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068B1 -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및 역침투막 장치 - Google Patents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및 역침투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068B1
KR102009068B1 KR1020157021769A KR20157021769A KR102009068B1 KR 102009068 B1 KR102009068 B1 KR 102009068B1 KR 1020157021769 A KR1020157021769 A KR 1020157021769A KR 20157021769 A KR20157021769 A KR 20157021769A KR 102009068 B1 KR102009068 B1 KR 10200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water
raw wat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972A (ko
Inventor
구니히로 하야카와
다카히로 가와카츠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11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090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01Spiral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4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MBR 처리수 등의 막 오염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원수를, 투과수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역침투막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고분자 유기물을 함유하는 물을 원수로서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그 원수가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고, 그 역침투막 장치는,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갖고, 그 역침투막 장치를 투과 유속 0.6 m/d 이하로 운전한다.
막 면적 (㎡) ≥ n2 × (11/16) … (1)
단, n 은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인치) 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및 역침투막 장치{METHOD OF OPERATING REVERSE OSMOSIS MEMBRANE DEVICE,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DEVICE}
본 발명은, MBR 처리수 등의, 막에 흡착되어 막 오염을 진행시키는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을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역침투막 장치를 사용한 생물 처리수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역침투막은, 종래, 해수 담수화, 초순수 제조, 공업용수 처리, 배수 회수 처리 등에 있어, 원수 중의 이온류나 유기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역침투막은 막 표면에서의 미생물의 번식이나 유기물의 흡착에 의해 투과 유속이 저하되거나 탁질에 의한 폐색으로 모듈 차압이 상승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역침투막을 정기적으로 세정하여, 투과 유속이나, 엘리먼트의 원수측과 농축수측의 차압 (이하, 엘리먼트 차압) 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역침투막 엘리먼트로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가 알려져 있다. 투과수 스페이서의 양면에 역침투막을 중첩하여 3 변을 접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 막을 형성하고, 그 주머니 형상 막의 개구부를 투과수 집수관에 설치하여, 망상의 원수 스페이서와 함께, 투과수 집수관의 외주면에 스파이럴상으로 감음으로써 구성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가 알려져 있다. 이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에서는, 원수는 엘리먼트의 일방의 단면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원수 스페이서를 따라 흐르고, 타방의 단면측으로부터 농축수로서 배출된다. 원수는 원수 스페이서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역침투막을 투과하여 투과수가 된다. 이 투과수는 투과수 스페이서를 따라 투과수 집수관의 내부로 흘러들고, 투과수 집수관의 단부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에서는, 투과수 집수관에 감겨진 주머니 형상 막 사이에 배치 형성되는 원수 스페이서에 의해 원수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의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탁질이 원수 유로를 폐색하기 어려워져, 탁질 축적에 의한 엘리먼트 차압의 상승이나 투과수량, 투과수질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탁질에 의한 폐색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를 크게 한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가 출시되어 있다.
원수 스페이서를 두껍게 하면, 엘리먼트당의 막 면적이 작아져, 엘리먼트당의 투과수량이 감소한다. 시판되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막 면적은 42 ㎡ (440 ft2) 이하이다.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를 크게 해도, 막 오염 물질의 흡착에 의한 투과 유속의 저하에 대한 개선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엘리먼트당의 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반적으로는,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가 얇아지면 탁질에 의한 유로의 폐색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가 얇은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특성이 있고, 어떠한 운전을 하면 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하수 등의 유기성 오수를 생물 처리조에서 활성 오니 처리하고, 생물 처리조 내에 침지 설치한 침지형 막분리 장치로 활성 오니 혼합액을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활성 오니법 (MBR:멤브레인 바이오리엑터) 은, 안정적인 수질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고, 또, 활성 오니 농도를 높여 고부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MBR 처리수 (침지형 막분리 장치의 막여과수) 를 직접 역침투막 장치에 급수하여 역침투막 분리 처리하는 유기성 배수의 처리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MBR 처리수는, 막 오염 물질이 되는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많이 포함한다. 따라서, MBR 처리수를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투과 유속의 저하 혹은 막간 차압의 증가가 크다.
