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446B1 -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 Google Patents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446B1
KR100371446B1 KR10-2000-0017975A KR20000017975A KR100371446B1 KR 100371446 B1 KR100371446 B1 KR 100371446B1 KR 20000017975 A KR20000017975 A KR 20000017975A KR 100371446 B1 KR100371446 B1 KR 10037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recycled
waste
po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313A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한준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개발(주) filed Critical 한준개발(주)
Priority to KR10-2000-001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4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2Polishing;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콘크리트 폐전신주를 수거하고 파쇄 등 처리하여 재생 골재를 생산하고 생산한 재생골재를 사용하여 재생 콘크리트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신주용 근가(전신주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아래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역사다리꼴 형상의 입면 및 정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몸체(20); 상기 상부몸체(10)의 중심부에 윗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어 전신주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구(11);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의 아래면 중심부에 아래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1);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근가에서, 상기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20)는 폐콘크리트전주 또는 폐근가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1차 파쇄하여 폐골재와 폐전주 내부에 있는 철근류를 분리하고, 상기 폐골재를 다시 2차 파쇄과정을 거쳐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분리하여 얻어지는 재생 굵은골재와, 상기 2차 파쇄과정을 거쳐 분리된 잔골재를 1.2mm체로 체가름하여 남는 재생잔골재와 통과한 체가름 골재가 중량비 1:1로 혼합된 조정 재생잔골재와, 물과 시멘트의 혼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Anchor block Recycled by waste electric poles}
본 발명은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송배전용 콘크리트 전신주를 수거하고 파쇄 등 처리하여 재생 골재를 생산하고 생산한 재생골재를 사용하여 재생 콘크리트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신주용 근가(전신주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폐콘크리트전주는 전기공사업체에서 자체 파쇄하여 쇄석은 현장매립하고 고철은 한전에 입고시키도록 되어있으나 대다수 업체는 고철은 고물상에서 구입하고 폐전주는 무단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건축물 폐기업자 등이 처리하여 일반폐기물과 동일하게 다루어 가용자원의 손실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현재의 폐콘크리트전주 처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제품의 개발이 매우 절실할 실정이다. 즉, 폐전주를 재활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고 이를 콘크리트제품생산에 사용하게 된다면 폐콘크리트 전주를 처리하여 고순도, 고품질의 재생골재 생산가능하며, 천연골재의 자원고갈에 대항하여 폐전주를 폐기처분하지 않아 환경보호에 공헌할 수 있으며 폐전주를 가공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여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에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최근 건설경기 부진으로 재생골재 소비량이 급감하여 각 사업장 재생골재 누적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1998년 12월 환경관련법의 개정으로 정부의 환경정책을 대폭 강화하였지만 건설폐기물을 적절하게 재활용할 방법은 충분히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발명자는 폐기물인 폐콘크리트전주를 재활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고 이를 콘크리트 제품을 생산에 적용하기 위한 제조공정 및 재생골재로 생산한 제품인 전주용 근가(anchor block)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전주와 폐근가를 처리하여 생산된 재생골재를 사용한 재생근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폐전주를 처리하여 재생근가를 생산하는 공정도이다.
제2도는 재생근가 도면이다.
제3도는 폐전주를 야적한 장면을 담은 사진이다.
제1도는 폐전주를 재활용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이다.
각각의 한국전력공사의 공사현장에서 수집된 폐콘크리트전주와 폐근가를 야적장에 입고하여 종류별, 규격별로 야적한다. 야적된 폐전주와 폐근가는 브레이커 등을 이용하여 폐전주를 1차 파쇄하여 폐골재와 폐전주 내부에 있는 철근류를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건설폐재인 폐콘크리트를 재생한 기존의 재생골재는 원콘크리트의 강도가 보통강도이고 노후된 콘크리트가 많아서, 재생골재의 입형이 불량하고 미립분이 많아 시공성이 저하되어, 지금까지 매립용 및 성토재로 주로 사용되었고,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도, 입형의 조정 및 강도저하를 막기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천연산 보통골재와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 재생골재는 미립분으로 인하여 소정의 워커빌리티 및 컨시스턴시를 얻기 위하여 단위수량을 증가시켜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되어 저강도용으로 사용하거나 AE감수제 또는 고성능감수제 등을 다량 사용하여 보통강도용으로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불리하였다.
