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874B1 - A lane co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A lane co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74B1
KR102008874B1 KR1020170069001A KR20170069001A KR102008874B1 KR 102008874 B1 KR102008874 B1 KR 102008874B1 KR 1020170069001 A KR1020170069001 A KR 1020170069001A KR 20170069001 A KR20170069001 A KR 20170069001A KR 102008874 B1 KR102008874 B1 KR 10200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discharge
paint
handl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2289A (en
Inventor
하연희
하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to KR102017006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74B1/en
Publication of KR2018013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차선도포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차선도포기는, 도로의 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며 차선 시공을 위한 도료가 담겨지는 도료저장통과, 상기 도료저장통으로부터 도료를 공급받는 토출공간과 이 토출공간의 하부 측에 도료 토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부를 구비하고 회동 동작으로 도로의 노면 상에 차선 시공이 가능하게 로딩될 수 있는 연결 상태로 상기 본체 측에 배치되는 도포슈, 그리고 상기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이 가능하고 이와 연계되어 상기 토출부의 개폐 조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슈조작부를 포함한다.
A lane applicator is started.
The lane coater includes a main body which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a road surface, a paint storage container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paint for lane construction, a discharge space supplied with the paint from the paint storage container, and the discharge space. An applicating shoe disposed on the main body side in a connected state having a discharging part capable of discharging paint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art and capable of being loaded on a road surface of the road by a pivoting operation, and the applicating shoe loading Or a shoe operating portion which is capable of unloading operation and is connected with this to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ion.

Description

차선도포기{A LANE COATING MACHINE}Lane spreader {A LANE COATING MACHINE}

본 발명은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spreader.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 표시 작업은 차선도포기를 이용하여 노면 상에 도료(塗料)를 도포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In general, the lane marking work on the road is performed by applying a coating on the road surface using a lane applicator.

이와 같은 차선 도포 작업은 대부분 도로 상에 차량들이 주행하는 환경에서 작업자가 중량물인 차선도포기를 직접 조작하여 도포슈("도색기"라고도 함.)를 통해서 도료를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작업 안전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이려면 특히 도포슈의 조작 편의성 및 조작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lane application work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operator directly operates a heavy-duty lane coater in an environment in which vehicles travel on a road and discharges paint through an application shoe (also referred to as a "painter").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ensure the ease of operation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oating shoe.

즉, 도포슈는 차선도포기의 이동 중에 작업자가 노면 상에 내려놓거나, 들어올리는 상태로 조작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도료의 토출을 위한 추가적인 개폐조작(토출부)이 요구되므로, 차선도포기의 주요 구성부들 중에서 작업자의 조작 스킬이 가장 요구되는 구성부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In other words, the coating shoe is not only required to be operated by the operator on the road surface or lif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lane applicator, but also requires an additional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paint. Among the parts, the operator's operation skill is known as one of the most required components.

이러한 차선 도포 작업에 사용되는 차선도포기로는, 특허등록 제10-1181297호의 차선도포기."가 있다.As the lane applicator used in such a lane application work, there is a lane applicator according to Patent Registration No. 10-1181297.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10-1181297호의 차선도포기에 구비되는 도색기의 구조로는 만족할 만한 조작 편의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satisfactory operation convenience and efficiency with the structure of the paint machine provided in the lane coating machin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181297.

즉, 도색기 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막대 형태를 가지며 막대 일단이 도색기 측에 단순하게 연결 고정된 상태로 제공된다.In other words, the handle installed on the color side has a rod shape and one end of the bar is simply connected to the color side.

이러한 도색기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도색기를 노면 상에 내려놓는 로딩 조작이나, 위로 들어 올리는 언로딩 조작은 가능하지만, 로딩 또는 언로딩 상태와 대응하도록 도료의 토출 상태를 제어하려면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들과는 별개로 작업자에 의한 추가적인 조작이 요구된다.According to such a painter structure, a loading operation for lowering the painter on the road surface or an unloading operation for lifting up is possible while the worker holds the handle, but to control the ejection state of the paint to correspond to the loading or unloading state. Apart from loading or unloading operations, further manipulation by the operator is required.

