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097B1 -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097B1
KR102009097B1 KR1020177018221A KR20177018221A KR102009097B1 KR 102009097 B1 KR102009097 B1 KR 102009097B1 KR 1020177018221 A KR1020177018221 A KR 1020177018221A KR 20177018221 A KR20177018221 A KR 20177018221A KR 102009097 B1 KR102009097 B1 KR 102009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tore
electrical connector
aircraft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636A (ko
Inventor
제임스 레웬돈
Original Assignee
이디오 엠비엠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디오 엠비엠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디오 엠비엠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4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explosive, e.g. bombs
    • B64D1/06Bomb releasing; Bomb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B64D7/08Arrangements of rocket launchers or relea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5/00Launching-apparatus for gravity-propelled missiles or project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 현가분리장치(10)는 현가후크(102)로부터 분리후에 스토어(도시하지 않았음)에 방출추진력을 가하기 위하여 조절가능한 수직브레이스 지부(20)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탄지형 전기코넥터 조립체(16) 또는 탄지형 각부(50)를 이용한다. 안전래치기구는 예를 들어, 현가후크조립체가 결빙형성으로 끼어 고정되는 경우, 스토어가 무단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가후크 조립체의 닙(108)에 결합하는 폴(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SMALL STORE SUSPENSION AND RELEASE UNIT}
본 발명은 소형이고 비교적 경량인 스토어(store)를 항공기의 하측, 예를 들어, 항공기 날개의 하측에 부착하였다가 요구될 때에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스토어의 현가 및 분리를 위한 소형 스토어 현가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항공기용 스토어의 현가 및 분리장치는 비행수송중 스토어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사용되는 수직브레이스(sway brace)와, 분리순간에 항공기로부터 스토어를 밀어내어 항공기에 충돌하는 위험없이 정확한 궤적을 따라 제어된 상태로 항공기의 반류(拌流)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가스동력형 피스턴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스토어의 크기와 질량은 이러한 동력보조형 방출을 필요로 한다. 스토어의 장착, 타깃 프로그램밍 및 유사한 기능을 위한 이러한 현가분리장치와 스토어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은 스토어에 부착된 일측 단부에서 분리형 전기코넥터를 갖는 엄빌리컬 케이블(umbilical cable)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스토어가 현가분리장치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대형이고 무거운 통상적인 스토어가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은 스토어가 항공기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저항을 보이는 원인이 되므로 스토어의 방출을 위하여 더 큰 방출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동력방출시스템과 엄빌리컬 코넥터 케이블은 통상적인 스토어에는 필요한 것이지만 하드웨어나 유지비용의 면에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이젝터 피스턴(ejector piston)의 필요성을 배제함으로써 스토어 현가분리장치의 복잡성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공기용의 현가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0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공기용의 현가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현가분리장치는 이중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직브레이스와 전기코넥터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갖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보다 단순화되었는 바, 수직브레이스의 경우, 수송과 분리방출중에 스토어를 안정되게 하고, 전기코넥터의 경우, 스토어의 분리방출시까지 스토어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직브레이스(또는 그 일부분)는 방출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하에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기코넥터(또는 그 일부)도 방출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하에 이동될 수 있다. 기계적인 스프링이 특히 직선방향으로 이러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특히 소형경량의 스토어의 경우 효과적인 것이다. 그러나, 수직브레이스(또는 그 일부분)는 부가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방출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가스동력 피스턴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동력작동될 수 있다. 수직브레이스는 스토어와 결합하기 위하여 각도가 조절가능한 지부(肢部)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절은 리드 스크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부는 직경이 상이한 스토어에 보다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현가분리장치의 현가분리후크에 대하여 길이 또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지부는 스토어에 결합되는 회전부착형 각부(脚部)를 포함하고, 방출추진력은 현가분리장치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제공된다.