일본 특허 공보 제4107724호
「사용자를 위한 실용 막 분리 기술」(1996년 4월 30일 초판 1쇄 발행, 일간 공업 신문사) 제6페이지 「수처리막의 제막 기술과 재료 평가」 (2012년 1월 30일 제1판 제1쇄 발행,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제11페이지
본 발명은, MBR 처리수 등의 막 오염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원수를, 투과수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역침투막 장치 및 그 운전 방법과, 이 역침투막 장치를 사용한 생물 처리수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역침투막은, 통수에 의해 막 표면에서 농도 분극으로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농도 분극이 커지면, 막면의 용질 농도가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유동 조건을 해석한 결과, 이하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막의 투과 유속을 작게 하면 농도 분극은 작아진다.
2) 막 표면의 통수 선속을 크게 하면 농도 분극은 작아진다.
3) 용질의 분자량이 커지면 농도 분극이 커진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막 오염에 의한 파우링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이,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 특히 다당류, 단백질과 같은 생물 대사물인 것, 그것들의 고분자 유기물이 농도 분극에 의해 막면 농도가 상승했을 때에, 투과 유속 및 투과수량의 저하가 현저해지는 것을 밝혀내었다.
추가로 검토를 거듭한 결과, 다음의 지견을 얻었다. 역침투막 엘리먼트로서 엘리먼트당의 막 면적을 크게 한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투과수량에 있어서도 종래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보다 투과 유속을 작게 할 수 있다. 일정값 이하의 투과 유속으로 운전함으로써, 농도 분극을 작게 하여, 투과 유속 및 투과수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통수 선속을 일정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과 유속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달성된 것으로, 이하를 요지로 한다.
[1] 고분자 유기물을 함유하는 물을 원수로서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그 원수가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고, 그 역침투막 장치는,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막 면적을 갖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갖고, 그 역침투막 장치를 투과 유속 0.6 m/d 이하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막 면적 (㎡) ≥ n2 × (11/16) … (1)
단, n 은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인치) 을 나타낸다.
[2] 상기 투과 유속이 0.45 m/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3] 선속 0.1 m/s 이상의 농축수 유량으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또는 [2] 에 기재된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4] 상기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n 이 8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5] 상기 원수가 MBR 처리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6]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는 물을 원수로서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로서,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막 면적을 갖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갖고, 투과 유속 0.6 m/d 이하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장치.
막 면적 (㎡) ≥ n2 × (11/16) … (1)
단, n 은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인치) 을 나타낸다.
[7] 생물 처리수를 [6] 에 기재된 역침투막 장치에서 역침투막 분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처리수의 처리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MBR 처리수 등의 막 오염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원수를, 투과수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역침투막 분리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먼트당의 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동일 투과수량에 있어서도 종래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보다 투과 유속을 작게 할 수 있다. 일정값 이하의 투과 유속으로 운전함으로써 막면에서의 농도 분극을 작게 하여, 투과수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기에 걸쳐 안정적인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1 의 (a), (b) 및 (c) 는 본 발명의 생물 처리수의 처리 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a 는, NaCl 수용액 또는 평균 분자량 10,000 의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을 원수로 하는 역침투막 분리 처리에 있어서의 투과 유속과 농축 배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b 는, 동 평균 선속과 농축 배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평막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수>
본 발명에 있어서, 역침투막 장치에서 역침투막 분리 처리하는 원수는,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는 물이다.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 특히 다당류, 단백질과 같은 생물 대사물은, 막을 오염시키기 쉽고, 투과 유속의 저하의 원인이 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 예를 들어 0.05 ∼ 0.5 ppm 포함하고, 통수에 의해 역침투막의 투과 유속을 크게 저하시키는 물을 원수로 한다.