그러므로, 중량물인 차선도포기의 이동 중에 작업자가 도색기를 조작하는 상태로 차선을 도포 시공할 때, 만족할 만한 조작 편의성 및 조작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전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Therefore, satisfactory operation convenience and operation efficiency cannot be expected when the operator applies the lane while the operator operates the paint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heavy-duty lane applicator,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overall work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도료(塗料)가 토출되는 도포슈의 조작 편의성 및 조작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차선도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o provide a lane applicator capable of further enhancing the operational convenience and operational stability of a coating shoe from which paint is discharg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로의 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A main body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며 차선 시공을 위한 도료가 담겨지는 도료저장통;A paint storage container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paint for suboptimal construction;

상기 도료저장통으로부터 도료를 공급받는 토출공간과, 이 토출공간의 하부 측에 도료 토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부를 구비하고, 회동 동작으로 도로의 노면 상에 차선 시공이 가능하게 로딩될 수 있는 연결 상태로 상기 본체 측에 배치되는 도포슈;A connection state having a discharge space supplied with paint from the paint storage container, and a discharge par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space to enable paint discharge, and which can be loaded on a road surface of a road by a rotation operation An application shoe disposed on the main body side;

상기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이 가능하고, 이와 연계되어 상기 토출부의 개폐 조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슈조작부;A shoe operating part configured to be capable of loading or unloading the coated shoe and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shoe continuously;

를 포함하는 차선도포기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lane spreader comprising a.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도포슈와 대응하는 슈조작부를 구비하고, 이 슈조작부는 도로의 노면 상에 차선 시공이 가능하도록 도포슈를 로딩 또는 언로딩 상태로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과 연계되어 도포슈의 토출부 개폐 조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 구조를 제공하므로, 차선 도포 작업시 도포슈의 조작 편의성 및 조작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provided with a shoe oper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ated shoe, and the shoe operating portion can not only operate the coated shoe in a loading or unloading state so as to enable lane construction on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In connection with the unloading operation,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ispensing part of the dispensing shoe can be provided continuously,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opera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dispensing shoe during the lane coating operation, thereby achieving satisfactory work efficienc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ane sp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ane sp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는, 본체(2), 도료저장통(4), 도포슈(6), 및 슈조작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ane sp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referring to Figures 1 to 7, The lane applic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2, a paint storage container 4, a coating shoe 6, and a shoe operating part 8.

본체(2)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부에 바퀴(A)들이 구비되어 도로(R)의 노면(R1) 상에서 바퀴(A)들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main body 2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by the wheels (A) on the road surface (R1) of the road R is provided with wheels (A) in the lower portion as shown in FIG.

본체(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작업자가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되는 비(非) 자주식 구조이거나, 이외에도 바퀴(A) 측이 모터나 엔진과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자주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body 2 is a non-self-propelled structure that is moved by, for example, a pushing or pulling force, or the wheel A side is powered by a conventional method from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It may be made of a self-propelled structure that is moved in a rotationally driven manner by receiving the.

도료저장통(4)은 도 1에서와 같이 도료(W)가 담겨질 수 있는 저장공간(B)을 구비하고, 이 저장공간(B)의 하부 측에는 도료(W) 배출을 위한 배출구(C)가 형성되고, 상부 측에는 저장공간(B)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뚜껑(D)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int storage container 4 has a storage space B in which the paint W can be contained, as shown in FIG. 1, and an outlet C for discharging the paint W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B. And, the upper side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id (D) is installed in a stat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B).

도료저장통(4)은 뚜껑(D) 측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부 측이 본체(2) 측에 놓여져서 지지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paint storage container 4 is installed in such a state that the lower side is placed on the main body 2 side so that the lid D side faces upward.

