된 사각 함체 형상의 외부 하우징(110)과, 외부 하우징(110)에서 서랍식으로 출입이 가능하며 내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를 수용 보관할 수 있는 키-포켓(121)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120)과, 내부 하우징(120)의 후방부에 설치된 정역모터(130)와;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110)의 상면부에 고정 배치되는 상부회로기판(140)과, 내부 하우징(120)의 하면부에 고정 배치되는 하부회로기판(150) 등을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외부 하우징(110)은 합성수지를 통해 제작된 사각 함체로, 이의 전면부에는 내부 하우징(120)이 출입될 수 있도록 사각의 개구창(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110)의 상판에는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슬라이드홈(112)이 대향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부 하우징(110)의 상판의 밑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 기어(113)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120)은 내부에 밴드형 락카 키(20)를 개별로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키-포켓(121)이 형성된 사각 함체로 이루어져 있다. 키-포켓(121)의 바닥 전방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가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는 경우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상면이 전방을 향하면서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아랫부분이 수용 배치되도록 키 헤드-수용홈(122)이 함몰되어 있다. 또한, 키-포켓(121)의 바닥 중앙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의 탄력밴드(24)가 감싸면서 수납되도록 밴드 안착부(123)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밴드형 락카 키(20)를 헤드(21) 상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키-포켓(121)에 투입하면, 탄력밴드(24)는 밴드 안착부(123)를 감싸면서 헤드(21) 아랫부분이 키 헤드-수용홈(122)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120) 후단의 상부 양측은 슬라이드홈(112)에 슬라이딩블록(124)을 통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내부 하우징(120)은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면서 전방부가 개구창(111)을 통해 서랍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 상면에는 빛-차단막(125)이 돌출되어 있는데, 이것은 내부 하우징(120)의 출입 정도에 따라 후술하는 제1포토센서(141)와 제2포토센서(142)의 감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부에는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에 내장된 알에프 아이디 IC 칩(23)을 인코딩하거나 이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126)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현금 또는 카드 결재조건에 따라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126)에는 대여되는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에 내장된 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22)을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알에프 아이디 IC 칩(23)을 인코딩할 수 있으며, 락카 키 반납과정에서는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투입된 밴드형 락카 키(20)가 해당 시설의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30)에서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역모터(130)는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것은 래크 기어(113)와 이물림된 구동기어(131)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즉, 정역모터(130)가 정방향으로 구동기어(131)를 회전시키면 밴드형 락카 키(20)의 대여 또는 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 하우징(120)이 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반면에 정역모터(130)가 역방향으로 구동기어(131)를 회전시키면 내부 하우징(120)은 외부 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정역모터(130)의 구동 방향 제어는 후술하는 제1포토센서(141)와 제2포토센서(142)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회로기판(140)은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110)의 상면부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하부 전방측에는 제1포토센서(141)가 실장되어 있고, 이의 하부 후방측에는 제2포토센서(142)가 실정되어 있다. 제1포토센서(141)는 상부회로기판(140)의 하부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 후단부가 외부 하우징(110)에서 최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게 되면 빛-차단막(125)이 제1포토센서(141)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콘트롤부(미도시)에서는 제1포토센서(141)의 빛 신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반면에, 제2포토센서(142)는 상부회로기판(140)의 하부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 후단부가 외부 하우징(110) 최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게 되면 빛 차단막(125)이 제2포토센서(142)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콘트롤부(미도시)에서는 제2포토센서(142)의 빛 신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포토센서(141)와 제2포토센서(142)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대향되게 마련되며 이들 사이에 빛-차단막(125)이 위치하면 발광소자에서의 빛을 수광소자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ㄷ"자형 포토센서로 구성하였다.