이와 같은 고분자 유기물 함유수로는, 각종 배수의 회수수나 생물 처리수, 특히 MBR 처리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의 수중 농도의 측정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LC-OCD (액체 크로마토-유기 탄소 측정) 나 HPLC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자량 분획하여 TOC 등을 측정하는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농도는, 사전에 분획 분자량 10,000 의 UF 막을 이용하여 분자량 10,000 이상의 물질과 10,000 미만의 물질을 분리하고, TOC 분석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역침투막 장치에 장전되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는, 역침투막의 평막의 1 차측 (일방의 면) 에 원수를 통수하기 위한 원수 스페이서를 배치하고, 2 차측 (타방의 면) 에 투과수를 통수하기 위한 투과수 스페이서를 배치한 막 유닛을 감아 스파이럴상으로 한 것이다.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으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4 인치, 8 인치, 16 인치인 것이 제공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8 인치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가 사용되고 있다.
엘리먼트의 길이는 통상 1 m 정도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는,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막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막 면적 (㎡) ≥ n2 × (11/16) … (1)
단, n 은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인치) 을 나타낸다.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막 면적이 상기 식 (1) 을 만족시키지 않고, 막 면적 (㎡) 이 n2 × (11/16) 보다 작으면, 동일 투과수량에 있어서의 투과 유속을 작게 할 수 없어, 본 발명의 목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막 면적 (㎡) 은, 특히 n2 × 11/16 이상, 특히 n2 × 13/16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역침투막, 원수 스페이서 및 투과수 스페이서의 필요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막 면적은 n2 × 16/16 이하이다.
역침투막의 재질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거율이 높은 막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페닐렌디아민과 산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기재 위에 합성된 방향족 폴리아미드막이 바람직하다. 역침투막의 두께는 0.1 ∼ 0.15 ㎜ 가 통상 사용되는 범위이다.
원수 스페이서, 투과수 스페이서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선재가 등간격으로 나열되고, 45 도 내지 90 도의 각도로 서로 교차하도록 중첩된 메시상의 스페이서가 일반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원수 스페이서로서, 두께가 0.69 ㎜ (26 mil), 0.71 ㎜ (28 mil), 0.86 ㎜ (34 mil) 인 것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 (1) 을 만족시키기 위해, 원수 스페이서로는 두께 0.6 ㎜ 이하, 예를 들어 0.2 ∼ 0.6 ㎜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엘리먼트당의 막 면적이 작아져, 상기 식 (1) 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탁질에 의한 유로의 폐색이 문제가 된다.
메시상 원수 스페이서의 공공률은 60 ∼ 95 %, 메시의 크기는 1.0 ∼ 4.0 ㎜ 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공률과 메시의 크기의 메시상 원수 스페이서이면, 통수성을 충분히 확보한 다음, 원수의 혼합 효과를 주어 농도 분극의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공공률이란 공간 체적으로부터 선재의 체적을 뺀 것을 공간 체적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다. 메시의 크기란 선재 사이의 간격이다.
투과수 스페이서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0.1 ∼ 0.25 ㎜ 가 바람직하다. 투과수 스페이서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원수 스페이서와 마찬가지로 엘리먼트당의 막 면적이 작아지고, 지나치게 얇으면 차압이 커져, 투과수량이 작아진다.
<투과 유속>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막 면적을 갖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사용한 역침투막 장치를 투과 유속 0.6 m/d 이하로 운전한다.
일반적으로, 역침투막 장치의 표준 조작압에서의 순수 투과 유속은 0.7 ∼ 0.85 m/d 이고, 무기염류나 유기물을 포함하는 원수를 통수하는 경우에는, 0.5 ∼ 0.7 m/d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통상이다.
본 발명자는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이 역침투막을 오염시키는 물질인 것, 그 고분자 유기물 농도의 막면 농도가 1 ppm 을 초과하면 투과 유속의 저하가 현저해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이 0.01 ppm 이상 포함되는 원수에 있어서, 막면 농도의 농축 배율이 100 배를 초과하면 투과 유속의 저하가 현저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농축 배율이 100 배를 초과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투과 유속이 0.6 m/d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투과 유속 0.6 m/d 이하, 바람직하게는 0.45 m/d 이하로 역침투막 장치를 운전한다. 그러나, 투과 유속을 지나치게 낮추면, 필요로 하는 막 개수가 많아져, 경제적이지 않기 때문에, 투과 유속은 0.2 m/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수 유량은, 통상, 8 인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경우 2.0 ∼ 8.0 ㎥/h 이고, 이 때의 선속은 0.05 ∼ 0.15 m/s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농축수의 통수 선속에 대해서는, 투과 유속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0.1 m/s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막면 농도를 상승시키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선속이 0.1 m/s 보다 낮아지면 막면의 농축 배율이 100 배를 초과하여 투과 유속의 저하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선속이 0.2 m/s 를 초과하면 압력 손실이 지나치게 커져 막의 파손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선속은 0.1 ∼ 0.2 m/s 이다.
