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971B1 -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971B1
KR102008971B1 KR1020170177109A KR20170177109A KR102008971B1 KR 102008971 B1 KR102008971 B1 KR 102008971B1 KR 1020170177109 A KR1020170177109 A KR 1020170177109A KR 20170177109 A KR20170177109 A KR 20170177109A KR 102008971 B1 KR102008971 B1 KR 10200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layer
steel sheet
composite material
plast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486A (ko
Inventor
유혜진
이강민
백제훈
김정수
변창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971B1/ko
Priority to CN201880083297.9A priority patent/CN111491796B/zh
Priority to JP2020534939A priority patent/JP7004820B2/ja
Priority to US16/956,221 priority patent/US11511520B2/en
Priority to PCT/KR2018/012290 priority patent/WO2019124702A1/ko
Priority to EP18892225.6A priority patent/EP37302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32B2310/044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32B2310/0463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other than air
    • B32B2310/0481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플라스틱층;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지된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층이 강판과 합지되는 쪽의 표면은 극성 작용기가 도입된 구조인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복합 소재는 자동차용 부품 혹은 구조체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E OF STEEL SHEET AND FUNCTIONAL GROUPS INTRODUCED PLASTIC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20년간 과도한 에너지 사용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며,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산업 전반에서 소재를 경량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심각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와 자동차 수요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고갈에 대한 우려가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재의 경량화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더불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경량소재의 사용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자동차 소재의 경량화는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어 온 관심사이자 모든 자동차 기업에 있어서 차세대 개발 목표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자동차 제조업체와 부품, 소재 관련 업체들은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신소재 개발과 채용을 통해 높은 연비 효율을 지닌 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하며 치열한 기술경쟁을 벌이고 있다.
경량 소재 중에서도 알루미늄은 비철계 소재 중 자동차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외장 판넬용으로 적용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가공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가격적인 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알루미늄에 대한 대응 소재로 두께가 얇은 고강도 강판이 대두되고 있다. 고강도 강판을 사용할 경우, 두께가 얇아지면서 외판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정 두께 이하의 고강도 강판은, 가공과정 중에 미세주름 혹은 스프링백 현상이 일어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안으로 강판 사이에 접착 성질을 지닌 가벼운 고분자 층을 삽입한 경량 샌드위치강판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층을 삽입한 형태의 복합강판은, 플라스틱층과 강판의 접합을 위해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합지하거나 강판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한 후 합지하는 공정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은 유해물질이 발생하거나 가공 혹은 온도 변화에 따라 계면이 벌어지는 문제가 있고, 강판의 표면에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방식은 플라스틱층과 강판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미국특허공개 제2016-0318294호
본 발명은, 플라스틱층의 표면개질을 통해 극성 작용기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플라스틱층과 강판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을 부여한 경량화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플라스틱층;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지된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층이 강판과 합지되는 쪽의 표면은 극성 작용기가 도입된 구조인 복합 소재를 제공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가열 내지 가압 조건에서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는,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극성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강판과 플라스틱층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하며, 자동차용 부품 혹은 자동차용 구조체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플라스틱층 표면에 극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복합 소재의 굽힘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재는,