하부회로기판(150)은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내부 하우징(120)의 하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상부 전방측에는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밴드형 락카 키(20)가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정역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포토센서(151)가 실장되어 있다. 제3포토센서(151)의 발광소자(151a)와 수광소자(151b)는 키 헤드-수용홈(12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됨으로써,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밴드형 락카 키(20)가 바르게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술하면; 밴드형 락카 키(20)를 반납하는 과정에서 키 헤드-수용홈(122)에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일부분이 안착되면, 제3포토센서(150)는 발광소자(151a)에서의 빛을 수광소자(151b)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미도시)에서는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밴드형 락카 키(20)가 바르게 수납되었다고 판단하고 정역모터(1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하부회로기판(150)에는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밴드형 락카 키(20)를 바르게 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적색 엘이디(152)와 녹색 엘이디(153)가 실장되어 있다. 즉, 밴드형 락카 키(20)를 반납받기 위해 내부 하우징(120)이 최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제3포토센서(151)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적색 엘이디(152)가 구동하여 밴드 안착부(123)의 투광창(127)을 통해 적색 빛을 발산(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점멸 작동)하게 된다. 반면에, 제3포토센서(151)를 통해 반납하고자 하는 밴드형 락카 키(20)가 바르게 투입된 상태라고 감지되면 녹색 엘이디(153)가 구동하여 밴드 안착부(123)의 투광창(127)을 통해 녹색 빛을 발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의 키-디스펜서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밴드형 락카 키 대여 동작과 반납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밴드형 락카 키의 무인 대여 동작 설명>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30)에 보관된 밴드형 락카 키(20)를 무인으로 대여해주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형 락카 키(20)가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바르게 보관된 상태에서는 제3포토센서(151;151a,151b)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가 키-포켓(121)에 수납된 것을 감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설 이용자가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디스플레이부(35)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 대여하고자 현금 또는 신용카드를 통해 결재를 완료하면,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해당 키-디스펜서(100)의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126)를 통해 현금결재 또는 신용카드 결재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해당 키-디스펜서(100)에 수납된 밴드형 락카 키(20)의 알에프 아이디 IC 칩(23; 도 2참조)에 인코딩하며, 키-디스펜서(100)의 정역모터(130)를 정방향(도 7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구동시킨다. 알에프 아이디 IC 칩(23)에 인코딩을 하는 것은 밴드형 락카 키(20) 반납 시 보증금을 현금 또는 일부 카드 승인취소 등으로 구별하여 반환해주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은 외부 하우징(110)의 개구창(111)을 통해 전방측으로 빠져나온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내부 하우징(120) 전진 이동은 빛-차단막(125)이 상부회로기판(140)의 제1포토센서(141)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즉, 빛-차단막(125)이 제1포토센서(141)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되면 여기에서는 빛을 받아들일 수 없으며,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밴드형 락카 키(20)가 보관된 내부 하우징(120)이 서랍식으로 전진하여 오픈되면, 시설 이용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120)에서 밴드형 락카 키(20)를 꺼내간다. 계속하여;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서 밴드형 락카 키(20)가 빠져나가는 것은 제3포토센서(151;151a,151b)를 통해 감지된다. 즉, 제3포토센서(151)의 발광소자(151a)와 수광소자(151b) 사이에 위치하고 있던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일부분이 사라지면; 수광소자(151b)에서는 빛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정역모터(1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은 다시 외부 하우징(110)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내부 하우징(120) 후진 이동은 빛-차단막(125)이 상부회로기판(140)의 제2포토센서(142)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즉, 빛-차단막(125)이 제2포토센서(142)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면 여기에서는 빛을 받아들일 수 없으며,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100)에 보관된 밴드형 락카 키(20)의 대여 동작이 이루어진다.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반납 동작>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100)에 밴드형 락카 키(20)를 무인으로 반납받는 과정을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설 이용자가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디스플레이부(35)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 반납 신호 입력을 완료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납받고자 하는 해당 키-디스펜서(100)에서 정역모터(13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은 외부 하우징(110)의 개구창(111)을 통해 전방측으로 빠져나온다. 내부 하우징(120)의 전진 이동은 빛-차단막(125)이 상부회로기판(140)의 제1포토센서(141)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때,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이 비어 있음을 제3포토센서(151;151a,151b)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적색 엘이디(152)를 점멸 구동시켜 이용자에게 밴드형 락카 키(20)를 전진 돌출된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바르게 투입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력밴드(24)가 밴드 안착부(123)를 감싸면서 헤드(21) 일부분이 키-포켓(121)의 키 헤드-수용홈(122)에 안착되도록 밴드형 락카 키(20)가 내부 하우징(120)에 투입되면,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밴드형 락카 키(20)가 바르게 투입됨을 인지할 수 있다. 즉, 키 헤드-수용홈(122)에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일부분이 안착되면;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제3포토센서(151;151a,151b)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고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126)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와 무선통신을 하여 투입된 해당 무인 대여 반납기(30)에서 대여되었던 것인지 여부와 현금결재 또는 카드결재로 대여되었던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무인 대여ㆍ반납기(30) 콘트롤부에서는 제3포토센서(151;151a,151b)를 통해 밴드형 락카 키(20)가 바르게 투입되었음을 감지하면, 녹색 엘이디(153)를 구동시킨다.