도료저장통(4)은 도 1에서와 같이 저장공간(B) 측에 교반부(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교반부(E)는 저장공간(B)에 담겨진 도료(W)를 회전 동작으로 교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교반부(E)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교반 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int storage container 4 may be formed with a stirring unit E on the storage space B side as shown in FIG. 1, and the stirring unit E rotates the paint W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B. It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stirred. That is, although the stirring unit E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rotationally stirred by receiving power from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in a conventional manner.

도료저장통(4) 측에 담겨지는 도료(W)는 차선(L) 도포 시공 작업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레진계의 도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료저장통(4)의 저장공간(B)에 담겨진 상태에서 배출구(C)를 통해 후술하는 도포슈(6) 측으로 공급된다.The paint (W) contained in the paint storage container (4) side may be used a general resin-based paint used for the lane (L) coating work, the outlet in the state of being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B) of the paint storage container (4) It is supplied to the coating shoe 6 side mentioned later through (C).

도포슈(6)는 도료저장통(4)으로부터 도료(W)를 공급받아서 차선(L) 도포 시공과 부합하는 상태로 노면(R1) 상에 도료(W)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oating shoe 6 is formed to receive the paint W from the paint storage container 4 so that the paint W may be discharged onto the road surface R1 in a state consistent with the lane L application.

도포슈(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도료(W)가 담겨지기 위한 토출공간(F)이 내측에 형성되고, 이 토출공간(F) 측에 담겨진 도료(W)가 토출부(G)를 통해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ating shoe 6 is formed with a discharge space F for containing the paint W therein, and the paint W contained in the discharge space F side is discharged ( It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G).

토출부(G)는 도 2에서와 같이 도포슈(6)의 토출공간(F) 바닥면 측에 형성되는 토출구(G1)와, 이 토출구(G1) 측을 개폐하기 위한 토출판(G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discharge part G includes a discharge port G1 formed at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discharge space F of the coating shoe 6 and a discharge plate G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G1 side. It is made.

토출구(G1)는 도포슈(6)의 하부 측에서 차선(L) 폭과 대응하는 슬릿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판(G2)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토출구(G1) 측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도포슈(6)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The discharge port G1 may be formed in a slit type corresponding to the lane L width on the lower side of the coating shoe 6, and the discharge plate G2 may block or open the discharge port G1 side by a sliding operation.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ating shoe 6 in the state which can be.

즉, 도포슈(6)는 토출공간(F) 측에 담겨진 도료(W)가 토출부(G)의 토출판(G2)의 개폐 동작에 의해 도로(R)의 노면(R1) 상에 차선(L)의 도포 시공이 가능하도록 토출구(G1)를 통해서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coating shoe 6 has a lane (W) on the road surface R1 of the road R when the paint W contained in the discharge space F sid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ischarge plate G2 of the discharge part G. It is form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G1) to enable the coating of L).

그리고, 도포슈(6)는 본체(2)의 둘레부를 벗어나서 이 본체(2)의 이동방향의 측방 측에 배치되며, 일측이 본체(2) 측에 힌지핀(H)으로 연결 고정되어 핀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차선(L) 도포 시공과 부합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상태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Then, the coating shoe 6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ou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2, one side of the main body 2 side is fixed by a hinge pin (H) connected to the pin coupling Rot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ound the point is installed so as to be operable in the loading or unloading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lane (L) coating construction.

즉, 도포슈(6)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의 토출부(G) 측이 도로(R)의 노면(R1) 상에 도료(W)의 토출이 가능하게 놓여지는 로딩 상태, 또는 노면(R1)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언로딩 상태로 조작될 수 있도록 본체(2) 측에 연결 설치된다.That is, in the coating shoe 6, as shown in FIG. 3, the lower discharge part G side is in a loading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paint W is possible on the road surface R1 of the road R, or the road surface (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side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the unloading state lifted from R1).

