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742B1 -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742B1
KR102008742B1 KR1020190008579A KR20190008579A KR102008742B1 KR 102008742 B1 KR102008742 B1 KR 102008742B1 KR 1020190008579 A KR1020190008579 A KR 1020190008579A KR 20190008579 A KR20190008579 A KR 20190008579A KR 102008742 B1 KR102008742 B1 KR 10200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eight
parts
recycl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박종백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한준에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준에프알 filed Critical (주)한준에프알
Priority to KR102019000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81Other specific industrial wast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18/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주를 파쇄 획득한 재생골재와 함께 폐전주에서 발생된 애자를 분말화한 후 사용하여 우수한 강도의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을 효율적으로 제조생산함을 제공하도록,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전주에서 획득된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잔 골재 190~210중량부 및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물 43~47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화분말은 폐전주의 애자분말에 실리카분말 및 재생분말을 추가 혼합하여 구성하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Wet Concrete Secondary Products Using Recycled Aggregate Recycling Waste Electric P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전주를 파쇄 획득한 재생골재와 함께 폐전주에서 발생된 애자를 분말화한 후 사용하여 우수한 강도의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을 효율적으로 제조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전주는 수명을 다한 전주(전봇대)를 비롯해 고정지주나 울타리 등의 지상 설치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략 50년 이상을 내구수명으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고강도의 철근과 철사를 사용하면서 엄선된 자갈과 모래를 비롯한 높은 함량의 시멘트가 배합됨에 따라 매우 견고하며 변형이 없는 고강도의 콘크리트 제품이다.
여기서, 폐전주에 사용된 자갈의 경우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모래의 경우 토분기가 없는 고품질의 모래가 사용되므로, 폐전주를 파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면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폐전주를 구성하는 재료 중 폐콘크리트는 파분쇄 공정을 통하여 일정한 크기로 생산하고 생산된 골재의 이물질 및 미분을 제거하기 위한 선별 및 분급 공정을 통해 제조된 제품이 재생골재이다.
다음 표 1에서는 재생골재의 기본적인 물성을 천연골재 및 순환골재와 함께 나타내었으며, 재생골재는 천연골재의 부족 현상과 순환골재의 품질저하 등을 대체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밀도(g/㎤) 흡수율(%) 단위용적질량
(kg/㎥)
실적율(%)
천연골재 2.5~2.6 1.0 이하 1.7~1.9 50~60
재생골재 2.3~2.5 3.0 이하 1.3~1.7 45~55
순환골재 2.2~2.5 5.0 이하 1.2~1.7 45~55
최근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여 골재, 물 및 혼화재료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형상을 제작하되 벽돌이나 블록, 보차도용 인터록킹 블록, 호안블록, 도로용 경계석 등과 같이 그 내부에는 보강철근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제품인 콘크리트 2차 제품을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2차 제품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34811호(2018.04.05.)에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2차 제품 결합재는, 시멘트(OPC)를 포함하는 결합재(Binder)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OPC(Ordinary Portland Cement) 90~95중량%; 탈황석고, 슬래그 및 증점재를 포함하는 혼합재료 5~1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순환골재의 사용량을 높여 원가절감하며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및 내구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탈황석고를 이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2차 제품 결합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397481호(2014.05.14.)에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초기강도 증진재 30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초기강도 증진재는 연소소석회 100중량부에 Ⅱ형 무수석고 20중량부, 알루미나 20중량부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6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손상과 불량이 방지되며 물성이 우수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고로슬래그나 소석회를 비롯하여 플라이애시, 실리카흄 등의 혼화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 및 유동성을 증진시켜 작업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비교적 저가이긴 하지만 공급에 대한 문제로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콘크리트 2차 제품은 대량 생산에 의해 다량으로 소비된다는 제품의 특성상 업체 간의 심한 경쟁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우수한 품질과 함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4811호 (2018.04.05.)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97481호 (2014.05.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전주의 파분쇄 공정을 거쳐 획득한 재생골재와 함께 폐전주에서 발생된 애자를 분말화한 재생분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을 조성하므로, 제품을 고강도로 제조함과 동시에 폐전주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은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전주에서 획득된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잔 골재 190~210중량부 및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물 43~47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화분말은 폐전주의 애자분말에 실리카분말 및 재생분말을 추가 혼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잔 골재는 천연골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폐전주로부터 획득한 재생골재 90~9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굵은 골재는 쇄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폐전주로부터 획득한 재생골재 93~98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제조방법은 (1)슬래그 시멘트에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천연골재, 쇄석을 준비하는 단계와; (2)폐전주를 파/분쇄하여 입도 13~25㎜의 굵은 골재와 입도 8㎜ 이하의 잔 골재로 선별된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준비함과 동시에 폐전주의 파/분쇄 과정에서 분리된 애자를 구분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3)상기 애자를 분쇄하여 애자분말을 획득하고, 상기 애자분말에 실리카 분말 및 상기 재생분말을 혼합하여 혼화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4)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골재 및 재생골재의 잔 골재 190~210중량부, 쇄석 및 재생골재의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물과 함께 혼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5)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콘크리트 2차 제품용 거푸집에 타설하여 성형 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전주로부터 획득한 재생골재와 함께 애자 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을 조성하게 구성하므로, 골재를 비롯한 원료의 재활용으로 원활한 원료수급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품제조원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폐전주의 재활용율을 대폭 향상시키면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우수한 내구성 및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압축강도 실험결과 그래프.