플라스틱층;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지된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층이 강판과 합지되는 쪽의 표면은 극성 작용기가 도입된 구조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는 박형의 고강도 강판을 사용함으로써, 덴트 저항성을 부여하고, 우수한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강판과 플라스틱층을 합지한 구조를 통해, 박형 강판 사용에 따른 외판 강성을 보완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박형의 고강도 강판과 플라스틱층을 합지함으로써,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주름 혹은 스프링백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소재의 구조는 강판과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이층 구조이거나, 강판, 플라스틱층 및 강판이 순차 합지된 삼층 구조인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강판과 플라스틱층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해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극성 작용기가 도입된 구조를 적용한다. 상기 극성 작용기는 무극성 작용기와 대비되는 의미이며, 친수성 작용기로 해석 가능하다. 상기 극성 작용기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카르보닐기(-CO-), 아미노기(-NH2), 하이드로퍼옥시기(-OOH), 퍼옥시기(-OO-), 티올기(-SH) 및 이소시아네이트기(-NCO)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층에 적용되는 소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란, 공업재료·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분자량이 몇 십만∼몇 백만 범위의 고분자 물질이라는 점에서 몇 십∼몇 백 정도의 저분자 물질인 종래의 플라스틱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능과 특징은 그 화학구조에 따라 다른데, 주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있으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혹은 폴리우레탄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표면 경도, 굽힘강도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나일론6 혹은 나일론66 등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는 강판과 플라스틱층의 합지에 별도 접착제층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은 극성 작용기가 도입되도록 개질된 상태이고,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도입된 극성 작용기는 강판과의 접합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강판과 플라스틱층 간의 합지를 위해 별도의 접착제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접합력이 우수한 복합 소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는 강판의 일면 혹은 강판과 강판 사이에 플라스틱층을 합지함으로써, 소재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플라스틱층에 합지된 강판의 두께 비율은 3:1 내지 1:5 범위, 혹은 2:1 내지 1:2의 범위일 수 있다. 강판과 플라스틱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복합 소재의 강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에 적용되는 강판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미세 입자가 분산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층과 접하는 쪽의 강판 표면에는 플라스틱 입자가 분산된 구조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플라스틱층과 플라스틱 입자는 동종 수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층은 폴리아미드 수지, 구체적으로는 나일론6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입자 역시 동종의 수지로 형성된 구조이다. 강판 표면에 분산된 플라스틱 입자와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종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가열 및 가압 조건에서 양층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동종 수지간의 우수한 접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종 수지는 동일 계열의 수지로 형성된 경우를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수지를 형성하는 주쇄는 동일하되 서로 다른 기능기가 치환될 수 있거나 부분 개질된 경우 혹은 융점 등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강판이 플라스틱층과 접하는 면은 도금층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플라스틱 입자는 도금층의 표면에 분산된 형태이며, 상기 도금층의 표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01 내지 5 ㎛ 범위이다. 도금층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아연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금층의 표면은 산술 평균 술 평균 거칠기(Ra)가 0.01 내지 4 ㎛, 0.1 내지 0.8 ㎛, 또는 0.05 내지 0.5 ㎛ 범위일 수 있다. 일정 수준의 거칠기가 형성된 도금층 상에 미세 플라스틱 입자를 분산함으로써, 도금층과 미세 플라스틱 입자 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나아가 강판과 플라스틱층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은, 아연 도금 강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금용 조성 0.11Al% - 0.05Pb% - Zn으로 용융도금된 용융아연도금 강판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입자의 평균 입경은 0.2 내지 50 ㎛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라스틱 입자의 평균 입경은 0.2 내지 0.5 ㎛, 또는 15 내지 30 ㎛ 범위일 수 있다. 플라스틱 입자의 입경은 강판 표면의 거칠기를 고려한 것이다. 만약 강판 표면의 거칠기 대비 플라스틱 입자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강판 표면의 굴곡 사이에 플라스틱 입자가 제대로 안착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강판과 플라스틱 입자가 분리되거나 접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플라스틱 입자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입자간 상호 작용에 의해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입자들이 강판 표면에 고루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강판 표면의 거칠기는, 강판 자체의 표면 거칠기 뿐만 아니라, 강판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도금층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거칠기를 의미한다.
상기 강판은 아연 도금층이 형성된 경우이고, 상기 아연 도금층 표면에 형성된 산과 산 사이의 골 부분에 플라스틱 입자가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강판과 플라스틱 입자가 안정적으로 접합된다. 나아가,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도입된 극성 작용기는 도금층 혹은 플라스틱 입자와의 결합력을 통해, 우수한 접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 표면의 거칠기에 비해 플라스틱 입자의 입경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플라스틱 입자가 강판 표면의 거친 영역 내에 안착되지 않는다. 반대로, 강판의 표면 거칠기에 비해 플라스틱 입자의 입경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플라스틱 입자가 상호 작용으로 인해 플라스틱 입자들이 서로 뭉치면서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되고,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입자들은 강판 표면의 거친 영역 내에 안착되지 않게 된다.