한편, 슈조작부(8)는 도포슈(6)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은 물론이거니와, 이와 연계되어 토출부(G)의 개폐 조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 구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hoe operating unit 8, as well as the loading or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ating shoe 6, in connection with this, provides an operation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G) continuously.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슈조작부(8)는 도포슈(6)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손잡이(I)와, 도포슈(6)의 토출부(G) 측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연결되는 회동연결구(J)와, 이 회동연결구(J)와 손잡이(I) 사이를 절첩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연결구(K)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1 and 4, the shoe operating part 8 is in a stat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handle I and the discharge part G side of the coated shoe 6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ated shoe 6. Rotating connector (J) connected to the, and the folding connector (J) and the folding connector (K) for enabling a folding movement between the handle (I) is made.

손잡이(I)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막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일단이 도포슈(6)의 후면부 측에 힌지핀(I1)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2) 후방 측의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다.The handle I may be formed in a rod ty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coating shoe 6 by a hinge pin I1 as shown in FIG. 1,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2 is rearward.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extended state so that a worker of a side can grab it by hand.

즉, 손잡이(I)의 자유단 측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포슈(6)가 핀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노면(R1) 상에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ree end side of the handle (I)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coating shoe 6 can be operated while being loaded or unloaded on the road surface R1 while being rotated about the pin coupling point.

그리고, 본체(2) 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손잡이(I)와 대응하는 받침대(I2)가 형성되며, 이 받침대(I2)는 도포슈(6)의 언로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I) 측을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본체(2) 측에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1, the main body (2) side is formed with a base (I2) corresponding to the handle (I), the base (I2) is the handle (I) so that the unloading state of the coating shoe (6) can be maintained It is formed on the main body 2 side in a state capable of supporting the side.

회동연결구(J)는 도 4에서와 같이 3방향으로 분기(分岐)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포슈(6) 측에 연결되는 고정단(J1)과, 토출부(G)의 토출판(G2) 측과 연결되는 조작단(J2)과, 절첩연결구(K) 측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단(J3)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rotational connector J is formed in a branched shape in three directions as shown in FIG. 4, and has a fixed end J1 connected to the coating shoe 6 and a discharge plate G2 of the discharge part G. FIG. It is formed to have an operation end (J2) connected to the side) and a connection end (J3) for connecting to the folding connector (K) side.

고정단(J1)은 도포슈(6)의 폭 방향 측면 측에 힌지핀(J4)으로 연결 고정되어 핀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도포슈(6) 측에 연결 배치된다.The fixed end J1 is connected to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ating shoe 6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pin J4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ide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ting shoe 6 so that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pin coupling point.

조작단(J2)은 도 4에서와 같이 장홈 타입의 홈부(J5)를 구비하고, 이 홈부(J5) 측에는 토출판(G2) 측에 형성되는 돌기부(J6) 측이 홈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연결된다.The operating end J2 has a long groove type groove portion J5 as shown in FIG. 4, and the projection portion J6 side formed on the discharge plate G2 side on the groove portion J5 side is movable along the groove length direction. Connected in such a way.

조작단(J2)은 고정단(J1) 측이 힌지핀(J4)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될 때, 홈부(J5)와 돌기부(J6)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토출판(G2)을 개폐방향(전,후)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The operating end J2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late G2 by the engaging contact force between the groove part J5 and the protrusion J6 when the fixed end J1 side is rotated at an angle around the hinge pin J4 point. It is set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before and after).

그리고, 연결단(J3)은 도 4에서와 같이 도포슈(6) 측에 연결된 손잡이(I)의 연결지점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분기 연장된 상태로 형성된다.And, the connecting end (J3) is formed in a branched extended state to be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oint of the handle (I) connected to the coating shoe 6 side as shown in FIG.