본 발명은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전주에서 획득된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잔 골재 190~210중량부 및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물 43~47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화분말은 폐전주의 애자분말에 실리카분말 및 재생분말을 추가 혼합하여 구성하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1)슬래그 시멘트에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천연골재, 쇄석을 준비하는 단계와; (2)폐전주를 파/분쇄하여 입도 13~25㎜의 굵은 골재와 입도 8㎜ 이하의 잔 골재로 선별된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준비함과 동시에 폐전주의 파/분쇄 과정에서 분리된 애자를 구분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3)상기 애자를 분쇄하여 애자분말을 획득하고, 상기 애자분말에 실리카 분말 및 상기 재생분말을 혼합하여 혼화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4)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골재 및 재생골재의 잔 골재 190~210중량부, 쇄석 및 재생골재의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물과 함께 혼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5)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콘크리트 2차 제품용 거푸집에 타설하여 성형 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일실시예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잔 골재 190~210중량부 및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물 43~47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멘트는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혼합 사용한다. 즉, 상기 시멘트는 슬래그 시멘트와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략 1:3~5의 비율로 혼합 적용하여 시멘트를 조성한다.
상기 잔 골재 및 상기 굵은 골재에는 모두 폐전주에서 획득된 재생골재를 포함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잔 골재에는 폐전주의 재생골재 중에서 잔 골재를 사용하고, 상기 굵은 골재에도 폐전주의 재생골재 중에서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잔 골재는 폐전주의 재생골재와 함께 천연골재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잔 골재는 천연골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폐전주로부터 획득한 재생골재 90~95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굵은 골재는 폐전주의 재생골재와 함께 쇄석을 혼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굵은 골재는 쇄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폐전주로부터 획득한 재생골재 93~98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혼화분말에는 폐전주의 파/분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애자를 분말형태로 제조한 애자분말을 조성한다.
상기 혼화분말에는 상기 애자분말에 실리카분말 및 재생분말을 추가 혼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시멘트 및 천연골재와 쇄석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2)폐전주에서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 애자를 준비하는 단계(S20)와, (3)혼화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30)와, (4)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S40)와, (5)성형 및 양성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1)단계(S10)에는 기본적인 골재 조성을 위한 1차적인 준비단계로서, 시멘트 및 천연골재, 쇄석 등을 준비하되, 시멘트를 조성하기 위한 구성인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준비한다.
상기 (2)단계(S20)에서는 폐전주로부터 골재를 조성하기 위한 2차적인 준비단계로서, 폐전주에서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준비한다.
상기 (2)단계(S20)에서는 폐전주를 반복적으로 파/분쇄하여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획득한다. 즉, 폐전주를 파/분쇄함에는 조크러셔(jaw crusher)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골재를 1차적으로 파쇄하고, 1차 파쇄된 골재에 대해 콘크러셔(cone crusher)를 이용해 2차 파쇄하며, 2차 파쇄된 골재를 수직 임팩트 크러셔를 이용해 3차 파쇄하여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획득한다.
상기에서 파쇄된 폐전주의 골재는 콘베어로 연속이동하여 재생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한다. 즉, 폐전주를 연속적으로 파/분쇄한 후 콘베어를 통해 이송하면서 제품스크린에서 재생골재를 입도 13~25㎜의 굵은 골재와 입도 8㎜ 이하의 잔골재로 골재 선별한다.
상기 (2)단계(S20)에서 선별된 골재 중 입도 25㎜ 이상의 골재를 구분하여 분리 선별한 후 수직 임팩트 크러셔를 이용한 3차 파쇄공정을 향해 이송하고, 수직 임팩트 크러셔를 통해 재차 파쇄작업이 이뤄질 수 있게 순환하여 파쇄작업을 진행한다. 즉, 재생골재 중 굵은 골재의 기준 입도보다 큰 골재는 재차 파쇄공정을 거쳐 재생골재의 입도를 형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파쇄공정을 순환하므로, 골재 생산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2)단계(S20)에서 폐전주 골재를 파/분쇄할 때 발생하는 재생분말은 별도로 포집 처리하되, 수직 임팩트 크러셔의 백필터로부터 고체입자인 미분을 포집한 후 별도의 콘베어를 통해 분류 이송한다.