전기코넥터는 방출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가분리장치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기코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탄지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스토어 현가분리장치의 래칭기구(latching mechanism)에서 안전성을 개선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스토어 현가후크가 스프링의 작용과 스토어의 하중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로터리 솔레노이드 작동형의 기본래치(primary latch)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본래치는 별도의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되는 안전래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후크를 분리하여 회전시키기 위하여서는 이들 솔레노이드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어떠한 조건하에서는 래칭기구에 얼음이 결빙되어 현가후크가 얼음에 끼어 기본래치의 작동시에 현가후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스토어가 충분히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하에서 기본래치의 부분들은 충분히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솔레노이드가 비활성화된 후에 이들이 현가후크와 안전래치에 고정적으로 재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래칭기구가 불안전한 상태에 놓이도록 하며, 얼음이 녹았을 때에는 스토어가 갑자기 예기치 못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스토어 현가분리장치용 래칭기구를 제공하는 바, 이는 스토어를 분리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현가후크를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기본래치와, 현가후크의 작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현가후크 또는 이와 함께 이동가능한 부분의 운동경로내에 놓이는 잠금위치로부터 운동경로로부터 벗어나 현가후크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스토어를 분리하도록 하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가능한 안전래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결빙에 의하여 현가후크가 작동하지 못하고 끼어 있는 경우에, 기본래치가 현가후크에 재결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안전래치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현가후크의 작동을 방지하고 스토어의 분리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위치에서 안전래치가 기본래치와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어 기본래치의 작동을 방지하고 잠금해제위치에서는 안전래치가 기본래치의 작동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래치가 솔레노이드 또는 이와 유사한 전기작동형 작동기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현가후크는 이러한 현가후크가 분리위치로부터 현가후크가 스토어 현가돌기에 결합하는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토어가 현가후크에 결합될 때 스토어 현가돌기의 말단부에 결합가능한 닙(nib)을 포함하며, 안전래치는 닙의 회전경로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래치가 작동기의 작동에 의하여 기본래치로부터 분리가능한 정지구를 갖는 작동기 구동형 회전암을 포함하고, 회전암은 작동기의 작동에 의하여 닙의 회전경로 밖으로 이동가능한 정지구 폴(detent pawl)에 구동결합된다. 안전래치와 기본래치기구는 수동해제 오버라이드 캠(manual release override cam)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예시적인 현가분리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측면 커버를 제거하여 보인 도 1의 현가분리장치의 측면도.
도 3와 도 4는 도 2의 현가분리장치를 양측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
도 5는 각부가 가장 가깝게 이동되도록 조절된 수직브레이스의 지부를 보인 도 2의 V-V 선 횡단면도.
도 6은 도 2의 화살표 VI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a는 센터 브라킷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에 해당하나, 센터 브라킷의 도시를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하나의 수직브레이스 지부를 가상선으로 보인 측면도.
도 8은 수직브레이스의 각부를 보인 상세단면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하부위치와 상부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소직경의 스토어와 대직경의 스토어에 각각 결합토록 조절된 수직브레이스를 보인 측면도.