하나의 예에서, 플라스틱층과 접하는 강판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입자 외에, 도전성 입자 및 탄성 입자 중 1종 이상이 혼합 분산된 경우를 포함한다. 강판 표면에 분산되는 입자 중에서 도전성 입자를 일부 혼합함으로써, 복합 소재의 용접성을 높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입자와 함께 탄성 입자를 혼합 분산함으로써, 진동에 대한 충격 완화가 가능하며, 공정 자유도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입자는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입자상 성분이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입자는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핀 플레이트 등의 입자상의 탄소 성분; 금, 구리,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입자; 및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또는 폴리티오펜 등의 전도성 고분자 중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성분으로 도핑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성 입자는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입자상 성분이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탄성 입자는 천연 또는 합성 탄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BS(poly(styrene-b-butadiene-b-styrene)) 수지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의 적용 분야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자동차용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 자동차 분야에 적용되는 소재는 경량성, 가공성 및 강성이 동시에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는 강판과 플라스틱층을 합지함으로써 경량성 및 강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소재는 강판과 플라스틱층 사이에 높은 접합력을 가지므로, 가공 과정에서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 부품 또는 자동차용 구조재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복합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복합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가열 내지 가압 조건에서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층을 표면 개질하는 단계는,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극성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UV 처리, 오존 처리, 라디칼 반응, 그래프트 반응 및 가교제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을 통해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층 표면에 UV를 조사하여, 폴리머의 주쇄를 절단(chain scission)하거나 오존 처리를 통해 플라스틱층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라디칼 개시제 및/또는 가교제를 처리하여 플라스틱층의 표면을 개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 과정은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열을 가함과 동시에 라디칼 개시제를 처리한 후, 가교제를 첨가하여 표면을 개질하게 된다. 또 다른 표면 개질방법으로, 고분자량의 플라스티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극성 작용기를 갖는 저분자량의 수지를 도포하거나 수지층을 합지할 수 있다. 저분자량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동일 질량 대비 말단에 형성된 극성 작용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합지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합지하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강판과 플라스틱층을 합지하는 경우도 가능하나, 플라스틱층의 양면에 제1 강판 및 제2 강판이 각각 합지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합지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은, 상기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합지하는 단계를 연결하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양 단계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을 형성하거나 접착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강판은, 플라스틱층과 합지되는 표면에 플라스틱 입자가 분사된 형태이다. 강판 표면에 분사되는 플라스틱 입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입자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나일론6을 사용할 수 있다. 포름산 용매에 나일론6 수지를 혼합한 용액상을 물(water)에 적가 및 교반하면서 플라스틱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포름산 외에도 메탄올, 에탄올 혹은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적정 입경을 가지는 플라스틱 입자를 상업적으로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준비된 플라스틱 입자는, 예를 들어, 정전기 분사 방식을 통해 강판 표면에 분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나일론6 수지로 형성된 플라스틱층(10)의 양면에 UV 및 오존을 순차 처리하여 극성 작용기를 도입하였다. 극성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10) 양면에 강판(20, 30)을 합지하였다. 가열 및 가압 조건에서 합지를 수행하여, 강판(20), 플라스틱층(10) 및 강판(30)이 순차 적층된 복합 소재를 제조하였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나일론6 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층을 형성하고, 표면에 다양한 관능기를 도입하였다. 관능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과 강판을 가열 및 가압 조건에서 합지하여 복합 소재를 제조하였다(실시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소재를 제조하되, 플라스틱층 표면에는 별도의 표면 개질을 수행하지 않았다. 대신 강판과 플라스틱층 사이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1액형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복합 소재를 제조하였다(비교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복합 소재 샘플에 대해 굽힘 정도에 따른 박리 여부를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의 (a)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재 샘플에 대한 굴곡 평가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의 (a)는 180도 굽힌 경우에도 강판과 플라스틱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b)는 비교예에 따른 복합 소재 샘플에 대한 굴곡 평가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의 (b)는 60도 굽힌 시점에서 강판과 플라스틱층이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샘플을 180도까지 굽힌 경우에는, 굴곡 부위에 강판과 플라스틱층 사이의 박리가 나타나거나 플라스틱층이 끊어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2
나일론6 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층을 형성하고, 표면에 다양한 관능기를 도입하였다. 관능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과 강판을 가열 및 가압 조건에서 합지하여 복합 소재를 제조하였다(실시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소재를 제조하되, 강판의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하고, 플라스틱층 표면에는 별도의 표면 개질을 수행하지 않고 복합 소재를 제조하였다(비교예).
제조된 각 복합 소재 샘플에 대해서, 강판과 플라스틱층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접합력을 평가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서는 10회씩 반복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도입된 관능기의 종류 및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단위 Mpa).