폐콘크리트전주는 원심력 방식으로 제조하여 압축강도는 500㎏/㎠으로 일반적으로 고강도콘크리트라고 불리는 것보다도 강도가 높다. 고강도콘크리트는 파쇄 전 콘크리트 속의 굵은골재와 모르터가 파쇄된 후에도 그대로 부착되어 있어 쇄석과 똑같은 상태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재활용하기 좋은 여건을 갖고 있다.
폐골재는 다시 2차 파쇄과정을 거쳐 잔골재(석분, 5mm이하)와 굵은골재(5∼25mm이하)를 분리 생산한다. 폐전주를 재활용하여 생산한 잔골재(석분)와 굵은골재의 입도시험결과는 [표1] , [표2] 와 같다.
골재입자의 간극을 시멘트페이스트로 충전한 것이 콘크리트이다. 시멘트량이 적게드는 경제적인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필요한 이상적인 골재입도, 즉 최밀입도(最密粒度)는 Fuller와 Thompson이 제안한 연속입도설 또는 Feret 등이 제안한 불연속입도설로 설명된다. 그러나 건축용 묽은 비빔콘크리트의 시공상 최밀입도가 최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최적입도는 골재형상, 표면조골도, 배합 등에 의해서 변화한다. 결국 최적입도는 콘크리트의 시공성, 경제성, 경화 후의 성질 등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서 결정할 수 있다. 적당한 입도의 범위는 경험적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표준입도는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와 KS F 2526에 규정된 품질을 갖춘 것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생잔골재의 조립률은 3.86이며, 입도분포는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의 잔골재의 입도 기준을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호한 입도분포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재생잔골재의 입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생산된 재생잔골재를 1.2mm체로 체가름한 후에 재생잔골재와 1.2mm체를 통과한 체가름 골재를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조정 잔골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 조정 재생잔골재는 KS규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준입도곡선을 갖는 잔골재로 생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재생잔골재 생산을 위한 설비시설은 5mm체와 1.2mm체로 체가름할 수 있는 시설이 구비해야 보다 고품질의 잔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반면에, 재생굵은골재는 입도시험결과 KS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입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 재생골재의 절건비중은 원 콘크리트에 사용된 골재의 비중보다 작고 재생 굵은골재는 콘크리트의 비중에, 재생 잔골재는 모르터의 비중에 가깝다. 대체적으로 재생골재의 절건비중은 굵은골재가 2.12∼2.43(평균 2.30), 잔골재는 1.97∼2.14(평균 2.06)로서, 모르터 부착량이 많은 관계로 천연골재에 비해10∼20% 낮고 KS에 규정된 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절건비중의 하한치를 밑돌고 있다.
폐전주 재생골재는 원 콘크리트가 고강도이므로 골재에 모르터가 많이 부착하지 않고 골재에 부착되어 있는 모르터의 비중이 커서, 절건비중은 굵은골재가 2.42∼2.60(평균 2.51), 잔골재는 2.25∼2.43(평균 2.34)정도로서 천연 골재의 비중에 근접한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이 값은 강모래, 강자갈보다는 다소 작으나 KS에 규정된 잔·굵은골재의 절건비중의 하한치를 상회하고 있으므로 여타의 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리라 보인다.
기존 재생골재의 흡수율은 천연골재에 비해 비교적 크게 나타나는데 굵은골재가 3.6∼8.0%(평균 5.5%), 잔골재가 8.7∼12.1%(평균 10.5%)로서 천연골재보다 3∼5배 높아서 사용할 때 사전에 충분한 살수를 통하여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로 사용해야 한다.
폐전주 재생골재의 흡수율은 굵은골재가 3.0∼5.6%(평균 4.3%), 잔골재가 6.8∼10.6%(평균 8.7%)로 천연골재에 비해 비교적 크게 나타나지만 기존 재생골재에 비하여 낮으므로 기존 재생골재를 이용하는 것보다 유리하며, 근가를 생산할 때에는 진동 가압 성형으로 물시멘트비가 18.3중량%정도이므로 문제가 없다.