도 1은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10 유로 지폐와 함께 보인 예시적인 현가분리장치(10)를 보이고 있다. 현가분리장치(10)는 항공기, 예를 들어 날개의 하측에 부착하기 위한 주동체(12)를 포함한다. 주동체는 현가분리장치를 항공기의 전기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고정형 전기코넥터(14)와, 스토어(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하기 위한 스프링탄지형의 가동형 전기코넥터조립체(16)를 갖는다. 가동형 전기코넥터조립체(16)는 고정형 전기코넥터(14a)에 대하여 주동체(12)의 대향단부에 배치된 고정형 전기코넥터(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현가분리장치(10)의 각 단부에는 각각 수직브레이스(18)가 착설된다. 각 수직브레이스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토어의 직경에 맞추어 각도가 조절되는 한쌍의 조절가능한 지부(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가동형 전기코넥터조립체(16)는 가동형 크로스바(22)를 포함한다. 크로스바(22)의 소경단부(24)는 현가분리장치(10)의 측면커버에 형성된 수직안내슬로트(26)내에서 활동한다. 한쌍의 수직안내롯드(28)가 크로스바(22)에 고정되어 이와 함께 이동하고 하측단부에 전기 커플링 플러그 하우징(32)을 위한 장착대(30)가 배치되어 있다. 유연성의 인쇄회로 리본 케이블(33)과 리본 케이블 코넥터 플러그(35)가 하우징(32)의 전기 커플링 플러그를 고정형 전기코넥터(14)에 연결한다. 안내롯드(28)의 상측단부는 고정형 크로스바(34)에 형성된 통공에서 밀착되어 활동한다. 고정형 크로스바(34)의 소경단부(36)는 현가분리장치(10)의 측면커버에 천공된 통공내에 고정적으로 삽입된다. 각 압축스프링(38)이 크로스바(22, 34) 사이에서 각 안내롯드(28)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각 안내롯드(28)를 노출하여 보이도록 스프링(38)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스프링(38)이 크로스바(22, 24) 사이에 확장되어 있어, 가동형 크로스바(22), 안내롯드(28) 및 커플링 플러그 하우징(32)이 하측으로 탄지된다. 안내롯드(28)는 상부 크로스바(34)의 안내공에서 써클립(40)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 크로스바(22)는 외측단부가 현가분리장치의 측면커버의 안내슬로트(26)내에서 활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현가분리장치(10)에 의한 수송을 위하여 스토어가 설치되어 있는 동안에, 스토어의 보상적인 전기 코넥터 소켓(도시하지 않았음)은 하우징(32)의 커플링 플러그와의 "블라인드 메이팅(blind mating)"을 위하여 제공된다. 즉, 스토어와 이에 설치된 전기 코넥터 소켓은 하우징(32)의 커플링 플러그와의 메이팅 결합을 위하여 전체가 이동된다. 현가분리장치(10)내에 스토어현가후크(102)(이후 상세히 설명됨)는 현가후크와 이에 대응하는 스토어의 현가돌기(도시하지 않았음) 사이의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된 전기 코넥터와 커플링 플러그를 통하여 스프링(38)의 압축이 요구되는 수직레벨로 착설된다. 따라서, 전기적인 커플링 플러그 하우징(32)은 현가된 스토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탄지된다. 현가후크가 분리될 때, 스프링(38)은 자유롭게 확장되어 커플링 플러그 하우징과 스토어가 현가분리장치(10)의 주동체(12)로부터 충동적 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동형 전기코넥터조립체(16)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 이르렀을 때, 하측으로 이동하는 스토어의 중력과 모멘트(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수직브레이스의 스프링 탄력 등에 의하여 보조된다)는 하우징(32)내의 전기 커플링 플러그가 스토어 소켓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할 것이다. 이에 의하여 스토어는 현가분리장치(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제어된 궤적을 따라 항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여기에서는 각 수직브레이스(18)의 각 지부(20)가 얕은 Y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중앙만곡부를 갖는 한쌍의 가공된 구성요소(23a, 23b)를 포함한다. 각 쌍의 두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기계나사(42)에 의하여 등을 맞대어 고정된다. 이들 구성요소의 상측단부는 구동너트(46)를 삽입할 수 있는 상부포크(4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의 하측단부도 각부(50)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는 하부포크(48)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사하게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구동너트(46)의 트러니언(52)은 지부(20)의 상측단부를 구동너트(46)에 연결하기 위하여 포크(44)의 슬로트(54)에 삽입된다(도 6 참조). 하부포크(48)에 가로질러 착설된 피봇트 핀(56)은 이를 지부의 하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착설할 수 있도록 각부(50)의 수직웨브(58)를 통하여 관통한다(도 4 및 도 6 참조).
각 지부(20)를 관통하는 중앙 피봇트 핀(60)은 센터 브라킷(64)에 형성된 안내슬로트(62)에 삽입되는 외측단부를 갖는다. 중앙 피봇트 핀(60)의 내측단부는 주동체(12)의 인접한 단부면에 형성된 각 C-형 요구(66)내에 삽입된다. 두 수직브레이스의 각 센터 브라킷(64)은 주동체(12)의 양측 단부 각각에 제공되어 이에 이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활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각 브라킷은 주동체(12)의 단부에 형성된 한상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안내슬로트(68, 70)에 밀착되어 활동하는 한쌍의 평행하고 수평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취부안내축(72)을 포함한다. 취부안내축(72)의 내측단부는 슬로트(68, 70)를 통하여 주동체(12)의 내부로 돌출된다. 와샤(74)와 써클립(76)은 센터 브라킷(64)을 고정하나 안내슬로트(68, 70)에서 수직으로 활동가능하도록 축(72)의 내측단부에 착설된다(도 5, 6, 6a 및 7 참조).