구분 강판 표면처리후 합지(비교예) 플라스틱층 표면처리후 합지(실시예)
-OH -COOH -NH2 -NCO -OH -COOH -NH2 -NCO
1 6.8 5.2 10.2 7.5 19.4 16.5 26.9 17.5
2 6.1 5.9 11.2 7.4 20.8 15.7 28.2 17.9
3 6.9 5.3 9.3 6.3 19.1 15.8 24.9 17.2
4 6.7 5.2 11.1 6.8 18.8 15.7 24.6 16.2
5 6.8 5.9 9.1 5.9 18.7 15.9 23.6 18.9
6 6.2 5.8 10.5 6.3 18.3 16.3 26.8 19.0
7 7.6 5.1 10.5 6.7 18.5 16.3 25.7 18.5
8 6.5 6.1 10.7 6.4 19.4 16.9 28.6 18.6
9 7.1 5.9 11.1 7.2 19.2 17.2 27.3 17.9
10 7.3 5.2 10.9 7.3 20.1 17.3 28.1 17.2
평균 6.8 5.6 10.5 6.8 19.2 16.4 26.5 17.2
표 1을 참조하면, 관능기를 강판에 도입한 비교예와 대비하여 플라스틱층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한 실시예의 접합력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 표면에 -OH를 도입한 경우의 10회 반복실험 후 평균 수치는 6.8 Mpa이나, 플라스틱층 표면에 -OH기를 도입한 경우의 10회 평균 값은 약 19.2 Mpa 수준이다. 이는 실시예가 비교예 대비 약 2.8 배 접합력이 향상된 것이다. 다른 관능기가 도입된 경우에도, 실시예가 비교예와 대비하여 2.5 배 이상 접합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0: 플라스틱층
20, 30: 강판

Claims (14)

  1. 플라스틱층;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지된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층의 강판과 합지되는 쪽의 표면은 극성 작용기가 도입된 구조이고,
    플라스틱층과 접하는 쪽의 강판 표면에는 플라스틱 입자가 분산된 구조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의 평균 입경은 0.3 내지 50 ㎛ 범위이고,
    상기 플라스틱층과 플라스틱 입자는 동종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층과 플라스틱 입자는, 수지를 형성하는 주쇄가 동일하되, 서로 다른 기능기가 치환되거나, 부분 개질되거나, 혹은 융점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복합 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작용기는 하이드록시기(-OH), 카르복시기(-COOH), 카르보닐기(-CO-), 아미노기(-NH2), 하이드로퍼옥시기(-OOH), 퍼옥시기(-OO-), 티올기(-SH) 및 이소시아네이트기(-NC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강판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제층은 게재되지 않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플라스틱층에 합지된 강판의 두께 비율은 3:1 내지 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플라스틱층과 접하는 면은 도금층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플라스틱 입자는 도금층의 표면에 분산된 형태이며,
    상기 도금층의 표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01 내지 5 ㎛ 범위인 복합 소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강판, 플라스틱층 및 강판이 순차 합지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자동차용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11. 제1항에 따른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으로서,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가열 내지 가압 조건에서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층을 표면 개질하는 단계는,
    UV 처리, 오존 처리, 라디칼 반응, 그래프트 반응 및 가교제 처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층의 일면 또는 양면을 극성 작용기로 표면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 개질된 면에 강판을 합지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4. 삭제
KR1020170177109A 2017-12-21 2017-12-21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109A KR102008971B1 (ko) 2017-12-21 2017-12-21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201880083297.9A CN111491796B (zh) 2017-12-21 2018-10-17 层压有钢板和导入官能团的塑料层的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JP2020534939A JP7004820B2 (ja) 2017-12-21 2018-10-17 鋼板及び作用基が導入されたプラスチック層が合紙された複合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6/956,221 US11511520B2 (en) 2017-12-21 2018-10-17 Composite material in which steel sheet and plastic layer having functional group introduced therein are laminate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CT/KR2018/012290 WO2019124702A1 (ko) 2017-12-21 2018-10-17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EP18892225.6A EP3730288B1 (en) 2017-12-21 2018-10-17 Composite material in which steel sheet and plastic layer having functional group introduced therein are laminate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109A KR102008971B1 (ko) 2017-12-21 2017-12-21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486A KR20190075486A (ko) 2019-07-01
KR102008971B1 true KR102008971B1 (ko) 2019-08-08

Family

ID=6699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109A KR102008971B1 (ko) 2017-12-21 2017-12-21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1520B2 (ko)
EP (1) EP3730288B1 (ko)
JP (1) JP7004820B2 (ko)
KR (1) KR102008971B1 (ko)
CN (1) CN111491796B (ko)