기존 재생골재의 실적율은 굵은골재가 53.3∼58.2%(평균 56.6%), 잔골재가 58.0∼66.8%(평균 61.9%)로 강모래, 강자갈보다 10% 정도가 작은 편이다. 이러한 재생골재의 실적율은 원콘크리트의 강도와 제조플랜트에 의해서 차이가 나타나는데, 폐전주 재생골재는 원콘크리트의 강도가 매우 높고 죠크러셔, 콘크러셔, 함마크러셔의 3단계로 파쇄함으로써 폐전주 재생골재의 실적율은 굵은골재가 56.0∼61.4%(평균 59.2%), 잔골재가 60.9∼68.7%(평균 64.8%)로서 강모래, 강자갈보다 7% 정도가 작은 편이나 기존 재생골재보다는 3% 정도 높은 값을 보여준다. 골재의 실적율은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및 최적 잔골재율과 거의 직선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적율이 1% 낮은 골재를 사용할 경우 동일 수준의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한 배합설계는 단위수량은 2∼4%, 잔골재율은 0.8% 정도 높여야 하며, 이러한 실적율의 감소현상 때문에 재생골재 콘크리트는 강모래·강자갈 콘크리트와 동일 수준의 시공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위수량을 25kg, 잔골재율은 4.7kg 정도 높여야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되며 그 해결책으로 고성능 감수제와 플라이애쉬 등의 혼화재료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폐전주 재생골재는 기존 재생골재에 비하여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 재생골재는 유리, 타일, 목편과 같은 불순물을 함유하여 되어, 미립분 및 불순물의 함량을 줄이기 위하여 재생골재 생산플랜트에는 이물질 제거설비 및 세정시설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예: 비중을 이용한 부유물, 목편의 제거, 자석을 이용한 철물의 제거 등) 이러한 이물질 및 유해물질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 이용목적에 부합되게 적절히 조정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폐전주 재생골재는 이러한 불순물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시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 재활용 자원이다.
철근류는 규격별로 절단하여 정리한다. 폐콘크리트전주의 내부에 있는 철근류는 주로 PC봉강으로서 철근가공장에서 재가공하여 근가 내부의 보강용 배근을 위해 가공하여 재사용한다.
이와 같이 생산가공된 재생골재와 철근을 원재료로 하여 근가 생산제조시설을 이용하여 건식방법과 진동가압방식에 의하여 근가를 생산한다.
<실시예>
보통포틀랜드시멘트, 5mm와 12mm체를 통과하여 입도조정한 재생잔골재(석분), 25mm이하의 재생굵은골재를 사용하며 배합비는 시멘트 : 잔골재 : 굵은골재를 중량배합으로 배치당 300 : 400 : 900, 물시멘트비는 18.3중량%로 하여 진동가압성형을 하였다. 가압성형후에는 65℃이하로 증기양생을 약 6시간동안 한 후 대기양생을 하였다.
KS F 4023(철근 콘크리트 근가)의 A방법에 의해 시험체를 강도시험한 결과는 [표3] 과 같다.
길이가 700mm인 근가 0.7의 경우에는 초균열하중이 KS기준보다 300kg이 상회하여 20% 정도 강도가 상회하였고 파괴하중도 933kg을 초과하여 31% 정도 휨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이 1200mm인 근가 1.2의 경우에는 초균열하중이 3%, 파괴하중이 5%가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근가의 품질기준인 휨강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폐콘크리트전주와 폐근가를 재활용한 재생골재를 사용한 근가제품은 한국산업규격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제작한 근가의 설계도의 예는 제2도에 있다. 제2도에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폐콘크리트전주와 폐근가를 재활용한 재생골재(재생 굵은골재, 조정 재생잔골재) 및 물과 시멘트의 혼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는 일정 두께와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아래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역사다리꼴 형상의 입면 및 정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몸체(20); 상기 상부몸체(10)의 중심부에 윗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어 전신주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구(11);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의 아래면 중심부에 아래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상부몸체(10) 및 연장형성되는 하부몸체(20)는 지상으로 노출되는 전신주를 여러가지 하중(자체하중, 풍하중 등)조건에서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중에 매설, 시공될 때 구조안전성 및 경제성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구조로서 기본적인 ∇구조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하부몸체(20)의 오목부(21)는 지중매설시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폐기처리되고 있는 폐콘크리트 전주를 재활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막고, 폐콘크리트 전주 입고할 때 재생근가를 수령함으로서 별도의 물류비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폐전주 입고에서 근가 재활용까지 완벽한 리사이클 구축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재생골재 사용으로 천연골재의 자원고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정 두께와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아래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역사다리꼴 형상의 입면 및 정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몸체(20);