브라킷(64)의 내면은 기계나사(80)로 고정되는 스페이서(78)를 갖는다. 토션 스프링(82)이 스페이서(78)에 착설되고 스프링 양단부가 수직브레이스의 각 지부(20)에 형성된 슬로트(84)에 지지된다. 각 슬로트(84)는 관련된 지부(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서 중앙만곡부의 "무릎"에 해당하는 부위에 면취부를 접속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수직브레이스를 구성하는 두개의 지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중앙 피봇트 핀(60)이 센터 브라킷의 안내슬로트(62)의 외측단부를 향하여 그리고 C-형 요구(66)의 양측 외측단부를 향하여 탄지된다. 토션 스프링(82)의 탄력에 대하여 주어진 수직브레이스(18)의 지부를 함께 압착함으로써 각 지부가 구동너트 트러니언(5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중앙 피봇트 핀(60)이 안내슬로트(62)를 따라서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피봇트 핀의 내측단부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C-형 요구의 양단부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센터 브라킷(64)을 포함하는 전체 수직브레이스는 상하로 활동할 수 있으며, 지부(20)의 해제시에, 중앙 피봇트 핀(60)이 C-형 요구(66)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브레이스(18)는 지부(20)를 함께 압착하여 주동체(12)에 대하여 두개의 상이한 수직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지부의 해제시에 이동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잠겨 고정된다.
하부위치에서, 수직브레이스(18)의 각부(50)는 수직브레이스가 상부위치에 놓여 있을 때 보다 커플링 플러그 하우징(32)의 더 아래에 놓이게 된다. 도 9와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부위치는 곡면이 가파른 스토어의 단면(예를 들어 3인치, 즉 76.2 mm 이하의 작은 직경) 보다 적합한 반면에, 상부위치는 곡면이 완만한 스토어의 단면(예를 들어, 12 인치, 305 mm 까지의 큰 직경)에 보다 적합하다.
또한 센터 브라킷(64)은 각 단부에 반대방향 나선을 갖는 리드스크류(88)가 결합되는 베어링 요크(86)를 갖는다. 구동너트(46)가 이들 나선에 각각 하나씩 나선결합으로 착설된다. 리드스크류는 육각단부(90)에 결합되는 윈치 또는 구동키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중공형 그러브 스크류(92)에는 충격이나 진동하에 브라킷(64)에서 리드스크류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드스크류(88)의 주연둘레에 형성된 일련의 홈(94)에 결합가능한 스프링탄지형의 볼정지구가 수용되어 있다. 스토어 직경에 맞추어 수직브레이스를 적당한 높이에 고정하였을 때, 스토어는 전기코넥터조립체(16)에 블라인드 메이팅되고 현가후크(102)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브레이스(18)는 구동너트(46)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리드스크류(88)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토어의 주동체에 확고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수직브레이스의 지부(20)의 상측단부는 외측으로 이동된다. 중앙 피봇트 핀(60)이 센터 브라킷 슬로트(52)의 단부와 C-형 안내슬로트(66)의 단부에 의하여 수직운동이나 외측으로 향하는 수평운동에 대하여 속박된다. 이와 같이 수직브레이스의 지부(20)의 하측단부는 스토어를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한다. 수직브레이스의 지부(20)가 스토어에 확고하게 결합되었을 때, 중앙 피봇트 핀(62)은 안내슬로트(62)를 따라 이동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수직브레이스는 경우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상하의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겨 고정된다.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각부(50)의 피봇트 핀(56)에는 토션스프링(100)이 감겨 있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의 일측 스프링단부(96)는 지부(20)의 두 구성요소 사이에 형성된 요구에 삽입되어 갇히고, 토션 스프링의 타측 스프링단부(98)는 각부(50)의 베이스 내측에 형성된 요구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각부의 내측부는 현가분리장치(10)의 주동체(12)로부터 하측방향과 외측방향으로 탄지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직브레이스 지부(20)가 스토어에 확고하게 결합될 때, 각부(50)의 내측부는 토션 스프링(100)을 프리로딩(preload)하도록 현가분리장치(10)의 주동체(12)를 향하여 상측으로 회전된다. 스토어로부터 현가후크가 분리될 때, 토션 스프링(100)은 각부(50)의 내측부를 현가분리장치의 주동체(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하향 외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리크(flick)" 작동으로 스토어의 방출추진력을 제공한다.