절첩연결구(K)는 손잡이(I)가 힌지핀(I1)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조작될 때 이와 연계하여 연결 모양이 절첩 동작에 의해 전환되면서 토출판(G2)의 개폐방향으로 회동연결구(J) 측을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Folding connector (K) is a rotary connector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plate (G2) while the handle (I) is operated in the up, down direction about the hinge pin (I1)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shape is switched by the folding operation (J)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the side.

절첩연결구(K)는 도 4에서와 같이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부(K1)를 구비하고, 양쪽 단부 중에서 일단은 손잡이(I) 측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연결구(J)의 연결단(J3) 측에 힌지핀(K2)으로 연결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Folding connector (K) has a folded portion (K1) is connected to enable the folding operation, as shown in Figure 4, one end of both ends is fixedly connected to the handle (I) sid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nector (J) It may be set in a state connected to the hinge pin (K2) on the end (J3) side.

절첩연결구(K)는 예를 들어, 도포슈(6)의 언로딩을 위하여 손잡이(I)를 위로 들어 올릴 때, 이 손잡이(I)가 힌지핀(I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동작에 의해 절첩부(K1) 측이 도 5에서와 같이 접혀지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도록 절첩 동작된다.The folding connector K is, for example, cut off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handle I is rotated about the hinge pin I1 when the handle I is lifted up for the unloading of the coating shoe 6. The folding operation K1 side is folded so as to be switched to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5.

그러면, 고정단(J1)의 힌지핀(J4)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연결구(J) 측을 잡아당겨서 토출판(G2)이 닫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회동연결구(J)를 움직일 수 있다.Then, the pivoting connector J can be moved so that the discharge plate G2 slides in the closing direction by pulling the pivoting connector J side around the hinge pin J4 coupling point of the fixed end J1.

그리고, 절첩연결구(K)는 예를 들어, 도포슈(6)의 로딩을 위하여 손잡이(I)를 아래로 내려놓을 때, 이 손잡이(I)가 힌지핀(I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동작에 의해 절첩부(K1)가 도 6에서와 같이 일자 모양으로 펼쳐지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도록 절첩동작된다.And, the folding connector (K), for example, when the handle (I) is lowered for the loading of the coating shoe 6, the handle (I) is rotated around the hinge pin (I1) As a result, the folding part K1 is folded so as to be switched to a connection state unfolded in a straight shape as shown in FIG. 6.

그러면, 고정단(J1)의 힌지핀(J4)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연결구(J) 측을 밀어서 토출판(G2)이 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회동연결구(J)를 움직일 수 있다.Then, the pivoting connector J can be moved so that the discharge plate G2 slides in the opening direction by pushing the pivoting connector J side around the hinge pin J4 coupling point of the fixed end J1.

즉, 절첩연결구(K)는 손잡이(I)의 상,하 방향 조작과 연계하여 절첩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회동연결구(J) 측을 닫힘 또는 열림방향으로 전환 작동시킬 수 있는 절첩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olding connector (K) is to provide a folding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switched in the closing or open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connector (J) side while the folding operation is made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I), up and down. .

슈조작부(8)는 도 7에서와 같이 탄성구(S)를 더 구비하고, 이 탄성구(S)는 절첩연결구(K)의 전환 절첩 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The shoe operating part 8 further includes an elastic tool S as shown in FIG. 7, and the elastic tool S is set to allow the switching folded state of the folding connector K to be elastically maintained.

탄성구(S)는 예를 들어,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절첩연결구(K)의 양쪽 단부 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For example, the elastic sphere S may use a tension coil spring, and is set in a state in which both end sides of the folding connector 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탄성구(S)는 도 7에서와 같이 절첩연결구(K)가 접힘 또는 펼침 연결 상태로 전환될 때, 이와 같은 전환 절첩 연결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절첩연결구(K)의 양쪽 단부 측을 인장 탄성력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folding connector K is switched to a folded or unfolded connection state, the elastic tool S may be provided at both end sides of the folding connector K such that the switching folding connection state can be elastically maintained. It acts to hold the tensile elastic force.