상기 (2)단계(S20)에서는 폐전주에서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준비함과 동시에 폐전주의 파/분쇄 과정에서 경량 부속품인 애자를 구분하여 분리 준비한다.
상기에서 애자를 분리함에는 수직 임팩트 크러셔를 이용한 3차 파쇄과정에서 수직 낙하하는 파쇄골재에 고압의 에어로 송풍함과 동시에 파쇄골재로부터 분리된 경량 부속품을 흡인하여 배출하며, 경량 부속품 중 애자만을 구분하여 분리한다.
상기 (3)단계(S30)에서는 상기 (2)단계에서 준비된 애자를 분쇄하여 애자분말을 획득하고, 상기 애자분말에 실리카 분말 및 상기 재생분말을 혼합하여 혼화분말을 준비한다.
상기 (4)단계(S40)에서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골재 및 재생골재의 잔 골재 190~210중량부, 쇄석 및 재생골재의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물과 함께 혼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한다.
상기에서 시멘트는 슬래그 시멘트와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략 1:3~5의 비율로 혼합 적용하여 시멘트를 조성한다.
상기 (4)단계(S40)에서 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함에는 물 시멘트비가 43~47%를 이루게 조성한다.
상기 (5)단계(S50)에서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콘크리트 2차 제품용 거푸집에 타설하여 성형한 후 양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의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폐전주에서 획득된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잔 골재 190~210중량부 및 굵은 골재 230~250중량부, 물 43~47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의 단위중량 범위 내로 혼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단 위 중 량 (㎏/㎥)
시멘트 잔 골재 굵은 골재 혼화
분말
슬래그시멘트 PC600 재생골재 천연골재 재생골재 쇄석
172.8 307.2 75.58 373.7 404.9 450.8 468.9 15.36
<비교예 1>
잔 골재 및 굵은 골재에 재생골재를 대신하여 천연 골재를 사용한 것과 혼화분말 대신 일반적인 혼화제(고성능감수제, 유동화제, AE제로 조성)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위 중 량 (㎏/㎥)
시멘트 잔 골재 굵은 골재 혼화재
슬래그시멘트 PC600 천연골재 천연골재 쇄석
172.8 307.2 75.58 778.6 450.8 468.9 15.36
<비교예 2>
잔 골재 및 굵은 골재에 재생골재를 대신하여 순환 골재를 사용한 것과 혼화분말 대신 일반적인 혼화제(고성능감수제, 유동화제, AE제로 조성)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단 위 중 량 (㎏/㎥)
시멘트 잔 골재 굵은 골재 혼화재
슬래그시멘트 PC600 순환골재 천연골재 순환골재 쇄석
172.8 307.2 75.58 373.7 404.9 450.8 468.9 15.36
< 실험예 > 콘크리트 2차 제품의 특성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콘크리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을 성형하였으며 양생 28일 시점의 콘크리트 2차 제품에 대한 압축강도를 표준화된 방법(KS L 3304)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 골재 및 굵은 골재에 재생골재를 사용하면서 애자분말과 실리카분말 및 재생분말로 조성된 혼화분말을 사용한 실시예 1의 콘크리트 2차 제품의 경우 비교예 2와는 대등한 압축강도를 발현하였으며, 비교예 1에 비해 소폭 큰 압축강도를 발현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전주로부터 획득한 재생골재와 함께 애자 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을 조성하게 구성하므로, 골재를 비롯한 원료의 재활용으로 원활한 원료수급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품제조원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폐전주의 재활용율을 대폭 향상시키면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우수한 내구성 및 제품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1) 슬래그 시멘트에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 시멘트, 천연골재, 쇄석을 준비하는 단계와;
    (2) 폐전주를 파/분쇄하여 재생골재 및 재생분말을 제조하되, 폐전주를 조크러셔(jaw crusher)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골재를 1차적으로 파쇄하고, 1차 파쇄된 골재에 대해 콘크러셔(cone crusher)를 이용해 2차 파쇄하며, 2차 파쇄된 골재를 수직임팩트크러셔를 이용해 3차 파쇄하여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면서 제품스크린에서 입도 13~25㎜의 굵은 골재와 입도 8㎜ 이하의 잔골재로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고, 상기 수직임팩트크러셔의 백필터로부터 고체입자인 미분을 포집하여 재생분말을 제조하며, 상기 수직임팩트크러셔를 이용한 3차 파쇄과정에서 수직 낙하하는 파쇄골재에 고압의 에어로 송풍하여 애자를 분리하는 단계와;
    (3) 상기 애자를 분쇄하여 애자분말을 획득하고, 상기 애자분말에 실리카 분말 및 상기 재생분말을 혼합하여 혼화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4)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잔골재 190~210중량부 및 굵은골재 230~250중량부, 물 43~47중량부, 혼화분말 3.5~4.5중량부를 혼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되, 상기 시멘트는 슬래그 시멘트 및 포틀랜드 시멘트를 1:3~5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잔골재는 상기 천연골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폐전주를 파/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생골재 중에서 입도 8㎜로 선별된 잔골재 90~95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굵은골재는 상기 쇄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폐전주를 파/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생골재 중에서 입도 13~25㎜로 선별된 굵은 골재 93~98중량부를 혼합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물 시멘트비가 43~47%를 이루도록 조성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5)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콘크리트 2차 제품용 거푸집에 타설하여 성형 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제조방법.