현가후크(102)와 그 래칭기구가 도 2 내지 도 4에서 가장 잘 보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후크는 스토어의 현가돌기(도시하지 않았음)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위치에 놓여 있다. 현가후크(102)는 피봇트 축(104)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토션 스프링(106)에 의하여 분리위치를 향하여 탄지된다. 또한 축(104)은 후크(102)와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고정된 닙(nib)(108)을 갖는다. 스토어(도시하지 않았음)에 부착된 현가돌기가 주동체(12)의 통공(110)에 삽입되고 후크(102)가 분리위치에 있을 때, 현가돌기의 선단부가 닙(108)에 접속하여 이를 밀고 후크(102)를 토션 스프링의 탄력에 대항하여 도 2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위치에서, 후크(102)가 현가분리장치(10)에 스토어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돌기를 통하여 결합된다.
기본 래치기구는 로터리 솔레노이드(114), 솔레노이드의 출력축에 착설된 제1 회전암(116), 두개의 바(two-bar)로 이루어진 "언더센터(undercentre)"형 연결구(118), 장착축(120), 스러스트 휠(124)과 후크(102)와 함께 회전토록 부착된 제어암(122)을 포함한다. 연결구의 상측단부는 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스러스트 휠(124)은 연결구의 두개의 바를 연결하는 피못트 축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연결구(118)의 상측 바는 토션 스프링(124a0에 의하여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지된다. 연결구(118)의 하측 바는 제어암(122)의 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솔레노이드(114)가 비활성화되었을 때, 제1 회전압(116)이 도 2에서 보인 수평의 휴지위치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스프링 탄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1 회전암(116)의 우측단부는 스러스트 휠(124)에 접하여 이를 지지함으로써, 스프링(106, 124a)의 영향으로 연결구(118)가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래치가 분리되었을 때(추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암(116)은 솔레노이드(114)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이는 암(116)의 우측단부가 스러스트 휠(124)에 결합된 것으로부터 이동시켜, 연결구(118)가 자유롭게 접혀지고, 그 상측 바는 스프링(124a)의 영향하에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구가 접혔을 때, 제어암(122)은 부분적으로 스프링(106)의 영향하에 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구(108)가 완전히 접혔을 때, 상측 바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놓이고 후크(102)는 스토어 현가돌기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이를 통공(1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전기 코넥터 조립체(16)와 수직브레이스(18)(특히 이들의 각부 50)는 충격을 가하여 스토어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현가분리장치(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안전래치기구는 제2 로터리 솔레노이드(126), 제2 회전암(128), 결빙안전래치(130)와 수동오버라이드캠(132)을 포함한다. 결빙안전래치(130)는 축(134)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구동슬로트(138)에 삽입된 잠금핀(136)에 의하여 제2 회전암(128)에 연결된다. 제2 회전암(128)은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거의 수직인 휴지위치를 향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1 회전암(116)의 좌측단부에서 정지핀(140)이 제2 회전암(128)의 요입구에 고정되어 제1 회전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솔레노이드(114)가 작동하여 이에 부착된 제2 회전암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정지핀(140)이 요입구에서 분리된다. 이로써 제1 회전암(116)은 솔레노이드(114)가 작동될 때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2 회전암(128)의 시계방향 회전은 잠금핀(136)과 구동슬로트(138)의 연결을 통하여 결빙안전래치(130)가 축(1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는 잠금핀(136)이 닙(108)의 회전경로에서 벗어나 이동하도록 하여 후크(102)가 그 분리위치를 향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제2 솔레노이드(126)의 비활성화는 예를 들어 결빙으로 후크가 끼어 고정된 경우 잠금핀(136)이 닙(108)의 전방으로 역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만약 닙(108)이 축(1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잠금핀(136)에 대하여 가압하는 경우(예를 들어 얼음이 녹아 후크 102가 끼어 있는 상태가 풀리는 경우), 제2 회전암(128)이 잠금핀(136)과 구동슬로트(138)의 연결을 통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된다. 그러나, 제2 회전암(128)은 이러한 제2 회전암의 요입구에 잠금핀(140)에 결합되어 있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본래치기구가 충분히 이동하여 제1 회전암(116)의 우측단부가 더 이상 스러스트 휠(124)에 결합되지 않고 연결구(118)가 접히기 시작하는 경우에도, 후크(102)는 회전되지 않아 스토어의 현가돌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한편, 후크(102)가 완전분리위치로 정확히 회전하는 경우, 닙(108)은 잠금핀(136)의 시계방향에 놓이게 된다. 통공(110)을 통하여 다른 스토어의 현가돌기는 가압하면 닙이 잠금핀을 통과할 때까지 닙(10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잠금핀(13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다. 제2 회전암(138)이 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때, 잠금핀(136)과 결빙안전래치(130)의 나머지부분이 이러한 과정중에 시계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또한 닙(130)의 시계방향 회전은 후크(102)를 현가돌기에 결합시키고 제어암(122)과 연결구(118)를 리셋시켜 순간적으로 스러스트 휠(124)이 이동하고 제1회전암(116)의 우측단부에 대하여 지지된다.