계속하여 정상적인 밴드형 락카 키(20)가 투입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정역모터(1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으로 내부 하우징(120)은 다시 외부 하우징(110)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내부 하우징(120) 후진 이동은 빛-차단막(125)이 상부회로기판(140)의 제2포토센서(142)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키-디스펜서(100)에 밴드형 락카 키(20)의 반납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밴드형 락카 키(20)의 반납 동작이 완료되면, 무인 대여ㆍ반납기(30)의 콘트롤부에서는 밴드형 락카 키(20) 대여과정에서 받은 보증금을 현금 또는 일부 카드 승인취소 등으로 반환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하우징(120)을 전진 또는 후진 동작시킴에 따라 밴드형 락카 키(20)를 보관하고 있다가 대여하고 반납받을 수 있는 키-디스펜서(100)가 셀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됨으로써,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30)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밴드형 락카 키(20)를 개별로 보관하는 키-디스펜서(100)가 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대여하고자 하는 락카 키(20) 갯수를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락카가 많은 시설에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배치된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126)를 통해 키-포켓(121)에 수납된 밴드형 락카 키(20)가 해당하는 무인 대여ㆍ반납기(30)에서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와, 밴드형 락카 키(20)를 인코딩하여 현금결재 또는 카드결재를 통해 판매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하부회로기판(150)의 적색 엘이디(152)와 녹색 엘이디(153)를 통해 이용자가 밴드형 락카 키(20)를 반듯하게 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20..밴드형 락카 키 21..헤드
22..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 23..알에프 아이디 IC 칩
24..탄력밴드 30..무인 대여ㆍ반납기
31..본체 32..지폐투입구
33..카드투입구 34..지폐배출구
35..디스플레이부 100..키-디스펜서
110..외부 하우징 111..개구창
112..슬라이드홈 113..래크 기어
120..내부 하우징 121..키-포켓
122..키 헤드-수용홈 123..밴드 안착부
124..슬라이딩블록 125..빛-차단막
126..알에프 아이디 리더기 127..투광창
130..정역모터 131..구동기어
140..상부회로기판 141..제1포토센서
42..제2포토센서 150..하부회로기판
151..제3포토센서 151a..발광소자
151b..수광소자 152..적색 엘이디
153..녹색 엘이디

Claims (3)

  1. 헤드(21)에 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22;RFID tag coil)과 알에프 아이디 IC 칩(23;RFID IC chip)이 내장되고 상기 헤드(21)에 탄력밴드(24)가 결합되어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20)를 개별적으로 보관하고 있다고 대여하고 이용을 마친 후 반납받을 수 있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키-디스펜서(100)는;
    전면부에는 사각의 개구창(111)이 형성되며, 상판에는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슬라이드홈(112)이 대향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밑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 기어(113)가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에는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를 개별로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키-포켓(121)이 형성되며, 상기 키-포켓(121)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가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는 경우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상면이 전방을 향하면서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 아랫부분이 수용 배치되도록 키 헤드-수용홈(122)이 함몰되어 있고, 상기 키-포켓(121)의 바닥 중앙부에는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의 탄력밴드(24)가 감싸면서 수납되도록 밴드 안착부(123)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후단의 상부 양측은 상기 슬라이드홈(112)에 슬라이딩블록(124)을 통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면서 전방부가 상기 개구창(111)을 통해 서랍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고, 후단부 상면에는 빛-차단막(125)이 돌출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내부 하우징(120)과;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113)와 이물림된 구동기어(131)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의 대여 또는 반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120)을 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거나, 상기 구동기어(131)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120)을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후방측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정역모터(130)와;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상면부에 