KR1020190008579A 2019-01-23 2019-01-23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79A KR102008742B1 (ko) 2019-01-23 2019-01-23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79A KR102008742B1 (ko) 2019-01-23 2019-01-23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742B1 true KR102008742B1 (ko) 2019-08-09

Family

ID=6761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579A KR102008742B1 (ko) 2019-01-23 2019-01-23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9786A (zh) * 2020-10-30 2021-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复合中空夹层钢管混凝土电杆及其制备方法
KR102228174B1 (ko) * 2020-06-26 2021-03-15 이창현 고강도콘크리트 배합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313A (ko) * 2000-04-06 2000-10-05 이승준 폐전주를 처리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재생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KR20100112234A (ko) * 2009-04-09 2010-10-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고성능 원심성형 콘크리트 분말 혼합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52937B1 (ko) * 2013-05-24 2014-01-17 (유)하남종합건설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조강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397481B1 (ko) 2012-07-17 2014-05-20 임채영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KR20180034811A (ko)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대원바텍 탈황석고를 이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2차 제품 결합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313A (ko) * 2000-04-06 2000-10-05 이승준 폐전주를 처리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재생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KR20100112234A (ko) * 2009-04-09 2010-10-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고성능 원심성형 콘크리트 분말 혼합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97481B1 (ko) 2012-07-17 2014-05-20 임채영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KR101352937B1 (ko) * 2013-05-24 2014-01-17 (유)하남종합건설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조강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20180034811A (ko)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대원바텍 탈황석고를 이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2차 제품 결합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174B1 (ko) * 2020-06-26 2021-03-15 이창현 고강도콘크리트 배합조성물
CN112299786A (zh) * 2020-10-30 2021-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复合中空夹层钢管混凝土电杆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467B2 (ja) 再生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CN111153664B (zh) 一种利用石灰赤泥稳定废旧混凝土类建筑垃圾骨料生产的道路基层材料
KR102008742B1 (ko)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9279796B (zh) 一种连续包围垛密级配机制砂的设计与制备方法
JP3555987B2 (ja) リサイクル可能なコンクリート、モルタルおよびそのリサイクル方法
JP3761996B2 (ja) 再生セ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再生セメント
CN101591158A (zh) 建筑垃圾制造的免烧建筑砌块及其制造方法
JP5035932B2 (ja) 循環型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H1036153A (ja) 超高品質再生骨材の製造方法
JP5068082B2 (ja) 解体コンクリートの全量を再利用した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1446B1 (ko)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JP3366451B2 (ja) 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KR102030627B1 (ko) 페로니켈 슬래그와 발파암 혼합잔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방법
JP3518736B2 (ja) 高炉水砕スラグ砂の製造方法
KR101322911B1 (ko) 수재 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6066B1 (ko) 재생골재와 폐시멘트를 이용한 시멘트코팅 혼합골재와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JP5068008B2 (ja) 解体コンクリートの全量を再利用した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3646B2 (ja) 低発熱水硬性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2190B1 (ko) 폐crt유리 분말과 황토를 사용한 펠렛 및 그 제조방법
KR100828729B1 (ko)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JP2011006311A (ja) 骨材の製造方法
KR102434664B1 (ko) FeNi 괴재슬래그 재활용 방법
JP3583323B2 (ja) 高炉スラグ細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又はモルタル用細骨材
JP7025616B2 (ja) 廃材の再生方法及び再生材
KR100917929B1 (ko) 폐전주 잔골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