구동슬로트(134a)에 스크류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수동오버라이드캠(132)을 도 2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거의 90°회전시키면 제2 회전암(128)이 약간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회전암을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는 정지핀(140)이 제2 회전암(128)에 의하여 해제된다. 이로써, 안전래치기구가 기본래치기구로부터 분리되나 결빙안전래치(130)는 유효하게 유지된다. 이는 잠금핀(136)과 구동슬로트(138)의 연결에 제공된 공전도에 의하여 보조되어 오버라이드캠(132)이 셋팅되었을 때 일어나는 제2 회전암(128)의 가벼운 시계방향 회전이 잠금핀(136)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이 거의 또는 전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후크(102)의 조립체와 제2 회전암(128)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리미트스위치(136a, 138a)가 제공된다.
10: 현가분리장치, 12: 주동체, 14, 14a: 전기 코넥터, 16: 전기 코넥터 조립체, 18: 수직브레이스, 20: 지부, 22: 크로스바, 24: 소경단부, 26: 안내슬로트, 28: 안내롯드, 30: 장착대, 32: 전기 커플링 플러그 하우징, 33: 리본케이블, 34: 고정크로스바, 35; 리본케이블 코넥터 플러그, 36: 소경단부부분, 38: 압축스프링, 40: 써클립, 42: 기계나사, 44: 상부포크, 46: 구동너트, 48: 하부포크, 50: 각부, 52: 트러니언, 54: 슬로트, 56: 피봇트 핀, 58; 수직웨브, 60: 중앙 피봇트 핀, 62: 안내롯드, 64: 센터 브라킷, 66: C-형 요구, 68, 70: 안내슬로트, 72: 안내축, 74: 와야, 76: 써클립, 78: 스페이서, 80: 기계나사, 82: 토션 스프링, 84: 슬로트, 86: 베어링 요크, 88: 리드스크류, 90: 육각단부, 92: 그러브 스크류, 94: 홈, 96, 98: 스프링단부, 100: 토션 스프링, 102: 현가후크, 104: 피봇트 핀, 106: 토션 스프링, 108: 닙, 110: 통공, 114: 로터리 솔레노이드, 116: 제1 회전암, 118: 연결구, 120: 장착대, 122: 제어암, 124: 스러스트 휠, 124a: 토션 스프링, 126: 로터리 솔레노이드, 128: 회전암, 130: 결빙안전래치, 132: 수동오버라이드캠, 134: 축, 136: 잠금핀, 138: 구동슬로트, 140: 정지핀.