8 인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로서, 막 면적이 n2 × (11/16) = 44 ㎡ 보다 작은 것에서는,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운전을 실시하면, 투과수량, 및 물 회수율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상기의 투과 유속과 선속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막 면적이 44 ㎡ 이상, 즉 n2 × (11/16) 이상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생물 처리수의 처리>
본 발명의 역침투막 장치는, 특히 생물 처리수의 역침투막분 처리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1 의 (a), (b) 및 (c) 는, 본 발명의 역침투막 장치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생물 처리수의 처리 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1 의 (a) 에서는, 생물 처리수는, 호기 및/또는 혐기성 생물 처리 수단 (1), 응집 처리 수단 (2), 가압 부상 등의 고액 분리 수단 (3), 여과 수단 (4), 보안 필터 (5) 및 역침투막 장치 (6) 에서 처리된다. 도 1 의 (b) 에서는, 생물 처리 수단 (1) 의 처리수를 직접 막 여과 장치 등의 여과 수단 (4) 에서 고액 분리한 물을 역침투막 장치 (6) 에 도입하여 역침투막 분리 처리한다. 도 1 의 (c) 에서는, MBR (침지형 막분리 장치) (7) 의 처리수를 직접 역침투막 장치 (6) 에 도입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 방법은, 이들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 참고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예 1]
직경 8 인치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 (n2 × (11/16) = 44) 에 있어서의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와 막 면적의 관계와, 유량이 일정할 때의 투과 유속과 선속의 관계를, 이하의 표 1, 2 에 나타낸다.
표 1,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엘리먼트 1 개당의 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파우링에 의한 플럭스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원수 스페이서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면, 예를 들어, 0.2 ㎜ 이하이면, 통수 저항이 커져, 탁질 등에 의한 폐색의 리스크가 높아진다.
Figure 112015078054756-pct00001
Figure 112015078054756-pct00002
[참고예 2]
역침투막 분리 처리에 있어서, NaCl 수용액, 또는 평균 분자량 10,000 의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을 원수로 하는 경우의 투과 유속 또는 평균 선속과 농축 배율 (막면 농도/평균 벌크 농도) 의 관계를 해석한 결과, 도 2a, 2b 에 나타내는 관계가 얻어졌다.
도 2a, 2b 로부터,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NaCl 등의 분자량이 작은 물질과 비교하여, 고분자 유기물의 막면 농도는, 투과 유속의 증대, 평균 선속의 저하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막 면적 44.0 ㎡ 의 8 인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상정하고, 닛토덴코 제조 역침투막 「ES20」 (두께 0.13 ㎜) 으로부터 평막을 폭 50 ㎜ × 길이 800 ㎜ 로 잘라내고, 두께 0.65 ㎜ 의 폴리프로필렌제(製) 메시상 원수 스페이서 (공공률 92 %, 메시의 크기 2.6 ㎜) 및 두께 10 ㎜ 의 세라믹스 (다공질 세라믹스 소결체) 제 투과수 스페이서와 함께 도 3 에 나타내는 시험용 평막 셀에 설치하였다.