그러므로, 이와 같은 탄성구(S)를 구비하면, 절첩연결구(K)의 전환 절첩 연결상태가 비정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층 향상된 조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탄성구(S)는 예를 들어, 도 7의 상태에서 도포슈(6)의 로딩 동작과 부합하도록 손잡이(I) 측을 아래쪽으로 단순하게 내려놓는 상태로 조작할 때에는 인장 탄성력에 의해 절첩부(K1)의 절첩 상태(접힘)가 탄력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인장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손잡이(I) 측을 아래쪽으로 한 번 더 누르는 상태로 조작해야만 절첩 상태의 전환(펼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탄성구(S)의 작용은 특히 손잡이(I)의 조작 중에 도료(W)의 비정상적인 토출(유실)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슈조작부(8)의 조작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such an elastic sphere (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tching folding connection state of the folding connector (K) abnormally released to ensure a more improved operation stability. That is, the elastic sphere (S), for example, in the state of Fig. 7, when operating in a state of simply lowering the handle (I) side down to match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coating shoe (6) by the tensile elastic force The folded state (folding) of the sticking portion K1 is maintained elastically, and in this state, the folded state is switched only when it is operated in a state of pressing the handle I side once more downward with a force higher than the tensile elastic force. Since it can be operated to make the operation, such action of the elastic sphere (S) can prevent the abnormal discharge (lost) phenomenon of the paint (W), especiall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I) and thereby The operational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은 슈조작부(8)의 조작으로 도로(R)의 노면(R1) 측에 도포슈(6) 측이 로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이 도포슈(6)의 토출부(G)를 통해서 도료(W)를 토출하는 방식으로 차선(L)을 용이하게 도포 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discharge portion G of the coated shoe 6 while the coated shoe 6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coated shoe 6 is loaded on the road surface R1 side of the road R by the operation of the shoe operating part 8. The lane L can be easily applied by discharging the paint W therethrough.

특히, 슈조작부(8)는 도포슈(6)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은 물론이거니와, 이와 연계하여 토출부(G)의 개폐조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hoe operating unit 8 may provide an operation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or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ating shoe 6 may be performed as well as,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G.

그러므로, 도로(R)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로 차선(L)의 도포 시공 작업을 진행할 때, 장치의 조작 편의성 및 조작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Therefore, when carrying out the application | coating work of the lane L in the state moved on the road R, the operation convenience and operation efficiency of an apparatus can be further improved.

2: 본체 4: 도료저장통 6: 도포슈
8: 슈조작부 G: 토출부 I: 손잡이
J: 회동연결구 K: 절첩연결구 W: 도료
L: 차선 R: 도로 R1: 노면
2: body 4: paint container 6: coating shoe
8: Shoe operation part G: discharge part I: handle
J: Rotating connector K: Folding connector W: Paint
L: Lane R: Road R1: Road surface

Claims (5)