Claims (20)

  1. 수직브레이스와 스토어에 결합가능한 현가후크를 포함하고, 수직브레이스가 길이, 높이 또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지부와 상기 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각부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에 있어서, 각부의 회전이 현가후크로부터 스토어의 분리시에 스토어에 방출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출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 각부를 탄지하는데 기계적인 스프링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브레이스의 지부가 각부를 스토어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수직브레이스의 지부의 각도 조절이 리드스크류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수직브레이스가 한쌍의 상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지부와 각부를 포함하고, 각 지부에는 각 구동너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드스크류는 각 단부에 방향이 반대인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각 구동너트는 이들 각 나선에 하나씩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도 조절가능한 지부가 현가후크에 대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수직브레이스가 한쌍의 상기 조절가능한 지부를 함께 압축하여 상이한 두 수직위치로 자유롭게 이동되며, 지부의 해제시에 이러한 지부가 이동하였던 위치에 자동적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방출추진력이 현가분리장치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 각부의 적어도 일부를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수직브레이스 또는 그 일부분이 방출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전동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주동체와 전기 코넥터를 더 포함하고, 전기 코넥터가 스토어와 결합가능하며 주동체와 전기 코넥터 사이에서 작용하는 탄성하에 이동가능하며, 주동체가 항공기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되어 있어 전기 코넥터의 탄성이 항공기와 스토어 사이에 방출추진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기계적인 스프링이 전기 코넥터를 탄지하고 전기코넥터 방출추진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전기 코넥터 또는 그 일부분이 방출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전동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전기 코넥터를 주동체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 탄지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18221A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KR102009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21473.8A GB2532969A (en) 2014-12-01 2014-12-01 Small store suspension and release unit
GB1421473.8 2014-12-01
PCT/GB2015/053609 WO2016087822A1 (en) 2014-12-01 2015-11-26 Small store suspension and release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269A Division KR102091959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KR1020187018270A Division KR102091960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636A KR20170092636A (ko) 2017-08-11
KR102009097B1 true KR102009097B1 (ko) 2019-08-08

Family

ID=523498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269A KR102091959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KR1020187018270A KR102091960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KR1020177018221A KR102009097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269A KR102091959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KR1020187018270A KR102091960B1 (ko) 2014-12-01 2015-11-26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18883B2 (ko)
EP (2) EP3287368B1 (ko)
KR (3) KR102091959B1 (ko)
CN (3) CN112238944A (ko)
GB (1) GB2532969A (ko)
TR (1) TR201900966T4 (ko)
WO (1) WO2016087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2897B2 (en) 2017-01-18 2020-05-26 Woodward, Inc. Over-center thrust reverser primary lock
US11459102B2 (en) 2018-11-26 2022-10-04 The Boeing Company Container retention and release apparatus having integral swaybrace and retention features
US11332246B2 (en) * 2018-11-26 2022-05-17 The Boeing Company Container retention and release apparatus for use with aircraft
CN109760841B (zh) * 2019-01-23 2024-01-26 西安深瞳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小型无人机武器挂架
US11505318B2 (en) 2019-06-12 2022-11-22 The Boeing Company Container retention and release apparatus having integral swaybrace and retention features
CN112124593A (zh) * 2020-08-31 2020-12-25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针对第i重量级悬挂物吊耳的小型挂载投放机构
WO2023146498A1 (en) * 2022-01-26 2023-08-03 Ostim Teknik Universitesi Modular useful load carriage and release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8931A (en) * 1944-06-02 1946-07-17 Fairey Aviat Co Ltd Improved means for supporting bombs, torpedoes and similar bodies on aircraft and in like situations
US2856224A (en) * 1955-06-02 1958-10-14 Pastushin Aviat Corp Means for mounting jettisonable stores on aircraft
US2865584A (en) * 1956-03-19 1958-12-23 North American Aviation Inc Aircraft pylon ejector
GB1088571A (en) * 1964-02-21 1967-10-25 Plessey U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bined ejector and release devices for aircraft stores