도 3 에 나타내는 평막 셀은, 아크릴제의 유로 형성 부재 (21, 22, 23), SUS 제 내압 보강 부재 (24, 25) 를 조합하여 형성된 공간 내에, 원수 스페이서 (11) 와 투과수 스페이서 (12) 를 역침투막 (10) 을 통하여 적층한 막 유닛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원수는, 원수 유입구 (13) 로부터 역침투막 (10) 의 1 차측에 유입되어 원수 스페이서 (11) 를 따라 흐르고, 그 사이에 역침투막 (10) 을 투과한 투과수는, 투과수 스페이서 (12) 를 거쳐 투과수 유출구 (15) 로부터 취출된다. 또, 농축수는 농축수 유출구 (14) 로부터 취출된다.
원수로서 생물 처리수를 응집 여과한 물을 사용하여, 투과 유속을 0.6 m/d,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11 m/s 로 통수하고,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10 ㎥/h, 초기 농축 수량은 5.66 ㎥/h 였다.
원수 중의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의 농도는 0.05 ppm 이었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막 면적 37.1 ㎡ 의 8 인치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상정하고, 두께 0.86 ㎜ 의 폴리프로필렌제 원수 스페이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0.93 ㎥/h, 초기 농축 수량은 6.32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투과 유속을 0.70 m/d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28 ㎥/h, 초기 농축 수량은 5.66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투과 유속을 0.70 m/d 로 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08 ㎥/h, 초기 농축 수량은 6.32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09 m/s 로 통수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10 ㎥/h, 초기 농축 수량은 4.63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09 m/s 로 통수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0.93 ㎥/h, 초기 농축 수량은 5.17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09 m/s 로 통수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28 ㎥/h, 초기 농축 수량은 4.63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투과 유속을 0.70 m/d,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09 m/s 로 통수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 유량은 1.08 ㎥/h, 초기 농축 수량은 5.17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막 면적 50.7 ㎡ 의 8 인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상정하고, 두께 0.5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원수 스페이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27 ㎥/h, 초기 농축 수량은 4.11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막 면적 56.4 ㎡ 의 8 인치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상정하고, 두께 0.4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원수 스페이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41 ㎥/h, 초기 농축 수량은 3.65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투과 유속을 0.50 m/d,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11 m/s 로 통수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06 ㎥/h, 초기 농축 수량은 5.02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투과 유속을 0.45 m/d, 농축수 유량을 선속으로서 0.11 m/s 로 통수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06 ㎥/h, 초기 농축 수량은 4.47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막 면적 63.6 ㎡ 의 8 인치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상정하고, 두께 0.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원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투과 유속을 0.40 m/d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06 ㎥/h, 초기 농축 수량은 3.78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의 농도가 0.005 ppm 의 물을 원수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500 시간 후의 투과수량을 조사하였다. 8 인치 엘리먼트 환산의 초기 투과수량은 1.08 ㎥/h, 초기 농축 수량은 6.32 ㎥/h 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78054756-pct00003
표 3 으로부터, 다음의 것이 명확하다.
실시예 1 ∼ 7 에서는, 500 시간 경과해도 안정적으로 높은 투과수량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실시예 6, 7 은 500 시간 경과 후에서는 투과수량 저하가 일어나지 않았다. 비교예 1, 4 는 투과수량의 저하는 그다지 일어나지 않지만, 초기의 투과수량이 낮기 때문에, 500 시간 후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투과수량은 낮다. 비교예 2, 5 는 초기의 투과수량은 크지만, 투과수량의 저하가 크기 때문에, 500 시간 후에 얻어지는 투과수량은 낮다. 비교예 3, 6 도 투과수량의 저하가 크고, 500 시간 후에 얻어지는 투과수량은 낮다. 비교예 7 과 같이, 원수의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투과수량의 저하가 완만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초순수 제조, 공업용수 처리, 배수 회수 처리 등에 사용되는 각종 역침투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생물 처리수, 특히 MBR 처리수를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3년 2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031032 에 기초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 생물 처리 수단
2 : 응집 처리 수단
3 : 고액 분리 수단
4 : 여과 수단
5 : 보안 필터
6 : 역침투막 장치
7 : MBR (침지형 막분리 장치)
10 : 역침투막
11 : 원수 스페이서
12 : 투과수 스페이서

Claims (7)

  1. 고분자 유기물을 함유하는 물을 원수로서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그 원수가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고, 그 역침투막 장치는,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막 면적을 갖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갖고, 두께가 0.1 mm 이상 0.25 mm 이하인 투과수 스페이서를 갖고, 그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n 이 8 인치이며, 그 역침투막 장치를 투과 유속 0.45 m/d 이하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막 면적 (㎡) ≥ n2 × (11/16) … (1)
    (단, n 은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인치) 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선속 0.1 m/s 이상의 농축수 유량으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가 MBR 처리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4.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유기물을 0.01 pp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는 물을 원수로서 처리하는 역침투막 장치로서, 하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막 면적을 갖는 스파이럴형 역침투막 엘리먼트를 갖고, 두께가 0.1 mm 이상 0.25 mm 이하인 투과수 스페이서를 갖고, 그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n 이 8 인치이며, 투과 유속 0.45 m/d 이하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장치.