도로의 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며 차선 시공을 위한 도료가 담겨지는 도료저장통;
상기 도료저장통으로부터 도료를 공급받는 토출공간과, 이 토출공간의 하부 측에 도료 토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부를 구비하고, 회동 동작으로 도로의 노면 상에 차선 시공이 가능하게 로딩될 수 있는 연결 상태로 상기 본체 측에 배치되는 도포슈; 및
상기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이 가능하고, 이와 연계되어 상기 토출부의 개폐 조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슈조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슈조작부는,
상기 도포슈 측에 일단이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상,하 방향 조작시 상기 도포슈의 토출부 측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연결되는 회동연결구와, 이 회동연결구와 상기 손잡이 사이를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가 형성된 절첩연결구와, 이 절첩연결구의 절첩 상태가 인장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절첩연결구의 양쪽 단부 측을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탄성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첩연결구는,
상기 손잡이의 상,하 방향 조작시 상기 절첩부 측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토출부의 개폐가 가능하게 상기 회동연결구 측을 움직일 수 있는 절첩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첩부의 접힘 또는 펼침 전환 상태가 상기 탄성구의 인장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포기.
A main body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A paint storage container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paint for suboptimal construction;
A connection state having a discharge space supplied with paint from the paint storage container, and a discharge par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space to enable paint discharge, and which can be loaded on a road surface of a road by a rotation operation An application shoe disposed on the main body side; And
A shoe operating part configured to be capable of loading or unloading the coated shoe and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shoe continuously;
Including;
The shoe operation unit,
A hand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pplicator shoe by a hinge pin, a pivoting connector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rt side of the applicator shoe when the handle is operated up and down, and the pivot connector and the handle A folding connector with a folding portion for enabling a folding operation therebetween, and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the folding connector are elas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connector can be elastically maintained by a tensile elastic force. With elastic sphere which becomes
The folding connector,
Whe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andle is operated to form a folded connection state that can move the pivoting connector sid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ion is switched to the folded or unfolded connection state, the folding portion Lane sprea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or unfolded transition state is formed to be elastically maintained by the tensil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he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슈는,
회동에 의한 로딩 또는 언로딩시 상기 토출부 측이 도로의 노면 상에 놓여지거나, 들어올려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측에 연결 배치되는 차선도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or shoe,
The lane spreade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ide is plac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or can be lifted up during loading or unloading by rot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연결구는,
상기 손잡이를 위로 들어 올릴 때 상기 토출부 측이 닫힘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손잡이를 아래로 내려놓을 때 상기 토출부 측이 열림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절첩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되는 차선도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ing connector,
When the handle is lifted up, the discharge side is oper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a lane spreader set to form a folded connection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art side can be operated in an open direction when the handle is lowered.
KR1020170069001A 2017-06-02 2017-06-02 A lane coating machine KR102008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01A KR102008874B1 (en) 2017-06-02 2017-06-02 A lane co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01A KR102008874B1 (en) 2017-06-02 2017-06-02 A lane coa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89A KR20180132289A (en) 2018-12-12
KR102008874B1 true KR102008874B1 (en) 2019-08-08

Family

ID=6467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01A KR102008874B1 (en) 2017-06-02 2017-06-02 A lane coa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874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210A (en) * 1992-10-19 1993-12-07 Atom Chem Paint Co Ltd Road mark applying machine
KR100556991B1 (en) * 2003-04-30 2006-03-03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Portable Lane Spread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89A (en)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7879A (en) Power hand-held distributor
KR102008874B1 (en) A lane coating machine
US9284713B2 (en) Backhoe bucket moveable thumb assembly and method
WO2008095968A1 (en) Anti-rotation device for a gripping member of a mixing machine for fluid products contained in a closed container
US1557273A (en) Powder-dispensing device
WO2004085081A1 (en) Method of applying protective layer forming material
KR200491641Y1 (en) Applicator of Polishing Agent for Vehicle
JP2007244343A (en) Remote control device
NL1028001C2 (en) Waste collection system with improved coupling.
KR102389864B1 (en) Spreading apparatus
JP6646529B2 (en) Spraying device
JP5288155B2 (en) Compost application machine and compost application method
KR101305686B1 (en) Device for locking wheel of heavy machine
JP2012117253A (en) Paint coating device for road marking line
KR102016400B1 (en) Particle Scattering Apparatus
US2253248A (en) Combination shovel and spreader box
KR101946565B1 (en) A lane coating machine
US1918205A (en) Rear closure for truck mixers
JP2000290923A (en) Road marking line applicator with motor attached bead spreader
KR200259738Y1 (en) Loading Appartus For Vehicle of Snowplow Spreader
WO2002066743A2 (en) Machine for dispensing and spreading cement and the like
JP2006214160A (en) Wheel-mounted construction machinery
JPH0520560Y2 (en)
KR200365426Y1 (en) Automatic Covering Device of Loading Case for a Cargo
JP3935624B2 (en) Road surface marking line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