US3967528A (en) * 1974-04-05 1976-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Bomb rack sway bolt assembly
DE2457795B2 (de) * 1974-09-16 1980-04-03 R. Alkan & Cie., Paris Vorrichtung zum Anhängen und Verspannen von unter einem Flugzeug rnitzuführenden Lasten
US4050656A (en) * 1976-05-17 1977-09-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Ejector rack
IL55454A0 (en) * 1977-09-26 1978-10-31 Ml Aviation Co Ltd Load ejector release units having self-closing hooks
US4138181A (en) * 1978-04-25 1979-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eleasable electrical connector
DE2954483C2 (ko) * 1978-12-15 1989-10-26 R. Alkan & Cie, Valenton, Fr
US4233883A (en) * 1979-01-11 1980-11-18 Edo Corporation Automatically self-adjusting and load-limiting swaybrace system
FR2457218A1 (fr) * 1979-05-23 1980-12-19 Thomson Brandt Dispositif de securite de largage d'une charge, suspendue a un aeronef pour son transport, et charge equipee d'un tel dispositif
US4257639A (en) * 1979-12-17 1981-03-2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Ejector device for stores
DE3008397A1 (de) * 1980-03-05 1981-09-10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Einrichtung zum ver- und entriegeln des aufhaengehakens fuer aussenlasten an flugzeugen
US4399733A (en) * 1981-08-28 1983-08-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emiautomatic swaybrace
US4678219A (en) * 1986-05-14 1987-07-07 Aeroquip Corporation Helicopter cargo hook
GB0100277D0 (en) * 2001-01-05 2001-02-14 Flight Refueling Ltd Release suspension for an airborne store
US6517128B2 (en) * 2001-02-06 2003-02-11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 operated release mechanism
DE10149201C1 (de) * 2001-10-05 2003-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r Lichtbogenunterdrückung bei einem elektrischen Steckverbinder
DE10203523B4 (de) * 2002-01-14 2006-12-14 Eads Deutschland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zur Verriegelung zweier Strukturteile
GB2382733B (en) * 2002-12-17 2004-02-04 Mbm Technology Ltd Electrical connnector
GB0315941D0 (en) * 2003-07-08 2003-08-13 Smiths Group Plc Locking mechanisms
JP4503266B2 (ja) * 2003-11-18 2010-07-14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ロック装置
WO2006081820A1 (en) * 2005-02-01 2006-08-10 Terma A/S Uncoupling mechanism for male and female connectors
US7648104B1 (en) * 2006-06-15 2010-01-19 The Boeing Company Store ejector rack
US7850123B2 (en) * 2006-09-08 2010-12-14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ble retractor
US9108731B2 (en) * 2006-12-18 2015-08-18 The Boeing Company Repairable lanyard release connector
GB0703597D0 (en) * 2007-02-23 2007-04-04 Meritor Technology Inc Latch assembley
US8052444B1 (en) * 2009-09-02 2011-11-08 Raytheon Company Latching release system for a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38944A (zh) 2021-01-19
KR102091959B1 (ko) 2020-03-20
EP3287368A1 (en) 2018-02-28
WO2016087822A1 (en) 2016-06-09
KR20180074820A (ko) 2018-07-03
EP3227182A1 (en) 2017-10-11
CN107406143A (zh) 2017-11-28
US20180281952A1 (en) 2018-10-04
GB201421473D0 (en) 2015-01-14
KR102091960B1 (ko) 2020-03-20
EP3227182B1 (en) 2019-01-02
US10518883B2 (en) 2019-12-31
GB2532969A (en) 2016-06-08
TR201900966T4 (tr) 2019-02-21
KR20180074821A (ko) 2018-07-03
EP3287368B1 (en) 2023-08-30
CN112249335A (zh) 2021-01-22
KR20170092636A (ko) 2017-08-11
WO2016087822A4 (en) 2016-08-25
CN107406143B (zh) 202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097B1 (ko) 소형 스토어의 현가분리장치
US7648104B1 (en) Store ejector rack
US8964928B2 (en) Device for gripping fuel elements, associated clamp and associated handling system
CN114161987B (zh) 换电设备解锁装置、换电设备及电池箱快速换电系统
CN108100311B (zh) 微小卫星分离装置及其释放方法
EP2848538B1 (en) Non-explosive tension release actuator
CN104240614A (zh) 快拆装置及具有该快拆装置的显示装置
JP2012502264A5 (ko)
ES2664054T3 (es) Mecanismo de retención y procedimiento para soportar de forma separable un controlador portátil de vuelo
EP3353109B1 (en) System for quick coupling and uncoupling of a tracked unit with respect to a chassis of a tracked machine, particularly a tracked pipe laying machine
CN110530195A (zh) 一种用于无人机挂载机枪的驱动结构
CN112247905B (zh) 一种面向科学级ccd的保护外壳分离装置和方法
EP3344548A1 (en) Rigidizing latch assembly
CN104590578A (zh) 无人机锁闭释放机构
CN102759300B (zh) 一种机械式锁弹机构
CN107933974B (zh) 卫星返回舱及其主降落伞的弹射方法
CN109262484B (zh) 一种夹钳
EP2938916B1 (en) Payload transport stabilizer, vehicle and method
JP2005118039A (ja) カップリングフック
KR101649411B1 (ko) 원격사격체계의 고각 구동장치의 브레이크 해제장치
CN220448127U (zh) 一种抛放装置及无人直升机
CN217823949U (zh) 一种电动绝缘锁杆
CN201115108Y (zh) 电子设备机柜走线带与插箱的连接装置
WO2022229196A1 (de) Fluggerät mit einem batterieblock
CN102328142A (zh) 钎焊炉炉门锁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