WO (1) WO2019124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824B1 (ko) * 2019-12-11 2022-08-02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2374B1 (ko) 2020-11-13 2023-04-18 주식회사 코지스 표면처리된 플라스틱과 방진고무가 접착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14B1 (ko) * 2020-12-18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밀착성이 우수한 복합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20246A (ko) 2022-08-05 2024-02-14 주식회사 다인텍 방진고무와 플라스틱이 접착된 방음방진소재 및 그 제조방법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274A (ja) * 2009-01-30 2010-08-12 Toyoda Gosei Co Ltd 金属と樹脂と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903897B2 (ja) * 2008-03-17 2012-03-28 大成プラス株式会社 亜鉛系鍍金鋼板と被着材の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1852B1 (ko) * 2014-06-03 2015-11-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메탈 메시용 기재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897B1 (ko) 1970-10-06 1974-01-29
JPS56152765A (en) * 1980-04-30 1981-11-26 Kansai Paint Co Ltd Formation of olefin resin coating film
JP3781156B2 (ja) * 1998-07-23 2006-05-31 東洋鋼鈑株式会社 金属板積層用樹脂フィルム、樹脂フィルム積層金属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フィルム積層金属板を用いた容器
JP4009773B2 (ja) * 2001-12-03 2007-11-21 東ソー株式会社 押出ラミネート用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JP3882998B2 (ja) * 2002-03-20 2007-02-21 日新製鋼株式会社 静電分散有機樹脂被膜の形成方法
JP4601268B2 (ja) * 2003-01-21 2010-1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処理亜鉛系めっき鋼板
JP5030374B2 (ja) * 2004-09-22 2012-09-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被覆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フィルム、樹脂被覆金属材料
JP6210703B2 (ja) 2013-04-01 2017-10-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タ装置
JP5928424B2 (ja) * 2013-09-18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金属部材と樹脂部材との接合方法、冷却器の製造方法、及び冷却器
JP6114155B2 (ja) * 2013-10-01 2017-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金属部材と樹脂部材との接合方法、及び冷却器の製造方法
EP2896502B1 (en) 2014-01-16 2017-03-0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Composit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15196878A (ja) *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表面処理鋼板および複合部材
KR101878572B1 (ko) * 2015-12-31 2018-07-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다층구조의 수분 및 기체 고차단성 유연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3897B2 (ja) * 2008-03-17 2012-03-28 大成プラス株式会社 亜鉛系鍍金鋼板と被着材の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73274A (ja) * 2009-01-30 2010-08-12 Toyoda Gosei Co Ltd 金属と樹脂と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1852B1 (ko) * 2014-06-03 2015-11-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메탈 메시용 기재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0288A1 (en) 2020-10-28
CN111491796A (zh) 2020-08-04
US20210078291A1 (en) 2021-03-18
EP3730288A4 (en) 2021-01-20
JP7004820B2 (ja) 2022-01-21
US11511520B2 (en) 2022-11-29
JP2021507832A (ja) 2021-02-25
EP3730288B1 (en) 2023-12-06
KR20190075486A (ko) 2019-07-01
WO2019124702A1 (ko) 2019-06-27
CN111491796B (zh)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971B1 (ko) 강판 및 작용기가 도입된 플라스틱층이 합지된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701780B (zh) 电池用包装材料、其制造方法以及电池
EP2328749B1 (en) Formable light weight composites
EP3689599A1 (en) Packaging material for battery
US20210370583A1 (en) Multiple layer fila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22539409A (ja) 電磁放射線遮蔽部品の製造方法
WO2020040287A1 (ja) 炭素繊維シート材、プリプレグ、成形体、炭素繊維シート材の製造方法、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WO2020256038A1 (ja) 複合積層体及び、金属-ポリオレフィン接合体
WO2017188396A1 (ja) 電池用包装材料、その製造方法、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993056B2 (en) Metal-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778218A1 (en) Metal-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material composite and production method for metal-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material composite
KR102008972B1 (ko)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도입된 플라스틱층과 강판의 복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262040B (zh) 金属-碳纤维强化树脂材料复合体和金属-碳纤维强化树脂材料复合体的制造方法
CN111936307B (zh) 金属-碳纤维增强树脂材料复合体以及金属-碳纤维增强树脂材料复合体的制造方法
WO2020040289A1 (ja) 炭素繊維シート材、プリプレグ、成形体、炭素繊維シート材の製造方法、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CN116113536A (zh) 金属与树脂的接合方法及其接合体
CN113557192A (zh) 汽车用加强钢构件
JP2021138068A (ja) 成形フィルム、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091812B1 (en) Automobile do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141781A (ko) 표면 개질 시트, 적층체, 표면 개질 부재, 도장물,표면 개질 부재의 제조 방법, 및 도장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