    막 면적 (㎡) ≥ n2 × (11/16) … (1)
    (단, n 은 역침투막 엘리먼트의 직경 (인치) 을 나타낸다.)
  5. 생물 처리수를 제 4 항에 기재된 역침투막 장치에서 역침투막 분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처리수의 처리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7021769A 2013-02-20 2014-02-14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및 역침투막 장치 KR102009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1032A JP5828328B2 (ja) 2013-02-20 2013-02-20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JPJP-P-2013-031032 2013-02-20
PCT/JP2014/053471 WO2014129398A1 (ja) 2013-02-20 2014-02-14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972A KR20150120972A (ko) 2015-10-28
KR102009068B1 true KR102009068B1 (ko) 2019-08-08

Family

ID=5139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769A KR102009068B1 (ko) 2013-02-20 2014-02-14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및 역침투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52219B2 (ko)
JP (1) JP5828328B2 (ko)
KR (1) KR102009068B1 (ko)
CN (1) CN105008286B (ko)
SG (1) SG11201506179UA (ko)
TW (1) TWI581858B (ko)
WO (1) WO2014129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4781B2 (ja) * 2013-12-26 2019-08-07 栗田工業株式会社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US20190137210A1 (en) * 2017-11-06 2019-05-09 Larry E. Moore Boresighter trainer for gun
SG11201701131RA (en) * 2014-08-19 2017-03-30 Kurita Water Ind Ltd Reverse osmosis membran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6637232B2 (ja) * 2014-11-13 2020-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用透過側流路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089352B2 (ja) * 2016-09-16 2022-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CN109715275B (zh) 2016-09-21 2021-12-31 东丽株式会社 分离膜元件及其运转方法
CN112165984B (zh) * 2018-05-21 2021-11-12 栗田工业株式会社 逆渗透系统的诊断装置
CN111908718A (zh) * 2020-08-11 2020-11-10 浙江天行健水务有限公司 一种垃圾渗透液的深度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542A (ja) * 1999-04-09 2000-10-17 Toray Ind Inc スパイラル型逆浸透膜エレメント
JP2005111473A (ja) * 2003-09-17 2005-04-28 Nitto Denko Corp 膜エレメント用シール材保持部材および膜エレメント
JP2009240902A (ja) * 2008-03-31 2009-10-22 Toray Ind Inc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98B2 (ja) * 1985-02-12 1995-01-25 栗田工業株式会社 し尿系汚水の処理装置
JPH08108048A (ja) * 1994-10-12 1996-04-30 Toray Ind Inc 逆浸透分離装置及び逆浸透分離方法
JPH10230140A (ja) * 1997-02-19 1998-09-02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4107724B2 (ja) 1997-10-21 2008-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DE69942763D1 (de) * 1998-06-18 2010-10-28 Toray Industries Spiralförmiges umkehrosmosemembranelement, verwendung in einem umkehrosmosemembranmodu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kehrosmosetrennung unter verwendung des moduls
JP4583671B2 (ja) * 2000-07-19 2010-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および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および洗浄方法
EP1322407A4 (en) * 2000-09-05 2004-07-28 Miox Corp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81336B2 (en) * 2002-05-02 2005-04-19 Filmtec Corporation Spiral wound element with improved feed space
JP2004050005A (ja) * 2002-07-18 2004-02-19 Japan Organo Co Ltd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逆浸透膜モジュール及び逆浸透膜装置
US20050006295A1 (en) * 2003-02-10 2005-01-13 Upen Bharwada Water treatment system
US7172697B2 (en) * 2003-09-17 2007-02-06 Nitto Denko Corporation Seal ring holder for membrane element and membrane element
US7198719B2 (en) 2004-09-03 2007-04-03 Nitto Denko Corporation Sealer holding member for membrane element and membrane element using the same