    상기 상부몸체(10)의 중심부에 윗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어 전신주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구(11);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의 아래면 중심부에 아래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1);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근가에서, 상기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20)는 공사현장에서 종류별·규격별로 수집된 폐콘크리트전주 또는 폐근가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1차 파쇄하여 폐골재와 폐전주 내부에 있는 철근류를 분리하고, 상기 폐골재를 다시 2차 파쇄과정을 거쳐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분리하여 얻어지는 재생 굵은골재와, 상기 2차 파쇄과정을 거쳐 분리된 잔골재를 1.2mm체로 체가름하여 남는 재생잔골재와 통과한 체가름 골재가 중량비 1:1로 혼합된 조정 재생잔골재와, 물과 시멘트의 혼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조정 재생잔골재 : 상기 재생 굵은골재 : 상기 시멘트의 중량비는 400: 900: 300 이고,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를 이루는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물시멘트비)는 18.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KR10-2000-0017975A 2000-04-06 2000-04-06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KR10037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75A KR100371446B1 (ko) 2000-04-06 2000-04-06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75A KR100371446B1 (ko) 2000-04-06 2000-04-06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763U Division KR200214620Y1 (ko) 2000-04-06 2000-04-06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313A KR20000058313A (ko) 2000-10-05
KR100371446B1 true KR100371446B1 (ko) 2003-02-14

Family

ID=1966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975A KR100371446B1 (ko) 2000-04-06 2000-04-06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29B1 (ko) * 2008-10-28 2009-09-24 이정걸 폐전주 잔골재의 제조 방법
KR101486558B1 (ko) * 2014-08-19 2015-01-27 유한회사 조은골재 배합잔골재와 배합잔골재의 혼합장치
KR102008742B1 (ko) * 2019-01-23 2019-08-09 (주)한준에프알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12058874B (zh) * 2020-09-04 2021-09-14 广东洁冠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固废垃圾预制件回收处理再利用系统
CN113095410B (zh) * 2021-04-14 2024-02-09 中北大学 基于彩色共生矩阵的再生混合细骨料分类识别方法
CN117380011B (zh) * 2023-10-20 2024-04-30 云南凯瑞特工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机制砂生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28A (ko) * 2000-03-09 2000-06-05 김한진 폐전주를이용한재생골재생산공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28A (ko) * 2000-03-09 2000-06-05 김한진 폐전주를이용한재생골재생산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313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9974B (zh) 建筑废弃物的处理和再生利用方法
CN103332881B (zh) 一种高品质再生混凝土骨料的制备方法
CN100398214C (zh) 一种废弃混凝土组分分离的方法
CN101560073A (zh) 一种废弃混凝土回收再利用的方法
CN102010144A (zh) 一种利用废弃混凝土制备高品质再生细骨料的方法
Baikerikar A review on green concrete
CN111153664B (zh) 一种利用石灰赤泥稳定废旧混凝土类建筑垃圾骨料生产的道路基层材料
CN109650777A (zh) 一种复合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0371446B1 (ko)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CN101591158A (zh) 建筑垃圾制造的免烧建筑砌块及其制造方法
KR102008742B1 (ko) 폐전주 재활용 재생골재를 이용한 습식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1734892A (zh) 一种废弃混凝土回收再利用方法
CN208786539U (zh) 一种建筑垃圾粉碎装置
CN107445543A (zh) 一种铁尾矿再生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2062518A (zh) 一种海卵石海砂海水再生微粉混凝土的制备方法
CN116813229A (zh) 一种混凝土固废生态高质化利用方法
KR200214620Y1 (ko) 폐전주를 재활용한 재생근가
Kumar et al. Behavior of concrete with agro and industry waste as a replacement for constitutive materials
CN107032707A (zh) 一种复合型保水砖
KR102105615B1 (ko) 소각 재를 이용한 토목건축용 블럭 제조방법
JP5192140B2 (ja) 廃瓦再生骨材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材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
Ai et al. Research on crushing and recycling of waste concrete
KR100514351B1 (ko) 재생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인공어초
Nguyen et al. A study on steel slag replacing sand in concrete
CN109354459A (zh) 一种混凝土复合掺和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8