고정 배치되며, 하부 전방측에는 상기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가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서 최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빛-차단막(125)에 의해 빛 신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정역모터(130)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포토센서(141)가 실장되며, 하부 후방측에는 상기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후단부가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최후방측까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빛-차단막(125)에 의해 빛 신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정역모터(130)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포토센서(142)가 실장된 상부회로기판(140)과;
    전기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하면부에 장착되며, 상부 전방측에는 상기 키 헤드-수용홈(122)을 사이에 두고 발광소자(151a)와 수광소자(151b)가 배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키-포켓(121)에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가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포토센서(151)가 실장된 하부회로기판(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부에는;
    상기 키-포켓(121)에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에 내장된 상기 알에프 아이디 태그 코일(22)을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가 상기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에서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의 헤드(21)에 내장된 상기 알에프 아이디 IC 칩(23)을 인코딩할 수 있는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126)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로기판(150)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120)이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서 최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상기 제3포토센서(151)를 통해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밴드 안착부(123)의 투광창(127)을 통해 적색 빛을 발산하는 적색 엘이디(152)가 실장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120)이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서 최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상기 제3포토센서(151)를 통해 상기 밴드형 락카 키(20)가 수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밴드 안착부(123)의 투광창(127)을 통해 녹색 빛을 발산하는 녹색 엘이디(153)가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KR1020180091548A 2018-08-07 2018-08-07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KR10200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48A KR102009379B1 (ko) 2018-08-07 2018-08-07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48A KR102009379B1 (ko) 2018-08-07 2018-08-07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79B1 true KR102009379B1 (ko) 2019-08-09

Family

ID=6761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548A KR102009379B1 (ko) 2018-08-07 2018-08-07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256B2 (en) Cartridge based small item restricted access dispenser system
JP6367388B2 (ja) 遊技システム及び遊技用装置
JP6226936B2 (ja) 遊技用装置及び遊技システム
JP6356277B2 (ja) 遊技システム及び遊技用装置
JP6226935B2 (ja) 遊技用装置及び遊技システム
JP6226934B2 (ja) 遊技用装置及び遊技システム
JP2017086943A (ja) 遊技システム及び遊技用装置
JP4599083B2 (ja) 記憶媒体認証返却機能付き記憶媒体処理装置
KR102009379B1 (ko) 밴드형 락카 키 무인 대여ㆍ반납기용 키-디스펜서
JP2008299468A (ja) ロッカー装置
JP2003275449A (ja) キープ機能を備えた遊技機及び遊技媒体貸出機
US20100076596A1 (en) Article dispenser
CN207148964U (zh) 客房自助服务设备
JP2019136539A (ja) 遊技システム
JPS59105171A (ja) ホテルの無人化システム
JP2683810B2 (ja) 貸玉供給管
JP6654867B2 (ja) 遊技用装置
GB2625112A (en)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free articles
JP2009165691A (ja) 景品交換システム
CN107622569A (zh) 客房自助服务设备
US20090218191A1 (en) Cash receiver for consumption system
JP2018130284A (ja) 遊技用装置
JP3018855B2 (ja) 台間玉貸機
JP2018167067A (ja) 遊技システム及び遊技用装置
KR200227871Y1 (ko) 키 자동 지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