US20110290728A1 (en) * 2010-05-25 2011-12-01 General Electric Company SWRO Pressure Vessel and Process That Increases Production and Product Quality and Avoids Scaling Problems
SG189983A1 (en) * 2010-10-26 2013-06-28 Toray Industries Separation membrane, separation membrane element and separation membrane production method
US20130146531A1 (en) * 2011-12-09 2013-06-13 General Electric Company Feed spacers for spiral wound membrane element
CN102580557A (zh) * 2012-03-12 2012-07-18 王丽华 一种低压降螺旋卷式膜元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542A (ja) * 1999-04-09 2000-10-17 Toray Ind Inc スパイラル型逆浸透膜エレメント
JP2005111473A (ja) * 2003-09-17 2005-04-28 Nitto Denko Corp 膜エレメント用シール材保持部材および膜エレメント
JP2009240902A (ja) * 2008-03-31 2009-10-22 Toray Ind Inc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8286B (zh) 2017-09-22
KR20150120972A (ko) 2015-10-28
US10252219B2 (en) 2019-04-09
SG11201506179UA (en) 2015-09-29
TW201500103A (zh) 2015-01-01
JP5828328B2 (ja) 2015-12-02
WO2014129398A1 (ja) 2014-08-28
JP2014159015A (ja) 2014-09-04
TWI581858B (zh) 2017-05-11
US20160016122A1 (en) 2016-01-21
CN105008286A (zh)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068B1 (ko) 역침투막 장치의 운전 방법, 및 역침투막 장치
KR102009550B1 (ko) 다단 역침투막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Ghernaout et al. Water reuse: Extenuating membrane fouling in membrane processes
KR20070011407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제조 방법, 선박용 밸러스트수 제조장치 및 그의 용도
JP2000000437A (ja) スパイラル型逆浸透膜エレ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離装置
KR102235424B1 (ko) 역침투막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imura et al. Confirm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membrane fouling in microfiltration and biopolymer concentrations in various Japanese surface waters
SA08290598B1 (ar) عملية وجهاز لتقليل التلوث الحيوي على أغشية عمليات فصل الأغشية المدارة بالضغط
Gullinkala et al.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applications–an overview
Aly et al. Biological filtration with and without prior in-line coagulation to reduce UF fouling by secondary effluent
JP6630689B2 (ja) 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方法
JP2019217504A (ja) 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方法
Choi Critical flux, resistance, and removal of contaminants in ultrafiltration (UF) of natural organic materials
Guglielmi et al. Selection and design of membrane bioreactors in environmental bioengineering
Choi et al. Large-pore membrane filtration with coagulation as an MF/UF pretreatment process
Abdallah et al. Design of low energy integrated membranes units for production of highly purified water
Saha et al. Purification of Humic acids contained simulated wastewater using membrane ultrafiltration
Waterman Bench-scale analysis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for investigating fouling by natural organic matter in surface water
Kaykhaii et al. Enhancing stormwater treatment through ultrafiltration: Impact of cleaning chemicals and backwash duration on membrane efficiency
Cartwright Application of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ies to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e
Tataru et al. EXPLOITATION OF ORGANIC ULTRAFILTRATION MEMBRANES IN THE REMOVAL OF PEPTONE FROM WASTEWATER
Manimekalai et al. MICROFILTRATION TECHNOL
Erhan et al. Design and determination of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polymeric membrane module for different aqueous solutions.
JP2014213261A (ja)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及び逆浸透膜装置
Öğütverici Triclosan removal by nanofiltration from surfac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